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646A -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646A
KR20040044646A KR1020020072735A KR20020072735A KR20040044646A KR 20040044646 A KR20040044646 A KR 20040044646A KR 1020020072735 A KR1020020072735 A KR 1020020072735A KR 20020072735 A KR20020072735 A KR 20020072735A KR 20040044646 A KR20040044646 A KR 2004004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case
fixing
fix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888B1 (ko
Inventor
정남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8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 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터미널어셈블리가 지렛대원리를 이용해 배터리의 +단자 둘레를 따라 전 방향의 체결력을 발생해 분리·체결이 용이하면서도 나사를 이용한 체결구조에 따른 접촉불량과 화재발생 위험을 완전히 제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미널어셈블리는 배터리(B)의 +단자(b)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인너단자케이스(20)와, 이 인너단자케이스(20)를 감싸면서 일단이 길게 연장되어 케이블(C)이 연결되는 아우터단자케이스(10), 상기 인너·아우터단자케이스(20,10)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일측에서 가해진 힘을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10)에 결합된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인너단자케이스(20)하부부위를 감싼 타측부위로 배력시켜 인너단자케이스(20)를 +단자(b)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레버(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Pressure fixing typed terminal assembly of battery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렛대 원리를 통해 배터리 단자와의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상기 전장품쪽으로 연결된 케이블과 이 케이블을 배터리에 연결하는 터미널어셈블리를 매개로 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의 +단자(b)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인너단자케이스(2)와, 이 인너단자케이스(2)를 감싸면서 일단이 길게 연장되어 케이블(C)이 연결되는 아우터단자케이스(1) 및 상기 인너단자케이스(2)의 안쪽에서 아우터단자케이스(1)바깥쪽으로 위치되어 인너단자케이스(2)를 +단자(b)에 밀착·고정시키도록 볼트(3)와 너트(4)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터미널어셈블리는 터미널어셈블리를 +단자(b)에 밀착·고정시키는고정부재가 단순히 볼트(3)와 너트(4)로 이루어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아우터단자케이스(2,1)를 배터리(B)의 +단자(b)에 고정시키려면 인너단자케이스(2)의 안쪽에서 돌출된 볼트(3)의 나사부위에 아우터단자케이스(1)에서 체결되는 너트(4)를 체결해 즉, 상기 너트(4)의 체결력(M)이 볼트(3)를 위로 잡아당기는 상승력(F)으로 작용하면서 인너단자케이스(2)가 +단자(b)쪽으로 밀착되는 밀착력(P)을 발생해 케이블(C)과 안정적으로 전원을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터미널어셈블리는 배터리(B)의 정비시 구조적인 취약점이 있는데 즉, 상기 배터리(B)의 +단자(b)에 체결된 터미널어셈블리를 분리하기 위해 고정부재의 너트(4)와 볼트(3)를 서로 분리하는 과정이 여러번 반복되면, 상기 너트(4)와 볼트(3)의 나사부위가 마모되거나 헐거워져 서로 헛돌면서 분리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력 불량으로 인해 배터리(B)의 +단자(b)와 터미널어셈블리간의 접촉 불량시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터미널어셈블리가 지렛대원리를 이용해 배터리의 +단자 둘레를 따라 전 방향의 체결력을 발생해 분리·체결이 용이하면서도 나사를 이용한 체결구조에 따른 접촉불량과 화재발생 위험을 완전히 제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미널어셈블리는 배터리의 +단자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인너단자케이스와, 이 인너단자케이스를 감싸면서 일단이 길게 연장되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아우터단자케이스, 상기 인너·아우터단자케이스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일측에서 가해진 힘을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에 결합된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인너단자케이스하부부위를 감싼 타측부위로 배력시켜 인너단자케이스를 +단자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어셈블리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레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아우터단자케이스2,20 : 인너단자케이스
3,30 : 볼트4,40 : 너트
10a : 연장플레이트10b : 힌지연결단
10c : 고정홈20a : 탄성단
50 : 고정레버51 : 가압링
51a : 안착홈52 : 레버플레이트
53 : 걸림단54 : 손잡이
55 : 어퍼연결넥크55a ; 힌지핀
56 : 로워연결넥크56a : 서브가압링
B : 배터리b : +단자
C : 케이블M : 체결력
F : 상승력F' : 누름력
F",F'" : 제1·2 조임력P : 밀착력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구조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터미널어셈블리는 배터리(B)의 +단자(b)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인너단자케이스(20)와, 이 인너단자케이스(20)를 감싸면서 일단이 길게 연장되어 케이블(C)이 연결되는 아우터단자케이스(10), 상기 인너·아우터단자케이스(20,10)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일측에서 가해진 힘을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10)에 결합된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인너단자케이스(20)하부부위를 감싼 타측부위로 배력시켜 인너단자케이스(20)를 +단자(b)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레버(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10)는 +단자(b)를 감싸는 부위로부터 일체로 길게 형성된 연장플레이트(10a)가 형성되되, 이 연장플레이트(10a)에는 고정레버(50)와 힌지 결합되도록 양 측면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힌지연결단(10b)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레버(50)의 끝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홈(10c)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인너단자케이스(20)의 하부에는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고정부재(50)에 의해 감싸여 고정부재(50)의 조작시 +단자(b)에 강하게 밀착되는 탄성단(20a)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인너단자케이스(20)의 안쪽에서 아우터단자케이스(10)바깥으로 돌출되는 볼트(30)와,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10)바깥에서 볼트(30)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4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레버(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을 감싸는 가압링(51), 이 가압링(51)에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힌지연결단(10b)에 힌지핀(55a)을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어퍼연결넥크(55), 이 어퍼연결넥크(55)의 중앙부위를 소정폭을 갖도록 슬릿을 형성해 위쪽으로 돌출시키면서 가압링(51)과 함께 원형을 형성하는 로워연결넥크(56) 및 이 넥크(55,56)에 일체로 이어지면서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고정홈(10c)에 삽입·고정되도록 길게 형성된 레버플레이트(5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워연결넥크(56)는 가압링(51)의 내면을 따라 소정영역에 형성된 파여진 안착홈(51a)에 위치되어 가압링(51)과 함께 원형을 형성하는 서브가압링(56a)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어퍼연결넥크(55)의 힌지핀(55a)은 어퍼연결넥크(55)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힌지연결단(10b)의 양 측면에 자유회전 되도록 삽입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연결넥크(55)와 로워연결넥크(56)는 힌지연결단(10b)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지게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레버플레이트(52)는 그 끝단으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54)가 형성되되, 이 손잡이(54)부위에는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고정홈(10c)에 삽입·고정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걸림단(53)이 형성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인 볼트(30)와 너트(40)를 매개로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안쪽에서 인너단자케이스(20)를 서로 결합시킨 다음,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힌지연결단(10b)에 고정레버(50)의 어퍼연결넥크(55)를 힌지핀(55a)을 매개로 힌지 결합하면, 상기 고정레버(50)의 가압링(51)이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을 약하게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레버(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연결넥크(55)와 로워연결넥크(56)에 이어진 레버플레이트(52)부위가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힌지연결단(10b)을 중심으로 가압링(51)부위에 대해 소정 각도로 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부재(50)가 인너단자케이스(20)를 +단자(b)에 밀착·고정시키지 않은 느슨한 상태임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 터미널어셈블리의 인너단자케이스(20)를 +단자(b)에 끼운 다음, 고정부재(50)의 레버플레이트(52)에 형성된 손잡이(54)부위를 잡고 아우터단자케이스(10)쪽으로 누름력(F')을 가해 내려주게 되면, 상기 레버플레이트(52)의누름력(F')이 힌지핀(55a)을 매개로 어퍼연결넥크(55)와 로워연결넥크(56)쪽으로 전달되어 배력된 힘 즉, 상기 힌지핀(55a)에서 플레이트(52)까지의 길이에 비례해 증가된 누름력(F')이 제1·2 조임력(F",F'")으로 변환되어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을 +단자(b)쪽으로 강하게 밀착·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레버플레이트(52)의 누름력(F')이 힌지핀(55a)을 매개로 어퍼연결넥크(55)로 전달되어 그 끝단에서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을 감싼 가압링(51)이 +단자(b)쪽으로 제1조임력(F")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레버플레이트(52)의 누름력(F')이 힌지핀(55a)을 매개로 로워연결넥크(56)로 전달되어 그 끝단에서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을 감싼 서브가압링(56a)이 +단자(b)쪽으로 제2 조임력(F'")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에 가해지는 제1·2 조임력(F",F'")은 가압링(51)과 서브가압링(56a)이 탄성단(20a)의 전체 둘레를 감싸므로 균일하게 작용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레버플레이트(52)의 손잡이(54)부위에 형성된 걸림단(53)은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고정홈(10c)에 삽입·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단(53)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추어 고정홈(10c)에 삽입된 후 탄성력을 매개로 강한 고정력을 형성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인 볼트(30)와 너트(40)는 체결시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너트(4)의 체결력(M)이 볼트(3)를 위로 잡아당기는 상승력(F)으로 작용하면서 인너단자케이스(2)가 +단자(b)쪽으로 밀착되는 밀착력(P)을 발생하지만, 이와 같은 인너단자케이스(2)의 고정력은 고정레버(50)를 이용해 충분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는 단순히 아우터·인너단자케이스(10,2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정도의 체결력만을 갖도록 하므로 이에 따라, 상기 너트(4)와 볼트(3)의 나사부위가 마모되거나 훨거워져 서로 헛돌면서 분리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도지 않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터미널어셈블리를 배터리(B)의 +단자(b)로부터 분리하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고정홈(10c)에 삽입·고정된 레버플레이트(52)의 손잡이(54)부위를 잡고 위로 들어 올려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에 가해지는 고정레버(50)의 제1·2 조임력(F",F'")을 해제한 다음, 터미널어셈블리 전체를 +단자(b)로부터 뽑아주게 되면 쉽게 분리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버(50)의 상승에 따른 힘의 작용은 고정레버(50)를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고정홈(10c)쪽으로 내릴때의 힘 작용관계와 반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단자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터미널어셈블리가 힌지점을 통한 지렛대원리를 이용해 조작력을 배력시키는 고정레버를 매개로 +단자에 강한 고정력을 발생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나사 체결력을 이용할 때에 갖는 분리·체결 과정의 반복에 의한 나사부위가 마모와 헐거움에 의한 문제나 체결력 불량으로 인해 배터리와 터미널어셈블리간의 접촉 불량시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배터리(B)의 +단자(b)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인너단자케이스(20)와, 이 인너단자케이스(20)를 감싸면서 일단이 길게 연장되어 케이블(C)이 연결되는 아우터단자케이스(10), 상기 인너·아우터단자케이스(20,10)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일측에서 가해진 힘을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10)에 결합된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인너단자케이스(20)하부부위를 감싼 타측부위로 배력시켜 인너단자케이스(20)를 +단자(b)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레버(50)로 이루어진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단자케이스(10)는 +단자(b)를 감싸는 부위로부터 일체로 길게 형성된 연장플레이트(10a)가 형성되되, 이 연장플레이트(10a)에는 고정레버(50)와 힌지 결합되도록 양 측면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힌지연결단(10b)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레버(50)의 끝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홈(10c)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단자케이스(20)의 하부에는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고정부재(50)에 의해 감싸여 고정부재(50)의 조작시 +단자(b)에 강하게밀착되는 탄성단(20a)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50)는 인너단자케이스(20)의 탄성단(20a)을 감싸는 가압링(51), 이 가압링(51)에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힌지연결단(10b)에 힌지핀(55a)을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어퍼연결넥크(55), 이 어퍼연결넥크(55)의 중앙부위를 소정폭을 갖도록 슬릿을 형성해 위쪽으로 돌출시키면서 가압링(51)과 함께 원형을 형성하는 로워연결넥크(56) 및 이 넥크(55,56)에 일체로 이어지면서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고정홈(10c)에 삽입·고정되도록 길게 형성된 레버플레이트(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연결넥크(56)는 가압링(51)의 내면을 따라 소정영역에 형성된 파여진 안착홈(51a)에 위치되어 가압링(51)과 함께 원형을 형성하는 서브가압링(56a)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연결넥크(55)의 힌지핀(55a)은 어퍼연결넥크(55)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힌지연결단(10b)의 양 측면에 자유회전 되도록 삽입되는 한편, 상기 어퍼연결넥크(55)와 로워연결넥크(56)는 힌지연결단(10b)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지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플레이트(52)는 그 끝단으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54)가 형성되되, 이 손잡이(54)부위에는 아우터단자케이스(10)의 고정홈(10c)에 삽입·고정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걸림단(53)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KR10-2002-0072735A 2002-11-21 2002-11-21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KR10047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35A KR100471888B1 (ko) 2002-11-21 2002-11-21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35A KR100471888B1 (ko) 2002-11-21 2002-11-21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646A true KR20040044646A (ko) 2004-05-31
KR100471888B1 KR100471888B1 (ko) 2005-03-11

Family

ID=3734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735A KR100471888B1 (ko) 2002-11-21 2002-11-21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05B1 (ko) * 2005-12-08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239Y2 (ja) * 1992-06-23 1998-06-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H08222303A (ja) * 1995-02-09 1996-08-30 Yazaki Corp バッテリ用端子
JP3265983B2 (ja) * 1996-04-22 2002-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3434666B2 (ja) * 1997-04-22 2003-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用ターミナル
KR20040038094A (ko) * 2002-10-31 200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터미널 커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05B1 (ko) * 2005-12-08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888B1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9731A1 (en) Pipe fitting
WO2006123809A1 (ja) ねじによる部材締着部の防水構造
JPH1193933A (ja) ナット合わせ手段付きロックナット
WO2004045025A3 (en) Clamping apparatus for connecting ground wire to grounding member
EP0124429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étanche
CA2646822A1 (fr) Ecrou pour la fixation d&#39;un pare-brise d&#39;aeronef et dispositif de fixation d&#39;un pare-brise d&#39;aeronef incorporant ledit ecrou
FR2657661A1 (fr) Dispositif de fixation en aveugle, a corps elastique.
KR100471888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가압고정식 터미널어셈블리
EP1544946A1 (fr) Dispositif antidesserrage de vis ou crou
KR20060114782A (ko) 프레스물의 팸너트 설치구조
JP200829511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取付構造
JPH0425810Y2 (ko)
JP200829366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取付構造
JP2001205571A (ja) 建て込みボルトの締め付け用袋ナット
KR20010081530A (ko) 탄성 셀프 록킹너트
FR2643301A1 (fr) Outil a percussion a entrainement par air comprime, notamment marteau pneumatique
KR200424190Y1 (ko)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JPH10238683A (ja) エルボ型配管継手構造
FR3063530A1 (fr) Vis auto-cassante
JP3102040U (ja) ボルトの緩み防止装置
KR20040053050A (ko) 풀리지 않는 볼트와 너트
JPS6114657Y2 (ko)
JPS601505B2 (ja) 圧力容器の緊締装置
JPH11148444A (ja) 燃料噴射ポンプのボルトの封印装置
KR200296794Y1 (ko) 지선커버 취부용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