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881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881A
KR20020041881A KR1020000071521A KR20000071521A KR20020041881A KR 20020041881 A KR20020041881 A KR 20020041881A KR 1020000071521 A KR1020000071521 A KR 1020000071521A KR 20000071521 A KR20000071521 A KR 20000071521A KR 20020041881 A KR20020041881 A KR 2002004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user
data
mobile communicatio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김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홍 filed Critical 김대홍
Priority to KR102000007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881A/ko
Publication of KR2002004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881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상의 여러 가지 기능메뉴 중에서 문자메시지 기능을 선택하는 문자메세지 기능 선택 단계와; 상기 문자메시지 기능 선택 단계 후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버튼을 조작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메시지 기능 선택 단계 후 사용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수신자번호입력 단계와;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써, 이용자들이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수신자의 이름을 입력하여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지 못하더라도 별도로 메모리에서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암기하거나 메모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자들이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따로 암기하거나 메모할 필요없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바로 호출하여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또한 문자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간에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 발생시 주로 이용된다.
여기서 음성통화가 곤란한 상황이라 함은 송/수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회의장 등과 같이 개인적인 음성전화 통화가 곤란한 장소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가 착신된다 하더라도 이에 응답하여 상대방과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긴급하게 통화해야할 일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방측 단말기로 송신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들은 상대방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제한된 내용이지만 서로 필요한 내용에 대해 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인 휴대폰을 이용하는 많은 수의 이용자들(10대 내지 30대)이 문자메시지를 이용하고 있다. 이 중 10대는 가장 많은 문자메시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이 것을 타겟으로 문자 메시지 400건 무료라는 전략이 나오기도 했다(018의 경우). 이처럼 시간이 흘러갈수록 문자메시지의 활용율이 점점 높아지는 쪽으로 갈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휴대폰의 기능도 다양해지게되었고 그 성능도 발전되어 왔다.
그래서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름과 번지를 지정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은 문자메시지 작성을 선택하는 단계(ST1)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 선택 후 새문장을 쓰는 단계(ST2)와; 상대방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단계(ST3)와;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T4)와; 상기 새문장과 상대방 전화번호와 연락받을 전화번호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상대방 전화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T5)를 수행한다.
그래서 핸드폰에서 문자메시지 작성을 선택하면, 새문장 쓰기와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과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새문장 쓰기와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과 연락받을 전화번호 입력은 이동통신단말기 제조회사 별로 그 순서가 바뀌거나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T4)는 통상의 단말기에서 자신의 단말기 번호를 기본으로 표시하여 확인 버튼만 누르게 하는 체계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의 번호는 직접 번호를 입력하는 수 밖에 없었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었다.
최근의 휴대폰은 대개의 경우에 100개 이상의 전화번호 메모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화번호를 메모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화번호와 이름과 저장될 번지를 입력하게 된다. 저장될 번지는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지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발달된 메모리 기능을 활용하여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래 없었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문자메시지를 보내려고 할 경우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나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단계에서 번호를 기억하지 못해 단말기의 초기화면으로 돌아와 상대방 전화번호를 단말기의 메모리에서 확인한 후 암기하거나 메모해 두고 다시 문자메시지를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자주 겪어 왔었다.
특히 장문의 메시지를 입력한 경우라면 이를 다시 처음부터 작성해야하는 난처함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비록 단말기에는 작성한 문자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기는 하지만 이에 할당된 메모리 용량이 작고 이로 인해 더 이상의 문자메시지 저장공간이 없다는 사실을 모른채 문자메시지 전송을 시도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문제는 마찬가지였다. 이를 활용할 수 있다고 해도 문자메시지를 일단 저장한 후 문자메시지 기능을 종료하고 나서 전화번호를 확인한 다음 다시 문자메시지 기능을 실행하여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다시 불러내야 하는 여러 단계의 번거러움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먼저 입력하고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게 하는 단말기의 경우에도 문자메시지작성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ST1) 이전에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암기하거나 메모한 후 이를 상대방전화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에서 직접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은 마찬가지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전화번호와 이름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가 잘 갖추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문자메시지 전송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들이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자신의 단말기 메모리에는 저장되어 있으나 기억하고 있지 못한 경우 따로 메모리를 확인하여 전화번호를 암기하거나 메모할 필요없이 문자메시지 전송 기능 수행 중에 이름을 입력하여 이 이름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문자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수신자번호입력 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동일한 이름이 복수개 검색되었을 경우의 일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동일한 이름이 검색되지 않았을 경우의 일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동일한 이름이 검색되지 않았을 경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며,
도 9는 도 4에서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여 검색하는 경우의 일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고,
도 10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의 표시창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기 11 : 제어부
12 : 메모리 13 : 듀플렉서
14 : 수신부 15 : 송신부
16 : 오디오부 17 : 키입력부
18 : 표시부 20 : 기지국
30 : 이동교환국 40 : SMS 서비스센터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문자서비스 시스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이용하고 일반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일반 전화통화 신호와 문자메시지 신호를 전송받아 이동교환국(30)으로 전송하는 기지국(20)과;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일반 전화통화 신호와 문자메시지 신호를 전송받아 수신측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호처리를 수행하는 이동교환국(30)과; 상기 이동교환국(30)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아 단문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1)에 의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40)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와;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기지국(20)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Duplexer)(13)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상기 듀플렉서(13)를 통해 입력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증폭하며 필터링을 수행하는 수신부(14)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부(16)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상기 듀플렉서(13)로 전송하는 송신부(15)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수신부(14)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 전송하는 오디오부(16)와; 다수의 키입력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버튼을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로 전송하는 키입력부(17)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상의 여러 가지 기능메뉴 중에서 문자메시지 기능을 선택하는 문자메세지 기능 선택 단계(ST11)와; 상기 문자메시지 기능 선택 단계(ST11) 후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버튼을 조작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ST12)와; 상기 문자메시지 기능 선택 단계(ST11) 후 사용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와;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1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자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란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때 하나의 번지에 입력하는 항목들로서 저장번지, 이름, 전화번호 등을 말한다. 여기에 아직까지는 메모리 용량의 한계 때문에 입력할 수 없지만 호출기번호, 회사명, 이메일주소 등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개의 번지를 묶어서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할 수 있는 경우라면 그룹의 명칭도 이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이름이란 항목에 입력되는 내용으로서 수신자의 실제 이름일 수도 있지만 단말기 사용자가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때 상대방의 별명이나 기억하기 좋은 간략한 별칭 또는 기호등을 사용하여 실제 이름대신 입력한 경우에는 해당 입력된 내용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ST12) 수행 후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를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 수행 후 상기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ST12)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는 문자메시지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단계에 오게 됐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전화번호 대신에 수신자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게 하고, 미리 단말기의 전화번호 메모리 기능을 이용해 전화번호를 메모리할 당시에 함께 저장했던 이름, 회사명, 이메일주소, 호출기번호,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신자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은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할 정보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여 이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면 선택한 항목에 대한 데이터만을 메모리에서 검색하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항목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없이 바로 사용자가 모든 항목 검색 기능을 상징하는 특정버튼을 누른후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모든 항목에 걸쳐 검색하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수신자번호입력 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한개만 있을 경우 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전화번호로 입력 처리(ST17, ST18, ST19, ST20)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표시창에 검색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지 않고 바로 수신자번호로 입력 처리한 후 다음 단계의 입력을 요구하는 표시를 표시창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동일한 이름이 복수개 검색되었을 경우의 일실시예를 보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복수개 저장되어 있을 경우 이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ST21, ST22, ST23, ST24)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서 동일한 이름이 검색되지 않았을 경우의 일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의 기호열과 동일한 기호열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ST25, ST26, ST27, ST28)할 수 있다.
상기 기호란 국문, 영문 등의 문자와 숫자 그리고 #, * 등의 기호를 모두 포함하여 지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모두 메모리에 전화번호와 상대방 정보 입력시에 사용될 수 있는 키들이다.
도 8은 도 5에서 동일한 이름이 검색되지 않았을 경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공통된 기호를 설정된 잣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고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ST29, ST30, ST31, ST32)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바로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메시지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수신자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4에서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여 검색하는 경우의 일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ST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모음 또는 자음의 나열이고 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입력된 모음 또는 자음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ST35, ST36, ST37, ST38, ST39)할 수 있다.
즉 35단계(ST35)에서 보듯이 상기 방법은 검색을 수행하기 전에 입력된 정보가 모음 또는 자음의 나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위에서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이름과 관련된 검색 결과 데이터는 이름, 전화번호, 번지, 이메일주소, 회사명, 호출기번호 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름 또는 전화번호만을 표시할 수도 있고, 이름과 전화번호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고, 여기에 번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검색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표시창에 어떤 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문자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문자메시지는 기지국(20)을 통해 이동교환국(30)에 보내진다. 이동교환국(30)에서는 이 문자메시지의 수신 사실을 역경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에 알리고,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10)가 호출한 수신측 단말기(이는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음)에도 전달한다.
또한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40)는 이동교환국(104)과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이동교환국들, 공중교환망이나 종합정보통신망 등에 연결되며, 이들 중 한쪽으로부터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다른 쪽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메모리(12)는 사용자가 특정 전화번호를 저장할 경우 전화번호와 이름과 이를 저장할 번지를 입력받아 이들을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일정 개수까지 저장한다. 저장되는 전화전호 개수는 보통 100에서 200개 정도이다
제어부(11)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11)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름을 입력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12)에서 이름을 검색하고 검색된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출력하여 임시저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는 검색된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전화번호를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하면 이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게 된다.
듀플렉서(13)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20)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수신부(14)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듀플렉서(13)를 통해 입력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듀플렉서(13)에 의해 분리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송신부(15)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부(16)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13)를 거쳐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
오디오부(16)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14)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 송출한다. 또한 기지국(20)으로부터 링신호가 발생할 때 수신부(14)를 통해 링신호를 감지한 후 링거(Ringer)를 통해 송출한다.
키입력부(17)는 다수의 키입력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버튼을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1)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11)에서는 어떤 키 값이 눌렸는지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18)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17)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1)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자메세지 전송방법의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의 버튼을 조작하여 문자메시지 작성 기능을 선택한다.그러면 단말기에 따라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기도 하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기도 한다. 이는 단말기 제작사에 따라 문자메시지 작성과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순서가 다르게 프로그램되었기 때문이다.
문자메시지를 먼저 입력해야하는 단말기라면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나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표시창이 뜬다.
도 10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의 표시창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표시창의 내용을 보면 기본설정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화살표 등의 버튼을 이용해 표시창의 좌하귀에 있는 모든항목검색을 선택하거나(또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을 길게 눌러 선택), 표시창의 우하귀에 있는 항목검색을 선택하여(또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을 길게 눌러 선택) 수신자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바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등이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모든항목검색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로 "!"를 입력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항목에 대해서 검색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항목검색을 선택한 경우 그 선택할 항목은 이름, 전화번호, 번지, 이메일 주소, 회사명 등 메모리에 저장된 여러 가지 항목이 다양하게 조합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할 당시에 "!"를 입력한 것은 기억하는데 그것이 이름 항목인지 이메일 항목인지 기억나지 않을 때 "이름"과 "이메일주소" 항목 두가지를 선택하고 "!"를 입력한 후 특정버튼을 눌러 검색을 실행하면 이름과 이메일이주소 항목에 대해서만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해서 검색과 이에 대한 결과를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이름"을 "항목검색"으로 선택하였다고 하자.
사용자가 "이름" 항목을 선택하여 이름을 입력한 경우 키입력부에서 발생한 키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메모리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동일한 이름이 단 한개 검색되었다면 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처리하고 다음 단계의 진행을 요구하게 된다.
만일 입력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복수개 검색되었다면 이들을 모두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 과정을 거쳐 선택된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이 "강영수"이고 이 이름으로 검색한 결과 메모리 중에 강영수란 이름으로 "강영수 222-00xx"와 "강영수 555-88xx"의 두 개가 저장되어 있다면 표시창에 "222-00xx"와 "555-88xx"를 모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화번호 앞에 이름은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가 표시창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살표" 버튼을 이용해 원하는 전화번호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커서가 위치된 전화번호가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과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의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모두 검색하여 이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이 "영수"인데 이와 동일한 이름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것이 없다면 메모리에 저장된 이름 중에 "영수"라는 이름과 동일한 기호열 즉 동일한 문자열을 갖는 "강영수 222-55xx" 와 "이영수 555-33xx" 등을 표시창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색된 정보가 표시창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살표" 등의 버튼을 이용하여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옮긴뒤 "확인" 등의 버튼을 눌러 전화번호를 선택하게 되고 이 전화번호가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입력된이름과 공통된 글자를 설정된 잣수 이상 포함하고 있는 이름을 모두 검색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이 "강영수"이고 상기 설정된 잣수가 2자라면 메모리에 저장된 이름중에서 "강"자와, "영"자와, "수"자 중에서 두 자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이름과 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표시창에 표시하게 된다. 즉 메모리에 "최영수 222-38xx"와 "강민수 234-25xx"와 "강수영 555-32xx"가 저장되어 있다면 이들은 모두 강, 영, 수라는 글자 중에서 두자 이상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모두 표시창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모음 또는 자음을 입력하여 검색을 하는 경우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ㄱ l ㅁ"을 입력한 경우 먼저 입력된 정보가 모음 또는 자음의 나열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그렇다면 검색을 수행하여 "ㄱ"과 "l"와 "ㅁ"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이름들을 찾아내게 된다. 즉 "김성구 333-23##", "최경민 234- 35**", "강춘심 555- 36#*" 등이 모두 검색되어 표시창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검색된 정보가 표시창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살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옮긴뒤 "확인" 등의 버튼을 눌러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이 전화번호가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표시창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와 내용은 위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표시창에 표시할 정보는 이름과 전화번호와 이름 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정해진 바대로 표시되게 된다. 즉 이름 또는 전화번호가 표시될 수도 있고, 이름 및 전화번호가 표시될 수도 있고 여기에 번지가 더욱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동일한 이름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메시지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이름" 이외에 다른 항목에 대한 검색 과정이나 결과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모든항목검색"을 실행할 때는 위와 같은 검색을 각 항목별로 차례대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검색할 항목을 정하는 순서는 상황에 따라 바람직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한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이름, 회사명, 이메일주소 등의 데이터를 차례로 검색하고 나서 다음 번지의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름에 대한 검색을 모든 번지에 대해 수행하고 나서 다음 항목의 검색을 번지에 따라 수행하는 순서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먼저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경우라면 위와같은 방법으로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나서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연락받을 전화번호(사용자 자신의 단말기 전화번호)의 입력 등 단말기에 따라 요구하는 과정을 거쳐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드웨어적인 기술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추가적인 비용이 거의 들지 않게 된다. 즉 휴대폰 생산업체나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사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채용하게 된다면 많은 수의 고객들이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 일일이 번호를 휴대폰에서 검색하여 종이에 적거나 번호를 암기해야 하는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에 대한 욕구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본 발명이 채용된 단말기가 시장에 출시된다면 타 단말기에 비해 대단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은 이용자들이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름을 입력하여 직접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신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지 못하더라도 별도로 메모리에서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암기하거나 메모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단말기 상의 여러 가지 기능메뉴 중에서 문자메시지 기능을 선택하는 문자메세지 기능 선택 단계와;
    상기 문자메시지 기능 선택 단계 후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버튼을 조작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메시지 기능 선택 단계 후 사용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수신자번호입력 단계와;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한개만 있을 경우 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복수개 저장되어 있을 경우 이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의 기호열과 동일한 기호열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입력된 정보의 기호와 공통된 기호를 설정된 잣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번호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모음 또는 자음의 나열이고 이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입력된 모음 또는 자음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이터를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이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눌러 선택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 전화번호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00071521A 2000-11-29 2000-11-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41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521A KR20020041881A (ko) 2000-11-29 2000-11-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521A KR20020041881A (ko) 2000-11-29 2000-11-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881A true KR20020041881A (ko) 2002-06-05

Family

ID=1970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521A KR20020041881A (ko) 2000-11-29 2000-11-29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8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719B1 (ko) * 2002-08-02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719B1 (ko) * 2002-08-02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75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907256B2 (en) Mobile terminal with an automatic translation function
EP1361734A2 (en) User interface for a radio telephone
JP4180617B2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EP0751627B1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receiving and sending messag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111672A (ja) 移動体通信端末
US20050020318A1 (en) Handheld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004592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00056151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3833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JP3741025B2 (ja) 電話システム、電話機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2004188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141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
KR2004004466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즐겨찾기 방법
KR200200365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US20090017846A1 (en) Bracelet for Text Messaging
KR200200594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JP2002101464A (ja) 連絡先自動検索機能付き移動端末
JP2000244977A (ja) 無線通信機
KR1007825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39873B1 (ko) 이동단말기의미확인수신단문메시지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