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842A - 약제 피더 - Google Patents

약제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842A
KR20040042842A KR1020030079698A KR20030079698A KR20040042842A KR 20040042842 A KR20040042842 A KR 20040042842A KR 1020030079698 A KR1020030079698 A KR 1020030079698A KR 20030079698 A KR20030079698 A KR 20030079698A KR 20040042842 A KR20040042842 A KR 2004004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chemical
medical agent
feeder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마쇼지
다케다나카지
아사오카지세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4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8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6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 B65B37/20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by volume measur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간단하고 또한 콤팩트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고정밀도로 약제(藥劑)를 공급한다.
기대(基臺)(5)에 형성한 약제 수용실(12)에 약제를 수용하고, 상기 약제 수용실(12)의 내부 하측에 설치한 압상(押上) 부재(11)를 소정 치수씩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12)내의 약제를 밀어내고, 밀어낸 약제를 불출 수단으로써 불출한다. 상기 불출 수단은, 상기 기대(5)의 상면을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6)로써 구성한다. 회전 부재(6)는, 상기 약제 수용실(12)에 약제를 공급하는 공급부(30)와, 상기 압상 부재(11)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약제 수용실 (12)로부터 밀어내어진 약제를 긁어 모으는 수집부(27)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제 피더{FEEDER FOR MEDICINE}
본 발명은, 소량 단위씩이라도, 약제(藥劑)를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는 약제 피더(feede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린더형의 가루약 피더로서, 실린더와 그 실린더내를 상하 방향으로 접동(摺動)할 수 있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실린더내에 공급된 가루약을 피스톤의 상승분 만큼 실린더 밖으로 밀어내고, 크랭크 기구에 의해서 왕복 운동하는 퍼냄 부재로써, 밀어내어진 가루약을 퍼내어 포장부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기타의 가루약 피더로서, 상기 공보에 기재된 가루약 피더와 동일한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고, 실린더내의 가루약을 실린더 상단의 누름 물체와 피스톤으로써 가압하여 가루약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균일화한 후, 한 방향 회전 운동을 하는 퍼냄 부재로써, 밀어내어진 가루약을 퍼내어 포장부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특허 제283931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공소 58-43281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공평 6-4536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가루약 피더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및 2에 의한 가루약 피더는, 퍼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크랭크 기구를 장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구조상 복잡하게 된다. 더욱이, 왕복 운동의 기구상, 복귀하는 경우에 퍼냄 부재에 의해서 가루약이 끌려 가는 등의 원인에 의해서 불출 정밀도가 저하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3에 의한 가루약 피더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블레이드 (blade)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루약을 퍼내고는 있지만, 동일한 베이스 (base) 위에 동심으로 회전하는 호퍼(hopper)와 누름 물체 등의 장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대규모인 동시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또한 콤팩트한 구성인데도 불구하고, 고정밀도로 약제를 공급할 수 있는 약제 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약제 포장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약제 피더(feeder)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a)는 도 2의 평면도, 도 4(b)는 그 단면도.
도 5(a)는 로터의 평면도, 도 5(b)는 종단면도, 도 5(c)는 횡단면도.
도 6은 로터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로터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로터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약제 포장장치에의 약제 피더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0(a)는 약제 수용실 근방의 부분 단면도, 도 10(b)는 분포시(分包時)의 압상 부재에 의한 밀어 올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어떤.
도 11은 기타 실시형태에 의한 약제 피더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케이싱 5: 기대(基臺)
6: 로터(회전 부재) 7: 덮개
8: 호퍼(hopper) 9: 오목한 부분
11: 압상(押上) 부재 12: 약제 수용실
14: 밸브 부재 21a: 경사면
22: 약제 배출로 27: 수용 수집부(收集部)
28: 압압부(押壓部)(압압 부재) 29: 청소편(淸掃片)
30: 개구부(開口部) 31: 수용 수집 홈
32: 수집면 35: 피검출판
39: 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대(基臺)에 형성한 약제 수용실에 약제를 수용하고, 상기 약제 수용실의 내부 하측에 설치한 압상(押上) 부재를 초기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치수 만큼씩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내의 약제를 밀어내고, 밀어낸 약제를 불출 수단으로써 불출하도록 한 약제 피더에 있어서,
상기 불출 수단은, 상기 기대의 상면(上面)을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써 구성되고, 이 회전 부재는, 상기 약제 수용실에 약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압상 부재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약제 수용실로부터 밀어내어진 약제를 긁어 모으는 수집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압상 부재를 승강시키고,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약제 수용실에의 약제의 공급 뿐만 아니라, 공급된 약제의 불출을 실행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써 콤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 부재는, 기대의 상면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면, 약제의 부착 등의 문제도 없고, 고정밀도로 약제를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와 상기 수집부를 겸용하면, 더 한층 구성을 간략화하여 콤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수용실의 내면에 접촉하는 압상 부재의 부위를 저마찰 재료로써 구성하면, 압상 부재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수용실내에 수용한 약제를 균등화하기 위한 진동 수단을 구비하면, 약제의 공급 오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약제 수용실에 대한 약제의 공급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곡면상의 수집면을 구비하면, 약제 수용실내에 약제를 균등하게 수용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약제 수용실내의 약제를 균등화하기 위한 압압(押壓) 수단을 구비하면, 약제의 공급 오차를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압압 수단은, 상기 압상 부재에 의해 밀어 올려진 약제에 압접(壓接)하는 압압 부재와, 상기 압상 부재에 의해서 압압 부재가 압압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상 부재가 특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압압 부재를 압압하는 것으로 상정되는, 미리 설정한 기준 이동 치수와, 상기 압상 부재가 상기 특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압압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의 실제의 이동 치수와의 차에 따라서, 상기 압상 부재의 초기 기준 위치를 보정하면, 조립 오차에 불구하고, 항상 원하는 양의 약제를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기대와의 미끄럼 접촉면에 대략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청소편(淸掃片)을 구비하면, 약제의 잔류를 방지하여 공급 오차를 억제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청소편은, 상기 회전 부재의 수집부 및 공급부에 대하여 회전 방향 하류측에 배치하면 좋다.
상기 기대는, 그 상면의 적어도 상기 회전 부재가 미끄럼 접촉하는 영역에 오목한 부분을 구비하면, 주위에의 약제의 비산(飛散)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약제 포장장치를 나타낸다. 이 약제 포장장치는, 가루약 공급부(1), 정제 공급부(2), 및 포장부(3)를 구비하고 있다. 정제 공급부(2) 및 포장부(3)에 대해서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가루약 공급부(1), 여기서는 약제 피더(100)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약제 피더(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케이싱(4)내에 설치한 기대(5)상에 회전 부재인 로터(6)를 회전할 수 있게 배치한 구성이다.
케이싱(4)의 상면은 개방 가능한 덮개(7)(도 2)에 의해서 폐쇄된다. 로터(6)의 상측에는 호퍼(8)가 배치되어서, 약제를 공급할 수 있다.
기대(5)는, 상면의 로터(6)가 미끄럼 접촉하는 영역이 약간 낮아지게 됨으로써 오목한 부분(9)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부분(9)에 의해서, 약제(주로 가루약, 과립(顆粒)등을 포함한다)가 주위에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오목한 부분(9)에는관통 구멍(10)이 개구(開口)되고, 관통 구멍(10)의 하측 부분에 압상 부재(11)가 배치됨으로써 약제 수용실(12)이 형성되어 있다. 압상 부재(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부재(13)의 상단부에 밸브 부재(14)가 장착되고, 축 부재(13)의 하단부는 승강대(15)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 부재(14)는, 실리콘 고무 등의 저마찰 재료로써 형성되어서, 관통 구멍(10)내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승강대(15)는, 중앙부에 나사(18)가 맞물린 상태에서 관통되어 있다. 나사 (18)는 그 상하단을 지지대(16)에 부착한 지지 부재(19)에 베어링(18a)을 통해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19)는, 수직판(17a)의 상하단에 상판(17c) 및 하판(17b)을 각각 일체화한 것이다. 수직판(17a)에는 2열로 가이드 구멍(17d)이 형성되고, 승강대(15)에 설치한 나사(15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판(17c)과 하판(17b)의 사이에는 2개의 봉재(棒材)(15b)가 설치되고, 이들 봉재(15b)가 승강대(15)를 관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승강용 모터(20)를 구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어를 통해서 나사(18)를 회전시키면, 승강대(15)는, 가이드 구멍(17d) 및 봉재(15b)를 따라서 승강한다. 압상 부재(11)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승강용 모터(20)에의 입력 펄스 신호에 의해서 결정되는 회전축의 회전 각도(스텝 각도)를 기본으로 하여 나사(18)를 어느 만큼 회전시킬 것인가에 따라서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용 모터(20)에는, 스테핑 모터나 서보 모터 등을 사용하면 좋다.
지지대(19), 즉 압상 부재(11)의 승강 위치는, 승강 위치 검출 센서(50)에의해서 검출된다. 승강 위치 검출 센서(50)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고, 승강대(15)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광 차단편(遮斷片)(51)이 양 소자의 광로(光路)를 차단함으로써 압상 부재(11)의 최하강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 위치 검출 센서(50)는, 기대(5)의 하측에 부착된 기판(52)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52)은 커넥터(53)를 통해서 이후에 설명하는 모터 등에 통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대(5)는, 오목한 부분(9)에 연속하는 경사면(21a)을 구비하고, 경사면 (21a), 측면(21b), 및 케이싱(4)의 내면(4a)에 의해서 약제 배출로(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대(5)에는, 회전용 모터(23)가 설치되고, 그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 (24)가 일체화되어 있다. 여기서는, 회전용 모터(23)에는 스테핑 모터가 사용되어서, 원하는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대(5)에는, 진동 발생용 모터(60)가 설치되어서, 도시하지 않는 편심판(偏心板)을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수용실(12)내에 수용한 약제를 균등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터(6)는, 대략 원주상(圓柱狀)이고, 상단 외주에는, 상기 구동 기어(24)에 맞물리는 종동(從動) 기어(25)가 형성되어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서 축부 (軸部)(26)를 통해서 기대(5) 위의 오목한 부분(9)에 눌려 부착된 상태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로터(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수집부(27), 압압부(28), 및 청소편(2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로터(6)의 외주면에는 자석 등의 피검출부(61)가 설치되어 있다. 피검출부(61)는, 케이싱(4) 또는 기대(5)에 설치한 센서(62a, 62b, 62c)에 의해서 검출되고, 로터(6)의 회전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61)가 센서(62a)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가 약제 투입 위치이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61)가 센서(62b)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가 약제 수용 완료 위치(포장 개시후에 약제의 퍼내기를 개시하는 위치를 겸용)이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61)가 센서(62c)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가 약제 압압 위치이다.
수용 수집부(27)는, 상기 호퍼(8)로부터의 약제를 받아 들이는 개구부(30)와, 이 개구부(30)에 연통하여, 하면측에 형성되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수집 홈(31)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 수집 홈(31)은, 로터(6)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내면이 수집면(32)을 구성하고, 상기 약제 수용실(12)의 상측 개구에 대하여 접근하는 위치가 서서히 변화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수집면(32)은, 원호면(圓弧面)에 비하여, 로터(6)의 외주측이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서서히 내측으로 밀어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로터(6)가 회전하여, 수집면(32)에 의해서 약제가 긁어 모아지면, 모아진 약제가 약제 수용실(12)에 낙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수용된다. 이 때문에, 약제 수용실(12)내의 약제가 대략 균등한 상태로 된다. 단, 상기 수집면(32)의 형상은, 약제 수용실(12)에 대하여 약제를 부분적인 치우침을 억제하면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압부(28)는, 상기 로터(6)의 개구부(30)와는 대략 대칭 위치에 형성한 수용 오목부(33)에 배치되고, 상벽의 중심 구멍(33a)을 통해서 상측 오목부(33b)에 돌출하는 축부(34)와, 축부(34)의 상부에 부착되는 피검출판(35)과, 축부(34)의 하부에 부착되는 밸브체(36)와, 축부(34)의 중앙부에 형성한 블레이드(blade)부(37)와 상벽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8)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압압부(28)를 로터(6)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피검출판(35)은 상측 오목부(33b)에 수용되어서, 피검출판(35)의 상면은 로터(6)의 상면과 면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밸브체(36)의 하면은 스프링(38)의 가세력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로터(6)의 하면과 면이 일치하게 된다.
압압부(28)는, 로터(6)가 회전하여 기대(5)의 약제 수용실(12)과 합치한 시점에서, 압상 부재(11)에 의해서 밀어 올려진 약제로부터 힘을 받는다. 압압부(28)에의 압압력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센서(39)(압력 센서, 릴레이 등)에 의해서 검출되고, 이 검출 신호에 의해서 압상 부재(11)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서, 약제 수용실(12)내의 약제에 일정한 힘을 부여하면서, 약제 수용실(12)로부터 오목한 부분(9)내에 1포(包) 분의 약제를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소편(29)은, 로터(6)의 하면으로서, 수용 수집 홈(31)에 대하여 회전 방향 하류측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한 홈에 고정되는 저마찰 재료(예로서, 스폰지 등)로써 구성되고, 오목한 부분(9)의 상면을 미끄럼 접촉해서 잔류하는 약제를 제거한다. 청소편(29)은 더러워지면, 떼어내어서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피더(10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대(付着臺) (20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약제 포장장치에 착탈할 수 있다. 즉, 부착대(200)의 수평판(201)에는 4 모서리에 관통 구멍(202)이 형성되어서, 약제 피더(100)의 저면에 설치된 돌기(101)가 걸어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착대(200)의 수직판 (203)에는, 플랫 케이블(flat cable)(204)을 통해서 접속되는 접점(205)이 노출된 기판(206)이 설치되고, 약제 피더(100)의 하측 측면에 노출시킨 각각의 접점(102)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 피더(100)를 부착대(200)의 수평판(201)에 장착하여, 돌기(101)를 관통 구멍(202)에 걸어 맞추면, 위치 결정이 완료되는 동시에, 접점(102, 205)이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약제 피더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제를 공급하기 전에, 센서(62c)가 피검출부(61)를 검출한 후에 다시 피검출부(61)를 검출 할 때까지 로터(6)를 회전시켜서, 청소편(29)으로써 오목한 부분(9)을 청소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62a)가 피검출부(61)를 검출함으로써, 회전용 모터(23)의 구동을 정지하여, 로터(6)를 약제 투입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호퍼(8)로부터 개구부(30)를 통해서 수용 수집 홈(31)과 기대(5)에 의해서 구획되는 영역에 약제를 투입한다.
약제의 투입이 완료되면, 약제 수용실(12)에서는, 승강 위치 검출 센서(50)가 광 차단편(51)을 검출할 때까지 압상 부재(11)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최하강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로터(6)를 회전시켜서, 투입한 약제를 약제 수용실(12)에 수용한다. 로터(6)를 회전시키면, 약제 수집면(32)에 의해서 약제가 긁어 모아져서, 약제 수용실(12)로 이동한다. 약제 수집면(32)은, 상기와 같이, 로터(6)의 외주측이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서서히 내측으로 밀어 올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는, 약제 수용실(12)에 로터(6)의 외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낙하하여,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수용된다. 약제 수용실(12)에의 약제의 수용이 완료된 것은, 로터(6)가 도 7에 나타내는 약제 공급 완료 위치까지 회전하여, 피검출부(61)가 센서(62b)에 의해서 검출됨으로써 확인된다. 이 동안, 진동 발생용 모터(60)를 구동함으로써 기대를 진동시켜서, 약제 수용실(12)내의 약제를 균등화하는 동시에, 그 상면을 평평하게 한다.
약제 수용실(12)에의 약제의 수용이 완료되면, 약제의 불출 요구 신호에 따라서, 피검출부(61)가 센서(62c)에 의해서 검출되는 위치, 즉, 도 8에 나타내는 약제 압압 위치에서 로터(6)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승강용 모터(20)를 구동하여, 압상 부재(1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 (28)가 스프링(38)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오목한 부분(9)내에 약제가 약간 밀어내어진 시점에서, 압압부(28)가 센서(39)에 의해서 검출되므로, 승강용 모터(20)가 정지하여, 압상 부재(11)에 의한 상측으로의 이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서, 약제 수용실(12)내의 약제가 압압부(28)의 밸브체(36)에 눌려서, 추가적인 균등화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약제 수용실(12)에는, 미리 처방에 따라서 결정된 분량의 약제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수용된 약제의 상면과 오목한 부분(9)의 상면이 면이 일치되도록, 압상 부재(11)의 초기 기준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약제 수용실(12)내에 공급된 전 약제의 분포(分包) 작업이 종료될 때마다 분해하여 로터(6)등을 청소한 후, 다시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 정밀도의 편차를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상기 압상 부재(11)의 초기 기준 위치에 변위가 발생한다. 그래서, 로터(6)의 분해청소 작업후에, 새로운 분포 작업이 개시되거나, 또는, 전원이 온(ON)될 때마다, 약제 수용실(12)에 약제가 없는 상태에서, 일단, 압상 부재(11)를, 승강 위치 검출 센서(50)에 의해서 광 차단편(51)이 검출되는 최하 위치(이 경우, 이 위치가 특정 위치가 된다)까지 하측으로 이동 시킨다. 이어서, 압상 부재(1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압압하여 센서(39)에서의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의 이동 치수(승강용 모터(20)의 펄스 수)를 측정하고, 이 실제의 이동 치수(측정 펄스 수)와, 미리 설정한 기준 이동 치수(기준 펄스 수)를 비교하여, 그 차를 보정치로 한다. 그리고 이 보정치에 따라서 상기 초기 기준 위치를 보정한다.
초기 기준 위치가 다시 설정되면, 압상 부재(11)를 일단 최하강 위치까지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로터(6)를 회전시켜서, 청소편(29)으로써 기대(5)의 오목한 부분(9)을 청소한다. 청소편(29)에 의해서 제거된 약제는, 오목한 부분(9)으로부터 약제 배출로(22)에 배출되어서, 포장장치(3)에 의해서 포장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에 유출하지 않고, 확실하게 폐기할 수 있다. 단, 포장된 위치에는, 그 취지의 인쇄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수용실(12)에의 약제의 수용을 완료하면, 로터(6)의 회전을 재개하여, 수용 수집 홈(31)을 약제 수용실(12)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압상 부재(11)를, 상기와 같이 하여 보정한 초기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치수 만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포 분에 상당하는 약제를 약제 수용실 (12)로부터 오목한 부분(9)내에 밀어 올린다. 이어서, 로터(6)를 회전시켜서, 밀어 올려진 1포 분의 약제를 약제 수집면(32)에서 긁어 모은다. 긁어 모아진 약제는,오목한 부분(9)으로부터 약제 배출로(22)에 불출되어서, 포장장치(3)에 의해서 1포 분으로서 포장된다. 이에 따라서, 항상 고정밀도의 분포(分包)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상 부재(11)를 소정 치수 만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로터(6)를 회전시킴으로써, 1포 분의 약제의 불출을 실행한다. 또한, 1포 분의 약제의 불출마다, 로터(6)의 회전에 따라서 청소편 (29)이 오목한 부분(9)의 상면을 미끄럼 접촉하므로, 청소 작업을 별도로 실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터(6)의 외주면에 피검출부(61)를 설치하고, 센서(62a, 62b, 62c)로써 이것을 검출하도록 했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61)를 로터(6)의 상면에 설치하고, 덮개(7)의 대략 대칭인 위치 2개소에 각각 설치한 센서(63a, 63b)로써 피검출부(61)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센서(63a, 63b)는, 덮개(7)에 형성한 부착 오목부(64)에 부착 베이스(65)를 장착하여, 이 부착 베이스(65)에 실장한다. 이에 따라서, 케이싱(4)내에 센서(62a, 62b)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고, 더 한층 콤팩트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대의 상면을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약제 수용실에 약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약제 수용실로부터 밀어내어진 약제를 긁어 모으는 수집부를 설치했으므로, 고정밀도로 약제를 공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서,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1)

  1. 기대(基臺)에 형성한 약제 수용실에 약제를 수용하고, 상기 약제 수용실의 내부 하측에 설치한 압상(押上) 부재를 초기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치수씩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내의 약제를 밀어내고, 밀어낸 약제를 불출 수단으로써 불출하도록 한 약제 피더(feeder)에 있어서,
    상기 불출 수단은, 상기 기대의 상면을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써 구성되고, 그회전 부재는, 상기 약제 수용실에 약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압상 부재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약제 수용실로부터 밀어내어진 약제를 긁어 모으는 수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기대의 상면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수집부를 겸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실의 내면과 접촉하는 압상 부재의 부위를 저마찰 재료로써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실내에 수용한 약제를 균등화하기 위한 진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약제 수용실에 대한 약제의 공급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곡면상의 수집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약제 수용실내의 약제를 균등화하기 위한 압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압상 부재에 의해서 밀어 올려진 약제에 압접(壓接)하는 압압 부재와, 상기 압상 부재에 의해 압압 부재가 압압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상 부재가 특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압압 부재에 압압하는 것으로 상정되는, 미리 설정한 기준 이동 치수와, 상기 압상 부재가 상기 특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압압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의 실제의 이동 치수와의 차에 따라서, 상기 압상 부재의 초기 기준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기대와의 미끄럼 접촉면에 대략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청소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편은, 상기 회전 부재의 수집부 및 공급부에 대하여 회전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그 상면의 적어도 상기 회전 부재가 미끄럼 접촉하는 영역에 오목한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KR1020030079698A 2002-11-13 2003-11-12 약제 피더 KR200400428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9549 2002-11-13
JPJP-P-2002-00329549 2002-11-13
JPJP-P-2003-00369200 2003-10-29
JP2003369200A JP2004175453A (ja) 2002-11-13 2003-10-29 薬剤フィー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842A true KR20040042842A (ko) 2004-05-20

Family

ID=3271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698A KR20040042842A (ko) 2002-11-13 2003-11-12 약제 피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175453A (ko)
KR (1) KR20040042842A (ko)
CN (1) CN1500694A (ko)
TW (1) TW2004150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3966B2 (ja) * 2013-03-26 2015-11-04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薬剤包装装置、薬剤包装装置の制御方法、薬剤包装システム
JP6172489B1 (ja) * 2015-11-30 2017-08-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
CN108688835B (zh) * 2018-02-17 2023-12-05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洛阳)机器人与智能装备创新研究院 食品包装设备用智能定量出料调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0694A (zh) 2004-06-02
JP2004175453A (ja) 2004-06-24
TW200415073A (en)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2956B2 (en) Tablet feeder
KR100442199B1 (ko) 정제공급기
KR101209849B1 (ko) 약제 포장 장치의 정제 카세트
EP0761197B1 (en) Medication filling apparatus
JPH0458340B2 (ko)
KR20170034383A (ko) 약제 카세트
EP3283208A1 (en) Dispens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producing paint sample
JP6052487B2 (ja) 水剤供給装置
KR102142749B1 (ko) 약제 카세트 및 약제 포장 장치
JP2018114281A (ja) 薬剤払出し装置、散薬秤量装置及び薬剤分包システム
KR100521243B1 (ko) 자동 충전 및 캡핑 장치
KR20040042842A (ko) 약제 피더
JP5048318B2 (ja) 微小錠剤計量装置
KR20040084823A (ko) 약제 피더
JP6425227B2 (ja) 散薬供給装置
WO2015083641A1 (ja)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払出し方法
JP3570518B2 (ja) カプセル充填物の秤量方法及びカプセル充填機
KR20050045425A (ko) 분말 제품의 정량 배출장치
JPH06345189A (ja) 粉末秤量充填装置及びカプセル充填機
KR100386321B1 (ko) 약제 포장기의 산제 분배 장치
KR102259317B1 (ko) 파우더 물질의 정량 분배장치
ZA200401837B (en) Method and device of producing multiple doser for powdered medicine.
KR101301622B1 (ko) 약품공급장치의 정량 분류 구조
RU1797693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оз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0650287B1 (ko)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낙하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