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294A -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294A
KR20040044294A KR1020020072748A KR20020072748A KR20040044294A KR 20040044294 A KR20040044294 A KR 20040044294A KR 1020020072748 A KR1020020072748 A KR 1020020072748A KR 20020072748 A KR20020072748 A KR 20020072748A KR 20040044294 A KR20040044294 A KR 20040044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uspension
link
dual link
vehicle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294A/ko
Publication of KR2004004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2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크로스멤버의 중간에서 양측으로 리어 서스펜션 링크가 힌지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스펜션 링크(46, 46')의 리어 크로스멤버 연결측단은 기어(48, 48')에 의해 서로 물려 있되, 상기 일측의 기어(48)는 상기 일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46)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타측의 기어(48')는 상기 타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46')에 스프링(5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스태빌라이저가 불필요하여, 부품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의 범프 및 리바운드에 상관없이 일정한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rear suspension of dual link with self-stab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 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서, 이같은 현가장치의 주요기능 중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 및 신속히 감소시키는 기능이 필요한데, 이러한 진동의 유형에는 크게 바운싱, 피칭, 롤링, 요잉이 있다.
이 중에서, 차량이 선회할 때에 차량이 좌우방향으로 진동하는 현상, 즉 롤링을 감소시키고 차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스태빌라이저이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종래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2)이 장착되는 허브(4)는 리어캐리어 어셈블리(6)를 통해 지지되며, 상기 리어캐리어 어셈블리(6)는 그 상측이 쇽업소바(8)와 코일스프링(10)으로 이루어진 스트럿(12)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며, 그 하측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는 트레일링 아암(도시안됨)에 의해 지지되고 차량의 폭방향으로는 리어 크로스멤버(14)에 리어 서스펜션 링크(16, 16')가 양쪽에 힌지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스태빌라이저(18)는 브라켓과 부시를 통해 차체에 지지됨과 동시에 양단이 스태빌라이저 링크(20)를 통해 상기 스트럿(12)에 연결됨으로써 바퀴(22)의 상하운동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된 스태빌라이저(18)는 좌우의 바퀴(22)가 동시에 상하로 움직일 때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좌우의 바퀴(22)가 상하운동을 서로 반대로 할 때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18)가 비틀리면서 이때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차체가 기우는 것을 감소시켜 차량의 평형을 유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별도로 스태빌라이저를 구성할 시에는 스태빌라이저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트럿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부품이 많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고 레이 아웃 및 조립작업이 어려우며, 차량의 범프(bump) 및 리바운드(rebound)시 효율이 크게 저감되어 조종안정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의 범프 및 리바운드에 상관없이 일정한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을 차량 후면에서 바라본 입면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을 차량 후면에서 바라본 입면도,
도3은 도2의 A부의 상세도,
도4는 도3의 입면을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 : 리어 크로스 멤버 46, 46' : 리어 서스펜션 링크
48, 48' : 기어 50 : 스프링
52, 52' : 축부재 54 : 베어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 크로스멤버의 중간에서 양측으로 리어 서스펜션 링크가 힌지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스펜션 링크의 리어 크로스멤버 연결측단은 기어에 의해 서로 물려 있되, 상기 일측의 기어는 상기 일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타측의 기어는 상기 타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에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측의 기어는 베어링에 의해 축부재와 연결되어 이 축부재에 대해 회동가능케 결합된다.
상기 타측의 기어는 축부재에 고정되고, 이 축부재가 상기 타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의 단부에 대해 회동가능케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32)이 장착되는 허브(34)는 리어캐리어 어셈블리(36)를 통해 지지되며, 상기 리어캐리어 어셈블리(36)는 그 상측이 쇽업소바(38)와 코일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 스트럿(42)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며, 그 하측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는 트레일링 아암(도시안됨)에 의해 지지되고 차량의 폭방향으로는 리어 크로스멤버(44)에 리어 서스펜션 링크(46, 46')가 양쪽에 힌지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40)은 원뿔형의 비선형 스프링을 적용하여 최적의 자세를 유지하고 그 옵셋을 크게 하여 조정안정성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서스펜션 링크(46, 46')의 리어 크로스멤버 연결측단은 기어에 의해 서로 물려 있는데,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기어(48)는 상기 일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46)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타측의 기어(48')는 상기 타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46')에 스프링(5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어 서스펜션 링크(46, 46')의 리어 크로스 멤버 연결측단에는 보스부(46a, 46'a)가 형성되고, 이 보스부(46a, 46'a)에 축부재(52, 52')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축부재(52, 52')의 단부에 상기 기어(48. 4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일측의 기어(48)는 상기 축부재(5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의 기어(48')는 상기 축부재(52')에 베어링(54)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있다.그리고, 상기 스프링(50)은 그 양단이 상기 보스부(46'a)와 기어(48') 사이에 고정되어 결합되되, 축부재(52')의 외측에 끼워져 있으며, 비틀림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타측의 기어(48')는 축부재(52')에 고정되고, 이 축부재(52')가 상기 타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46')의 단부, 즉 보스부(46'a)에 대해 회동가능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에서,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진동이나 충격은 코일 스프링(40)이나 쇽업쇼바(38)에 의해서 흡수되어 가급적 차체에 전해지지 않게 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40)은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쇽업쇼바(38)는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 스프링(40)의 자유진동을 신속히 감쇠시키는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양쪽 바퀴(56, 56')가 동일하게 범퍼 및 리바운드하여 동일한 위상이 되는 경우에는 두 서스펜션 링크(46, 46')의 연결부에서 별다른 힘을 발생하지 않고 바퀴의 진동은 그대로 코일 스프링(40)과 쇽업쇼바(38)에 전해지게 된다.
그러나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중 노면의 굴곡이 차량의 좌우에서 서로 반대방향인 경우나 차량이 선회주행을 하는 등, 차량의 양쪽 바퀴(56, 56')가 서로 상이하게 범퍼 및 리바운드하여 상이한 위상이 되는 경우에는 타측 리어 서스펜션 링크(46')에 결합된 스프링(50)에 비틀림 변형이 생기며, 이 스프링의 비틀림력이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스태빌라이저의 역할을 하게 되어,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에 의하면, 종래의 스테빌라이저 바 구성에 비해 차량의 범퍼 및 리바운드에 관계없이 일정한 효율을 유지해주므로, 차량의 조종 안정성이 매우 향상되고, 별도의 스태빌라이저 바를 구성하지 않고도 스태빌라이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스테빌라이저 부시가 불필요하므로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리어 크로스멤버의 중간에서 양측으로 리어 서스펜션 링크가 힌지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스펜션 링크의 리어 크로스멤버 연결측단은 기어에 의해 서로 물려 있되,
    상기 일측의 기어는 상기 일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타측의 기어는 상기 타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에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의 기어는 베어링에 의해 축부재와 연결되어 이 축부재에 대해 회동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의 기어는 축부재에 고정되고, 이 축부재가 상기 타측의 리어 서스펜션 링크의 단부에 대해 회동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KR1020020072748A 2002-11-21 2002-11-21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KR20040044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48A KR20040044294A (ko) 2002-11-21 2002-11-21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48A KR20040044294A (ko) 2002-11-21 2002-11-21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94A true KR20040044294A (ko) 2004-05-28

Family

ID=3734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748A KR20040044294A (ko) 2002-11-21 2002-11-21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2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0864B3 (de) 2017-11-22 2019-03-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erstabil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werks eines Kraftfahrzeugs, Halbstarrachse, sowie Kraft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6713A (ja) * 1983-05-23 1984-12-06 Nobuo Oami 車輌の安定化装置
JPH02141322A (ja) * 1988-11-22 1990-05-30 Norio Saito 車体が車軸に対して横方向に移動したりブレたりするのを防止する懸架装置
KR19980054244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안티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6713A (ja) * 1983-05-23 1984-12-06 Nobuo Oami 車輌の安定化装置
JPH02141322A (ja) * 1988-11-22 1990-05-30 Norio Saito 車体が車軸に対して横方向に移動したりブレたりするのを防止する懸架装置
KR19980054244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안티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0864B3 (de) 2017-11-22 2019-03-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erstabil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werks eines Kraftfahrzeugs, Halbstarrachse, sowie Kraft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5560638A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1461916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100521217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 구조
KR100882667B1 (ko) 승차감과 롤 거동 안정성 향상 타입 차량 현가 장치
KR20040044294A (ko) 듀얼링크 자체에 스테빌라이저 기능을 포함하는 듀얼링크리어 서스펜션
KR100398210B1 (ko) 롤링 억제 기능을 가진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KR102238055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서스펜션
KR100423307B1 (ko) 사륜구동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CN220332409U (zh) 车辆后独立悬架及车辆
KR100829299B1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바
KR100527720B1 (ko) 버스용 후륜 현가장치
KR100793902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JPH08295114A (ja) 車両の後輪懸架装置
KR20150069840A (ko) 멀티링크식 현가장치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100320504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57973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링크구조
KR20060118120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KR2008002343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KR20090119290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KR20050041019A (ko) 선회안정성을 유지한 차량의 토션빔 타입 후륜 현가장치
KR20090045725A (ko) 자동차 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