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293A -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293A
KR20040042293A KR1020020070510A KR20020070510A KR20040042293A KR 20040042293 A KR20040042293 A KR 20040042293A KR 1020020070510 A KR1020020070510 A KR 1020020070510A KR 20020070510 A KR20020070510 A KR 20020070510A KR 20040042293 A KR20040042293 A KR 20040042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housing
pda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윤형
최장성
Original Assignee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2007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293A/ko
Publication of KR20040042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Abstract

본 발명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는 PDA를 삽입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상기 PDA가 이동되는 통로인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상기 PDA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되거나 분리가능한 덮개,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PDA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및 회로기판, 그리고 상기 PDA와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PDA는 상기 케이스내에서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에 키입력부가 부착되므로 PDA는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PD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CASE OF PORTABLE ELECTRICAL DEVICE WITH KEY INPUT PART}
본 발명은 휴대폰, PDA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단말기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를 사용시 상기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개인의 주소록 관리, 메모장 기능, 스케줄 관리, 어학용, 전자책, 게임, 및 통신기능을 갖추는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 이하 'PDA')는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로서 노트북보다 휴대성을 더 극대화하고, 각종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할 수 있어 단순한 전자수첩보다는 고기능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이다.
일반적으로 PDA 단말기는 다수의 문자키나 기능키 등의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키입력부, 실행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좀 더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 확장을 위하여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거나 무선통신을 위한 기능을 갖춘 모듈이 삽입되는 확장팩을 구비한다.
이러한 PDA는 그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입력수단으로 키입력부 외에 스타일러스펜을 사용하여 액정을 터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휴대폰과는 달리 PDA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DA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PDA는 그 상부면에 디스플레이부 외에도 키입력부를 모두 구비하므로, 휴대가 용이를 위한 정해진 크기 내에서 디스플레이부나 키입력부를 위한 넓은 공간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좁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소수의 키만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둘째, 디스플레이부는 PDA의 상부면 윗부분에 배치되고, 키입력부는 PDA의 상부면 아랫부분에 배치되므로, 키입력부가 윗부분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비해 PDA를 지지하면서 키들을 입력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세째, PDA의 폭은 휴대폰에 비해 넓으므로 작업자는 PDA의 아래부분만을 한손으로 지지하고 다른 손으로 키입력을 하거나, 양손으로 PDA를 지지하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키입력을 하여야 한다. 이것은 한손으로 PDA를 지지하면서 지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만을 가지고 키입력이 가능한 휴대폰에 비해 매우 불편한다.
네째, PDA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커버가 PDA와 분리되거나, 또는 일측면에 위치되는 형태를 갖추는 데, 분리되는 방식의 경우에는 분실이 쉽고, 일측면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시 걸리적거려 매우 불편하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형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시에는 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손만으로도 단말기를 용이하게 지지하고, 키입력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들이 정해진 사이즈 내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장착을 위한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1b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2b는 상기 슬라이더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 및 3b는 각각 도 2의 슬라이더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의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4의 평면도와 도 4의 선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키입력부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a는 상기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키입력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b는 도 7a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상기 PDA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선택바를 이동하기 위한 선택바 이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9a는 홈 내에 USB포트가 형성된 PDA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9c는 도 9a의 연결부의 측면도;
도 10a는 외부로 돌출된 USB포트를 가지는 PDA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0c는 도 10a의 연결부의 측면도;
도 11과 도 12는 각각 케이스 내에 삽입된 PDA의 정지상태 위치와 사용상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그리고
도 13은 케이스에 확장팩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00 : 하우징
110 : 가이드윙 120 : 핸딩부
130 : 가이드 홈 132 : 로드부 가이드 홈
134 : 레그부 가이드 홈 200 : 덮개
240 : 연결홀 300 : 슬라이더
320 : 로드부 340 : 레그부
400 : 연결부 420 : 제 1 접속부
440 : 제 2 접속부 500 : 키입력부
600 : 회로기판 620 : 제 3 접속부
700 : 확장팩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단말기를 삽입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되는 통로인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되거나 분리가능한 덮개,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및 회로기판, 그리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상기 단말기의 소정영역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될 때 상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의해 하우징내에 삽입된 상태인 보관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상기 소정영역이 노출된 상태인 사용상태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단말기와 함께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레그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레그부 가이드 홈과 상기 로드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로드부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레그부가 상기 레그부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로드부 가이드 홈에 이르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은 제한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깊게 패이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홈의 두께에 상응되도록 상기 개구부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하방향으로 눌러지는 힘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위치되며, 상기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2 접속부와 접속되는 제 3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3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은 끊어진다.
일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와 연결되는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는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홈내에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와 연결되도록 박판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2 접속부는 위를 향해 볼록한 부분을 가지는 로드 형상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와 연결되는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 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로드 형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2 접속부는 위를 향해 볼록한 부분을 가지도록 꺽여진 로드 형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말기가 사용상태에 위치될 때 상기 하우징을 핸딩하기 위한 핸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핸딩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폭을 가지는 하우징 중 좁은 폭을 가진 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면 아래에 위치되는 확장팩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와 상기 확장팩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단말기는 바닥면에 상기 확장팩과 전기적 접속을 위해 아래로 돌출된 USB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팩은 상기 단말기가 사용상태에 위치될 때,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로 돌출된 확장팩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그 양측에 상기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윙들을 더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형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이하 'PDA')(20)의 '보관상태'란 PDA를 사용하지 않을 때 PDA의 디스플레이부가 케이스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칭하며, PDA의 '사용상태'란 상기 PDA를 사용할 때 상기 PDA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기능키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된 상태를 칭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단말기 케이스(10)는 하우징(Housing)(100), 덮개(Lid)(200), 슬라이더(Slider)(300), 연결부(Connector) (400), 키입력부(Key Input Part)(500), 그리고 회로기판(Circuit Board)(60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바닥면(base)(150)과 가이드윙(Guide Wing)(110)으로 이루어지며, 오픈된 상부에는 투명한 재질로 된 상기 덮개(200)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에는 상기 PDA(20)가 삽입되는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PDA(20)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PDA(20)의 디스플레이부(24)가 상기 덮개(200)에 의해서 보호된다. 상기 PDA(20)가 사용될 때에는 상기 PDA(20)는 상기 케이스(10)로부터 상기 PDA(20)의 디스플레이부(24) 및 기능키(26)가 형성된 부분이 노출되도록 이동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PDA(20)의 이동통로인 개구부(112)를 일면에 가진다.
상기 가이드 윙(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PDA(20)가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이동될 때 상기 PDA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및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PDA(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윙(1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의 후술할 핸딩부(120)의 일측면을 제외한 세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덮개(200)는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윙(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양측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DA(2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보관상태에서 상기 사용상태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PDA(2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PDA(20)를 받쳐주는 슬라이더(300)와 상기 슬라이더(30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Guide Groove)(130)을 가진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기 슬라이더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각각 도 2a의 슬라이더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더(300)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폭이 형성된 로드부(Lod Part)(320)와 상기 로드부(320)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지는 레그부(Leg Part)(340)를 구비한다. 상기 레그부(340)의 일단에는 상기 PDA(20)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Porjecting Part)(400)를 가진다. 즉, 상기 PDA(20)는 상기 슬라이더(300) 상에 놓여지며, 상기 PDA(20)의 USB포트(22)가 형성된 면은 상기 돌출부(400)와 마주보면서 접촉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더(300)는 타단에 걸림턱(38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380)은 상기 슬라이더(300)상에 놓여진 상기 PDA(20)가 상기 걸림턱(380)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4의 평면도와 도 4의 선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그 바닥면에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30)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홈(130)은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슬라이더(300)가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 홈(130)은 상기 레그부(340)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레그부 가이드 홈(134)과 상기 로드부(320)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로드부 가이드 홈(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그부 가이드 홈(132)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부(112)와 근접한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로드부 가이드 홈(132)은 그 반대쪽으로 상기 레그부 가이드 홈(132)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보관상태에 위치된 상기 PDA(20)를 상기 사용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더(300)의 레그부(34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360)를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부(112) 쪽으로 힘을 가하여 밀어준다.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PDA(20)와 함께 상기 가이드 홈(130)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PDA(20)는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노출된다. 상기 로드부(320)가 상기 로드부 가이드 홈(132)을 지나고, 상기 레그부(340)가 상기 로드부 가이드 홈(134)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300)는 길이방향으로 더이상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PDA(20)는 상기 사용상태에 위치된다.
본 발명인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사용상태에 위치된 상기 PDA(20)가 상기 케이스(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덮개(200)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나, 상기 가이드 홈(132)의 폭과 상기 슬라이더(300)의 두께는 길이방향을 따라 변한다. 즉, 도 3b 및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134)은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멀어질수록 깊개 패이고,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가이드 홈(134)과 상응되도록 상기 로드부(320)에서 상기 레그부(340)로 갈수록 두꺼워진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케이스(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PDA(20)가 상기 슬라이더(30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로부터 노출될수록 상기 PDA(20)는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덮개(200)에 의해 상하방향에서 눌러지게 되며, 상기 PDA(20)가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에 오면 더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의해 상기 PDA(20)가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PDA(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PDA(20)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상기 PDA(20)의 사용을 위해 상기 PDA(20)가 상기 사용상태에 위치되면 상기 케이스(10)의 위,아래면에서 상기 PDA(20)를 눌러주므로 상기 PDA(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인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PDA(20)가 사용상태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변하는 상기 슬라이더(30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변하도록 제작된 PD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슬라이더(300)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하우징(100)은 핸딩부(Handing Part)(120)를 구비한다. 상기 핸딩부(120)는 상기 PDA(20)가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핸딩부(120)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폭을 줄임으로써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윙(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네 모서리 중 세 곳에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윙(110)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은 안쪽으로 함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폭이 줄어든다. 상기 핸딩부(120)는 일측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핸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PDA의 상부면에는 디스플레이부와 키입력부가 모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와 상기 키입력부에 배치되는 키의 수는 제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DA에 넓은 디스플레이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키입력부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10)는 키입력부(500)와 회로기판(600) 및 상기 회로기판(600)과 상기 PDA(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구비한다.
도 6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키입력부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상기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키입력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상기 PDA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선택바를 이동하기 위한 선택바 이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2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회로기판(600)과 상기 키입력부(500)가 놓여지는 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600)과 상기 키입력부(500)가 상기 홈(220) 상에 순차적으로 놓여진다. 상기 키입력부(500)에는 복수의 키들이 배치된다. 상기 키입력부(500)는 문자, 숫자, 또는 특수문자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입력방식을 가진 복수의 키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500)의 크기 및 위치는 사용자가 상기 핸딩부(120)를 잡고 키를 푸싱할 때 푸싱이 용이하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0)의 윗부분에만 장착되거나, 많은 수의 키들을 배치하기 위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0) 전체에 장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빈도가 높은 키는 입력이 용이한 윗부분에, 사용빈도가 낮은 키는 아랫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200)에는 상기 키들 외에 상기 PDA(20)의 디스플레이부(24)에 표시된 선택바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선택바 이동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바 이동부(26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퀴형상의 이동체(264)와 상기 이동체(264)에 삽입된 로드형상의 고정체(262)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체(264)는 상기 고정체(262) 상에서 직선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고정체(26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이동체(264)가 상기 고정체(262) 상에서 좌우로 직선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4)에 좌우로 배치된 복수의 주메뉴(25)중 어느 하나의 주메뉴(25)로 선택바를 이동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264)를 상하로 회전이동하면 상기 선택된 주메뉴(25)에 종속되고 상하로 나열된 부메뉴(26)사이로 선택바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케이스(10)의 회로기판(600)과 상기 PDA(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PDA(20)와 상기 회로기판(60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덮개(200)는 후술할 제 2 접속부(440)가 삽입되는 통로인 연결홀(240)을 가진다. 상기 연결홀(240)은 상기 덮개(200)에 형성된 상기 홈(220)내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600)은 그 후면 중 상기 연결홀(240)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상기 PDA(20)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 3 접속부(620)를 가진다.
도 9a는 홈 내에 USB포트가 형성된 PDA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b와 9c는 각각 도 9a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및 도 9a의 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a는 외부로 돌출된 USB포트를 가지는 PDA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b와 10c는 각각 도 10a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및 도 10a의 측면도이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슬라이더(300)의 상기 돌출부(360)에 장착되며, 상기 PDA(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접속부(First Connector Portion)(420)와 상기 회로기판(600)의 상기 제 3 접속부(620)와 연결되는 제 2 접속부(Second Connector Portion)를 구비한다.
일예에 의하면, 상기 PDA(20)는 상기 돌출부(360)와 마주보는 면(21)에 형성된 홈(23) 내에 USB포트(22)를 가진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상기 PDA(20)와 전기적 접속을 위해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300)의 상기 제 1 접속부(420)는 상기 홈(23)내로 삽입되도록 수평하게 돌출된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300)의 상기 제 2 접속부(440)는 상기 제 1 접속부(420)로부터 연장되며 위를 향해 볼록한 부분을 가지도록 꺾여진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록한 부분은 상기 PDA(20)가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덮개(200)에 형성된 상기 연결홀(240)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PDA(20)는 상술한 예와 달리 상기 돌출부(360)와 마주보는 면(21)에 외부로 돌출된 USB포트(22)를 가진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상기PDA(20)와 전기적 접속을 위해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400)의 상기 제 1 접속부(420)는 상기 USB포트(22)와 연결되도록 상기 USB포트(22)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로드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400)의 상기 제 2 접속부(420)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상기 제 1 접속부(420)로부터 연장되며 위를 향해 볼록한 부분을 가지도록 꺾여진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보관상태의 위치에 있는 PDA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사용상태의 위치에 있는 PD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 1 접속부(420)와 상기 PDA(20)의 USB포트(22)는 상기 케이스(10) 내에서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반해 상기 제 1 접속부(420)는 상기 PDA(20)가 상기 사용상태에 위치되기 전에는 상기 회로기판(600)의 상기 제 3 접속부(620)와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PDA(2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 상기 보관상태로 위치되면 키들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PDA(20)가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 PDA(20)가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접속부(420)는 상기 연결홀(240)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600)의 상기 제 3 접속부(620)와 접촉되고, 상기 PDA(20)와 상기 회로기판(6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접속부(420)는 상기 연결홀(240) 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DA(20)는 상기 케이스(10) 내에서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되면 자동적으로 파워 온(power on)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에서 벗어나면 자동적으로 파워 오프(power off)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인 케이스(10)는 상기 PDA(2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PDA(20)를 내부에 삽입하므로, 일반적인 PDA의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휴대할 수 있고, 상기 PDA(20)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PDA(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소정영역이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므로 일반적인 PDA에 비해 대략 2배 정도의 디스플레이부 및 키입력부를 위한 공간을 가지게 된다. 상기 PDA(20)에 입력을 위한 상기 키입력부(500)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므로 상기 PDA(20)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도 더 많은 수의 키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사용자의 손에 적합한 폭을 가지는 핸딩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키입력부(500)는 사용자가 상기 핸딩부(12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푸싱이 용이한 위치에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한손만으로도 상기 PDA(20)의 지지 및 키 입력을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PDA(20)의 메모리 확장이나 무선통신 기능을 위한 확장팩(7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확장팩(700)과 상기 PDA(20)의 전기적 연결은 다음과 같은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확장팩(7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확장팩(700)의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형성된 홀(19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의 공간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확장팩 접속부(720)와의 연결을 위한 상기 PDA(20)의 USB포트는 상기 PDA(20)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바닥면 중 상기 PDA(20)가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홀(190)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휴대형 단말기로서 PDA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의 권리범위를 PDA를 보관 및 지지하는 케이스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PDA외에도 휴대폰, 무선통신장치와 같은 휴대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케이스상에 키입력부가 부착되므로 동일한 사이즈의 일반적인 PDA에 비해 대략 두배에 가까운 액정표시화면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PDA가 사용상태에 위치될 때 PDA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부분 전체를 감싸는 형상으로 PDA를 지지하므로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PDA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PDA를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한손으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핸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PDA처럼 PDA를 지지하고 키를 입력하기 위해 양손을 모두 사용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다.
넷째, 키입력부를 덮개상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핸딩부를 잡은 상태에서 푸싱이 용이한 위치에 장착하므로써, 사용자는 매우 쉽게 키들을 푸싱할 수 있다.
다섯째, 키입력부를 덮개 전체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키입력부상에 더 많은 수의 키들을 배치할 수 있다.
여섯째, 키입력부부분이 탈착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의 문자입력방식을 가진 키입력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곱째, PDA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PDA를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PDA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PDA를 지지하므로, 일반적인 PDA처럼 케이스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

Claims (22)

  1. 휴대형 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삽입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되는 통로인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되거나 분리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단말기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및 회로기판과;그리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상기 단말기의 소정영역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될 때 상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의해 하우징내에 삽입된 상태인 보관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상기 소정영역이 노출된 상태인 사용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단말기와 함께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상태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레그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레그부 가이드 홈과 상기 로드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로드부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그부가 상기 레그부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로드부 가이드 홈에 이르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깊게 패이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홈의 두께에 상응되도록 상기 개구부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하방향으로 눌러지는 힘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위치되며, 상기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2 접속부와 접속되는 제 3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3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사용상태의 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은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와 연결되는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는 상기단말기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홈내에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와 연결되도록 박판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2 접속부는 위를 향해 볼록한 부분을 가지는 로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탄성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와 연결되는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 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 2 접속부는 위를 향해 볼록한 부분을 가지도록 꺽여진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접속부는 탄성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말기가 사용상태에 위치될 때 상기 하우징을 핸딩하기 위한 핸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폭을 가지며,
    상기 핸딩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좁은 폭을 가진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면 아래에 위치되는 확장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바닥면에 상기 확장팩과 전기적 접속을 위해 아래로 돌출된 USB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팩은 상기 단말기가 사용상태에 위치될 때, 상기 단말기의 USB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로 돌출된 확장팩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는 그 양측에 상기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윙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덮개로부터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21. 휴대형 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삽입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상기 단말기가 이동되는통로인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되거나 분리가능한 덮개와;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소정영역이 이탈될 때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된 상기 단말기의 일부분을 감싸는 상기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된 상태인 보관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상기 소정영역이 노출된 상태인 사용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KR1020020070510A 2002-11-13 2002-11-13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KR20040042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10A KR20040042293A (ko) 2002-11-13 2002-11-13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10A KR20040042293A (ko) 2002-11-13 2002-11-13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93A true KR20040042293A (ko) 2004-05-20

Family

ID=3733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510A KR20040042293A (ko) 2002-11-13 2002-11-13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2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36B1 (ko) * 2007-03-30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및장치
WO2009059181A2 (en) * 2007-10-31 2009-05-07 Steven Woud Case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01A (ko) * 2001-04-24 2001-11-09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6317313B1 (en) * 1999-11-09 2001-11-13 Interlogix, Inc. Case and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2164985A (ja) * 2000-09-14 2002-06-07 Mutsumi Bussan Kk 収納ケース
US20020126440A1 (en) * 2001-02-07 2002-09-12 Palm, Inc. Miniature keyboard for a hand held compu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313B1 (en) * 1999-11-09 2001-11-13 Interlogix, Inc. Case and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2164985A (ja) * 2000-09-14 2002-06-07 Mutsumi Bussan Kk 収納ケース
US20020126440A1 (en) * 2001-02-07 2002-09-12 Palm, Inc. Miniature keyboard for a hand held computer
KR20010099001A (ko) * 2001-04-24 2001-11-09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36B1 (ko) * 2007-03-30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및장치
WO2009059181A2 (en) * 2007-10-31 2009-05-07 Steven Woud Case battery
WO2009059181A3 (en) * 2007-10-31 2009-09-24 Steven Woud Case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360B1 (ko)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US8054614B2 (en) Cover for device
US6495784B2 (en)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US20060252471A1 (en) Tilting and sliding mobile device
US8200298B2 (en) Keypad housing configuration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CN101185045B (zh) 两部分式多功能电子设备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US20090061956A1 (en) Hous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construction to slide and pivot into multiple positions
US20090186662A1 (en)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JPH11282608A (ja) キーボード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携帯型情報装置
KR20120011812A (ko)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JP3107054U (ja) キーボードモジュール
CN101110849B (zh) 移动电话
JP2002328762A (ja) キーボードユニット
KR20040042293A (ko) 키입력부가 부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US20130111097A1 (en) Docking station
JP4340088B2 (ja) 携帯端末
US8607977B2 (en) Keyboard unit with cradling function
JPH08123760A (ja) 携帯型電子機器
CN219020426U (zh) 移动终端保护壳及电子设备
CN102111462A (zh) 芯片卡固持装置
JP4457053B2 (ja) Simカード装着可能な携帯通信機器
EP2360841B1 (en) Electronic assembly for securing a SIM card
CN220773561U (zh) 输入装置及电子设备
JP2003186572A (ja) 装着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