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504B1 -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504B1
KR100988504B1 KR1020080051565A KR20080051565A KR100988504B1 KR 100988504 B1 KR100988504 B1 KR 100988504B1 KR 1020080051565 A KR1020080051565 A KR 1020080051565A KR 20080051565 A KR20080051565 A KR 20080051565A KR 100988504 B1 KR100988504 B1 KR 10098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hone number
call
outgoing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444A (ko
Inventor
전재욱
박재형
박종현
조윤찬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5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5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통화 연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한 통화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 패드 입력부, 음성 입력부, 음성 출력부, 전화번호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발신된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통화 연결, 이동 단말, 음성 인식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통화 연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한 통화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통화 연결 방법이 제공되었다. 예를 들어, 단축 번호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거나, 전화 번호부 리스트를 이용하거나,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음성 인식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음성 입력부(예를 들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음성을 인식하여 통화를 연결하였다. 또한, 전화 번호부 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최근 통화가 이루어진 순으로 정렬된 상대방의 리스트 또는 가나다 순으로 정렬된 상대방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통화를 연결하였다.
상술한 음성 인식 기반의 통화 연결 방식이나 전화번호부 기반의 통화 연결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식은 기술적 특성상 음성 인식률이 떨어지며 소음이 많거나 이동 중일 때와 같이 전화사용 환경에 따라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힘든 특성으로 인해 사용성이 떨어졌다. 또한 기존의 전화번호부 저장 및 검색 기능은 작동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자들이 작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통화 연결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유용한 통화 연결 방식 및 이동 전화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위해 키 패드 입력부, 음성 입력부, 음성 출력부, 전화번호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발신된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할지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통화된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 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방법은,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발신용 전화번호 또는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발신된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발신용 전화번호 또는 통화연결버튼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할지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통화된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번호를 특별히 기억할 필요 없이 통화 버튼을 누르는 과정으로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와 이름을 저장하는 동작 또한 복잡한 버튼 조작 없이 번호 입력과 음성 녹음만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전화번호부 등록과 검색을 어려워하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 동작,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례이다.
도 1의 이동 단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패드 입력부(110), 음성 입력부(120), 음성 출력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50), 무선 통신부(160) 및 영상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키 패드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이다. 상기 키 패드 입력부(11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숫자 및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부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에 따른 터치 패드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음성 입력부(120)는 외부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이다.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30)는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이다. 스피커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14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이다.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140)는 전화번호부 메모리(141) 및 최근 통화리스트 메모 리(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본 실시예가 제안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저장된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는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정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로서, 저장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이다. 즉, '01x-yyyy-zzzz'의 사용자가 '홍길동'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홍길동'을 발음한 것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이다.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시킨 음성 정보이므로, 이동 단말기에서 기계음으로 출력되는 음성 정보와는 구별된다.
한편, 상기 최근 통화리스트 메모리(142)는 최근에 수신하거나 발신한 전화 번호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도 1에서,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 및 상기 통화리스트 메모리(142)는 서로 분리된 블록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양 메모리가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메모리(141, 142)들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다수의 메모리로 자유롭게 구현가능하다.
상기 무선 통신부(16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CDMA, WCDMA, IEEE 802.16 등의 다양한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모듈이다.
상기 키 패드 입력부(110), 음성 입력부(120), 음성 출력부(130), 메모리(140), 무선 통신부(160) 및 영상 출력부(17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일례는 상술한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 170)들을 각각 분리된 모듈로 구현한 일례이나, 상술한 모듈 중 어느 일부는 여러 모듈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술한 각각의 모듈(110, 120, 130, 140, 160, 170)들에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의 절차는 상술한 도 1의 일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2의 방법에 따라, 상기 키 패트 입력부(110)를 통해 숫자 버튼 및 통화연결버튼 중에서 숫자 버튼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02). 상기 숫자 버튼은, 키 패드 입력부(110) 상에서 아라비아 숫자 0 내지 9에 상응하는 버튼이며, 상기 통화연결버튼은, 기능 버튼의 일종으로 전화 통화의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숫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전화하려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키 패드 입력부(110)를 통해 발신용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S207).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는 추가적으로 저장될 필요가 없지만, 만약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208), 만약 이미 저장된 번호인 경우에는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S211).
한편,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208), 이미 저장된 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발신용 전화번호와 함께 상술한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함께 저장할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입력해줄 것을 요청하고(S209), 상기 요청에 따라 입력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와 발신용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한다(S210).
바람직하게, 상기 S209 단계에서의 입력 요청은 상기 음성 출력부(130) 또는 영상 출력부(170)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S210 단계에 따른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는 상기 음성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S210 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에 따라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S211).
상술한 S207 내지 S211 단계를 수행하면, 사용자가 발신한 모든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209 내지 S211 단계에 의해 저장된 모든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도 저장된다.
이하, 도 2의 S203 내지 S206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S202 단계에 의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S203 단계가 수행된다.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발신한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어떤 전화번호가 가장 최근에 발신한 전화번호인지를 식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최근 통화리스트 메모리(14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는 상기 S209 단계 내지 S211 단계에 의해 미리 저장된 것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S203 단계에 의해 자기 목소리로 최근 발신이 이루어진 전화번호에 대한 안내를 들을 수 있다.
상기 S203 단계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따라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S204, S211). 상기 제1 입력 버튼은 특정한 숫자 버튼 또는 기능 버튼일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버튼 입력이 없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버튼이 입력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2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S204), 제2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205). 상기 제2 최근 발신 전화는 상기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 다음으로 최근에 발신된 전화 번호이다. 상기 제2 입력 버튼은 특정한 숫자 버튼 또는 기능 버 튼일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버튼 입력이 없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 버튼이 입력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S205 단계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따라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S206, S211).
만약, 상기 S205 단계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2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3 최근 발신 전화번호, 제4 최근 발신 전화번호, ..., 제N 최근 발신 전화번호 순으로 그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제1 또는 제2 입력 버튼을 입력받는다,
도 2의 일례에 따르면, 최근에 발신한 전화 번호에 전화를 거는 경우, 굳이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스스로 입력한 음성 안내를 통해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전화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하다.
상술한 도 2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단계에 붙여진 단계들의 식별 번호는 각 단계를 식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각각의 단계가 그 식별 번호 순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S210 단계가 S211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S210 단계가 S211 단계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2의 일례는 발신용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 리(141)에 저장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발신용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의 절차는 상술한 도 1의 일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3의 방법에 따라, 상기 키 패트 입력부(110)를 통해 숫자 버튼 및 통화연결버튼 중에서 숫자 버튼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02).
숫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전화하려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키 패드 입력부(110)를 통해 발신용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S309).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는 추가적으로 저장될 필요가 없지만, 만약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310), 만약 이미 저장된 번호인 경우에는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S314).
한편,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310), 이미 저장된 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할지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를 입력받는다(S311) 즉,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하지 말 것을 지시하면, 저장하는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S314). 한편, 사용자가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할 것을 지시하면,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S312, S313).
상기 S313 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에 따라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S314).
상술한 S309 내지 S314 단계를 수행하면, 사용자가 발신한 발신용 전화번호 중 사용자가 저장할 것을 지시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S312 내지 S313 단계에 의해 저장된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도 저장된다.
이하, 도 3의 S303 내지 S308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S302 단계에 의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S303 단계가 수행된다. 즉,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통화(수신 및 발신을 포함)한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를 판단한다(S303). 어떤 전화번호가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인지를 식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근 통화리스트 메모리(14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S304a).
만약,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130)를 통해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출력한다(S304b). 예를 들어,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123-345-7890'인 경우, '일이삼-삼사오-칠팔구영'을 기계음으로 출력한다(S304b).
상기 S304a 또는 S304b 단계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따라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S305, S314). 상기 제1 입력 버튼은 특정한 숫자 버튼 또는 기능 버튼일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버튼 입력이 없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입력 버튼이 입력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304a 또는 S304b 단계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2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S305),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S306).
만약,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 경우,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S307a).
만약,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141)에 이미 저장된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130)를 통해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출력한다(S307b).
상기 S307a 또는 S307b 단계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따라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S308, S314).
한편, 상기 S307a 또는 S307b 단계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2 입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3 최근 통화 전화번호, 제4 최근 통화 전화번호, ..., 제N 최근 통화 전화번호 순으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상술한 도 3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인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을 나타낸다.

Claims (9)

  1. 키 패드 입력부, 음성 입력부, 음성 출력부, 전화번호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발신된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이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 다음으로 최근에 발신된 제2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 입력부는 버튼 입력부 또는 터치 패드 입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키 패드 입력부, 음성 입력부, 음성 출력부, 전화번호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발신용 전화번호 또는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발신된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이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이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발신 전화번호 다음으로 최근에 발신된 제2 최근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6. 키 패드 입력부, 음성 입력부, 음성 출력부, 전화번호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할지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통화된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 또는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이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 다음으로 최근에 통화된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키 패드 입력부, 음성 입력부, 음성 출력부, 전화번호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발신용 전화번호 또는 통화연결버튼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할지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 및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용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발신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통화된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 또는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이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키 패드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최근 통화 전화번호 다음으로 최근에 통화된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최근 통화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식별 음성 정보를 상기 전화번호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KR1020080051565A 2008-06-02 2008-06-02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98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565A KR100988504B1 (ko) 2008-06-02 2008-06-02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565A KR100988504B1 (ko) 2008-06-02 2008-06-02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44A KR20090125444A (ko) 2009-12-07
KR100988504B1 true KR100988504B1 (ko) 2010-10-20

Family

ID=4168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565A KR100988504B1 (ko) 2008-06-02 2008-06-02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5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349A (ko) * 2000-07-07 2002-01-17 허주원 음성안내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 휴대폰 음성안내 기능제공 방법
KR20030039154A (ko) * 2001-11-12 2003-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전화번호부 구현 방법과 그 것을이용한 휴대전화기
KR20050025457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발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349A (ko) * 2000-07-07 2002-01-17 허주원 음성안내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 휴대폰 음성안내 기능제공 방법
KR20030039154A (ko) * 2001-11-12 2003-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전화번호부 구현 방법과 그 것을이용한 휴대전화기
KR20050025457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발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44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3312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using searched tele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JP3847624B2 (ja) 携帯電話機
CN107295174B (zh) 通话内容的记录方法、装置和终端
US200400523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CN101123820B (zh) 移动通信终端以及发出呼叫的方法
KR20070106162A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40089232A (ko) 통화 중 검색전화번호 전송방법
CN101616204B (zh) 耳机及手机系统
KR100988504B1 (ko) 이동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6515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편집 방법
CN106303084A (zh) 一种信息记录的方法及装置
KR10070339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645176B1 (ko) 이미지 단축 다이얼링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0038848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입력 방법
KR1010309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48814Y1 (ko) 전화기
KR20050113337A (ko) 다중 인덱스 테이블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42599B1 (ko) 휴대단말기의 발신 방법
KR101099482B1 (ko) 기록 매체에 연속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6058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KR100727260B1 (ko) Dtmf 신호발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통화방법
KR100663741B1 (ko) 음성 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