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791A -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791A
KR20040044791A KR1020020072967A KR20020072967A KR20040044791A KR 20040044791 A KR20040044791 A KR 20040044791A KR 1020020072967 A KR1020020072967 A KR 1020020072967A KR 20020072967 A KR20020072967 A KR 20020072967A KR 20040044791 A KR20040044791 A KR 2004004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dirt
dust collecting
ai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167B1 (ko
Inventor
유동훈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167B1/ko
Priority to JP2003051333A priority patent/JP2004174205A/ja
Priority to AU2003200781A priority patent/AU2003200781A1/en
Priority to GB0305297A priority patent/GB2395448B/en
Priority to DE10313308A priority patent/DE10313308A1/de
Priority to US10/405,730 priority patent/US6913635B2/en
Priority to CA002424480A priority patent/CA2424480A1/en
Priority to RU2003110018/12A priority patent/RU2259800C2/ru
Priority to CNA031095380A priority patent/CN1502293A/zh
Priority to IT001118A priority patent/ITMI20031118A1/it
Priority to NL1023636A priority patent/NL1023636C2/nl
Priority to FR0307740A priority patent/FR2847448A1/fr
Publication of KR2004004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liquid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8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appliances, e.g. suction clea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부에 가득찬 오물을 버리고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를 개시한다. 개시된 집진필터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의 공기유입구와 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케이스부재; 제 1 케이스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 1 케이스부재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는 공기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 및 상기 소정 공간의 공기 배출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공기 배출경로를 경유하여 공기배출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분리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제 1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제 2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부에 걸리는 후크를 갖춘 다수의 탄성 고정편이 설치되어, 제 1 케이스부재와 제 2 케이스부재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DUST COLLECTING FILTER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필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가득찬 오물을 버린후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발생장치에 의해 흡입구에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각종 이물질(이하,'오물'이라 총칭한다)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고, 흡입 공기 중에 포함된 오물을 필터로 분리 수거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필터로는 일반적으로 종이필터(종이봉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종이필터는 소모품으로 내부에 오물이 가득차면 청소기로부터 분리되어 오물과 함께 폐기 처리된다. 따라서, 이러한 1회 사용 수명의 종이필터는 청소기의 유지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이필터는 그 구조상 세균이 서식 및 번식하기에 적당한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교체가 번거롭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내부에 가득찬 오물을 버린 후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즉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균의 서식이 어려워 위생적이며, 또한, 청소기 집진실에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징들을 가지는 집진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필터의 내부 구조 및 오물 분리 과정을 보인 반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필터가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 1 케이스부재11;공기유입홀
12;고정홈부20;제 2 케이스부재
21;공기배출홀22;탄성 고정편
23;위치고정돌기24;지지리브
30,30A;오물분리수단31;제 1 오물분리부재
33;유로34;위치고정홈
35;제 2 오물분리부재100,100A;집진필터
200;청소기 본체210;집진실
211;집진실의 공기유입구220;격벽
221;공기배출구230;구동실
300;진공발생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에 장착되어 상기 집진실의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흡입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진실의 공기유입구와 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케이스부재;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공기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 및 상기 소정 공간의 공기 배출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배출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분리수단;을 포함하며, 오물이 가득차면 오물을 버린 후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즉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종이필터를 사용함에 따른 그 교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세균의 서식 우려가 없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그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며, 결과적으로 청소기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부에 걸리는 후크를 갖춘 다수의 탄성 고정편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와 제 2 케이스부재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물분리수단은, 1차로 큰 오물을 분리하는 제 1 오물분리부재; 및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미세 오물을 2차로 분리하는 제 2 오물분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의 공기유입홀과 통하는 개방부를 갖춘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공기배출홀과 통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스폰지 재질의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케이스부재의 공기유입홀과 통하는 전면 개방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공기배출홀과 통하는 다수의 측면 개방부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기 측면 개방부에 망상체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부직포 재질의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청소기는, 흡입브러쉬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구비된 집진실을 갖는 청소기 본체; 상기 공기배출구에 의해 상기 집진실와 연통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 후방에 형성된 구동실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실에 부압을 제공하는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집진실에 장착되어 이 집진실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집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집진실의 공기유입구와 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케이스부재;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공기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 및 상기 소정 공간의 공기 배출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배출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분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는, 제 1 케이스부재(10), 제 2 케이스부재(20) 및 오물분리수단(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필터는, 내부에 오물이 가득차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10)(20)를 분리하여 수거된 오물을 버린 후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즉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케이스부재(10)는 전면(10a)과 측면(10b)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10a)의 중앙부에는 공기유입홀(11)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10b)에는 다수의 고정홈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홀(1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필터(100)를 청소기 본체(200)의 집진실(210)에 장착할 때 상기 집진실(21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11)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실(210)의 후방에 격벽(220)에 의해 구획된 구동실(230)에 장착된 진공발생장치(3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공기유입홀(11)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흡입브러쉬로부터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집진필터(100)로 흡입된다. 도 5에서 부호 221은 상기 집진실(210)의 공기배출구이며, 이 공기배출구(221)에 의해 상기 집진실(210)과 구동실(230)이 연통된다.
상기 제 2 케이스부재(20)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재(10)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부재(10)에 결합되며, 후면(20a)과 측면(20b)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20b)에는 상기 공기유입홀(11)을 통하여유입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배출홀(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20b)에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재(10)의 고정홈부(12)에 걸리는 후크(22a)를 갖춘 다수의 탄성 고정편(22)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후면(20a)에는 그 중앙부에 위치고정돌기(23)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지지리브(24)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23)와 지지리브(24)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상기 오물분리수단(30)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10)(20)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 공간의 상기 공기 배출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경로를 경유하여 다수의 상기 공기배출홀(21)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물분리수단(30)은 1차로 큰 오물을 분리하는 제 1 오물분리부재(31)와 이 제 1 오물분리부재(31)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은 미세 오물을 2차로 분리하는 제 2 오물분리부재(35)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31)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재(10)의 공기유입홀(11)과 통하는 개방부를 갖춘 원통형 몸체(32)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케이스부재(20)의 공기배출홀(21)과 통하는 다수의 유로(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된다. 상기 유로(33)는 도시예와 같은 통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슬릿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그 형상 및 구조를 도시예의 경우로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32)의 상기 개방부 반대면 외측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제 2 케이스부재(20)에 형성된 위치고정돌기(23)가 수용되는 위치고정홈(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오물분리부재(31)는 그의 개방부가 상기 제 1 케이스부재(10)에 밀착되고, 또한, 위치고정홈(34)에 상기 제 2 케이스부재(20)의 위치고정돌기(23)가 수용되는 상태로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10)(2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오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홀(11) 및 제 1 오물분리부재(31)의 개방부를 통하여 제 1 오물분리부재(3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 1 오물분리부재(3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로(33)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 공기중에 포함된 오물은 상기 유로(33)를 빠져나가지 못함에 따라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수거되고, 정화된 공기는 유로(33) 및 제 2 케이스부재(20)의 공기유출홀(21)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35)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10)(20)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스폰지 등과 같은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31)에 의해 분리되지 못하고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미세오물이 2차적으로 분리되며, 따라서, 배출공기는 보다 깨끗하게 정화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35)는 그 일단은 상기 제 1 케이스부재(10)의 측면(10a) 안쪽에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 케이스부재(20)의 후면(20a)에 형성된 수개의 지지리브(24)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필터(100A)의 기본적인 구조, 즉, 제 1 케이스부재(10), 제 2 케이스부재(20) 및 오물분리수단(30A)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구조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00A)는 오물분리수단(30A)의 구성에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한 오물분리수단(30A)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하며, 그외 다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물분리수단(30A)은 오물을 포함하는 공기에 포함된 큰 오물을 1차로 분리하는 제 1 오물분리부재(31)와 이 제 1 오물분리부재(31)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은 미세오물을 2차로 분리하는 제 2 오물분리부재(35)의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나,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31)가 제 2 케이스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31)는 상기 제 2 케이스부재(20)의 후면(20a)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케이스부재(10)의 공기유입홀(11)과 통하는 전면 개방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재(20)의 공기배출홀(21)과 통하는 다수의 측면 개방부가 구비된 프레임(311)의 상기 측면 개방부에 망상체(312)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35)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부직포 재질의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35)는 상하 브래키트(351)(352) 사이에 부직포(353)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부직포(353)는 오물분리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집진필터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여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집진필터(10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200)의 집진실(2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집진필터(100)의 공기유입홀(11)이 집진실(211)의 공기유입구(211)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청소가 시작되어 구동실(230)의 진공발생장치(3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집진실(210)에 강한 부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각종 오물을 포함한 공기가 집진실(210) 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공기는 집진실(210)의 공기유입구(211), 집진필터(100)의 공기유입홀(11)을 통하여 집진필터(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 1 오물분리부재(31)의 유로(33), 제 2 오물분리부재(35), 집진필터(100)의 공기배출홀(21), 집진실(210), 공기배출구(221), 구동실(23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공기 중에 포함된 큰 오물들은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31)의 유로(33)를 빠져나가지 못함에 따라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제 1 오물분리부재(31)의 내부에 수거되고, 이 제 1 오물분리부재(31)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은 미세오물은 제 2 오물분리부재(35)에 의해 2차적으로 분리되며, 이와 같이 오물이 분리된 정화된 공기는 상기한 배출경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31)가 오물들로 가득차면, 집진필터(100)를 청소기 본체(200)의 집진실(210)로부터 분리한 후, 집진필터(100)의 제 1 및 제 2케이스부재(10)(20)를 분리하여 그 내부의 제 1 오물분리부재(31)에 수거된 오물을 버린다. 이 때, 제 2 오물분리부재(35)에 대한 청소도 함께 진행한다. 그런 다음 이들을 세척하여 조립한 후 다시 청소기 본체(200)의 집진실(210)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집진필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종이필터를 교체함에 따라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청소기 보수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필터의 구조가 세균의 번식이 어려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집진필터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여 청소기 사용의 편리성도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수유지비용이 적게 들고, 위생적이며, 또한 사용이 편리한 진공청소기, 즉, 사용자 선호도 입장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에 장착되어 상기 집진실의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흡입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로서,
    상기 집진실의 공기유입구와 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케이스부재;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공기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 및
    상기 소정 공간의 공기 배출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배출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부에 걸리는 후크를 갖춘 다수의 탄성 고정편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와 제 2 케이스부재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분리수단은,
    1차로 큰 오물을 분리하는 제 1 오물분리부재; 및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은 미세 오물을 2차로 분리하는 제 2 오물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의 공기유입홀과 통하는 개방부를 갖춘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공기배출홀과 통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스폰지 재질의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그릴의 장착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그릴의 상기 위치고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수용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미세먼지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케이스부재의 공기유입홀과 통하는 전면 개방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공기배출홀과 통하는 다수의 측면 개방부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기 측면 개방부에 망상체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부직포 재질의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필터는 오물분리면적 증대를 위한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9. 흡입브러쉬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구비된 집진실을 갖는 청소기 본체;
    상기 공기배출구에 의해 상기 집진실와 연통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 후방에 형성된 구동실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실에 부압을 제공하는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집진실에 장착되어 이 집진실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집진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집진실의 공기유입구와 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케이스부재;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공기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제 2 케이스부재; 및
    상기 소정 공간의 공기 유로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다수의 공기배출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부에 걸리는 후크를 갖춘 다수의 탄성 고정편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와 제 2 케이스부재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분리수단은,
    1차로 큰 오물을 분리하는 제 1 오물분리부재; 및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미세 오물을 2차로 분리하는 제 2 오물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재의 공기유입홀과 통하는 개방부를 갖춘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공기배출홀과 통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스폰지 재질의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그릴의 장착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그릴의 상기 위치고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수용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미세먼지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케이스부재의 공기유입홀과 통하는 전면 개방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재의 공기배출홀과 통하는 다수의 측면 개방부가 구비된 프레임의 상기 측면 개방부에 망상체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그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오물분리부재는, 상기 그릴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부직포 재질의 미세먼지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필터는 오물분리면적 증대를 위한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2-0072967A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45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67A KR100456167B1 (ko)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2003051333A JP2004174205A (ja) 2002-11-22 2003-02-27 掃除機用集塵フィルタ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AU2003200781A AU2003200781A1 (en) 2002-11-22 2003-03-04 Dust Collecting Filter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GB0305297A GB2395448B (en) 2002-11-22 2003-03-07 Dust collecting filter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DE10313308A DE10313308A1 (de) 2002-11-22 2003-03-25 Staubsammelfilter für Staugsauger und Staubsauger mit einem solchen Filter
US10/405,730 US6913635B2 (en) 2002-11-22 2003-04-02 Dust collecting filter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A002424480A CA2424480A1 (en) 2002-11-22 2003-04-04 Dust collecting filter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003110018/12A RU2259800C2 (ru) 2002-11-22 2003-04-08 Фильтр для сбора пыли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 таким фильтром
CNA031095380A CN1502293A (zh) 2002-11-22 2003-04-09 真空吸尘器的集尘过滤器以及具有此装置的真空吸尘器
IT001118A ITMI20031118A1 (it) 2002-11-22 2003-06-04 Filtro raccogli-polvere per aspirapolvere e aspirapolvere
NL1023636A NL1023636C2 (nl) 2002-11-22 2003-06-11 Filter voor het verzamelen van stof voor een stofzuiger en stofzuiger daarvan voorzien.
FR0307740A FR2847448A1 (fr) 2002-11-22 2003-06-26 Filtre de collecte de poussiere pour aspirateur et aspirateur comportant un tel filt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67A KR100456167B1 (ko)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91A true KR20040044791A (ko) 2004-05-31
KR100456167B1 KR100456167B1 (ko) 2004-11-09

Family

ID=1972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67A KR100456167B1 (ko)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13635B2 (ko)
JP (1) JP2004174205A (ko)
KR (1) KR100456167B1 (ko)
CN (1) CN1502293A (ko)
AU (1) AU2003200781A1 (ko)
CA (1) CA2424480A1 (ko)
DE (1) DE10313308A1 (ko)
FR (1) FR2847448A1 (ko)
GB (1) GB2395448B (ko)
IT (1) ITMI20031118A1 (ko)
NL (1) NL1023636C2 (ko)
RU (1) RU2259800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87B1 (ko) * 2005-07-21 2007-10-09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N112895701A (zh) * 2021-03-03 2021-06-04 何春香 一种环保印刷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00156C (en) * 2002-10-31 2009-12-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Vacuum cleaner
KR100478638B1 (ko) * 2002-11-25 2005-03-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SE0300355D0 (sv) 2003-02-10 2003-02-10 Electrolux Ab Hand held vacuum cleaner
US7577636B2 (en) * 2003-05-28 2009-08-18 Fernandez Dennis S Network-extensible reconfigurable media appliance
US7135051B2 (en) * 2003-06-05 2006-11-14 Baldinger Russell L Dirt cup filter with pre-filtration cap
US7552506B2 (en) * 2003-07-09 2009-06-30 Lg Electronics Inc.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7614113B2 (en) * 2003-07-31 2009-11-10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Motor enclosure for a vacuum cleaner
DE10349632B4 (de) * 2003-10-24 2017-05-24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Filterung eines durch eine Leitung strömenden Gases
US20050284115A1 (en) * 2004-06-24 2005-12-29 Wen-Hsien Hung Automobile exhaust pipe filter
GB2427999A (en) * 2005-07-07 2007-01-17 Hoover Ltd Vacuum cleaner providing filter-absence detection
SE529683C2 (sv) * 2006-03-24 2007-10-23 Electrolux Abp Handhållen dammsugare
SE531125C2 (sv) * 2007-01-19 2008-12-23 Electrolux Ab Förbättringar med avseende på luftströmningsförluster i en dammsugare
US8151411B2 (en) * 2006-04-10 2012-04-10 Ab Electrolux Vacuum cleaner
US20080040883A1 (en) * 2006-04-10 2008-02-21 Jonas Beskow Air Flow Losses in a Vacuum Cleaners
CN101448447B (zh) 2006-04-10 2012-06-27 伊莱克斯公司 具有过滤器清洁装置的真空吸尘器
TWM299027U (en) * 2006-05-04 2006-10-11 Ind Tech Res Inst Filtering net
CN101108108B (zh) * 2006-07-19 2010-09-2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立式吸尘器集尘装置打开结构
WO2008091199A1 (en) * 2007-01-23 2008-07-31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nozzle
US20090100809A1 (en) * 2007-10-23 2009-04-23 Baldwin Jr Donald W Filter assembly for removing particulates in an exhaust gas in a fuel engine
US9510718B2 (en) 2008-07-04 2016-12-06 Emerson Electric Co. Wet/dry vacuum cleaner filter for wet material collection
US8206482B2 (en) 2008-07-04 2012-06-26 Emerson Electric Co. Vacuum appliance filter assemblies and associated vacuum systems
US9675225B2 (en) 2008-07-04 2017-06-13 Emerson Electric Co. Filter cage for wet/dry vacuums
TWM407725U (en) * 2010-12-20 2011-07-21 Micro Star Internat Corp Ltd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vacuum cleaner applying the same
KR101317712B1 (ko) 2011-12-16 2013-10-15 원영식 원통형 회전필터를 이용한 습식 폐가스 처리장치
ITTO20111226A1 (it) * 2011-12-29 2013-06-30 Indesit Co Spa Filtro grassi per cappa da cucina e relativa cappa da cucina
EP3290057A1 (en) * 2012-04-02 2018-03-07 Air Sanz Holdings Pty Ltd. Air purifying apparatus & system
AU2013206526B2 (en) * 2012-07-13 2017-06-29 Bissell Inc. Cyclonic separator for a vacuum cleaner
AU2013211519B2 (en) 2012-08-08 2017-11-02 Bissell Inc. Solid fragrance carrier and method of use in a vacuum cleaner
EP3292906B1 (en) * 2015-05-07 2022-11-23 Nitto Denko Corporation Filter material and filter unit
CN106264332A (zh) * 2015-05-19 2017-01-04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过滤组件及具有其的吸尘器
AU2016203541B2 (en) * 2015-07-20 2021-08-12 Electrical Home-Aids Pty Ltd A vacuum cleaner
AU2016353054B2 (en) * 2015-11-10 2019-07-25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CN106039875A (zh) * 2016-08-17 2016-10-26 东莞威霸清洁器材有限公司 一种洗地车抽气通道的过滤装置
DE112016007225T5 (de) * 2016-09-15 2019-06-13 Mahle International Gmbh Luftfilter
CN208677275U (zh) 2016-12-22 2019-04-02 碧洁家庭护理有限公司 真空吸尘器
EP3678755A4 (en) * 2017-09-07 2021-05-19 Porex Corporation SMALL DIAMETER TUBULAR POROUS FIBER FILTER
WO2019120178A1 (zh) * 2017-12-19 2019-06-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旋风分离器、网罩和吸尘器
US10932634B2 (en) * 2018-05-30 2021-03-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77884A (en) * 2018-10-08 2020-04-15 Black & Decker Inc A vacuum cleaner
CN109620055B (zh) * 2019-01-22 2021-02-02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
GB2581969A (en) 2019-03-04 2020-09-09 Numatic Int Ltd Collapsible filter cartridge
FR3094622B1 (fr) * 2019-04-05 2021-05-28 Seb Sa Aspirateur portatif équipé d’un filtre amovibl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192A (en) 1966-12-12 1969-02-04 Mitchell Co John E Vacuum cleaning system
GB1340955A (en) 1972-06-14 1973-12-19 Goblin Ltd B V C Cylinder type vacuum cleaners
US4593429A (en) 1980-06-19 1986-06-10 Prototypes, Ltd. Vacuum cleaning appliance
WO1995003115A1 (en) 1993-07-26 1995-02-02 Numatic International Limited Reusable filter
JP3265462B2 (ja) 1997-02-27 2002-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9726676D0 (en) * 1997-12-17 1998-02-18 Notetry Ltd A vacuum cleaner
US6003196A (en) 1998-01-09 1999-12-21 Royal Appliance Mfg. Co. Upright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airflow
US6113663A (en) * 1998-11-10 2000-09-05 Shop Vac Corporation Vacuum cleaner having a dual filter assembly
US6238451B1 (en) 1999-01-08 2001-05-29 Fantom Technologies Inc. Vacuum cleaner
JP3476066B2 (ja) 1999-07-19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S2208405T3 (es) * 1999-12-22 2004-06-16 Dyson Limited Un conjunto filtrante.
US6341404B1 (en) 2000-01-13 2002-01-29 Royal Appliance Mfg. Co. Upright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airflow pathway
WO2002017766A2 (en) * 2000-09-01 2002-03-07 Royal Appliance Mfg. Co. Bagless canister vacuum cleaner
GB2372431B (en) * 2001-02-24 2004-09-15 Dyson Ltd A domestic appliance
CA2342993A1 (en) * 2001-03-30 2002-09-30 Fantom Technologies Inc. Air cleaner with washable filter
KR100424580B1 (ko) * 2001-12-20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배기커버 체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87B1 (ko) * 2005-07-21 2007-10-09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N112895701A (zh) * 2021-03-03 2021-06-04 何春香 一种环保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00781A1 (en) 2004-06-10
GB0305297D0 (en) 2003-04-09
ITMI20031118A0 (it) 2003-06-04
DE10313308A1 (de) 2004-06-09
JP2004174205A (ja) 2004-06-24
CA2424480A1 (en) 2004-05-22
GB2395448A (en) 2004-05-26
NL1023636C2 (nl) 2004-09-21
US20040098957A1 (en) 2004-05-27
GB2395448B (en) 2004-11-10
RU2259800C2 (ru) 2005-09-10
CN1502293A (zh) 2004-06-09
US6913635B2 (en) 2005-07-05
FR2847448A1 (fr) 2004-05-28
ITMI20031118A1 (it) 2004-05-23
NL1023636A1 (nl) 2004-05-26
KR100456167B1 (ko) 2004-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167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437116B1 (ko) 진공청소기
KR100478638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933188B1 (ko) 진공청소기
KR100963382B1 (ko) 진공청소기
KR100936064B1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29A (ko) 진공청소기
JP2004113760A (ja) 湿乾式掃除機
KR20060112420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40075573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통
KR20050091830A (ko) 진공청소기
RU2258451C1 (ru) Пылесос вертикаль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JP2005028101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アセンブリ
JP2009504235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着構造
KR2005001927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JP7244370B2 (ja) 電気掃除機
KR20070065136A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 필터
WO2008065404A2 (en)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KR200388769Y1 (ko) 진공청소기
KR200305519Y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709403B1 (ko) 진공 청소기의 핸들구조
KR100731769B1 (ko)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KR20060022955A (ko) 진공청소기
KR20050006464A (ko)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구조
KR20080017166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