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451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451B1
KR100753451B1 KR1020050053781A KR20050053781A KR100753451B1 KR 100753451 B1 KR100753451 B1 KR 100753451B1 KR 1020050053781 A KR1020050053781 A KR 1020050053781A KR 20050053781 A KR20050053781 A KR 20050053781A KR 100753451 B1 KR100753451 B1 KR 10075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information
media
information
set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246A (ko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451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미디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미디어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미디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정보를 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미디어모드 설정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미디어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동작모드를 미디어모드로 설정하고,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상기 미디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정보 중에서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디어모드, 방송정보, 위치, 재생, 송출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method for playing broadcasting information in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정보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 는 도 3 의 미디어모드 설정 관련 서브루틴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 는 미디어모드 설정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제 1 위치의 설정에 따른 도움말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7 은 도 5 에 도시된 제 2 위치의 설정에 따른 도움말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8 은 도 5 에 도시된 재생시간의 설정에 따른 도움말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9 는 제 1 위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카메라부
120 : 제어부 121 : 이동 통신 처리부
122 : 설정부 123 : 미디어모드 전환부
124 : 판단부 125 : 방송정보 송출부
126 : 음성저장 처리부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 입력부
180 : 표시부 190 : 저장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미디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미디어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미디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사업자는 많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음성사서함 서비스이다. 이것은 서비스 이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응답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사업자가 송신측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은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일방적으로 단순히 부재중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수신자만이 있는 형태로서, 부재중을 알리는 정보이외에 자신이 알고 있는 부가적인 정보를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송신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이용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고, 정보를 얻기 위하여 통화를 하는 송신자로부터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사업자에게로 전화를 하여야 하므로 통신료도 부담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수수료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더욱이, 송신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신청한 수신자의 통화가능여부를 확인하기까지 대략 1분정도 기다려야 수신자의 부재중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그 대기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한편, 자신이 알고 있는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온라인 게시판이 확장된 형태를 띠는 새로운 개념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웹로그(Weblog)'의 약칭인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블로그는 일반 홈페이지나 게시판과는 달리 HTML 언어나 홈페이지 제작법을 몰라도 자신의 관심사를 담은 홈페이지를 손쉽게 만들 수 있고, 텍스트뿐만 아니라 그림, 음악,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간단히 올릴 수 있다. 이러한 블로그를 방문한 방문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블로그는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해야만 방문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경우 자신이 얻은 정보를 즉시 올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미디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미디어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미디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여 송신자가 즉시 방송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여 별도의 서비스 이용요금 없이도 수신자가 음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상기 재생시간에 해당 방송정보가 재생되는 미디어모드로 전환시키는 미디어모드 전환부;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송출하여 그 송출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된 송신자의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선택하여 송출하는 방송정보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부의 제 1 위치에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부는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저장되는 제 2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음성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제 2 위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음성저장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미디어 설정정보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상기 재생시간에 해당 방송정보가 재생되는 미디어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송출하여 그 송출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된 송신자의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선택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단계는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저장되는 제 2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음성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출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제 2 위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음성저장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정보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정보 재생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단말기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90)와,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디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170)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미디어모드 설정요청신호에 따라 미디어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미디어모드로 설정하고,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저장부(190)에 저장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는 제어부(120)와, 카메라부(110)와, RF부(130)와, 음성처리부(140)와, 스피커(150)와, 마이크로폰(160)과, 외부 화면창 및/또는 내부 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방송정보는 사용자가 알리고자 하는 소식, 내용, 음악들을 MP3등의 오디오 형태로 만든 정보를 말한다.
저장부(190)에는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방송정보 또는 마이크로폰(160)을 통해 입력받은 방송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 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저장부(190)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키입력부(170)는 미디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입력키(예를 들면, 'OK'버튼, 'GOTO'버튼, 'Play'버튼 등과 같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키입력부(170)에 의해 입력된 미디어모드 설정요청신호에 따라 미디어모드 설정창을 제공하고 제공된 설정창을 통해 미디어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재생시간에 미디어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동작모드가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여 송신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다만,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RF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3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6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저장부(19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15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키입력부(17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미디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키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7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저장부(19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80)에 표시한다. 즉, 키입력부(170)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키입력부(170)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2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저장부(190)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80)에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처리부(121)와, 미디어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122)와, 설정부(122)에 의해 설정된 재생시간에 미디어모드로 전환하는 미디어모드 전환부(123)와,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동작모드가 통화모드인지 또는 미디어모드인지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24)와, 판단부(124)의 판단결과, 미디어모 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정보 중에서 해당 방송정보를 선택하여 송출하는 방송정보 송출부(125)와, 송신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음성저장 처리부(126)로 구성된다.
이동 통신 처리부(121)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설정부(122)는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즉 사용자에 의해 입력키(예를 들면, 'OK'버튼, 'GOTO'버튼, 'Play'버튼 등과 같은)가 선택되는 경우 미디어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미디어모드 설정창을 제공하고, 제공된 설정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위치와,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저장되는 제 2 위치와, 정해진 시간내에서만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제 1 위치에는 전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LG Sync)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방송정보 및/또는 마이크로폰(160)을 통해 입력받은 방송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위치에는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최근 날짜순으로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시간을 설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재생시간을 미설정하게 되는 경우 미디어모드로 계속 설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미디어모드 전환부(123)는 설정부(122)에 의해 설정되는 미디어 설정정보에 기초로 설정된 재생시간에 해당 방송정보가 재생되는 미디어모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재생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외의 시간에는 통화모드 로 전환되어, 송신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디어모드 전환부(123)는 동작모드가 미디어모드로 전환시킨 경우,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면, '미디어모드 설정중입니다.')를 표시부(180)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통화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판단부(124)는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방송정보 송출부(125)는 판단부(124)의 판단결과, 동작모드가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제 1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지금은 미디어모드 설정중입니다. 방송을 들으시려면 계속 진행하여 주시고, 원치 않으시면 끊어주십시요.')를 송출하여 그 송출된 제 1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된 송신자의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제 1 위치에서 송출하여 송신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기 전에 먼저 미리 설정된 제 2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이전방송을 들으시려면 1번을, 다시 듣고 싶으시면 2번을, 다음방송을 들으시려면 3번, 음성을 녹음하시려면 4번을 선택해 주십시요.')를 송출하여 송신자가 방송정보를 효율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위치에는 최근 날짜별로 방송정보가 소팅되어 있어, 제 1 위치에서 송출된 방송정보를 재생시킨 상태에서나 재생이 종료된 상태에서 송신자에 의해 이전방송 또는 다시 듣기 또는 다음방송이 선택되면 해당 방송정보를 송신자에게 송출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방송정보 송출부(125)는 해당 방송정보가 재생중인 상태에서 또는 재생이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제 3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방송이 끝났습니다. 이전방송을 들으시려면 1번을, 다시 듣고 싶으시면 2번을, 다음방송을 들으시려면 3번, 음성을 녹음하시려면 4번을 선택해 주십시요.')가 송출된 상태에서 송신자에 의해 이전방송(예를 들면, 1번)이 선택된 경우, 송출된 방송정보의 날짜를 기준으로 바로 이전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송출하고, 송신자에 의해 다시 듣기(예를 들면, 2번)가 선택된 경우, 송출된 방송정보를 다시 또 송출하며, 송신자에 의해 다음방송(예를 들면, 3번)이 선택된 경우, 송출된 방송정보의 날짜를 기준으로 바로 다음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송출한다.
음성저장 처리부(126)는 전술된 제 3 안내메시지에 따라 송신자에 의해 음성녹음(예를 들면, 4번)이 선택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 4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삐소리가 나시면 녹음해주시고, 끝나시면 별표를 눌러 주십시요.')를 송출하고, 송출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제 2 위치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송신자의 음성은 사용자의 통화요청에 따라 바로 송신자의 음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음성저장 처리부(126)는 송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이 저장된 경우, 음성이 도착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면, '음성이 도착했습니다.')를 표시부(180)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성이 도착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별도의 서비스 이용요금 없이도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여 송신자가 즉시 수신자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송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저장하여 수신자가 쉽게 음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미디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미디어모드 설정창을 제공하고 제공된 설정창을 통해 미디어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미디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재생시간에 미디어모드로 전환하는 미디어모드 설정 관련 서브루틴을 수행한다(도 3의 S100).
도 4 를 참조하여 미디어모드 설정 관련 서브루틴(S100)을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때,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는 미디어모드의 설정을 위한 입력키(예를 들면, 'OK'버튼, 'GOTO'버튼, 'Play'버튼 등과 같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한다.
상기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후술하는 S200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가 입 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디어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미디어모드 설정창을 제공한다(S104).
다음, 제어부(120)는 제공된 미디어모드 설정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위치(예를 들면, \media)와,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저장되는 제 2 위치(예를 들면, \feedback)와,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시간(예를 들면, 오후 10시 30분부터 오전 6시까지)을 포함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설정받는다(S106). 이때, 제어부(120)는 표시부(180)를 통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움말을 제공하여 제 1 위치에 저장되는 방송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움말을 제공하여 제 2 위치에 저장되는 정보를 안내하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움말을 제공하여 방송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시간의 시간설정을 안내한다.
여기서, 제 1 위치에 저장되는 방송정보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제어부(120)는 도 9 에 도시된 방송정보를 모두 재생시킬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정보만 선택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다음,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완료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상기 S108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설정완료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S108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설정완료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설정받은 미디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재생시간에 미디어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S110). 이때, 재생시간이 미설정되면 전화가 걸려올 때마다 방송정보를 무 조건 재생시키게 되고, 재생시간이 설정되면 전화가 걸려올때의 시간에 따라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거나 송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재생시간이 설정되면 정해진 시간내에 정기적인 방송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20)는 동작모드가 재생시간에 미디어모드로 전환된 경우, 표시부(180)상에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면, '미디어모드 설정중입니다.')를 표시한다.
다시, 도 3 에서, 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상기 S200 단계의 판단결과, 외부로부터 호출이 없는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호출이 없는 경우에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200 단계의 판단결과,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제어부(120)는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상기 S202 단계의 판단결과,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20)는 송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S203).
상기 S202 단계의 판단결과, 동작모드가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제 1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지금은 미디어모드 설정중입니다. 방송을 들으시려면 계속 진행하여 주시고, 원치 않으시면 끊어주십시요.')를 송신자에게 송출한다(S204).
다음, 제어부(120)는 송출된 제 1 안내메시지에 따라 송신자로부터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6).
상기 S206 단계의 판단결과, 송출된 제 1 안내메시지에 따라 송신자로부터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206 단계의 판단결과, 송출된 제 1 안내메시지에 따라 송신자로부터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기 전에 방송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제 2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이전방송을 들으시려면 1번을, 다시 듣고 싶으시면 2번을, 다음방송을 들으시려면 3번, 음성을 녹음하시려면 4번을 선택해 주십시요.')를 먼저 송출한 후에 제 1 위치에 저장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신자에게 송출한다(S208).
다음, 제어부(120)는 송신자에게 송출되는 해당 방송정보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9).
상기 S209 단계의 판단결과, 송신자에게 송출되는 해당 방송정보의 재생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후술하는 S210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이전방송 또는 다시 듣기 또는 다음방송의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해당 방송정보를 계속 재생중인 상태에 있다.
상기 S209 단계의 판단결과, 송신자에게 송출되는 해당 방송정보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제 3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방송이 끝났습니다. 이전방송을 들으시려면 1번을, 다시 듣고 싶으시면 2번을, 다음방송을 들으시려면 3번, 음성을 녹음하시려면 4번을 선택해 주십시요.')를 송출한다 (S211).
다음, 제어부(120)는 해당 방송정보가 재생중인 상태에서나 또는 재생이 종료된 상태에서 이전방송(예를 들면, 1번) 또는 다시 듣기(예를 들면, 2번) 또는 다음방송(예를 들면, 3번)의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상기 S210 단계의 판단결과, 이전방송 또는 다시 듣기 또는 다음방송의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후술하는 S214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송신자로부터 음성의 녹음(예를 들면, 4번)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S210 단계의 판단결과, 이전방송 또는 다시 듣기 또는 다음방송의 재생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입력된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방송정보를 제 1 위치에서 송출한다(S212). 즉,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제 2 안내메시지 또는 제 3 안내메시지에 따라 송신자에 의해 이전방송(예를 들면, 1번)이 선택된 경우, 송출된 방송정보의 날짜를 기준으로 바로 이전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송출하고, 송신자에 의해 다시 듣기(예를 들면, 2번)가 선택된 경우, 송출된 방송정보를 다시 또 송출하며, 송신자에 의해 다음방송(예를 들면, 3번)이 선택된 경우, 송출된 방송정보의 날짜를 기준으로 바로 다음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송출한다.
다음, 제어부(120)는 송신자로부터 음성의 녹음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4). 상기 S214 단계의 판단결과, 송신자로부터 음성의 녹음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214 단계의 판단결과, 송신자로부터 음성의 녹음이 요청된 경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제 4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삐소리가 나시면 녹음해주시 고, 끝나시면 별표를 눌러 주십시요.')를 송출하고 송출된 제 4 안내메시지에 따라 송신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S216).
다음, 제어부(120)는 입력받은 송신자의 음성을 제 2 위치에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제 5 안내메시지(예를 들면, '음성 녹음이 종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를 송출한다(S218).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송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이 도착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면, '음성이 도착했습니다.')를 표시부(180)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성이 도착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출하여 즉시 송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송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저장하여 수신자가 쉽게 음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미디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미디어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미디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해당 방송정보를 송신자에게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여 수신자가 쉽게 음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용자들이 별도의 서비스 이용요금 없이도 통화 불가능인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됨으로써 부재중일 때 부재중임을 안내하는 문자를 전송하는 방법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저렴하고 송신자가 수신자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재중을 알리는 정보이외에도 현장에서 획득한 정보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시킴으로써, 장소적인 제약없이 현장에서 직접 획득한 정보를 즉시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자재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자가 미디어모드가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하는 것만으로 수신자에 의해 설정된 방송정보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수신자의 통화가능여부를 확인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방송정보를 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상기 재생시간에 해당 방송정보가 재생되는 미디어모드로 전환시키는 미디어모드 전환부;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송출하여 그 송출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된 송신자의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선택하여 송출하는 방송정보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의 제 1 위치에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정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저장되는 제 2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음성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제 2 위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음성저장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방송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모드 설정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방송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미디어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미디어 설정정보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상기 재생시간에 해당 방송정보가 재생되는 미디어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외부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미디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송출하여 그 송출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된 송신자의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선택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송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이 저장되는 제 2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음성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출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에 따라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제 2 위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음성저장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KR1020050053781A 2005-06-22 2005-06-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53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781A KR100753451B1 (ko) 2005-06-22 2005-06-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781A KR100753451B1 (ko) 2005-06-22 2005-06-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46A KR20060134246A (ko) 2006-12-28
KR100753451B1 true KR100753451B1 (ko) 2007-08-31

Family

ID=3781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781A KR100753451B1 (ko) 2005-06-22 2005-06-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4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219A (ko) * 1999-05-31 2000-12-15 강병호 단말기에서의 안내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30013627A (ko) * 2001-08-08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정보에 따른 이미지전송방법
JP2004015158A (ja) 2002-06-04 2004-01-15 Nikon Corp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20050049735A (ko) * 2003-11-24 2005-05-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 자동 응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219A (ko) * 1999-05-31 2000-12-15 강병호 단말기에서의 안내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30013627A (ko) * 2001-08-08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정보에 따른 이미지전송방법
JP2004015158A (ja) 2002-06-04 2004-01-15 Nikon Corp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20050049735A (ko) * 2003-11-24 2005-05-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 자동 응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46A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175B2 (en)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1108837B1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저장장치 및 방법
EP1916851B1 (en)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in mobile terminal
WO20061352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annunci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70517B1 (ko) 통신시스템에서 통화 연결음(링백톤) 서비스 장치
KR1013923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534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319B1 (ko) 휴대폰 문자 메시지 입력 시의 배경 컨텐츠 실현 방법.
KR20060005900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음성메시지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700880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4697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KR100878804B1 (ko)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815240B1 (ko) Dmb와 연동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100719744B1 (ko)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방송프로그램과연관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5211B1 (ko) 라디오를 내장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 정보제공 방법
KR10053977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762661B1 (ko) 휴대 단말기를 통한 학습기능 수행방법
KR20030033323A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예약 통화 방법
KR10134979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KR20050092931A (ko) 라디오를 내장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fm연동 서비스 방법
KR1012670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939714B1 (ko) 자동응답 메시지의 이 메일 전송방법
KR101149785B1 (ko) 통화대기음 설정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8760B1 (ko) 왑 브라우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