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655A -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655A
KR20040042655A KR1020020071232A KR20020071232A KR20040042655A KR 20040042655 A KR20040042655 A KR 20040042655A KR 1020020071232 A KR1020020071232 A KR 1020020071232A KR 20020071232 A KR20020071232 A KR 20020071232A KR 20040042655 A KR20040042655 A KR 20040042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telephone
phone
key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655A/ko
Publication of KR2004004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6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를 이용해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간편하게 가공한 후 다른 전화기를 다이얼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은,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전화 번호 가공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화 번호를 정해진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과; 다다이얼링키력에 따라 상기 가공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전화기를 통한 다른 전화기의 다이얼링을 위해 전화번호를 기억해야 할 필요가 없고 다이얼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통화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Dia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간편하게 가공한 후 유선 전화기를 다이얼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이용해 다른 전화기, 예컨대 유선 전화기를 다이얼링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화 번호들이 저장된 전화 번호 저장부를 검색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 번호를 화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를 직접 유선 전화기의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하여 다이얼링하였다.
다이얼링을 위해 유선 전화기의 키패드부를 통해 해당 전화 번호를 누르면 각 번호마다 대응하는 고유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톤을 발생하는데, 유선 전화기의 다이얼링은 상기 DTMF 톤의 전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선 전화기의 키패드부를 통해 실제 전화 번호를 눌러 대응하는 DTMF 톤을 발생시켜 전송하는 것과,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DTMF 톤을 유선 전화기의 송화기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것의 차이가 없다.
이동 전화기도 기존의 유선 전화기와 동일하게 키패드부의 전화 번호를 누를 때마다 대응하는 DTMF 톤을 스피커로 송출하는데, 이때 출력되는 DTMF 톤은 유선 전화기의 DTMF 톤과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이동 전화기의 화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판독하여 다시 다른 전화기의 키패드부를 통해 다이얼링하기 때문에 다이얼링 시간이 많이 걸리며, 다이얼링할 때 입력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가공한 후 해당 전화기를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화면 표시부 20 : 키패드부
30: 전화번호 저장부 40 : 마이크
50 : 스피커 60 : 제어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은,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전화 번호 가공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화 번호를 정해진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과; 다이얼링키 입력에 따라 상기 가공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해진 형태로의 전화 번호 가공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에서 특정 번호 또는 문자를 부가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전화기는 화면 표시부(10)와 키패드부(20), 전화 번호 저장부(30),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40)와 통화 상대의 음성을 포함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50) 및 제어부(60)로 구성된다.
화면 표시부(10)는 제어부(6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나 해당 이동 전화기의 상태 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화번호 저장부(34)에서 검색된 전화 번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키패드부(20)는 숫자 키들과 전화 번호 가공 및 다이얼링 기능을 포함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제어부(60)는 이동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키패드부(20)와 연동하여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특정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전화 번호를 일정하게 가공한 다음 가공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DTMF 톤을 발생시켜 스피커(50)를 통해 해당 DTMF 톤 검출이 가능한 다른 전화기로 송출하여 해당 전화기를 다이얼링한다.
전화번호 가공에는 전화 번호 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특정 지역번호를 부가 또는 삭제하거나 내선 전화기를 통해 다이얼링하는 경우 특정 숫자(예: 9)를 전화번호 앞자리에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내선 번호나 ARS의 기능 선택 번호를 해당 전화번호 뒷자리에 부가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은행과 폰 뱅킹을 하는 경우 해당 은행 전화번호 뒷자리에 폰 뱅킹 서비스 선택 번호를 부가하는 경우이다.
이때. 전화번호 다이얼링을 위해 즉,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DTMF 톤 발생을 위해 시간 지연이 필요한 경우 시간 지연을 나타내는 문자(예:'-')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동안 DTMF 톤 발생을 지연할 수 있다. 예컨대, 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외부 전화기를 다이얼링하는 경우 '9-7778888'과 같이 특정 숫자'9'와 전화번호 '7778888'사이에 '-'을 부가하며, 다이얼링시 '9'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송출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연속하여 '7778888'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송출한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각 동작에서 화면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제어부(60)에서 키패드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 검색키에 따라 전화번호 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들을 검색하여 해당 결과를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키패드부(20)를 통해 특정 전화번호(예: 2223333)를 선택하는 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를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키패드부(20)를 통해 내선 번호 부가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가공키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60)에서 전화번호를 가공한 후, 가공한 전화번호(예: 9-2223333)를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키패드부(20)를 통해 지역 번호 부가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가공키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60)에서 전화번호를 가공한 후, 가공한 전화번호(예: 02-2223333)를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의 (b),(c),(d)의 상태에서 키패드부(20)를 통해 다이얼링키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DTMF 톤을 발생시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를 다이얼링하는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패드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 검색키에 따라 제어부(60)는 전화번호 저장부(30)를 검색하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들을 화면 표시부(10)에 차례로 디스플레이한다(S301).
그리고, 키패드부(20)를 통해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선택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를 화면 표시부(10)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S302).
그런 다음, 사용자의 키 입력을 기다려 키패드부(20)를 통해 기능키가 입력되면(S303), 해당 기능키가 전화번호 가공키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4).
상기 확인 결과 전화번호 가공키인 경우 키패드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전화번호를 소정 형태의 전화번호로 가공하여 화면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한다(S305,S302).
그 후, 키패드부(20)를 통해 다이얼링키가 입력되는 경우(S306), 해당 전화번호 각 숫자에 대응하는 DTMF 톤을 발생시켜 스피커(50)를 통해 다이얼링 대상 전화기의 송화기로 송출하여 해당 전화기를 다이얼링한다(S30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키 입력은 키패드부에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가 구동하는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메뉴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뉴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 이동 전화기의 하드웨어를 수정없이 소프트웨어의 수정만으로 위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검색 하여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가공한 후 다른 전화기를 다이얼링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의 사용을 위해 전화번호를 기억해야 할 필요가 없고 다이얼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통화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전화 번호 가공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화 번호를 정해진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과;
    다이얼링키 입력에 따라 상기 가공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형태로의 전화 번호 가공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에서 특정 번호 또는 문자를 부가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1020020071232A 2002-11-15 2002-11-15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20040042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232A KR20040042655A (ko) 2002-11-15 2002-11-15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232A KR20040042655A (ko) 2002-11-15 2002-11-15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655A true KR20040042655A (ko) 2004-05-20

Family

ID=3733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232A KR20040042655A (ko) 2002-11-15 2002-11-15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6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76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국선전화기용 듀얼톤 다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46A (ja) * 1995-07-12 1997-01-28 Sony Corp 携帯電話装置
JPH1084409A (ja) * 1996-09-09 1998-03-31 Kokusai Electric Co Ltd 電話番号記憶・表示装置、携帯電話機、電話発呼装置及び電話発呼方法
KR20010070694A (ko) * 2001-05-31 2001-07-27 장준원 이동전화기와 연결기능을 갖는 유선전화기장치
KR20020004222A (ko) * 2000-07-04 2002-01-16 장철 휴대전화기의 전자식 다이얼 톤 음으로 접속되는 전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46A (ja) * 1995-07-12 1997-01-28 Sony Corp 携帯電話装置
JPH1084409A (ja) * 1996-09-09 1998-03-31 Kokusai Electric Co Ltd 電話番号記憶・表示装置、携帯電話機、電話発呼装置及び電話発呼方法
KR20020004222A (ko) * 2000-07-04 2002-01-16 장철 휴대전화기의 전자식 다이얼 톤 음으로 접속되는 전화기
KR20010070694A (ko) * 2001-05-31 2001-07-27 장준원 이동전화기와 연결기능을 갖는 유선전화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76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국선전화기용 듀얼톤 다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7815A1 (en) Contact lookup by partial string entry in a communication device
JP2002262362A (ja) 移動端末でのメッセージ伝送方法
KR2006005465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최근 통화 기록을 이용한 발신 장치및 방법
KR20040042655A (ko)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100735362B1 (ko)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H10164210A (ja) 携帯電話機
KR10064576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 자동 갱신 방법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JP2002209012A (ja) 通信端末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1004697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09950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자의 다수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00014860A (ko)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KR100727260B1 (ko)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JPH11341164A (ja) 電話帳システム
KR20060068474A (ko) 통화중 검색 전화번호 전송 방법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KR101063809B1 (ko) 메트로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5208A (ko) 포토 앨범 상에서 호 발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H0799544A (ja) 代替ダイヤル方式
JPH10210127A (ja) 電話機
WO1999011046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signa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