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703A -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703A
KR20040044703A KR1020020072844A KR20020072844A KR20040044703A KR 20040044703 A KR20040044703 A KR 20040044703A KR 1020020072844 A KR1020020072844 A KR 1020020072844A KR 20020072844 A KR20020072844 A KR 20020072844A KR 20040044703 A KR20040044703 A KR 20040044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technical
evaluation
level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모
서상복
최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메신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메신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메신저
Priority to KR102002007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703A/ko
Publication of KR2004004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03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직자를 등록할 때 구직자의 이력이나 직무능력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직무능력 검증을 통해 계량화함으로써 구인사가 구직자를 채용할 때 신뢰성 있는 구직자의 직무 수행능력이나 전문지식 정도를 통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력의 채용관리 및 인재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직무능력 평가서를 통해 자신의 기술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음에 따라 자신의 장단점을 계발하여 본인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그 방법{JOB OFFER/SEEKER SYSTEM AND METHOD BY VALUE EVALUATION ON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직자를 등록할 때 구직자의 이력이나 직무능력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직무능력 검증을 통해 계량화함으로써 구인사가 구직자를 채용할 때 신뢰성 있는 구직자의 직무 수행능력이나 전문지식 정도를 통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력의 채용관리 및 인재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체의 경쟁력은 사람에게 있다고 할 만큼 기업체를 경영함에 있어서 인적자원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각 기업체마다 인사담당 부서를 두어 우수한 직원을 채용하고, 이와 같이 직원을 채용한 뒤에도 계속적인 교육과 인사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인력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기업체에서 우수한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서는 예전부터 신문, 잡지, 게시판, 취업알선업체 등을 이용하여 구인광고를 하는 방법이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구직자는 이와 같은 구인광고를 통해 기업체에 원서를 접수하여 채용절차를 밟게 된다.
최근 들어서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기업체마다 자사의 홈페이지, 구인구직 웹사이트, 헤드헌터 웹사이트 등을 통하여 구인광고를 하는 방법이 자주 애용되고 있으며, 구직자의 구직정보도 인터넷을 통해 직접 얻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구인구직 웹사이트는 게시판 형식으로 구인사가 기업체를 홍보하는 내용의 글을 올리게 되면 구직자가 이를 보고 응모하기를 기다려 접촉하거나, 구직자가 자신을 알리기 위한 글을 게시판에 올리게 되면 구인사가 이를 보고 개인에게 연락을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구인구직 웹사이트나 헤드헌터 등 기존의 인력중개업체는 구직자가 직접 작성한 검증되지 않은 구직자료인 이력 및 경력사항, 그리고 직무수행 능력이나 전문지식 정도 등을 토대로 구인업체에 인력을 소개해 주고 있기 때문에 구직자의 능력에 대한 사후 책임 즉, 시간과 비용의 낭비 및 적절한 인력 수급의 문제가 중개업체 및 구인업체에 그대로 전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해당 인력중개업체가 직접 수집한 구인 및 구직 정보를 바탕으로 구인사와 구직자를 서로 연결시켜 줌에 따라 구직자의 능력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구인사에게 인력을 소개해 주고 있기 때문에, 구인사에서는 소개받은 인력을 채용하기 위해 구직자의 직무수행 능력이나 전문지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각종 인재관리를 수행해야한다.
그러나, 적은 규모의 구인사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인재관리 수행능력이 미흡하여 구직자가 작성한 신뢰하지 못하는 이력사항만으로 직원을 채용하기 때문에 업무를 수행하게 한 결과 자사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지 못할 수 있으며,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소개받은 업체에서 근무해 본 결과 자신이 원하는 근무 조건이나 급여를 충족하지 못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인력중개업체에 의해 서비스되는 구인구직 중개는 구인사와구직자가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드물었으며 이로 인해 구인사 및 구직자의 시간과 비용을 낭비할 뿐 아니라 인력중개에 대한 적시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직자를 등록할 때 구직자의 이력이나 직무능력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직무능력 검증을 통해 계량화함으로써 구인사가 구직자를 채용할 때 신뢰성 있는 구직자의 직무 수행능력이나 전문지식 정도를 통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력의 채용관리 및 인재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재 DB 11 : 프로파일 DB
12 : 이력 DB 13 : 이력 계량 DB
14 : 분야별 기술 DB 15 : 분야별 기술평가 DB
16 : 수준별 기술 DB 17 : 수준별 기술평가 DB
20 : 일자리 DB 30 : 웹서버
40 : 인터넷 50 : 구직자 컴퓨터
60 : 구인사 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은 구인사의 채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일자리 DB와, 구직자의 프로파일과 이력사항과 분야별 기술평가 항목 및 수준별 기술평가 문제가 저장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평가결과를 계량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인재 DB와, 일자리 DB와 인재 DB의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입력받고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하며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와, 구인사가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일자리를 등록하고 인재를 검색하기 위한 구인사 컴퓨터와, 구직자가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하고 일자리를 검색하기 위한 구직자 컴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재 DB는 구직자의 개인인적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파일 DB와, 구직자의 이력사항 및 경력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이력 DB와, 이력 DB의 저장자료에 의한 계량화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이력 계량 DB와, 분야별로 자가평가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술항목을 저장하기 위한 분야별 기술 DB와, 분야별 기술 DB의 저장자료에 대한 평가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분야별 기술평가 DB와, 분야별 기술수준에 따라 자가평가한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수준에 따른 문제를 저장하기 위한 수준별 기술 DB와, 수준별 기술 DB의 저장자료에 대한 평가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수준별 기술평가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방법은 인터넷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구직자와 구인사가 각각 인재 DB와 일자리 DB에서 각각 인재 및 일자리를 검색하는 인터넷에서의 구인구직 방법에 있어서, 구직자가 직무능력을 검정할 것인가 일자리를 검색할 것인가 판단하는 단계와, 직무능력 검정을 실시할 경우 기본 인적사항을 입력하여 프로파일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기본 인적사항을 입력한 후 구직자의 이력 및 경력사항을 입력받아 이력 DB에 저장하고 계량화하여 계량화한 결과를 이력 계량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력을 입력한 후 자신의 직무분야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직무분야에 대한 분야별 기술 DB로부터 자가평가하기 위한 상세 기술수준을 체크하고 입력된 결과를 분야별 기술평가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분야별 기술평가 DB에 저장된 결과에 대한 기술수준을 검증하기 위해 수준별 기술 DB로부터 기술수준에 해당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검정하도록 하고 검정결과를 수준별 기술평가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검정을 마친 후 이력 계량 DB와 분야별 기술평가 DB와 수준별 기술평가 DB로부터 직무능력 평가서를 생성하여 입사지원시 프로파일 DB와 이력 DB로부터 생성되는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와 함께 직무능력 평가서를 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수준별 기술 DB로부터 기술수준에 해당하는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기술수준이 추출된 수준에 미달될 경우에는 수준을 단계적으로 하위로 조절하여 다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직무능력 평가서는 분야별 순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서와, 직군에서의 장단점을 분석한 직군평가서와, 세부기술수준의 추세를 분석한 추세평가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구직자를 등록할 때 구직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과 이력을 통해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가 자동 생성되도록 하고 이력을 계량화할 뿐만 아니라 구직자의 직무 기술분야에 대한 자가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검증하는 직무능력 검정을 실시하여 기술수준과 직군평가표 및 추세평가표 등을 담은 직무능력 평가서를 생성하여 입사지원이 첨부되도록 함으로써 인재를 맞춤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직무능력을 신뢰하고 해당 직무 분야를 선별하여 채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인사의 채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일자리 DB(20)와, 구직자의 프로파일과 이력사항과 분야별 기술평가 항목 및 수준별 기술평가 문제가 저장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평가결과를 계량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인재 DB(10)와, 일자리 DB(20)와 인재 DB(10)의 자료를 인터넷(40)을 통해 입력받고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하며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30)와, 구인사가 인터넷(40)을 통해 웹서버(30)에 접속하여 일자리를 등록하고 인재를 검색하기 위한 구인사 컴퓨터(60)와, 구직자가 인터넷(40)을 통해 웹서버(30)에 접속하여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하고 일자리를 검색하기 위한 구직자 컴퓨터(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재 DB(10)는 구직자의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기술분야에 따른 세부기술 항목들과 기술분야에 대한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제들이 저장될 뿐만 아니라 평가결과를 저장하게 된다.
즉, 인재 DB(10)는 구직자의 개인인적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파일 DB(11)와, 구직자의 이력사항 및 경력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이력 DB(12)와, 이력 DB(12)의 저장자료에 의한 계량화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이력 계량 DB(15)와, 분야별로 자가평가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술항목을 저장하기 위한 분야별 기술 DB(13)와, 분야별 기술 DB(13)의 저장자료에 대한 평가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분야별 기술평가 DB(16)와, 분야별 기술수준에 따라 자가평가한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수준에 따른 문제를 저장하기 위한 수준별 기술 DB(14)와, 수준별 기술 DB(14)의 저장자료에 대한 평가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수준별 기술평가 DB(1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인재 DB(10)의 프로파일 DB(11)에 저장된 개인의 기본적인 인적사항과 이력 DB(12)에 저장된 구직자의 이력이나 경력을 기반으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나 프로젝트 수행표 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입사지원시 제출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이력 계량 DB(15)를 통해 이력사항을 계량화함으로써 구인사로부터 이력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때 계량화된 값을 통해 일정 이력의 소유자를 맞춤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직자가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분야별 기술 DB(13)에 저장된 각종 분야에서 선택된 분야의 세부기술 항목들에 대한 자가평가를 수행하여 분야별 기술평가 DB(16)에 저장하고 이 결과에 따라 수준별 기술 DB(14)로부터 자가평가한 수준을 검증하기 위한 문제를 추출하여 구직자로 하여금 풀도록 하여 그 결과를 수준별 기술평가 DB(17)에 저장함으로써 자가평가를 얼마나 정확하게 수행했는지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인사가 인재 DB(10)로부터 인재를 검색한 경우 해당 구직자에 대한 직무능력 평가서를 통해 기술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인사가 원하는 기술수준의 사람을 정확하게 채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인터넷에서의 구인구직 방법에서와 같이 구인사는 구인사 컴퓨터(60)를 통해 인터넷(40)에 접속하여 웹서버(30)에서 요구하는 회원 가입절차에 따라 구인업체로 등록하여 회원가입한 후 회원로그인을 하게 된다(S38)(S40).
로그인 한 후에는 채용정보를 등록할 것인가? 아니면 인재를 검색할 것인가? 판단하여(S42) 채용정보를 등록할 경우에는 채용정보를 입력받아 일자리 DB(20)에 저장하게 된다(S44).
즉, 모집직종, 담당할 주요업무, 모집인원, 요구하는 경력사항, 요구하는 최종학력, 구직자가 근무하게 될 지역, 구인유형(정규직, 인턴직, 계약직 등), 지급할 연봉, 요구하는 기술수준, 자격조건, 근로시간, 복지수준 등 채용조건 등을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인재를 검색할 경우에는 인재 DB(10)에서 계량화된 점수를 통해 맞춤 검색을 하게 된다(S46). 이후 필요한 인재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입사지원을 구직자에게 요청하게 되고(S48) 구직자가 입사지원을 할 경우에는 인재 DB(10)의 자료를 통해 자동으로 생성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와 직무능력 평가서 등이 첨부된 입사지원서가 접수되어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접수된 입사지원서를 통해 선택된 사람에게 면접통보하는 등 지원자관리를 수행하게 된다(S50).
한편, 구직자의 경우에는 구직자 컴퓨터(50)를 통해 인터넷(40)에 접속하여 웹서버(30)에서 요구하는 회원 가입절차에 따라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등록하여 회원가입한 후 회원로그인을 하게 된다(S10)(S12).
이후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할 것인가? 아니면 일자리를 검색할 것인가? 판단하여(s14) 일자리를 검색할 경우에는 일자리 DB(20)에 저장된 구인업체의 채용정보를 검색하게 된다(s32). 그런다음 자신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았을 경우에는 입사지원을 하게 되는데 입사지원시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한 후 저장된 인재 DB(10)에서 자신의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와 직무능력 평가서가 제출된다(S34)(S36).
이와 같이 입사지원서를 제출하거나 구인사로부터 입사지원요청이나 면접통보 등의 접수를 관리하는 입사지원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구직자가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할 경우에는(S14) 기본적인 개인 인적사항인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전화번호, 병역관계, 결혼여부, 종교, 희망하는 직종, 직장의 위치, 희망하는 연봉 액수, 희망직위, 사진, 특기사항 등을 입력받아 프로파일 DB(11)에 저장한다(S16)(S28).
그리고, 구직자의 이력사항이나 경력사항인 학력사항, 실무경력, 군경력, 교육경력, 상벌사항, 자격증정보, 구체적인 프로젝트 업무경험, 주요능력, 근무경력 등을 입력받아 이력 DB(12)에 저장한다. 그런다음 이력 DB(12)에 저장된 이력사항 및 경력사항을 객관화하여 계량화한 후 이력 계량 DB(15)에 저장한다(S20)(S22).
그리고, 구직자가 구직하고자 하는 기술분야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기술분야의 세부기술항목을 분야별 기술 DB(13)로부터 추출하여 자가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S24)(S26).
즉, 세부 기술항목을 분야별로 다양하게 제시하면서 기술수준을 스스로 평가하도록 한다. 예를들어,
1. 최근 배운기술로 완전하지 않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나 감독하에 천천히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2. 다른 사람의 도움이나 감독없이 혼자서 만족할 만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3. 상당히 빠른 속도로 문제를 해결하면서 작업 할 수 있을 만큼 숙달되어 있다.
4. 오랜 경험을 쌓아 다른 사람의 작업을 감독하면서 창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등의 수준으로 자신을 평가하여 각각의 대답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여 전체적인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평가된 결과는 분야별 기술평가 DB(16)에 저장되어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기술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다음 자가평가한 사항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직자가 자가평가한 분야별 기술평가 DB(16)의 자료에 따라 수준별 기술 DB(14)로부터 구직자의 수준에 해당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문제를 풀도록 한 후 평가결과를 수준별 기술평가 DB(17)에 저장함으로써 자가평가한 부분에 대한 검증을 하게 된다(S28).
이때 자가평가를 후하게 했을 경우에는 실질적인 기술수준이 수준별 기술평가 DB(17)에서 추출된 문제를 해결할 정도에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기술수준이 추출된 수준에 미달될 경우에는 수준을 단계적으로 하위로 조절하여 다시 추출하도록 하여 기술수준을 검증받도록 한다.
이렇게 구직자의 직무능력을 검정함으로써 얻어진 평가결과를 통해 직무능력 평가서를 웹상에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직무능력 순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직군평가표를 통해 기술직군에서 능숙한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추세평가표를 통해 기술수준의 추세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구직자에게는 자신의 직무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평가자료로 사용되며, 구인사에게는 구직자의 정확한 직무능력을 파악함으로써 원하는 직종의 기술수준의 인재를 신뢰할 만한 데이터를 통해 채용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되게 된다(S30).
이와 같이 직무능력을 검정하면서 구직을 하도록 함으로써 구직자가 좀더 나은 직장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직무능력에서 부족한 부분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향상시켜 좋은 직장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직자를 등록할 때 구직자의 이력이나 직무능력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직무능력 검증을 통해 계량화함으로써 구인사가 구직자를 채용할 때 신뢰성 있는 구직자의 직무 수행능력이나 전문지식 정도를 통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력의 채용관리 및 인재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직무능력 평가서를 통해 자신의 기술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음에 따라 자신의 기술능력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한 보충으로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직무능력을 검증 받음으로써 객관적이며 세부적인 기술능력을 제시함으로써 본인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객관적으로 평가된 직무능력 검정을 통해 구인활동시 별도의 직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모집하고자 하는 세부적인 기술분야의 인재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구인사의 채용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일자리 DB와,
    구직자의 프로파일과 이력사항과 분야별 기술평가 항목 및 수준별 기술평가 문제가 저장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평가결과를 계량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인재 DB와,
    상기 일자리 DB와 상기 인재 DB의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입력받고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하며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버와,
    상기 구인사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일자리를 등록하고 인재를 검색하기 위한 구인사 컴퓨터와,
    상기 구직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직무능력 검정을 수행하고 일자리를 검색하기 위한 구직자 컴퓨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2. 인재 DB는 구직자의 개인인적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파일 DB와,
    상기 구직자의 이력사항 및 경력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이력 DB와,
    상기 이력 DB의 저장자료에 의한 계량화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이력 계량 DB와,
    분야별로 자가평가하기 위한 세부적인 기술항목을 저장하기 위한 분야별 기술 DB와,
    상기 분야별 기술 DB의 저장자료에 대한 평가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분야별 기술평가 DB와,
    상기의 분야별 기술수준에 따라 자가평가한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수준에 따른 문제를 저장하기 위한 수준별 기술 DB와,
    상기 수준별 기술 DB의 저장자료에 대한 평가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수준별 기술평가 DB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3. 인터넷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구직자와 구인사가 각각 인재 DB와 일자리 DB에서 각각 인재 및 일자리를 검색하는 인터넷에서의 구인구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가 직무능력을 검정할 것인가 일자리를 검색할 것인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직무능력 검정을 실시할 경우 기본 인적사항을 입력하여 프로파일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기본 인적사항을 입력한 후 구직자의 이력 및 경력사항을 입력받아 이력 DB에 저장하고 계량화하여 계량화한 결과를 이력 계량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이력을 입력한 후 자신의 직무분야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선택된 직무분야에 대한 분야별 기술 DB로부터 자가평가하기 위한 상세 기술수준을 체크하고 입력된 결과를 분야별 기술평가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분야별 기술평가 DB에 저장된 결과에 대한 기술수준을 검증하기 위해 수준별 기술 DB로부터 기술수준에 해당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검정하도록 하고 검정결과를 수준별 기술평가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정을 마친 후 이력 계량 DB와 분야별 기술평가 DB와 수준별 기술평가 DB로부터 직무능력 평가서를 생성하여 입사지원시 프로파일 DB와 이력 DB로부터 생성되는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와 함께 직무능력 평가서를 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준별 기술 DB로부터 기술수준에 해당하는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기술수준이 추출된 수준에 미달될 경우에는 수준을 단계적으로 하위로 조절하여 다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능력 평가서는 분야별 순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서와, 직군에서의 장단점을 분석한 직군평가서와, 세부기술수준의 추세를 분석한 추세평가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방법.
KR1020020072844A 2002-11-21 2002-11-21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40044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844A KR20040044703A (ko) 2002-11-21 2002-11-21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844A KR20040044703A (ko) 2002-11-21 2002-11-21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03A true KR20040044703A (ko) 2004-05-31

Family

ID=3734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844A KR20040044703A (ko) 2002-11-21 2002-11-21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7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68B1 (ko) * 2004-11-24 2008-08-13 전중양 취업 알선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032359B1 (ko) * 2008-04-22 2011-05-03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블렌디드러닝 종합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KR20230071497A (ko) 2021-11-16 2023-05-23 스페이스뱅크 주식회사 It분야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681A (ko) * 2000-04-22 2000-08-05 박은일 구인 구직 쌍방의 가치평가에 의한 인력채용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10007690A (ko) * 2000-04-24 2001-02-05 하세용 취업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010008121A (ko) * 2000-11-09 2001-02-05 김진문 통신을 이용한 연봉측정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 시스템을이용한 구인/구직방법
KR20010094123A (ko) * 2000-04-04 2001-10-31 김기영 네트워크를 통한 전문 인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6501A (ko) * 2001-02-12 2002-08-19 황선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84750A (ko) * 2001-05-02 2002-11-11 주식회사 아이러브스쿨 평가항목 정보를 색상농도로 표현하는 온라인 구인구직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23A (ko) * 2000-04-04 2001-10-31 김기영 네트워크를 통한 전문 인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49681A (ko) * 2000-04-22 2000-08-05 박은일 구인 구직 쌍방의 가치평가에 의한 인력채용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10007690A (ko) * 2000-04-24 2001-02-05 하세용 취업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010008121A (ko) * 2000-11-09 2001-02-05 김진문 통신을 이용한 연봉측정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 시스템을이용한 구인/구직방법
KR20020066501A (ko) * 2001-02-12 2002-08-19 황선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84750A (ko) * 2001-05-02 2002-11-11 주식회사 아이러브스쿨 평가항목 정보를 색상농도로 표현하는 온라인 구인구직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68B1 (ko) * 2004-11-24 2008-08-13 전중양 취업 알선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032359B1 (ko) * 2008-04-22 2011-05-03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블렌디드러닝 종합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KR20230071497A (ko) 2021-11-16 2023-05-23 스페이스뱅크 주식회사 It분야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ulloch et al. Using person–organization fit to select employees for high‐turnover jobs
Pitts Diversity management,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Evidence from US federal agencies
Greer et al. Diverse succession planning: Lessons from the industry leaders
US20050278205A1 (en) Network-Employing Matching System in Providing Information on Positions/Help Wanted and Related Information
US6857877B1 (en) Recorded medium on which program for displaying skill, achievement level,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20090132313A1 (en)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Littlejohn et al. Professional learning through everyday work: How finance professionals self-regulate their learning
Murfitt et al. Employer engagement in disability employment: A missing link for small to medium organizations–a review of the literature
JP2009230744A (ja) 産業人材の継続的能力開発システム
JP2006127387A (ja) 検査方法、検査システム、検査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及び検査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
KR100760047B1 (ko) 취직정보제공시스템, 정보제공시스템 및 적성진단방법
Walton et al. Expanding Apprenticeship to New Sectors and Populations: The Experiences and Outcomes of Apprentices in the American Apprenticeship Initiative.
KR20070096090A (ko) 인력 채용관리 시스템
Hendrick et al. Predicting employee retention through preemployment assessment
Fabian et al. A job development efficiency scale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Ellis et al. Development of cross-service training and job performance criterion measures for the US Military
Huynh-Cam et al. E-Learning Benchmarking in Higher Education: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KR20100071504A (ko) 인터넷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Belanich et al. Review and assessment of personnel competencies and job description models and methods
KR20040044703A (ko) 인터넷에서의 직무능력 검정을 통한 구인구직 시스템 및그 방법
Barros-Bailey Teaching labor market survey methodology in rehabilitation counseling
McGregor et al. The Craft of Benchmarking: Finding and Utilizing District-Level, Campus-Level, and Program-Level Standards.
Koshoeva et al.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university digitalization by the method of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al ranking of the Kyrgyz Republic
Ran et al. Develop a workplace e-learning environment by using key performance Indicator
Zeidner et al. Evaluating job knowledge criterion components for use in classification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