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260B1 -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 Google Patents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260B1
KR100727260B1 KR1020050130391A KR20050130391A KR100727260B1 KR 100727260 B1 KR100727260 B1 KR 100727260B1 KR 1020050130391 A KR1020050130391 A KR 1020050130391A KR 20050130391 A KR20050130391 A KR 20050130391A KR 100727260 B1 KR100727260 B1 KR 10072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mf signal
dtmf
number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04Q1/4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 H04Q1/457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with conversion of multifrequency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 H04Q1/457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with conversion of multifrequency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which are transmitted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숫자키, 문자키 및 기능키 입력을 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키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전화번호저장부; 상기 전화번호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DTMF 신호발생부; 상기 DTMF 신호발생부로부터 출력된 DTM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상기 전화번호저장부에 저장된 특정의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DTMF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유선전화기로 유선 통화를 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유선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유선전화기, DTMF 신호발생부, 전화번호저장부, 제어부, 키입력부, 스피커부

Description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A MOBILE HAVING DUAL TIME MULTI FREQUENCY SIGNAL GENERATING FUNCTION AND CALL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키입력부,
120 : 전화번호저장부, 130 : DTMF 신호발생부,
140 : 증폭부, 150 : 스피커부,
160 : 수화부, 170 : 제어부
본 발명은 복합주파수부호(Dual Tone Multi Frequency, 이하, 'DTMF'라 칭함)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 또는 수화부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이 출력된 음성신호를 별도의 다른 유선전화기의 송화기에 근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유선통화를 할 수 있는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휴대폰 또는 PDA 등)가 보편화되면서 개인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들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추가되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phone book)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은 대개 전화 번호 입력 기능과 입력된 전화 번호나 이전에 통화한 번호를 검색하는 세부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요금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보면서 별도의 유선전화나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저렴하게 통화하는 경향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유선전화기로 통화하는 종래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기능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전화하고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다른 별도의 유선전화기의 수화기를 들고 통화가능음을 확인한다. 이후에,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된 해당 전화번호를 보면서 손으로 해당 전화번호를 상기 유선전화기의 숫자키를 입력하여 유선 통화를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다이얼링 통화방법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데 있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이 있으며, 몇 번씩 해당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유선전화기의 숫자키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 또는 수화부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이 출력된 음성신호를 다른 유선전화기의 송화기에 근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유선통화를 할 수 있는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숫자키, 문자키 및 기능키 입력을 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키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전화번호저장부; 상기 전화번호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DTMF 신호발생부; 상기 DTMF 신호발생부로부터 출력된 DTM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상기 전화번호저장부에 저장된 특정의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DTMF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수화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주민번호 및 다양한 카드번호를 비롯한 모든 숫자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DTMF 신호발생부는 상기 주민번호 및 다양한 카드번호를 비롯한 모든 숫자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의 숫자들을 DTMF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DTMF 신호발생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유선전화기로 통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기능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를 검색한 후, 전화하고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b) 사용자는 상기 유선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해 통화가능음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유선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해 통화가능음 발생 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전화번호의 DTMF 신호발생을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키를 누르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증폭한 후 스피커부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화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부를 근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증폭한 후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화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를 근접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전화번호저장부(120), DTMF 신호발생부(130), 증폭부(140), 스피커부(150), 수화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입력부(110)는 통상적으로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70)로 키 입력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의 DTMF 신호발생을 위한 특정키를 구비할 수 있다.
전화번호저장부(120)는 키입력부(110)의 키 입력데이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화번호저장부(120)는 통상적으로 비휘발성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DTMF 신호발생부(130)는 전화번호저장부(120)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DTMF 신호발생부(130)는 전화번호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만을 DTMF 신호로 변환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된 통상의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주민번호나 다양한 카드번호를 비롯한 숫자로 된 모든 번호들을 DTMF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유선전화기를 통해 예컨대, ARS 이용 시 필요한 사용자의 주민번호나 신용카드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나 수화기를 통해 이를 음성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주민번호나 카드번호와 같은 긴 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상기 유선전화기의 키 버튼을 일일이 누르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간단한 키 조작으로 해당 번호들을 상기 유선전화기에 연결된 교환기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증폭부(140)는 DTMF 신호발생부(130)로부터 출력된 DTMF 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피커부(150)는 증폭부(140)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화부(160)는 증폭부(140)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통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키입력부(110)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전화번호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의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도록 DTMF 신호발생부(1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도 1 참조)에 구비된 키입력부(110, 도 1 참조)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를 검색한 후, 전화하고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다(S100).
다음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다른 유선전화기(미도시)의 수화기를 들고, 상 기 유선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해 통화가능음 발생여부를 확인한 후(S200), 상기 유선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해 통화가능음 발생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단계S100에서 선택된 전화번호의 DTMF 신호발생을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된 특정키를 누른다(S300).
이후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70, 도 1 참조)는 상기 특정키의 입력데이터를 제공받아 전화번호저장부(120, 도 1 참조)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발생부(130)로 출력한다.
그리고, DTMF 신호발생부(130)는 제어부(170)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되는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140)로 출력한다. 증폭부(140)에서는 DTMF 신호발생부(130)로부터 변환된 해당 전화번호의 DTMF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스피커부(150) 또는 수화부(160)로 출력한다.
스피커부(150) 또는 수화부(160)에서는 증폭부(140)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소정의 음성신호로 출력한다(S400).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화기(미도시)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스피커부(150) 또는 수화부(160)를 근접시킴으로써(S500), 스피커부(150) 또는 수화부(160)로부터 출력되는 DTMF 음성신호는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화기를 통해 통상의 교환기(미도시)까지 전달되어 상기 교환기가 이를 인식하여 유선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 또는 수화부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이 출력된 음성신호를 별도의 유선전화기의 송화기에 근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유선통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숫자키, 문자키 및 기능키 입력을 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키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전화번호저장부;
    상기 전화번호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DTMF 신호발생부;
    상기 DTMF 신호발생부로부터 출력된 DTM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상기 전화번호저장부에 저장된 특정의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DTMF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지며,
    주민번호 및 다양한 카드번호를 비롯한 모든 숫자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DTMF 신호발생부는 상기 주민번호 또는 카드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의 숫자들을 DTMF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DTMF 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DTMF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수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130391A 2005-12-27 2005-12-27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KR10072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391A KR100727260B1 (ko) 2005-12-27 2005-12-27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391A KR100727260B1 (ko) 2005-12-27 2005-12-27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260B1 true KR100727260B1 (ko) 2007-06-11

Family

ID=3835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391A KR100727260B1 (ko) 2005-12-27 2005-12-27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2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55Y1 (ko) 2003-02-25 2003-05-16 단지넷 주식회사 휴대폰의 톤음을 이용한 전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55Y1 (ko) 2003-02-25 2003-05-16 단지넷 주식회사 휴대폰의 톤음을 이용한 전화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BS 프로그램 '스펀지' 제25회 관련 자료(2004.04.24. 방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865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lacing a call
KR19990018666A (ko) 전화번호 원격 확인 방법
CN101616204B (zh) 耳机及手机系统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727260B1 (ko)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KR1007606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답장 모드 진입 방법.
US20040047457A1 (en) Dialing apparatus for international prepaid phone card
KR20000030389A (ko) 음성과 문자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4576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 자동 갱신 방법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100675953B1 (ko) 전화기용 외부 원터치 송신장치
KR200146875Y1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메모장치
KR200385339Y1 (ko) 송수화기 및 그 송수화기를 구비한 유선전화기
KR100660119B1 (ko) 발신자 정보의 음성출력 선택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및시스템
KR20040042655A (ko)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20000045808A (ko) 음성인식에 의한 다단계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20000014860A (ko)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JPH0888678A (ja) 電話通信に於けるダイヤル方法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JPH01129643A (ja) 電話機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JP2000341393A (ja) 電話帳機能付き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