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431A - 소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통한 데이터 입력을 향상시키는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통한 데이터 입력을 향상시키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431A
KR20040040431A KR10-2004-7000476A KR20047000476A KR20040040431A KR 20040040431 A KR20040040431 A KR 20040040431A KR 20047000476 A KR20047000476 A KR 20047000476A KR 20040040431 A KR20040040431 A KR 20040040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eypad
electronic device
key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530B1 (ko
Inventor
벤자민 피루쯔 가사빈
Original Assignee
벤자민 피루쯔 가사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자민 피루쯔 가사빈 filed Critical 벤자민 피루쯔 가사빈
Publication of KR2004004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4Interfacing with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to provide access to telephonic functionalities, e.g. accepting a call, reading or composing a message
    • H04M1/724095Worn on the wrist, hand or 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802)를 포함하는 신장가능부를 구비한 전자장치(1800)에 관한 것으로, 열린 위치에서, 신장가능 마이크(1802)는 사용자의 입을 향하여 신장된다. 또한, 장치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마이크(1082)는 사용자의 음성/스피치와 키 누름을 조합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서 사용된다. 키 상의 심볼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대응하는 키를 누르고 동시에 심볼들을 말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통한 데이터 입력을 향상시키는 장치{FEATURES TO ENHANCE DATA ENTRY THROUGH A SMALL DATA ENTRY UNIT}
관련 출원
본 PCT 출원은 2001년 7월 12일 제출된, "Extendable Microphone"으로 표제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0/304,845호; 2001년 9월 25일 제출된, "Method of Correction and Repeating of Symbols and Words"로 표제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0/324,581호; 2001년 10월 9일 제출된, "Metod of Configuration of Symbols on a Keypad and, Additional Features to Enhance Data Entry Through a Keypad"로 표제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0/328,002호; 및 2001년 12월 5일 제출된 "Features to Enhance Data Entry Through a Small Data Entry Unit"로 표제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0/337,425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하 기술되는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입력과, 특히, 사용자의 음성/스피치 및 키패드 상의 키 상호작용들(예를 들면 키 누름)을 조합한 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입력 방법을 위해, 한정된 수의 키를 구비한 소형 키보드 상의 문자들, 구두점, 기능들 등(예를 들면, 컴퓨터 키보드 상의 심볼들)의 심볼들의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이러한 키패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키 누름 및 음성/스피치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을 위한 일체화된 키보드(10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키패드의 키들은 이들과의 하나 이상의 유형의 상호작용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상호작용은 이를테면,
- 특정의 손가락 혹은 손가락의 부분으로 키를 누르는 것(손가락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 키를 1회 두드리는 것(tap), 혹은 키를 2회 두드리는 것(예를 들면, 2번 연속하여 짧은 시간간격으로 2번 연속하여 누름),
- 키를 약간 누르는 것(혹은 터치), 혹은 키를 세게 누르는 것,
- 키와 짧은 시간 상호작용(예를 들면, 키를 짧은 시간 누르는 것) 혹은 키를 긴 시간 누르는 것,
- 등...
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상호작용 각각에 혹은 이들을 키패드의 키들과 어떤 조합시킨 것에 상기 키패드 상의 일군의 심볼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100)의 키들의 상측에 보인 심볼들은 키패드의 키들을 1회 누름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101)를 누른다면, 심볼 "DEF3"가 선택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키패드(100)의 키들의 하측에 구성된 심볼들은 예를 들면 상기 키들을 1회 두드리는 것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100)를 1회 두드리면, 심볼들 "{}"이 선택된다.
키패드의 키들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따라 앞서 기술된 것들과 같이 다른 상호작용들로 이러한 선택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101)를 약간 누르는 것(혹은 터치)은 상기 키의 상측에 구성된 심볼들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고, 이 키를 세게 누르는 것은 상기 키의 하측에 구성된 심볼들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와 상호작용할 때, 인식 시스템은 상기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되는 상기 키 상의 심볼들을 후보로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102)를 터치 혹은 약하게 누른다면, 심볼들, "A", "B", "C", "2", 및 ","이 후보로 된다. 상기 후보로 된 심볼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심볼 혹은 상기 키 상의 상기 심볼의 위치 호칭(appellation)을 말로 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음성/스피치 인식 시스템이 사용된다.
사용자가 말로 하지 않는다면, 이들 후보 심볼들 중 선정된 심볼이 내정심볼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박스(103)에 보인 구두점 ","이 선택된다. 다른 후보 심볼들 중 하나, 예를 들면 "B"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를 말로 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가 키(102)를 세게 누른다면, 심볼들 "[", "]", 및 "'"이 후보로 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말로 하지 않는다면, 상기 누름 동작에 의해 선택된 것들 중 선정된 심볼이 내정심볼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구두점 "'"이 선택된다. 또한 이 예에서, 2개의 다른 후보 심볼 "[", 혹은 "]" 중 원하는 심볼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를테면 상기 원하는 심볼을 말로 하고, 및/또는 다른 심볼들에 관한 그 심볼의 위치를 말로하고, 및/또는 그 심볼의 색을 말로하고(각 심볼이 서로 다른 색을 갖고 있다면), 및/또는 상기 심볼에 할당된 어떤 선정된 호칭(예를 들면, 선정된 음성이나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사운드)과 같은 서로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좌측"이라고 말하면, 문자 "["가 선택된다. 사용자가 "우측"이라고 말하면, 문자 "]"가 선택된다.
물론, 음성/스피치를 사용하는 대신, 키 상호작용에 조합된 사용자의 행동으로 심볼이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키(10)를 세게 누르고 손가락을 원하는 심볼쪽으로 세게 밀 수도 있다.
전술한 데이터 입력 방법은 또한 상기 키들과의 단일 유형의 상호작용에 응답하는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예를 들면, 푸시버튼들 구비한 표준 전화 키패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들과의 단일 상호작용에 응답하는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200). 사용자가 키를 누를 때, 상기 키 상의 모든 심볼들이 시스템에 의해 후보로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202)를 누르면, 심볼들, "A", "B", "C", "2", ",", "[", "]"이 후보로 된다.
이 예에서, 사용자가 말로 하지 않는다면, 시스템은 선정된 내정심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구두점 ","(202)이 선택된다.
이 예에서, 상기 후보들 중 원하는 심볼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키 상의 혹은 상기 키 상의 다른 심볼들에 관해, 원하는 심볼을 말로 하거나, 예를 들면, 상기 심볼의 위치 호칭, 혹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어떤 다른 호칭을 말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의 상측에 구성된 것들 중 심볼(예를 들면, "A", "B", "C" 혹은 "2")은 이를 말로 함으로써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예를 들면, 키의 하측에 구성된 심볼들 중 하나(예를 들면, "[", 혹은 "]")는 상기 키의 하측의 두 개의 다른 심볼들에 대한 그의 위치를 말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좌측", "중간", 혹은 "우측"이라고 말함으로써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04)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키(202)를 누르고 "좌측"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의 키패드의 키들은 이들과의 적어도 2개의 선정된 상호작용 유형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의 키와의 각 유형의 상호작용은 상기 키 상의 일군의 상기 문자들을 후보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를테면, 텍스트를 기입하는 등의 데이터 입력 중에, 키들과의 서로 상이한 상호작용(예를 들면, 1회 두드림, 2회 두드림) 및 상기 키 상호작용과 조합된 서로 상이한 사용자 행동(예를 들면, 말로 하거나, 말로 하지 않는)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데이터 입력방법이 신속하고 쉬운 데이터 입력일지라도, 이 발명의 키패드의 키들 상의 심볼들의 양호한 구성이 훨씬 더 쉽고 신속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이 되게 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하 기술하도록 하겠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심볼들(예를 들면, 컴퓨터 키보드 상의 심볼들)은 물리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이들의 우선순위(예를 들면, 사용빈도, 표준 전화 키패드 상의 문자들 및 숫자들과 같은 어떤 심볼들의 기존의 배열에 사용자의 익숙함)에 의해 전화 키패드 키들에 다음과 같이 배열된다.
키들과의 제1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되는 제1 그룹
a) 음성/스피치를 사용한 제1 서브-그룹
숫자 0-9, 및 문자들 A-Z는 표준 구성에 따라 키패드의 키들에 배치되고 상기 키들과의 제1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제1 레벨의 누름)에 할당될 수 있다. 이들 중 원하는 심볼은 대응하는 키와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상기 제1 유형의 상호작용)과 자연스럽게 상기 심볼을 말로 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심볼들(예를 들면 301)은 키들의 상측에 구성된다.
문자들 및 숫자들은 예를 들면 텍스트 입력 중에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예를 들면 대응하는 키들을 두드리면서 자연스럽게 말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신속하고 쉬운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 이들은 키패드의 키들과의 동일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음성/스피치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서브-그룹
데이터(예를 들면, 텍스트) 입력 중에 빈번히 사용되는 다른 심볼들(예를 들면, 구두점, 기능, 등)의 적어도 일부가 키패드의 키들에 배치되고 상기 키들과의 상기 제1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1회 두드림)에 할당될 수 있다. 내정으로서, 원하는 심볼은 스피치/음성을 사용하지 않고 대응하는 키와의 상기 상호작용만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상기 심볼들(예를 들면 302)은 키들의 상측의 박스들에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심볼들은 대응하는 키와의 상호작용하면서 이들을 말로 함으로써 선택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류의 심볼들(예를 들면, 구두점, 기능)을 말로 하는것은 항시 자연적인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을 말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적어도 한 키와의 적어도 제2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된 적어도 제2 그룹
나머지 심볼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키패드의 상기 키들과의 적어도 제2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될 수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2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c) 음성/스피치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서브-그룹
빈번히 사용되는 나머지 심볼들과 발음하기 어렵고 및/또는 자연스럽지 못한 것들을 포함하는 제2 서브-그룹은 상기 키패드(키 당 한 심볼)의 상기 키들에 배치되고 상기 키들과의 제2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2회 두드림, 더 센 누름 레벨, 동시에 눌려진 2개의 키, 키를 터치하는 손가락 부분, 등)에 할당될 수 있다.
내정으로서, 원하는 심볼은 스피치/음성을 사용하지 않고 대응하는 키와의 상기 상호작용만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심볼들(예를 들면 303)은 키들의 하측에 박스들에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심볼들은 대응하는 키와 상호작용하면서 이들을 말로 함으로써 선택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류의 심볼들(예를 들면, 구두점, 기능)을 말로 하는 것은 항시 자연스런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을 말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음성/스피치를 사용하는 적어도 제4 서브-그룹
나머지 심볼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4 서브-그룹은 또한 상기 키패드의 키들과의 상기 제2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되고 음성과 같은 사용자의 행동과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심볼들(예를 들면 304)은 키들의 하측에 구성된다. 상기 심볼들은 대응하는 키와의 상기 제2 유형의 상호작용 및 다음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음성/스피치의 사용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 자연스럽게 호칭을 발음함으로써 선택되는 심볼들.
- 예를 들면 "좌측, 우측, 엶, 닫음, 등"으로 말함으로써, 키 상의 서로에 대한 심볼들의 위치 혹은 이 예에서 텍스트(예를 들면, 이 예에서 "<", ">", 이들 심볼들은 상기 제2 유형의 상호작용에 속하지 않으며, 이것은 단지 예일 뿐임) 중에 이들을 사용하면서 이들 심볼들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말로 함으로써 선택되는 이러한 심볼들.
- 매우 드물게 사용되는(이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음) 및/또는 발음하기 어려운(예를 들면 304) 심볼들. 빠르고 쉬운 데이터 입력 방법을 위해서, 상기 심볼들은 키 상의 이들의 위치, 혹은 상기 키 상의 서로에 대한 이들의 위치를 말로 함으로써 선택될 수도 있다. 물론, 이들은 이들을 발음하는 등의 다른 스피치를 사용함으로써 선택될 수도 있다.
e) 기타
필요하다면, "F1-F12"와 같은 다른 심볼들이 키패드의 키들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어떤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상기 제2 유형의 상호작용(스피치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에 할당되거나, 혹은 다른 모드로 가기 위해 스위치를 사용하여, 또 다른 종류의 상호작용, 이를테면 두 개의 키들을 동시에 누르거나, 대응하는 키(들)를 3회 두드리는 것에 할당될 수 있다.
키패드를 향상시키기 위한 고찰 및 이의 사용
숫자들 0-9, 및 문자들 A-Z은 표준 구성에 따라 키패드의 키들에 배치되고 상기 키들을 스피치와 조합한 제1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제1 레벨의 누름, 1회 두드림, 등)에 할당될 수 있기 때문에, 311, 312, 313, 314와 같은 어떤 키들은 상기 구성에서 사용되는 기껏해야 한 심볼(예를 들면 키(311) 상의 숫자 1, 키(313) 상의 숫자 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들의 보다 나은 사용을 위해서, 발음하기에 어떤 쉽고 자연적인 심볼들(321-324)이 상기 키들에 부가되고 상기 제1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키(311)와의 제1 유형의 상호작용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좌측" 혹은 "엶"이라고 말함으로써 문자 "("를 선택할 수 있다. 문자 "("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키(311)와의 동일 제1 유형의 상호작용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우측" 혹은 "닫음"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이것은 신속하고, 보다 중요한 것은, 상기 심볼들의 자연적인 말하기이다. 상기 제1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된, 상기 키들(311-314) 상의 후보 심볼 수는 다른 키들 상의 것들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음성 인식 시스템은 다른 키들에 대해 유사한 정도의 정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어떤 심볼들은 양 모드들(키들과의 상호작용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심볼들은 키패드에 한번 이상(예를 들면, 단일 키에 혹은 다른 키들에) 구성되고 대응하는 키들과의 제1 및/또는 제2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될 수 있다.
도 3은 컴퓨터 데이터 입력 시스템용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키패드(300)의 키들은 이들에 대한 두 가지 이상의 서로 상이한상호작용(이를테면 서로 다른 레벨의 누름, 1회 혹은 2회 두드림, 등)에 응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심볼들, 이를테면 영문자, 구두점, 기능, 및 PC 명령이 다음과 같이 상기 키들 간에 분배된다.
모드 1
제1 그룹- 문자 A-Z 및 숫자 0-9는 텍스트 작성과 같은 데이터 입력 중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심볼들이다. 이들은 대응하는 키들을 누르면서 쉽고, 가장 중요하게는 자연스럽게 발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키를 1회 두드림(예를 들면 1회 누름)과 같은 동일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제1 모드)에 속하는 것인 키들의 동일 측에 함께 배열되어 이들을 발음함으로써 선택된다.
제2 그룹- 텍스트 쓰기와 같은 데이터 입력 중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구두점과 같은 문자들, 및 기능들은 상기 글자들 및 숫자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동일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상기 제1 모드)에 속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중에, 가능한 한 많이, 키들과의 동일 유형의 상호작용에 머무르게 한다. 각각의 키는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문자들 중 하나만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그룹의 심볼들은 음성을 사용함이 없이, 대응하는 키를 누르는 것만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보다 나은 구별을 위해서, 이들을 키들의 상측의 박스들(예를 들면, 문자들 및 숫자들에 대 동일한 측)에 나타내었다.
모드 2
상기 개수의 심볼의 다른 심볼들을 키패드의 키들의 하측에 보였다. 이들은 상기 키들과의 제2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1회 두드림)에 할당된다.
제3 그룹- 내정 심볼들(예를 들면, 키와의 상호작용을 요하지만 음성 사용은 필요로 하지 않는 것들)을 박스들에 보였다. 상기 심볼들은 사용자들에 의 현재 덜 사용되는 문자들, 구두점들, 기능들 등을 포함한다.
제4 그룹- 마지막으로 데이터 입력에서 드물게 사용되며, 자연스럽게 철자가 발음되지 않은 심볼들이 이 예에 속하고 키들의 하측의 좌측에 놓인다. 이들은 대응하는 키와의 대응하는 상호작용(예를 들면, 2회 두드림)과, 이들을 발음하거나, 상기 심볼들에 할당된 선정된 스피치 혹은 음성을 말로 함으로써(예를 들면, "좌, 우", 혹은 "청, 적" 등) 선택될 수 있다.
이들과의 서로 상이한 유형의 상호작용(바람직하게는 키들의 사용이 복잡하게 되지 않도록 2가지 유형들)에 대응하는 키들을 구비하고 발음을 요하지 않는(예를 들면, 내정된 것) 어떤 심볼들을 갖는 키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키패드의 키가 상호작용될 때, 원하는 키가 직접 상호작용되거나(예를 들면, 내정에 의해), 음성/스피치와 같은 사용자 행동에 의해 선택할 후보 심볼들의 최소로 된다. 이것은 음성 인식 시스템의 정확성을 말하여 준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약하게 키를 눌렀을 때, 시스템은 상기 키에 놓인 심볼들 중에서 상기 키의 상측에 심볼들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동시에 음성을 사용한다면,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심볼들 중에서 음성을 요하는 심볼들을 선택한다. 후보 수를 줄이고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음성 인식 기술을 요하는 이 과정은 한정된 수의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를 통해 높은 정확성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감소 과정은 이를테면 키를 누르고/누르거나 말로 하는 등의 사용자의자연적인 행동에 의해 행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들(411, 412, 413, 414)은 음성 상호작용을 요하며 상기 키들과의 제1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된 한 심볼(상기 키들의 상측에 도시된)까지를 갖는다. 반면, 하측의 동일 키들은 상기 키들과의 동일 유형의 상호작용을 요하며 또한 음성 상호작용을 요하는 두 개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심볼들은 동일 범주에 속하는 다른 심볼들보다 더 빈번하게(예를 들면, 산술 데이터 입력이나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때, 등)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리고 키들과의 상호작용하는 중에(예를 들면, 누르는 것) 사용자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심볼들은 상기 키들과의 상기 제1 유형의 상호작용에 할당되어 있을 수도 있다. 총 후보 심볼은 적어진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상기 키를 누르고 발음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키패드에 추가의 배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 및 "_", "'" 및 "'", 혹은 ";", 및 ":"은 같은 키(411)에 혹은 이웃한 2개의 키들(415, 416)에 내정된 심볼들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Sp" 및 " "(예를 들면 탭)은 내정 심볼들로서 간주될 수 있고 동일 키(412)에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 각각은 상기 키와의 서로 다른 유형의 상호작용(예를 들면, 누르는 레벨)에 응답한다. 예를 들면, 키(412)를 1회 누름으로써, 문자 "Sp"가 선택된다. 같은 키를 1회 두드림으로써, "탭" 기능이 선택된다.
키와의 상호작용 중에(예를 들면, 키를 1회 누르거나 이를 2회 두드리는 것), 이 키를 해체하지 않음으로써, 이 상호작용(필요하다면 스피치를 포함함)에대응하는 심볼이 선택될 수 있고 키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415)를 2회 두드리고 2회째 두드린 후 키를 누른 상태를 유지하고 발음은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상호작용에 할당된 내정 심볼(예를 들면, "&")이 선택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를 해제할 때까지 반복된다. 글자 "X"를 입력하고 이를 반복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키(415)(이를 해제시키진 않고)를 누르고 "X"를 발음한다. 글자 "X"는 사용자가 상기 키를 해제할 때까지 반복될 것이다.
또한, 키패드가 보다 익숙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문자들, 숫자들, 및 "#" 및 "*"와 같은 기호가 표준 전화 키패드 구성에 따라 상기 키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심볼들의 일부 혹은 추가의 심볼들을 포함하기 위해서 상기 키패드의 키들로부터 따로 배치된 추가의 키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의 예에서, 키패드(600)의 키들에서 따로 배치된 적어도 한 키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들로 커서가 이동된다. 단일의 키(601)가 모든 방향(602)에 할당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대응하는 방향들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키를 누르고 "위, 아래, 좌, 우"로 말 할 수도 있다. 키(601)는 또한 복수 방향 키일 수도 있다(예를 들면, 비디오 게임들에서 혹은 메뉴 이동을 위해 일부 셀룰라 전화에서 사용되는 것들). 사용자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키(601)의 상측, 우측, 하측, 좌측을 누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추가의 키들이 예를 들면 적어도 " "와 같은 심볼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추가 키들은 전자장치 상의 현존의 키들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셀룰라 전화에서, 표준 전화 키패드의 12키들 외에, 메뉴 키 혹은 키 온 등의 추가 기능 키들이 제공되고, 이들 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시스템이 예를 들면 텍스트 입력 모드에 있는 중에 다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추가 데이터 입력 키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표준 전화 키패드 키들 상의 어떤 공간들을 자유롭게 한다. 자유롭게 된 공간들로 인해서 음성 인식 시스템의 정확도가 더 나아지게 되고 키패드의 키들 상의 심볼들의 구성이 사용자에 더 친숙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방법 및 전에 보인 예들은 단지 예들로서 보인 것이다. 당연히 심볼들의 많은 다른 구성들과 키들과의 서로 다른 사용자 상호작용들에의 서로 다른 할당이 생각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는 내정 심볼을 갖지 않거나, 음성/스피치에 할당되는 심볼들이 키에 없을 수도 있다.
또한 키패드의 모든 키들이 동일 종류의 상호작용에 응답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키패드의 제1 키는 동일 키패드의 또 다른 키가 이 키의 1회 혹은 2회 두드림에 응답하면서 두 레벨의 누름에 응답할 수도 있다.
도 1-7은 키패드들의 키들 상의 심볼들의 서로 다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에 의해서, 컴퓨터 키패드를 통해 전체 텍스트 데이터 입력과 같은 전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문자들, 구두점, 기능 등과 같은 기호들을 하나씩 입력함으로써, 단어들 및 문장들이 입력될 수 있다.
이것은 이미 사용 중의 많은 애플리케이션 및 방법들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전기통신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들 중 일부를 이하 열거한다. 전술한 상호작용들 중 임의의 조합이 원하는 심볼을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은 다른 상호작용 없이 문자와 같은 원하는 심볼을 입력하기 위해 음성/스피치를 사용한다. 사용자는 구두점과 같은 심볼들을 말로 하지 않고 이들을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의 키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1회 누름, 2회 누름, 3회 누름 등).
심볼 정정 및 반복
잘못 입력된 심볼을 정정하기 위해서 서로 상이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심볼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키를 누르고 이 키에 구성된 상기 원하는 심볼을 말로 할 수도 있다. 음성/스피치 인식 시스템이 사용자의 스피치를 잘못 해석하여 시스템이 상기 키 상에 구성된 원하지 않는 심볼을 선택하는 것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 사용자가 다음 원하는 심볼을 입력하기 전에 잘못 입력된 심볼을 알게 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커서가 상기 잘못 입력된 심볼 다음에 위치함), 후술하는 정정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고,
b) 사용자가 적어도 다음 심볼을 입력한 후에 잘못 입력된 심볼을 알게 된 경우, 사용자는 먼저 이동기능을 갖는 키(101(도 1), 혹은 202(도 2))와 같은 대응하는 수단에 의해 텍스트 내를 이동하여, 상기 잘못 입력한 심볼 다음에 커서가 위치하게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후술하는 정정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잘못 입력된 심볼 다음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에, 사용자는 상기 대응하는 키를 다시 누르지 않고 상기 원하는 심볼을 다시 발음하거나 이의 위치 호칭을말로 할 수 있다. 시스템이 다시 동일 삭제된 심볼을 선택한다면, 상기 선택을 자동으로 거절하고 상기 키에 구성된 나머지 심볼들 중에서 심볼을 선택하는데, 이의 호칭 혹은 이의 위치 호칭은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에 대응하는 다음으로 가장 높은 확률에 상응한다. 여전히 오류 심볼이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다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심볼을 다시 발음하는 과정 및 상기 키 상의 나머지 심볼들 중 가장 높은 확률을 가진 다음 심볼이 상기 원하는 심볼이 시스템에 의해 선택될 때까지 계속된다.
예를 들면 두 레벨의 누름에 응답하는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를 사용하는 데이터 입력 시스템에서 정정시 인식 시스템은 먼저 상기 오류 심볼을 선택하는데 적용되는 누름 레벨에 속하는 동일 그룹의 심볼들에 속하는 것들 중에서 심볼을 선택하는 것을 진행한다. 이들 심볼들 중 어느 것도 사용자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시스템은 상기 키 상의 다른 누름 레벨에 속하는 심볼들 중에서 심볼을 선택하는 것으로 간다.
도 7b는 정정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어떤 이유로 사용자가 이미 입력된 심볼을 정정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이 정정과정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정정과정은 단계 3000에서 시작한다. 교체될 심볼과 동일한 키에 교체 심볼이 없다면(3010), 사용자는 교체될 심볼을 삭제하고(3020) 대응하는 키를 누름으로써 그리고 필요하다면 스피치와 더불어(3030) 교체심볼을 입력하고 과정에서 나간다(3110).
교체될 심볼과 동일한 키에 교체심볼이 있고(3040), 교체심볼이 스피치를 요하지 않는다면(3050), 시스템은 단계 3020 및 303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그에 따라 동작한 후 과정에서 나간다(3110).
교체될 심볼과 동일한 키에 교체심볼이 있고(3040), 교체심볼이 스피치를 요한다면(3060), 두 가지 가능성이 고려된다.
a) 커서가 교체될 심볼 다음에 놓여있지 않다(3070). 이 경우엔 사용자는 교체될 심볼 다음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다음 단계 3090으로 간다.
b) 커서가 교체될 심볼 다음에 놓여있다(3070)(예를 들면, 사용자가 잘못 입력된 심볼을 즉시 알게 된 경우). 이 경우 사용자는 다음 단계 3090으로 진행한다.
단계 3090에서, 사용자는 키를 누르지 않고 원하는 심볼을 말로 한다. 키를 누르지 않고 말로만 함으로써, 시스템은 커서 뒤에 놓인 키에 속하는 심볼이 동일 키에 속하는 또 다른 심볼에 의해 교체되어야 함을 안다. 그러면 시스템은 상기 스피치(3100)에 대응하는 가장 높은 확률의 상기 키 상의 나머지 심볼들(예를 들면 이미 선택된 심볼들은 제외시킴) 중에서 심볼을 선택할 것이다. 새로이 선택된 심볼이 여전히 원하지 않은 심볼(3110)이면, 시스템( 및 사용자)은 단계 3090에 다시 간다. 선택된 심볼이 원하는 것이면 시스템은 정정과정(3120)에서 나간다.
물론, 전술한 방법 대신에, 예를 들면 이미 입력된 심볼을 정정하기 위해 심볼을 수정하는 종래의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는 단순히 먼저 상기 심볼을 삭제한 후 대응하는 키를 누르고 필요하다면 스피치를 부가하여 새로운 심볼을다시 입력한다.
텍스트 입력 시스템은 또한 단어 레벨에 적용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사용자는 단어를 말하고 이를 키패드를 사용하여 타이핑한다). 동일한 텍스트 입력 과정은 단어 레벨의 입력(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단어들) 및 문자 레벨 입력을 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정정과정은 단어 레벨 데이터 입력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단어를 말하고 대응하는 키들을 누를 수도 있다. 이를테면 자음으로 끝나는 발음을 갖는 두 단어들과 유사한 키 누름들 간을 명확하게 하는 등의 어떤 이유로, 인식 시스템이 원하지 않은 단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원하는 단어를 상기 대응하는 키들을 다시 누르지 않고 다시 발음할 수도 있다. 이때 시스템은 상기 스피치에 대응하는 가장 높은 확률의 상기 키 누름들에 속하는 나머지 후보 단어들(이미 선택된 단어들인 제외시킴) 중에서 단어를 선택할 것이다. 새로이 선택된 단어가 여전히 원하는 것이 아니면, 사용자는 상기 단어를 다시 말로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은 상기 원하는 단어가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거나 다른 후보 단어가 없을 때까지 반복될 수도 있고, 다른 후보 단어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것과 같은 문자 입력 시스템에 의해 문자로 상기 원하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단어 레벨에서, 정정시, 커서는 상기 교체될 단어 다음에 위치되어야 함을 알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그리고 문자 정정 모드와의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서, 전체 단어(단어 정정 레벨)를 수정할 때, 사용자는 적어도 한 스페이스 문자가상기 단어 및 상기 커서를 분리하는 상기 교체될 단어 다음에 커서를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미 입력된 단어의 마지막 문자를 정정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문자 바로 다음에 커서가 놓여지게 하기 때문이다. 커서를 단어 다음의 적어도 한 스페이스 뒤에 놓여지게 하고(혹은 상기 단어가 이전 라인의 마지막 단어인 경우엔, 다음 라인 시작부분에) 키들을 누름이 없이 말로 함으로써, 시스템은 사용자가 커서 전의 마지막 단어를 정정하고자 함을 인식한다. 보다 나은 결과를 위해서는 교체될 단어가 구두점(예를 들면, ".", "?", 등)을 포함할 경우 커서는 구두점 다음 스페이스 뒤에 놓여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것은 경우에 따라선 사용자가 단어 끝에 놓여져야 하는 틀린 구두점을 수정하기를 원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구두점 다음에 커서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우발적인 정정을 피하기 위해서(예를 들면, 커서가 텍스트 내 어떤 곳에 위치하여 있고, 누군가가 데이터 입력을 할 의향 없이 말하고 있을 때), 서로 상이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중에 쉬고자하는 중엔 포즈(pause) 혹은 비-텍스트 키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따른 해결책은 커서가 텍스트 내 어떤 위치에 놓여진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엔(예를 들면 2초) 커서 전의 마지막 단어 혹은 문자의 어떠한 정정도 시스템이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단어 혹은 상기 문자를 정정하기를 원하다면, 사용자는 예를 들면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적어도 임의의 방향으로 한 이동) 상기 원하는 위치로 가져가게 할 수 있다. 커서가 원하는 위치에 다시 놓여지게 된 후에, 시작부터 시간이 카운트될 것이고 사용자는 상기 시간경과가 만기되기 전에 상기 단어 혹은 상기 문자를 정정하기 시작할 것이다.
심볼 반복
원하는 심볼을 반복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대응하는 키를 누르고 필요하다면 상기 심볼을 말로 하거나, 사용자는 대응하는 키 상의 상기 심볼의 위치 호칭 혹은 상기 키 상의 다른 심볼들에 따른 위치 호칭을 말로 한다. 그러면 시스템은 원하는 심볼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연달아 상기 키를 계속하여 누른다. 선정된 시간경과 후에,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심볼을 반복할 의도임을 인식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키를 누르는 것을 중지할 때까지 상기 심볼을 반복한다.
전술한 키 심볼 정정 및 반복 방법은, 다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회/2회 두드림, 누름 감응 키들, 동시에 눌려진 키들, 일부만에 눌려진 키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입력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전화 번호부
전화하기 위해서, 숫자로 전화를 거는 대신, 사용자는 이름(예를 들면, 사람, 회사 등)와 같은 어떤 정보에 의해 착신처를 입력할 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상기 수화측 주소 등과 같은 더 많은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중앙 디렉토리(central directory)가 상기 착신처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 수도 있다. 상기 착신처(예를 들면, 수화측)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전화회선들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원하는 정보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선택이 있다면, 대응하는 선택 리스트(예를 들면, 전화번호들, 혹은 상기 전화회선들에 할당된 이외 어떤 다른선정된 할당들)가 송화자의 전화에 전송되어 예를 들면 전화 상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전술한 전화거는 방법(예를 들면, 다이얼링)은 수화측의 전화번호로 수화측(예를 들면, 사람)에 전화하는 필요성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전화번호부를 가지고 다니거나 교환수의 도움을 사용할 필요성이 제거(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음성/스피치를 사용한 상호작용 디렉토리들
음성 디렉토리들이 회사들, 기관들 등에 의해 점점 더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측과의 상호작용 방법은 사용자들에겐 매우 시간 소비적이고 성가신 과정이다. 전화의 상대측의 음성 디렉토리를 들음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통신을 끊는다. 어떤 사람이 상기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하고자 할 때에도, 상당 시간을 보낸 후에, 송화자는 원하는 서비스 혹은 사람에 접속하지 않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모호성의 주된 이유는 음성 디렉토리 지시를 듣고 있을 때, 자주 사용자는 모든 옵션들을 알려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빈번히 사용자는 알려온 모든 선택들을 기억하지 못한다. 사용자는 이들 선택들을 다시 들어야 한다.
또한 빈번하게 음성 디렉토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 데이터 입력은 전화 키패드의 한정된 수의 키들 혹은 이를 통해 심볼들을 입력시키는 복잡성으로 인해 변화에 한계가 있다.
전술한 데이터 입력 방법은 디렉토리와의 신속한 시각적 상호작용을 가능케한다. 수화측은 송화자에게 시각적 상호작용 디렉토리를 전송할 수 있고 송화자는 거의 즉시에 모든 선택들을 보고, 자신의 전화 키패드(전술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을 사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질문에 응답 혹은 질문할 수 있다.
음성메일
음성메일은 텍스트 메일로 대치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이미 사용 중에 있다. 전술한 데이터 입력 방법의 잇점은 사용자가 다른 측에 답하거나 메시지를 작성해야 할 때 명백하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방법은 셀룰라 전화들과 같은 이동 전자장치들을 통한 메시지 발송 시스템들의 사용을 극적으로 향상시킨다. 가장 알려진 사용 중 하나는 SMS이다.
전화형 키패드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수는 상당하다. 이 발명의 데이터 입력 방법은 상기 장치의 키패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이 극적으로 향상되게 한다. 물론 이 방법은 전화형 키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패드의 적어도 한 키가 하나 이상의 심볼을 포함하는 어떠한 키패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복수 섹션 키패드
전술한 데이터 입력 방법을 사용한 키패드의 크기는 복수 섹션을 구비한 키패드를 사용함으로써도 여전히 최소로 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는 닫혀진 위치에서 크기가 최소이고(예를 들면, 가장 큰 섹션만큼의 크기. 예를 들면 성인 사용자의 손가락 끝의 크기 혹은 소형 키패드의 키의 크기만큼의 크기), 키패드가 연 위치에 있을 땐 원하는 대로 최대로 될 수 있다(섹션의 개수 및/ 및 열린 상태에 따라서).
이론적으로, 닫은 위치에서,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의 하나의 키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8은 적어도 3개의 섹션(801)을 포함하는 상기 키패드(8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섹션들 각각은 전화 키패드의 한 열(column)의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전화형 키패드(800)가 제공된다. 닫을 위치에서는 상기 키패드는 상기 섹션들 중 한 섹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키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상기 키패드(900)는 적어도 두 개의 섹션들(901-902)을 포함하는데, 제1 섹션(901)은 전화형 키패드의 두 열(911-912)의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의 제2 구획(902)은 상기 전화형 키패드의 적어도 제3 열(913)을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전화형 키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키패드는 또한 상기 제2 구획에 배열된 추가 열(914)의 키들을 구비할 수도 잇다. 닫은 위치(920)에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구획들 중 한 구획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10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4개의 섹션들(1001-1004)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 각각은 전화 키패드의 한 행의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전화형 키패드가 제공된다. 닫은 위치(1005)에서 상기 키패드의 길이는 상기 키패드의 한 행의 키들의 폭의 크기일 수 있다.
도 11은 적어도 두 개의 섹션들(1101-1102)을 포함하는 상기 키패드(1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 섹션은 전화형 키패드의 두 행의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의 제2 섹션은 상기 전화형 키패드의 다른 두 행의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전화형 키패드가 제공된다. 닫은 위치(1103)에서, 키패드의 길이는 상기 키패드의 한 행의 키들의 폭의 크기일 수 있다.
전수한 복수 섹션의 키패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이미 출원된 특허출원에 이미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 섹션의 키패드를 통한 전술한 데이터 입력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최소화된 사용하기 쉬운 완전한 데이터 입력 키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많은 장치, 특히 제한된 크기를 갖는 것들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심볼 구성은 상기 복수 섹션의 키패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복수 섹션의 키패드(1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키들(1201)을 갖는 섹션들 간 거리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예를 들면 키들을 포함하지 않는) 섹션(1202)이 키들을 포함하는 섹션들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키패드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섹션들 간 거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론 닫은 위치에서(1203) 키패드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키패드와 마우스 또는 포인트 클릭 장치를 일체화한 데이터 입력장치
일반적으로 키패드를 통해서 그리고 특히 이 발명의 키패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하 마우스라 하는 포인트 클릭 시스템을 데이터 앞측에 입력용 키패드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뒤측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13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 바닥(1301)에 쥔 셀룰라 전화(1300)와 같은 전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는 자신으로 손에 상기 장치(1300)를 쥐고 동시에 앞측에 위치한 키패드(1303)와 상기 장치의 뒤측에 위치한 마우스 또는 포인트 클릭 장치(도시생략)를 조작하기 위해서 단지 한 손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엄지(1302)는 키패드(1303)를 사용하고, 검지(1303)는 상기 마우스(뒤쪽에 있는)를 조작할 수 있다. 3개의 다른 손가락들(1305)은 사용자의 손에 장치를 쥐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장치의 뒤에 일체화된 마우스 혹은 포인트 클릭 장치는 컴퓨터 마우스와 기능성이 유사할 수 있다. 전화형 키패드나 상기 장치의 추가 키들 중 몇 개의 키들(예를 들면, 2개의 키)이 마우스 클릭 기능들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들(1308, 1318)은 상기 장치(1300)의 일체화된 마우스와 함께 기능할 수 있고 컴퓨터 마우스의 키들과 유사한 기능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들은 컴퓨터 마우스의 키들과 동일한 기능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장치의 화면(1307) 상에 표준 선택(포인터) 지시자(1306)를 이동시켜 이를 원하는 메뉴(1311)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마우스처럼, 상기 사용자는 이때, 예를 들면, 상기 표준 선택(포인터) 지시자(1306)가 가리키는 상기 원하는 메뉴(1311)를 선택 혹은 열기 위해서 상기 키패드(마우스에 할당된)의 선정된 키(1308)를 예를 들면 두드리거나(클릭) 2회 두드릴 수 있다(2번 클릭).
셀룰라 전화와 같은 이동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메뉴 리스트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장치에 회전버튼(1310)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원하는 메뉴(1311)가 화면(1307)에 나타난 후, 사용자는 마우스를 사용해 표준 선택(포인터) 지시자를 상기 원하는 메뉴에 가져가게 하여 이를 전화형 키패드(1303)의 키들(1313) 중 한 키 혹은 상기 장치 상의 추가 키들(1308) 중 한 키와 같은 선정된 키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컴퓨터와 같이, 이때 사용자는 관계된 메뉴 바(1312)를 열기 위해서 상기 키를 누를 수 있다. 상기 메뉴 바(1312)의 기능(13130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키를 누른 상태를 유지하고 표준 선택(포인터) 지시자(1306)를 상기 기능에 가져간 다음, 상기 키를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컴퓨터의 기능성들과 유사한 다른 기능성들은 상기 키패드 및 상기 마우스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에 할당된 상기 키들을 사용하는 대신, 사용자는 상기 키들의 기능들을 대치하기 위해서 선정된 음성/스피치 혹은 이외 다른 선정된 행동(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를 누르는 대신, 표준 선택(포인터) 지시자(1306)를 아이콘에 위치시킨 다음,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혹은 열기 위해서 "선택" 혹은 "엶"이라고 말로 할 수도 있다.
도 14는 이동전화(1400)와 같은 전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서로 상이한 아이콘들(1411-1414)이 상기 장치의 화면(1402) 상에 표시된다.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선택 및/또는 열기 위해서, 컴퓨터들과 같이, 마우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콘(1411)에 표준선택(포인터) 지시자(1403)를 가져갈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예를 들면 1회 누름으로써, 상기 키패드의 선정된 키(1404)에 의해 상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이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열기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상기 키패드의 선정된 키(1404)를 2회 두드릴 수도 있다.
전자장치의 뒤측에 일체화된 마우스는 임의의 유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5는 도 13-14에 도시한 것들과 같은 전자장치(1500)의 뒤쪽을 도시한 것이다. 마우스(1501)는 통상의 컴퓨터 마우스와 유사하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이것은 또한 책상과 같은 표면 위에 장치를 놓고 상기 마우스를 상기 표면을 스위핑함으로써 통상의 컴퓨터 마우스처럼 조작될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3-14에 도시한 것들과 같은 전자장치(1500)의 뒤쪽에 일체화된 또 다른 통상적인 유형의 마우스(감응성 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마우스(1601)는 종래의 컴퓨터 마우스와 유사하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장치를 쥐고 검지(1602)를 사용하여 상기 마우스를 사용(예를 들면 조작)한다. 따라서, 이 위치에 따라, 사용자는 엄지(도시생략)를 사용하여 상기 장치의 앞쪽에 위치한 키패드(도시생략)의 키들을 조작한다.
이동장치들은 한 손만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이동 중에 있을 때(예를 들면 버스나 기차에 있을 때) 사용자들은 기차에서 서 있는 동안 바를 잡거나 신문이나 가방을 들고 있기 위해 한 손을 사용하는 등의 다른 목적을 위해 다른 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전화와 같은 장치의 뒤쪽에 마우스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장치를 조작하여 한 손으로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장치의 키패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원한다면, 상기 사용자는 양 손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 및 이 장치의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은 이를 책상 위와 같은 표면에 놓고 통상의 컴퓨터 마우스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표면 위로 상기 장치를 활주하고 상기 키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이다.
전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마우스가 이동장치의 임의의 부분에 일체화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마우스는 상기 장치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는 상기 장치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전에 설명한 손가락들로 키패드와 동시에 조작될 수도 있다.
마우스가 본 설명 내내 사용되었지만 전자장치에 일체화되고 전화형 키패드와 조합되는 스타일러스 컴퓨터와 같은 어떤 포인트 클릭 데이터 입력 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유의한다.
외부 일체형 데이터 입력 유닛
또한, 키패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외부 일체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키보드(혹은 키패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데이터 입력수단을 요하는 전자장치들에 제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앞쪽에 키패드(예를 들면, 전화형 키패드)의 키들과뒤쪽 내에 일체화된 마우스를 구비한 일체형 데이터 입력 유닛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은 컴퓨터, PDA, 카메라, TV, 팩스기, 등의 원하는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9는 키보드(1901), 마우스(1902), 모니터(1903), 및 이외 컴퓨터 부속품들(도시생략)을 포함하는 컴퓨터(1900)를 도시한 것이다. 어떤 환경에서(예를 들면, 사용자가 모니터 앞에 책상의자에 앉기를 원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면서 침대에 누워있기를 선호할 때) 큰 키보드 및/또는 대응하는 마우스 대신에 사용자는 소형의 외부 일체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의 앞쪽에 배치되는 키패드의 키들(1911), 신장가능한 마이크(1906)일 수 있는 마이크,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앞에서 기술된)의 뒤측 내에 일체화된 마우스(도시생략) 등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외부 데이터 입력 유닛(190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은 상기 전자장치(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1900))에 접속될 수 있다(무선 혹은 유선으로). 앞에 기술된 것과 같은 일체형 데이터 입력 시스템(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키들의 상호작용을 겸비한 음성 인식 시스템들을 사용하는)이 상기 전자장치(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1900)) 내에 혹은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1904)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를 상기 전자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내에 일체화할 수도 있다. 상기 일체 데이터 입력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 상의 마이크 혹은 상기 전자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내의 마이크 중 하나 혹은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호작용 중에 보다 잘 보기 위해서, 특히 상기 컴퓨터(1900)와 같은 전자장치와 떨어져서 상호작용할 때, 이 발명의 상기 일체형 데이터 입력 유닛(1904)과 같은 상기 데이터 유닛 내에 디스플레이 유닛(1905)이 일체화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장치(1900)의 모니터(1903)와 떨어져 상호작용할 때,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1903)의 디스플레이(1910)의 전체를 볼 수 있다. 상기 모니터(1903)의 디스플레이(1910) 상의 화살표(1909) 주변의 접근 영역(1908) 혹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선택된 또 다른 영역이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1904)의 상기 디스플레이(1905) 상에 동시에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영역(1908)의 크기는 제조업자 혹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1908)의 크기는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1904)의 디스플레이(1905)의 크기에 가깝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상호작용의 접근한 영역(1908) 및/또는 원한다면 실제 크기로 볼 수 있게 한다(예를 들면, 데이터 입력 화면(1905) 상에서 상기 영역을 봄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1903)의 디스플레이(1910) 전체를 보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1904)의 디스플레이(1905) 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특정의 상호작용 접근 영역(1908)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키패드 마우스(도시생략, 키패드의 뒤쪽에 있음)를 사용하여 컴퓨터 디스플레이(1910) 상의 화살표(1909)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컴퓨터 디스플레이(1910) 상의 상기 화살표(1909) 및 이 화살표(1909) 주변의 영역(1909)이 키패드 디스플레이(1905) 상에 보여질 수도 있다.
파일을 여는 것과 같은 상호작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의 화면(1910) 상의 화살표(1909)를 이동시켜 이를 원하는 파일(1907)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된 영역들(1908) 및 상기 파일(1907)이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1905) 상에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1904)의 디스플레이(1905)를 양 눈에 접근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전자 장치(1900)(예를 들면, 컴퓨터)의 큰 디스플레이(1910) 전체를 보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1904)의 디스플레이(1905) 상에 자신의 상호작용들을 명백하게 볼 수 있다.
상기 상호작용 영역(1908)은 상이한 요구 혹은 정의에 따라 정의되고 달라 질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상호작용 영역은 화살표(1909)가 영역 중앙에 있거나 상기 영역이 상기 화살표의 우측, 좌측, 상측, 하측 등에 있는 영역인 화살표(1909) 주변 영역, 혹은 상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화살표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모니터의 화면 상의 임의의 영역일 수도 있다.
도 20은 컴퓨터(2001)에 접속되기 전의, 전술한 것과 같은 데이터 입력 유닛(200)을 도시한 것이다. 텍스트 입력과 같은 데이터 입력 중에, 상호작용 포인트(2003)(예를 들면, 커서) 주변의 영역(2002)이 키패드 디스플레이(2004) 상에 동시에 보여진다.
도 21a-21b는 전술한 데이터 입력 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서로 상이한 전자장치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a는 컴퓨터(2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21b는 TV(210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TV(2101)의 데이터 입력 유닛(2102)은 또한 상기 TV(2101)의 원격제어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2102)의 뒤측 내에 있인 마우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영화 혹은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콘(2104)에 선택 화살표(2103)를 위치시키고 이를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의 키(2105)를 2회 두드림(두 번 클릭)으로써 열 수 있다. 물론 상기 TV의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2102)은 TV를 통한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입력 혹은 TV, 케이블 TV 등을 통한 메시지 발송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발명의 통합 데이터 입력 시스템은 예를 들면 TV 모뎀(2106)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신장가능 마이크
셀룰라 전화와 같은 전자장치들에 신장가능 및/또는 회전가능 마이크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을 향해 신장되는 강성 마이크일 수 있다.
기술의 진보로, 기기들과 용이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입력 시스템 및 장치들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 이들 입력 시스템 대다수는 사용자가 입력할 데이터 혹은 명령들을 말로 하는 음성/스피치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것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자연스런 방법이기 때문에, 음성 인식 시스템은 상당히 보급되고 있다. 컴퓨터, 전화, 장난감, 및 그외 많은 기기들은 음성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러한 서로 상이한 종류의 데이터 입력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것은 좋은 입력 방법이긴 하나, 중요한 결점이 있다. 이것은 차단된(discrete) 입력 방법이 아니다. 대개 사용자는 자신이 말하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듣는 것을 원치 않으며, 한편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크기 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현격하게 극복(혹은 적어도 감소)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조용하게 말해야 한다. 음성 인식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스피치의 오역을 야기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되게 해야 한다.
이 발명의 요체는 기기들로부터 사용자의 입을 향해 신장하는 마이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데이터로서 사용하는 기기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를 사용하는 많은 잇점들이 있다. 이러한 마이크의 한 잇점은 상기 마이크를 상기 사용자의 입을 향해 신장시키고 마이크 가까이에서 말을 함으로써 음성/스피치 인식 시스템이 상기 음성/스피치를 더 잘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잇점은 상기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가까이 위치되게 함으으로써(예를 들면 입 옆에), 사용자는 마이크에 조용하게 말할 수 있다는 것(예를 들면 속삭이는 것)이다. 이것은 거의 조용하고 차단된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마이크의 또 다른 잇점은 대응하는 전자장치에 일체화되므로, 상기 마이크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에 가까이), 사용자는 손(들)으로 상기 마이크를 쥐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전자장치와 분리하여 상기 마이크를 휴대할 필요가 없다.
전자장치에, 혹은 전자장치에 접속될 외부 유닛으로서, 본 발명의 향상된 키패드, 마우스, 신장가능 마이크 및 앞에 설명된 방법들과 같은 방법의 데이터 입력 방법 등의 특징들을 조합함으로써, 완전히 향상된 데이터 입력 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한 손만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장치(예를 들면, 이동전화, PDA, 등)와 같은 전자장치를 쥐고, 향상된 키패드, 일체화된 마우스, 및 신장가능 마이크 등의 특징들을 모두를 사용하고, 동시에 자신의 자연스런 습관(예를 들면, 키패드의 키들을 누르고, 필요시 말을 하는)을 사용함으로써 신속하고, 쉽고 특히 자연스런 데이터 입력을 제공한다.
신장가능 마이크의 가장 중요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는 이동 통신장치들의 데이터 입력 시스템이 키패드 및 음성/스피치 인식 시스템의 사용을 겸비할 때이다. 이 방법에서 사용자는 키와 상호작용하며(예를 들면 이 키를 누름으로써), 동시에 예를 들면 상기 키 상의 심볼을 말로 할 수 있다. 원하는 심볼을 포함하는 키를 누르기 위해서, 사용자는 키패드를 볼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또한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데이터를 볼 필요가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심볼들을 조용하게 말로 하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 신장가능 마이크는 눈으로부터 이 키패드를 보는 데 충분히 멀리 이동전화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조용하게 말할 수 있게 마이크가 입에 가깝게 되게 한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바와 같이, 이들은 한 손으로 이동전화를 쥐고 이 손의 엄지로 키패드의 키들을 누른다. 다른 손은 마이크를 쥐거나 외부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 혹은 마이크를 입과의 최적의 관계로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기의 마이크가 무선이거나 이를 기기에 접속하는 부재가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졌다면, 사용자는 손가락 두 개 사이에 마이크를 손바닥에 위치하도록 쥘 수 있다. 그러면 손바닥을 입 주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말하는 중에 외부 잡음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데이터 입력 유닛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종류임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키패드 대신 터치 감응 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혹은 키패드를 필요로 함이 없이 음성 인식 시스템만을 갖출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룰라 전화 혹은 PDA와 같은 전자장치(18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801)는 상기 장치(1800)의 앞측에 위치된다. 마우스(도시생략)는 상기 장치(1800)의 뒤쪽에 위치된다. 신장가능 마이크(1802) 또한 상기 장치 내에 일체화된다. 상기 마이크는 신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위치(예를 들면 사용자의 앞 옆에)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입력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손만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높은 정확도로 신속하고 쉬운 데이터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 가까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스피치를 더 잘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에 조용하게 말을 수 있다(예를 들면, 속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의 조용한 데이터 입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으로서의 실시예에서, 도 18b 내지 도 18c는 키패드(1801)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이동전화(1800)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전화는 이의 단부에 마이크(1802)를 설치한 선회부(1803)를 갖추고 있다. 마이크를 입을 향해 확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전화에 조용하게 말할 수 있고 동시에 전화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를 볼 수 있어 결국 마이크에 말을 함과 동시에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8d는 회전하는 신장가능한 마이크(1810)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편한 관계로 기기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그에 따라 마이크를 회전시키고 신장시킴으로써, 마이크(1810)를 입 가까이에 혹은 원하는 위치에 가져갈 수 있게 한다. 마이크를 기기에 접속하는 부재는 서로 간에 따라 그리고 기기에 따라신장/회전되는 적어도 두 부분을 구비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들은 신장 혹은 집어넣기 위해서 접거나, 슬라이딩하거나, 신축자재로(telescopically) 등의 동작을 가질 수 있다.
도 18e 및 도 18f는 신축자재로 신장가능한 일체화된 회전하는 마이크(1820)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장가능부는 기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원한다면, 사용자는 이 부분을 밖으로 당겨 이를 자신의 입을 향해 신장시킬 수 있다. 마이크(1820)는 밖으로 당기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8g 및 도 18h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1831)를 포함하는 신장부재(1830)는 복수 섹션의 장치의 한 섹션일 수도 있다. 이 섹션은 상기 장치의 덮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마이크(1831)를 포함하는 섹션은 자체가 복수 섹션으로 되어 신장가능하게 및/또는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도 18i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신장가능 마이크(1840)는 컴퓨터 혹은 유사 장치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기기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반지에 부착될 수도 있고, 혹은 자체가 반지 형상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도 있다. 이 마이크는 상기 기기에 무선으로 혹은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있을 때,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입에 접근시켜 말한다.
도면에 도시한 기기들은 예로서 도시된 것임을 알 것이다. 신장가능 마이크는 임의의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신장부 상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있다.
통신장치에서,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장부는 상기 기기의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테나는 전술한 섹션들로서 제조될 수 있고, 일체화된 마이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신장가능한 마이크 외에, 기기는 적어도 한 추가의 통상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상기 신장가능 마이크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장가능 부재는 손으로 유지할 필요 없이 원하는 위치에 마이크가 위치될 수 있게 강 물질로 제조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보다 나은 조작을 위해서, 마이크를 포함하는 섹션은 반 강 혹은 연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펼치는/접는 방법과 같은 어떠한 신장시키는/집어넣는 방법들이든 사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체화된 키패드 및/또는 마우스 및/또는 신장가능한 마이크는 PDA, TV 리모콘, 이외 다양한 전자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장치들 내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TV의 리모콘 내에 상기 일체화된 키패드 및 마우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영화에 관한 TV 화면 상에 나타난 아이콘을 가리키고 상기 리모콘의 선정된 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영화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화된 키패드 및/또는 마우스 및/또는 신장가능 마이크는 별도의 장치로서 그리고 상기 전자장치에 접속되게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키패드는 단독으로, 혹은 상기 마우스 및/또는 상기 신장가능 마이크와 일체로 되어, 이 발명의 데이터 입력 방법과 같은 데이터 및 텍스트 입력 방법을 겸비할 수도 있다.
도 17은 향상된 키패드, 향상된 마우스, 신장가능 마이크, 및 이 발명의 데이터 입력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어떤 전자장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이 발명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모든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상선 전화를 통한 데이터 입력
전에 기술된 데이터 입력방법은 지상선 전화들 및 이들의 대응하는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전화 키패드의 각 키는 지상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송되는 선정된 톤을 발생한다. 전화 키패드의 12키에 할당된 12개의 선정된 톤들이 있다. 텍스트 입력과 같은 데이터 입력의 목적으로 지상선 전화 및 이의 키패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추가 톤들의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각 심볼에는 심볼에 할당된 발생된 톤에 따라 네트워크가 이 심볼을 인식하도록 상이한 톤이 할당될 수 있다.
손목에 착용하는 복수 섹션 데이터 입력 유닛
도 22a는 전술한 이 발명의 데이터 입력 유닛들(2201-2204)의 예를 든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섹션 키패드(2212-2222)를 구비할 수 있는 복수 섹션 데이터 입력 유닛(2202-2203)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복수 섹션 데이터 입력 유닛은 이 발명들의 특징들 전부 혹은 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일체형 데이터 이력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로서, 데이터 입력 유닛(2202)은 디스플레이(2213), 안테나(2214)(신장이 가능한), 마이크(2215)(신장이 가능한),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도시생략)의 뒤쪽에 일체화되는 마우스를 포함한다.
이 발명의 데이터 입력 유닛의 실시예는 손목에 착용할 수도 있다.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장치 내에 혹은 손목시계 밴드와 같은 시계줄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은 이 발명의 일체형 데이터 입력 유닛의 특징들 일부 혹은 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의 데이터 입력 유닛을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손목에 착용되는 데이터 입력 유닛은 임의의 전자장치의 데이터 입력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손목에 착용하는 데이터 입력 유닛을 원하는 전자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예를 들면 자신의 아파트 문을 열거나, TV와 상호작용하거나, 컴퓨터와 상호작용하거나, 전화번호로 전화는 거는 등을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전자장치들을 작동시키는 데에 이 데이터 입력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각 전자장치에 액세스 코드가 할당될 수 있다. 원하는 전자장치의 액세스 코드를 입력함으로써(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입력유닛을 통해),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과 상기 전자장치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2b는 PDA(2293)과 같은 휴대장치에 접속된(무선 혹은 유선(2292)으로) 이 발명의 손목 착용 데이터 입력 유닛(2290)(예를 들면 복수 섹션 키패드(2291)를구비한 복수 섹션 데이터 입력 유닛)(열린 위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수 섹션 데이터 입력 유닛(2290)은 본원에 기술된 특징들 일부 혹은 전부와 같은 추가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294), 안테나(2295), 마이크(2296), 및 마우스(2297)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 섹션 키패드는 손목 착용 장치/시계줄(2298)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공지된 서로 상이한 분리/부착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2301)이 시계줄(220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3b는 열린 위치에서의 상기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착탈가능 데이터 입력 유닛(2304)이 상기 하우징(230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3c는 열린 위치(2305) 및 닫은 위치(2306)에서의 상기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열린 위치(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을 사용할 때)에서,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의 요소들(2311)(예를 들면, 키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등의 일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덮개(2312) 내에 놓여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손목시계(2307)와 같은 장치는 동일 시계줄 내의 손목 상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입력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손목시계 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손목시계 밴드는 손목시계, 손목 카메라 등과 같은 임의의 손목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장치의 하우징은 착용자의 손목의 일측(2308)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다른 손목장치의 하우징은 상기 착용자의 손목의 반대 측(2308)에 위치할 수 있다. 손목시계와 같은 장치에 상기 손목밴드를 부착하기 위해서 통상의 손목시계 밴드 부착 수단(2310)(예를 들면, 바)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손목밴드 하우징은 어떤 다른 손목장치를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입력 유닛을 수용하는 대신에, 상기 손목 하우징은 손목전화와 같은 다양한 전자장치들을 수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손목착용 데이터 입력 유닛을 사용할 때 많은 잇점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예를 들면 주머니 안에, 그리고 손에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유연할 수 있는)을 구비한 전자장치를 지닐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손목착용 데이터 입력 유닛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 발명의 손목 착용 데이터 입력 유닛은 전자 뉴스 디스플레이(본 발명자에 의해 2000년 10월 27일 출원된 전자 뉴스 디스플레이에 관한 PCT 출원)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신장가능 디스플레이 유닛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유닛과 같은 전자장치 내에 혹은 휴대전화 내에 신장가능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4a는 닫은 위치에서의 신장가능 디스플레이 유닛(2400)을 도시한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 유닛은 강 및/또는 반 강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예를 들면 대응하는 힌지(2401)에 의해, 혹은 신축자재로 신장 혹은 집어넣음으로써, 혹은 어떤 수단에 의해 신장 및 집어넣게 하는 수단을 갖추어 접거나 펼 수 있다.
도 24b는 이 발명의 상기 신장가능 디스플레이(2400)를 구비한 이동전화와같은 이동 계산장치(2402)를 열린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열었을 때, 상기 신장가능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으로 편지를 작성할 때 혹은 웹 페이지를 열람할 때 사용자가 문서의 실제의 폭 크기로 보고 작업할 수 있게 하는 A4 표준 용지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25a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유닛(2500)을 닫은 위치에 도시한 것이다.
이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의 다른(예를 들면 외부) 측(2505)의 적어도 일부에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이것은 어떤 상황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펼치지 않고 이를 사용하기를 원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도 25b는 본 발명의 유연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전자장치(2501)를 열린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입력과 같은 전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전기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신장가능/비-신장 디스플레이 유닛, 본 발명의 마우스, 신장가능 마이크, 신장가능 카메라,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시스템, 음성 인식 시스템, 혹은 본원에 기술된 이외 어떤 다른 특징들, 사용자의 한 손에 쥐고 조작될 수 있는 완전한 데이터 입력/계산 장치와 같은 본 발명의 향상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춘, 이동 전화, PDA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환경의 계산/데이터 입력에서 사용자의 적어도 한 손은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신장가능 카메라
신장가능 마이크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신장가능 카메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 누름과 입모양 읽기(사용자의 음성/스피치 대신 혹은 이에 더하여)를 겸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신장가능 카메라를 대응하는 전자장치 혹은 데이터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6은 선회부(2601)를 갖춘 이동 계산장치(26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회부는 예를 들면 단부에 설치된 카메라(2602) 및/또는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를 사용자의 입을 향해 신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카메라에 말을 하고 카메라는 키 누름과 입모양의 조합을 사용하는 발명의 데이터 입력 중에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모양의 이미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와 자신의 전화의 키패드를 동시에 보고 결국 카메라에 말을 함과 동시에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신장가능부에 설치된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음성 인식 시스템에 전송할 수도 있다.
신장가능부(2601)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혹은 자체가 전자장치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이 발명의 데이터 입력 방법은 다른 데이터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심볼들을 키패드의 키들에 할당하는 대신, 상기 심볼들은 사용자의 손가락들(혹은 손가락 부분)과 같은 다른 객체들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음성/스피치 입력 대신(혹은 이에 더하여), 시스템은 키 누름과 함께/없이 조합하여 사용자의 입모양을 읽음으로써(이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의 키를 누르고 상기 키 상의 심볼들 중 원하는 문자를 말로할 수도 있다. 상기 키 누름과 조합하여 상기 문자를 발음하는 사용자의 입술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시스템은 의도된 문자를 쉽게 인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구성의 방법에 주어진 예를 샘플로서 보였다. 다양한 상이한 구성들 및 심볼들의 할당이, 필요로 된 데이터 입력 유닛에 따라 생각될 수도 있다. 이 구성 방법의 원리는 사용빈도, 자연스런 발음, 자연적인 비-구두점,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인자들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심볼 그룹들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이들에 우선 레이트들을 할당하여 이들을 할당하는 것이다. 최우선 레이트의 그룹(발음을 함께 한 혹은 발음하지 않는)이 가장 쉽고 가장 자연스러운 키 상호작용(예를 들면, 1회 누름)에 할당된다. 이 그룹은 또한 가장 높은 랭크의 비-발음 심볼들을 포함한다. 다음에 두 번째로 높은 우선도가 제2의 덜 쉬운 상호작용(예를 들면 2회 누름)에 할당되고, 등등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지적하였지만, 개시된 본 발명의 형태 및 상세에 다양한 생략 및 대치가 본 발명의 정신 내에서 이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한 것은 아니고 본질적으로 개념적인 것임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키패드의 각 키에 별도의 누름 시스템을 제공하는 대신에, 단일의 누름 감응 시스템(예를 들면, 누름 감응 패드)을 이들 모두에 제공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키들 위 혹은 아래에 단일의 큰 패드).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 이외의 다른 수단에 의해 키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는 키를 누르기 위해 펜을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음성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수용하는 신장가능부를 구비한 전자장치로서, 열린 위치에서, 상기 신장가능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을 향해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스피치와 키 누름을 조합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서 사용되며,
    키 상의 심볼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 대응하는 키를 누르고,
    동시에 상기 심볼을 말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가능부는 복수 섹션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키패드 및 포인트 클릭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유닛을 구비한 전자장치로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전자장치의 앞측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의 상기 포인트 클릭 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뒤측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한 손에 쥐어지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포인트 클릭 장치가 상기 손의 검지로 조작되고,
    상기 키패드가 상기 사용자의 동일 손의 엄지로 동시에 조작되게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을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신장가능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열린 위치에 상기 신장된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전자장치의 축에 대략 수직하여 위치되는 확장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또 다른 전자장치의 데이터 입력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 및 상기 또 다른 전자장치는 서로 간에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이력 유닛 및 상기 또 다른 전자장치 각각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유닛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또다른 전자장치에 표시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47000476A 2001-07-12 2002-07-12 소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통한 데이터 입력을 향상시키는장치 KR101134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484501P 2001-07-12 2001-07-12
US60/304,845 2001-07-12
US32458101P 2001-09-25 2001-09-25
US60/324,581 2001-09-25
US32800201P 2001-10-09 2001-10-09
US60/328,002 2001-10-09
US33742501P 2001-12-05 2001-12-05
US60/337,425 2001-12-05
PCT/US2002/022385 WO2003007288A1 (en) 2001-07-12 2002-07-12 Features to enhance data entry through a small data entry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59A Division KR101131003B1 (ko) 2001-07-12 2002-07-12 텍스트 입력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KR1020117002656A Division KR101128724B1 (ko) 2001-07-12 2002-07-12 데이터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431A true KR20040040431A (ko) 2004-05-12
KR101134530B1 KR101134530B1 (ko) 2012-07-02

Family

ID=275018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56A KR101128724B1 (ko) 2001-07-12 2002-07-12 데이터 입력 방법
KR1020047000476A KR101134530B1 (ko) 2001-07-12 2002-07-12 소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통한 데이터 입력을 향상시키는장치
KR1020117002659A KR101131003B1 (ko) 2001-07-12 2002-07-12 텍스트 입력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56A KR101128724B1 (ko) 2001-07-12 2002-07-12 데이터 입력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59A KR101131003B1 (ko) 2001-07-12 2002-07-12 텍스트 입력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169635A1 (ko)
EP (1) EP1412938A4 (ko)
JP (1) JP4601953B2 (ko)
KR (3) KR101128724B1 (ko)
CN (2) CN101727276A (ko)
AU (3) AU2002354685B2 (ko)
CA (1) CA2453446A1 (ko)
EA (1) EA009109B1 (ko)
WO (1) WO2003007288A1 (ko)
ZA (1) ZA2004010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43B1 (ko) * 2011-05-04 2011-06-28 화이버텍(주) 멀티 블레이드형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084B2 (en) * 1997-09-19 2008-07-29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Flexible software architecture for a call processing system
US8938688B2 (en) 1998-12-04 2015-01-20 Nuance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US7720682B2 (en) 1998-12-04 2010-05-18 Tegic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oice input to resolve ambiguous manually entered text input
US7712053B2 (en) 1998-12-04 2010-05-04 Tegic Communications, Inc.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US7881936B2 (en) 1998-12-04 2011-02-01 Tegic Communications, Inc. Multimodal disambiguation of speech recognition
US7679534B2 (en) 1998-12-04 2010-03-16 Tegic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KR100447458B1 (ko) * 2001-03-06 2004-09-07 강릉시 오죽 죽력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US7036077B2 (en) * 2002-03-22 2006-04-25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gestural interpretation in a system for selecting and arranging visible material in document images
US8583440B2 (en) * 2002-06-20 2013-11-12 Tegic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US20040263484A1 (en) * 2003-06-25 2004-12-30 Tapio Mantysalo Multifunctional UI input device for moblie terminals
US6935797B2 (en) * 2003-08-12 2005-08-30 Creative Technology Limited Keyboard with built-in microphone
GB2433002A (en) * 2003-09-25 2007-06-06 Canon Europa Nv Processing of Text Data involving an Ambiguous Keyboard and Method thereof.
JP4012143B2 (ja) * 2003-12-16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入力方法
US20050192802A1 (en) * 2004-02-11 2005-09-01 Alex Robinson Handwriting and voice input with automatic correction
GB0406451D0 (en) * 2004-03-23 2004-04-28 Patel Sanjay Keyboards
US8095364B2 (en) * 2004-06-02 2012-01-10 Tegic Communications, Inc. Multimodal disambiguation of speech recognition
US20050275624A1 (en) * 2004-06-14 2005-12-15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olding joystick
GB2440683B (en) * 2005-02-23 2010-12-08 Zienon L L 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US9760214B2 (en) 2005-02-23 2017-09-12 Zien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GB0505941D0 (en) 2005-03-23 2005-04-27 Patel Sanjay Human-to-mobile interfaces
GB0505942D0 (en) * 2005-03-23 2005-04-27 Patel Sanjay Human to mobile interfaces
PL1900103T3 (pl) 2005-06-16 2011-10-31 Firooz Ghassabian System wprowadzania danych
JP2007072578A (ja) * 2005-09-05 2007-03-22 Denso Corp 入力装置
US20070115343A1 (en) * 2005-11-22 2007-05-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s of generating text in electronic equipment
EP1832956A1 (en) * 2006-03-10 2007-09-12 E-Lead Electronic Co., Ltd. Miniaturized keyboard
US9152241B2 (en) 2006-04-28 2015-10-06 Zien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data input
US7642934B2 (en) * 2006-11-10 2010-01-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mapping a traditional touchtone keypad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US8065624B2 (en) * 2007-06-28 2011-11-22 Panasonic Corporation Virtual keypad systems and methods
IL188523A0 (en) * 2008-01-01 2008-11-03 Keyless Systems Ltd Data entry system
CN104808821A (zh) 2009-05-26 2015-07-29 美国智能科技有限公司 数据输入方法及装置
US8379377B2 (en) *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AT11943U1 (de) * 2010-04-19 2011-07-15 Walter Ing Degelsegger Notrufgerät
WO2012098544A2 (en) 2011-01-19 2012-07-26 Keyless Systems, Ltd. Improved data entry systems
CN102906734B (zh) 2011-03-29 2016-02-1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字符输入预测装置、字符输入预测方法以及字符输入系统
WO2013011336A2 (en) * 2011-07-15 2013-01-24 Budapesti Műszaki és Gazdaságtudományi Egyetem Data input device
CN103905873A (zh) * 2014-04-08 2014-07-02 天津思博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口型识别技术的电视遥控器
US9852264B1 (en) * 2014-07-21 2017-12-26 Padmanabaiah Srirama Authentic and verifiable electronic wellness record
WO2016059514A1 (en) 2014-10-17 2016-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18217482A1 (en) * 2017-05-26 2018-11-29 Theodor Holm Nelson One-handed typing system for eyes-free operation using a numerical key unit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6627A (ja) * 1989-11-15 1991-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入力装置
JPH04330830A (ja) * 1990-04-27 1992-11-18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DE69425929T2 (de) * 1993-07-01 2001-04-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Fernbedienung mit Spracheingabe
US5473726A (en) * 1993-07-06 1995-1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Audio and amplitude modulated photo data collection for speech recognition
US5467324A (en) * 1994-11-23 1995-11-14 Timex Corporation Wristwatch radiotelephone with deployable voice port
JPH08162820A (ja) * 1994-12-02 1996-06-21 Sony Corp 空中線装置
US5847697A (en) * 1995-01-31 1998-12-08 Fujitsu Limited Single-handed keyboard having keys with multiple characters and character ambiguity resolution logic
JP3063566B2 (ja) * 1995-03-31 2000-07-12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無線端末装置
US5818437A (en) * 1995-07-26 1998-10-06 Tegic Communications,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KR0143812B1 (ko) * 1995-08-31 1998-08-01 김광호 전화기 겸용 무선 마우스
US5797089A (en) * 1995-09-07 1998-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switches which independently energize a mobile tele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5848356A (en) * 1995-10-02 1998-12-08 Motorola, Inc. Method for implementing icons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3503435B2 (ja) * 1996-08-30 2004-03-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データ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及び、データ提供方法
US5901222A (en) * 1996-10-31 1999-05-04 Lucent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for portable telecommunication devices
US5953541A (en) * 1997-01-24 1999-09-14 Tegic Communications, Inc. Disambiguating system for disambiguating ambiguous input sequences by displaying objects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input sequences in the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of use
GB2322760B (en) * 1997-02-28 1999-04-21 John Quentin Phillipps Telescopic transducer mounts
JP4456677B2 (ja) * 1997-03-10 2010-04-28 雅信 鯨田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0247199B1 (ko) * 1997-11-06 2000-10-02 윤종용 이동통신전화기장치및통화방법
AU1519499A (en) * 1997-11-07 1999-05-31 Via, Inc. Interactive devices and methods
SE511516C2 (sv) * 1997-12-23 1999-10-11 Ericsson Telefon Ab L M Handburen displayenhet och metod att visa skärmbilder
KR100481845B1 (ko) * 1998-06-10 200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을 갖는 휴대형 컴퓨터
JP2000068882A (ja) * 1998-08-17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JP2000069149A (ja) * 1998-08-18 2000-03-03 Casio Comput Co Ltd 通信端末、該通信端末に接続される接続端末、該接続端末と無線通信する携帯端末、及びこれら各端末で構成される携帯端末システム
JP2000122768A (ja) * 1998-10-14 2000-04-28 Microsoft Corp 文字入力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0152202A (ja) * 1998-11-10 2000-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画像投影装置及び携帯型画像表示装置
JP3710035B2 (ja) * 1999-02-23 2005-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349865A (ja) * 1999-06-01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音声通信装置
JP2001016635A (ja) * 1999-06-30 2001-01-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100346203B1 (ko) * 1999-08-26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심벌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CN1286559A (zh) * 1999-08-31 2001-03-07 高先务 程控电子号码簿
JP2001109740A (ja) * 1999-10-06 2001-04-20 Toshiba Corp 中国語文書作成装置及び中国語文書作成方法
EP2264895A3 (en) * 1999-10-27 2012-01-25 Systems Ltd Keyless Integrated keypad system
US7143043B1 (en) * 2000-04-26 2006-11-28 Openwave Systems Inc. Constrained keyboard disambigu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JP2001350428A (ja) * 2000-06-05 2001-12-21 Olympus Optical Co Ltd 表示装置、表示装置の調整方法、携帯電話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43B1 (ko) * 2011-05-04 2011-06-28 화이버텍(주) 멀티 블레이드형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3446A1 (en) 2003-01-23
US20040169635A1 (en) 2004-09-02
KR101131003B1 (ko) 2012-03-28
EP1412938A1 (en) 2004-04-28
CN1554082A (zh) 2004-12-08
EA009109B1 (ru) 2007-10-26
CN101727276A (zh) 2010-06-09
KR20110020318A (ko) 2011-03-02
AU2009202059B2 (en) 2011-05-12
AU2002354685B2 (en) 2009-02-26
AU2009202059A1 (en) 2009-06-11
ZA200401035B (en) 2004-09-29
JP2004535718A (ja) 2004-11-25
EP1412938A4 (en) 2009-10-21
WO2003007288A1 (en) 2003-01-23
JP4601953B2 (ja) 2010-12-22
AU2011202343A1 (en) 2011-06-09
EA200400176A1 (ru) 2004-06-24
KR20110020319A (ko) 2011-03-02
KR101128724B1 (ko) 2012-06-12
KR101134530B1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530B1 (ko) 소형 데이터 입력 유닛을 통한 데이터 입력을 향상시키는장치
AU2002354685A1 (en) Features to enhance data entry through a small data entry unit
AU2005253600B2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20160005150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CA2522604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20150261429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11503144B2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JP3950132B2 (ja) 携帯用電子機器
US20220360657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ZA200508462B (en) Systems to enhance day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CN102200832A (zh) 在移动和固定的环境中用于增强数据输入的系统
JP2002222036A (ja) 携帯情報端末
AU2012203372A1 (en) System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NZ552439A (en) System to enhance data entry using letters associated with finger movement directions, regardless of point of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