KR100469719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719B1
KR100469719B1 KR10-2002-0045783A KR20020045783A KR100469719B1 KR 100469719 B1 KR100469719 B1 KR 100469719B1 KR 20020045783 A KR20020045783 A KR 20020045783A KR 100469719 B1 KR100469719 B1 KR 10046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ient
telephone number
short message
receiver
in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277A (ko
Inventor
김기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7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719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수신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선호 리스트를 전송된 단문 메시지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에 따라 상기 선호 리스트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선호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상기 수신자 전화 번호로서 입력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METHOD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달 및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의 요구에 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이동 무선 전화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에는 MP3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카메라 기능, TV 기능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주고받는 사용자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단문 메시지 전송은 단문 메시지 전송요가 음성 통화료보다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특히 학생들 사이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의 전송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문장을 직접입력하거나 미리 저장된 문장을 불러오기한 뒤에,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수신자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를 선택하고, "1. 이름으로 찾기"를 선택한 후,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찾을 이름을 입력함으로써,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수의 수신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신자 전화 번호들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한다. 이 후, 사용자는 도 1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수신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수신자 전화 번호를 모두 기억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수신자 이름을 직접 입력하고 검색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해야만 하며, "메뉴키", "확인키" 등을 조작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다수의 수신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단지 전화 번호만 표시되기 때문에 다수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수신자 이름을 모두 알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문 메시지 전송 모드에서 수신자 전화 번호를 간단하게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전송 대상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수신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선호 리스트를 전송된 단문 메시지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에 따라 상기 선호 리스트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선호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상기 수신자 전화 번호로서 입력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고,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키 입력부(4)는 다수의 숫자 키와 문자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8)로 출력한다. 듀플렉서(18)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소정의 대역 신호만을 추출하여 수신부(10)로 출력하며, 송신부(1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부(14)는 음성 처리부(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주파수 합성부(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이용하여 송신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 후 듀플렉서(18)로 출력한다. 수신부(10)는 제어부(8)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부분은 음성 처리부(18)로 출력하며, 음성 신호가 아닌 신호는 제어부(8)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2)는 제어부(8)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14)와 수신부(10)로 출력할 주파수를 발생하여 각각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8)는 수신부(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피커(SPK)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음으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MIC)는 가청 주파수의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처리부(18)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처리부(18)는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코딩하여 송신부(14)로 출력한다.
메모리(6)는 제어부(8)의 제어 시 필요한 구동 프로그램 및 제어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호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선호 리스트란 단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수신자 즉, 단문 메시지를 특정 수신자에게 자주 전송하기 위한 리스트 말하며, 전화 번호부와 마찬가지로 수신자 전화 번호와 수신자 이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호 리스트는 사용자가 직접 편집하여 메모리(6)에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호 리스트는 소정 기간동안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각 수신자 전화 번호로 전송된 단문 메시지 전송 횟수를 카운트하여 생성될 수 있다. 표시부(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호 리스트를 표시한다.
제어부(8)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선호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 전송 모드에서 수신자 이름이 입력되면 전화 번호부로부터 입력된 수신자 이름에 대응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독출하여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 전송 모드에서 수신자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수신자 전화 번호와 전화 번호부로부터 수신자 전화 번호에 대응한 수신자 이름을 독출하여 표시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방법과 수신자 전화 번호 표시 방법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하나는 선호 리스트를 생성하여 입력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수신자 이름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먼저 선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102단계에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면, 제어부(8)는 104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각 수신자 전화 번호에 대한 전송 횟수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8)는 106단계에서 각 수신자 전화 번호의 순위를 결정한다. 이러한 순위 결정은 소정 기간동안에 카운트한 전송 횟수에 근거하여 실시하는데, 일주일 또는 한달 단위 등으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8)는 108단계에서 수신자 전화 번호와 이름이 포함된 선호 리스트를 메모리(6)에 생성한다. 이러한 선호 리스트는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 번호 및 수신자 이름을 편집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선호 리스트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름 우측에 있는 번호는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번호를 나타낸다.
위와 같이 생성된 선호 리스트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 4 내지 도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112단계에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을 입력하거나 불러오기 한 뒤, 114단계에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 리스트를 호출한다. 이 때 선호 리스트는 키 입력부(4)의 "LEFT키"를 이용하여 호출할 수 있으며, "RIGHT키"를 이용하여 호출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116단계에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출된 선호 리스트 중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 전화 번호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 전화 번호가 입력된다. 이 후, 사용자는 118단계에서 도 5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입력된 수신자 전화 번호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 리스트의 가장 최하위로 이동되는데, 이는 입력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더 이상 입력하지 않기 때문에 "DOWN키"를 이용한 키 조작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나의 수신자 전화 번호를 선택한 뒤에, 도 5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수신자 전화 번호들을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단문 메시지 전송 모드에서 선호 리스트를 호출하고 수신자 전화 번호를 선택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수신자 이름을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122단계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을 입력하거나 불러오기 한 뒤, 124단계에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 이름을 입력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시, 기본적으로 숫자 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키"를 이용하여 문자 모드로 전환하고, 숫자 모드로 재 전환할 경우, "*키"를 이용하여 전환한다. 사용자가 수신자 이름을 입력하면 제어부(8)는 126단계에서 전화 번호부에 입력한 수신자 이름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전화 번호부에 수신자 이름이 존재하면, 128단계에서 제어부(8)는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번호부로부터 수신자 이름에 대응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독출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수신자 이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8)는 130단계에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 이름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이름 부재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후, 사용자는 132단계에서 도 7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는 하나의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한 뒤에, 도 7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신자 이름을 입력하여 복수개의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수신자 이름을 입력하고, 입력한 수신자 이름에 대응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전화 번호부로부터 독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수신자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142단계에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을 입력하거나 불러오기 한 뒤, 144단계에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 이름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8)는 146단계에서 전화 번호부에 입력한 수신자 전화 번호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전화 번호부에 수신자 전화 번호가 존재하면, 148단계에서 제어부(8)는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번호부로부터 수신자 전화 번호에 대응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독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수신자 전화 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8)는 150단계에서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 이름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이름 부재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후, 사용자는 152단계에서 도 9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와 같이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수신자 전화 번호에 대응한 수신자 이름을 전화 번호부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와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위와 같이 단문 메시지 전송 모드에서 선호 리스트와 수신자 이름을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수신자 전화 번호와 수신자 이름을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수신자 전화 번호를 모두 기억하거나 키 조작을 여러 번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수신자 이름을 모두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선호하는 수신자들의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수신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선호 리스트를 전송된 단문 메시지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에 따라 상기 선호 리스트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선호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상기 수신자 전화 번호로서 입력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리스트는, 소정 기간동안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각 수신자 전화 번호로 전송된 단문 메시지 전송 횟수를 카운트하여 결정된 소정 순위 이상의 수신자 전화 번호와 수신자 이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전화 번호가 선택 입력된 후, 상기 선택 입력된 수신자 전화 번호를 상기 선호 리스트의 최하위에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전화 번호 선택 입력된 후, 상기 선호 리스트의 나머지 수신자 전화 번호들이 사용자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게 표시부에 표시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전화 번호 입력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2-0045783A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KR100469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83A KR100469719B1 (ko)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83A KR100469719B1 (ko)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277A KR20040012277A (ko) 2004-02-11
KR100469719B1 true KR100469719B1 (ko) 2005-02-02

Family

ID=3732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83A KR100469719B1 (ko)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467A (ko) * 2003-09-01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입력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187A (ja) * 1998-05-29 1999-12-10 Sharp Corp ショート・メッセージ送信先番号の自動生成装置
KR20020018701A (ko) * 2000-09-04 2002-03-09 홍경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저장 방법
KR20020041881A (ko) * 2000-11-29 2002-06-05 김대홍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79026A (ko) * 2001-04-12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Sms 수신자 목록을 이용한 sms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187A (ja) * 1998-05-29 1999-12-10 Sharp Corp ショート・メッセージ送信先番号の自動生成装置
KR20020018701A (ko) * 2000-09-04 2002-03-09 홍경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저장 방법
KR20020041881A (ko) * 2000-11-29 2002-06-05 김대홍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79026A (ko) * 2001-04-12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Sms 수신자 목록을 이용한 sms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277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497B2 (en) Programming multiple ringing tones of a terminal
KR20010085657A (ko) 북마크 소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
US755531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KR100689485B1 (ko)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EP18943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annunci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39206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ne-touch message transmission
KR1004697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JPH11275651A (ja) 携帯電話機
KR100735362B1 (ko)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06766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20040046258A (ko)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 전송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461041B1 (ko) 휴대폰에 있어서 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60455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용시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를 사용하는 방법
KR1007534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815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5039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예외적인 자동응답 방법
KR100735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KR20020020410A (ko)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벨소리 변경방법
KR100353444B1 (ko) 이동 전화기의 안내 메시지 변경방법
KR1007825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700176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세지 발송빈도에 따른문자메세지 발송시 전화번호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