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309A -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309A
KR20040040309A KR1020030023242A KR20030023242A KR20040040309A KR 20040040309 A KR20040040309 A KR 20040040309A KR 1020030023242 A KR1020030023242 A KR 1020030023242A KR 20030023242 A KR20030023242 A KR 20030023242A KR 20040040309 A KR20040040309 A KR 20040040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dditive
container
container body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PCT/KR2003/0007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86893A1/en
Priority to AU2003235498A priority patent/AU2003235498A1/en
Priority to US10/683,996 priority patent/US6974024B2/en
Publication of KR2004004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어떤 물질을 수용하는 용기에 있어, 한 가지 물질에 혼합하고자 하는 첨가물을 따로 보관하다 두 가지 물질을 간단한 동작만으로 실시간에 혼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용물을 용기본체로부터 빨리 유출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13)의 주둥이 벽체에 밀착상태로 탈거 용이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120K)와,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120K)에 외접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첨가물 수용부재(100)로 구성되는 용기의 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bottle cap assembly for simultaneously dissolve additives}
본 발명은 이종 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떤 물질을 수용하는 용기에 있어서, 하나의 용기에 혼합하고자 하는 따로 수용되어 있던 첨가물을, 단지 부분적인 회전 동작만으로 실기간에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통 및 판매되어지고 있는 일회용 용기는, 대부분 하나의 용기에 한 종류의 물질만을 보관 및 사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용기에 보관된 혼합물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질의 성분 효능의 감소나 색깔 등의 변화, 물질내 부유물의 발생 및 침전 등의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또, 하나의 용기에 일종 물질만을 담게 되므로, 두 가지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해야 될 때 2개의 용기를 취급해야만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하며, 두 물질의 별도 포장 및 용기제작으로 인한 자원 낭비 등의 문제점이 야기됨은 물론, 정량의 혼합이 아닌 사용자의 임의적 혼합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어서 식음료의 혼합에 있어서는 맛의 변화 및 변질 등 화학적 변화나, 약품 및 화학적 물품의 혼합에 있어서는 물질효능의 불완전한 용해 등 물리적 변화 작용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험관과 같은 나사산이 없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 및 나사산이 있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 등에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의 강구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혼합되지 않은 순수 물질 상태로 보관될 수 있어 시간이 경과하여도 물질의 성분 효능의 감소나 색깔 등의 변화, 물질내 부유물의 발생 및 침전 등의 발생을 배제시킬 수 있게 하여 화학적 변화와 물리적 변화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게 된,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두 개의 용기를 취급해야만 하는 것에 대한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하고, 두 물질의 별도 포장하는 작업 및 별도 용기를 제작하게 됨에 따르는 인적, 물적 자원의 낭비와 같은 문제점 역시 해소하게 된,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정량 혼합 및 실시간 혼합이 가능하여 식음료의 혼합에 있어서의 맛의 변화 및 변질 등과 같은 화학적 변화, 약품 및 화학약품의 혼합에 있어서의 물질효능의 불완전한 용해 등과 같은 물리적 변화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게 된,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 이외에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실시간 혼합이 이루어진 혼합물을 용기본체로부터 보다 신속하게 유출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시험관과 같은 나사산이 없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 및 나사산이 있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 등에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구를 충족시킬 다른 목적을 갖는다.
도 1a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 구성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 구성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에 대한 일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에 대한 일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본체(13)의 주둥이 벽체에 밀착상태로 탈거 용이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120K)와,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120K)에 외접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첨가물 수용부재(100)로 구성되는 용기의 마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개폐부재(120K)가, 용기본체(13)의 주둥이 부위가관통되어지는 슬롯(S)을 갖도록 형성된 이중원통부(120)와, 상기 이중원통부(120)의 상측 개구부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 림(124)과, 상기 다수 림(124)들의 내측단들이 각각 연장되어지는 원뿔밸브부(14)과, 상기 원뿔밸브부(14)에 그 밸브시트면(52K)이 밀착 및 이격되어지도록 상기한 첨가물 수용부재(100) 내측 소정부위로부터 연장되어지는 첨가물 유출단(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개폐부재(120K)가, 용기본체(13)의 주둥이 부분에 그 하반부가 나사 결합되게 형성되며, 그 내부 반분의 위치에 원뿔밸브부(14K)가 형성되어지게 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고, 그 내부 상반부에 상기한 첨가물 수용부재(100M)의 첨가물 유출단(52a)과 위치 상응하게 형성된 하부 나사단부가 내접 상태로 나사 결합되어지게 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된 캡부재(50K)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은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20K)와, 첨가물 수용부재(100)로 구성되어지는데, 상기 개폐부재(120K)는 용기본체(13)의 주둥이 벽체에 밀착상태로 탈거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개폐부재(120K)와 체결되는 상기 첨가물 수용부재(100)는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120K)에 외접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진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20K)는 이중원통부(120)와, 다수 림(124), 그리고 원뿔밸브부(14) 및 첨가물 유출단(52)으로 구성되어진다.
즉, 이중원통부(120)는 상기한 용기본체(13)의 주둥이 부위가 관통되어지는 슬롯(S)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와 같은 이중원통부(120)의 상측 개구부에 내측으로 상기 다수 림(124)이 연장되어지며,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 림(124)들의 내측단들이 상기 원뿔밸브부(14)에 각각 연장되어지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첨가물 수용부재(100) 내측 소정부위로부터 연장되어지는 첨가물 유출단(52)의 밸브시트면(52K)으로 하여금 상기 원뿔밸브부(14)에 밀착 및 이격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작용에 따라 첨가물 수용부재(100)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물을 다수 림(124) 사이를 통해 유출되게 하고, 이로써 용기본체(13) 내의 수용물과 첨가물을 실시간에 정량 혼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2a 및 도 2b 참조).
그리고, 첨가물 수용부재(100)에 수용된 첨가물의 상측에는 진공력이 작용되고, 이로써 첨가물이 원만하게 용기본체(13)로 흘러들지 못하게 되는데, 상기 첨가물 수용부재(100)의 상측으로 작은 구멍을 뚫어주고, 이 구멍을 여닫는 밸브콕(C)이 설치된 구조가 포함되게 하여, 이러한 밸브콕(C)의 여닫힘 작용에 따라 개구 및 폐쇄되는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첨가물 수용부재(100)로부터의 수용물 유출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 혼합이 완료된 후 체결 상태에 있는 첨가물 수용부재(100)와 개페부재(120)를 동시에 용기본체(13)의 주둥이로부터 제거하여 용기본체(13) 주둥이를 완전 개구 상태에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시험관과 같이 나사산이 없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에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는 마개를 적용시킬 수가 있게 됨은 물론이며, 첨가물 유출단(52)의 밸브시트면(52K)으로 하여금 상기 원뿔밸브부(14)에 밀착 및 이격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작용에 따라 첨가물 수용부재(100)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물을 다수 림(124) 사이를 통해 유출되게 하고, 이로써 용기본체(13) 내의 수용물과 첨가물을 실시간에 정량 혼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2)
또한, 본 발명은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한 개폐부재(120K)가, 용기본체(13)의 주둥이 부분에 그 하반부가 나사 결합되게 형성되며, 그 내부 반분의 위치에 원뿔밸브부(14K)가 형성되어지게 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고, 그 내부 상반부에 상기한 첨가물 수용부재(100M)의 첨가물 유출단(52a)과 위치 상응하게 형성된 하부 나사단부가 내접 상태로 나사 결합되어지게 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된 캡부재(50K)로 구성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캡부재(50K)는 그 내주면이 나사 형성되어지고, 그 내부 반분의 위치에 상기 원뿔밸브부(14K)가 형성되어지게 된 것이다.
또, 상기 첨가물 수용부재(100M)는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그 하부가 부분적으로 깔대기의 형태로 형성되어지게 된 것이며, 특히 그 하단부 첨가물 유출단(52a)은 그 밸브시이트면(52Ka)이 상기한 원뿔밸브부(14K)에밀착 및 이격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작용에 따라 첨가물 수용부재(100M)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첨가물 수용부재(100M)에는 첨가물 유출단(52a)과 위치 상응하게 형성된 하부 나사단부가 더 구비되어서 이러한 나사단부로 하여금 상기 캡부재(50K) 상부에 내접 상태로 나사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나사산이 있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에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마개를 적용시킬 수가 있게 됨은 물론이며, 첨가물 유출단(52a)의 밸브시트면(52Ka)으로 하여금 상기 원뿔밸브부(14K)에 밀착 및 이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와 같은 작용에 따라 첨가물 수용부재(100M)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물을 유출되게 하고, 이로써 용기본체(13) 내의 수용물과 첨가물을 실시간에 정량 혼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혼합되지 않은 순수 물질 상태로 보관될 수 있어 시간이 경과하여도 물질의 성분 효능의 감소나 색깔 등의 변화, 물질내 부유물의 발생 및 침전 등 화학적 변화 및 물리적 변화를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하나의 용기에서 이종 물질을 분리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두개의 용기를 취급해야만 하는 것에 대한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도 있으며, 두 물질의 별도 포장 및 용기제작으로 인한 자원 낭비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도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정량의 혼합이 아닌 사용자의 임의적 혼합이 이루어질 수 밖에없어서 식음료의 혼합에 있어서의 맛의 변화 및 변질, 약품 및 화학약품의 혼합에 있어서의 물질효능의 불완전한 용해 및 변화 작용 등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을 제공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중원통부(120) 및 이에 연장된 다수 림(124)과 원뿔밸브부(14)을 용기본체(13)로부터 탈거하여 용기본체(13) 주둥이부를 통한 혼합물의 유통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시험관과 같은 나사산이 없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 및 나사산이 있는 주둥이를 갖는 기존의 용기 등에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조적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용기본체의 주둥이 벽체에 밀착상태로 탈거 용이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및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외접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첨가물 수용부재로 구성되는 용기의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부재가,
    용기본체의 주둥이 부위가 관통되어지는 슬롯을 갖도록 형성된 이중원통부;
    상기 이중원통부의 상측 개구부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 림;
    상기 다수 림들의 내측단들이 각각 연장되어지는 원뿔밸브부;
    상기 원뿔밸브부에 그 밸브시트면이 밀착 및 이격되어지도록 상기한 첨가물 수용부재 내측 소정부위로부터 연장되어지는 첨가물 유출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부재가,
    상기한 용기본체의 주둥이 부분에 그 하반부가 나사 결합되게 형성되며, 그 내부 반분의 위치에 원뿔밸브부가 형성되어지게 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고, 그 내부 상반부에 상기한 첨가물 수용부재의 첨가물 유출단과 위치 상응하게 형성된 하부 나사단부가 내접 상태로 나사 결합되어지게 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된 캡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KR1020030023242A 2002-04-12 2003-04-12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40040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0743 WO2003086893A1 (en) 2002-04-12 2003-04-12 Container having cap device for separate storage and release of additives when opened
AU2003235498A AU2003235498A1 (en) 2002-04-12 2003-04-12 Container having cap device for separate storage and release of additives when opened
US10/683,996 US6974024B2 (en) 2003-04-12 2003-10-14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318 2002-10-31
KR20020067318 2002-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309A true KR20040040309A (ko) 2004-05-12

Family

ID=3733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242A KR20040040309A (ko) 2002-04-12 2003-04-12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4024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8991596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69942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8230777B2 (en) Water container cap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KR20030093938A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US7909160B2 (en) Mixing cap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20070221513A1 (en) Dual containers having mechanism for mixing and separating contents of containers
US20130037506A1 (en) Compartmentalized container
US20070051689A1 (en) Inner container attachable to primary container cap
US20060049127A1 (en) Container
US20050279653A1 (en)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into a container
US69080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JP2006502051A (ja) 二つの部分からなる容器の改善
KR20040072287A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EP1735220A1 (en) Bottle cap
US20100078438A1 (en) Cap assembly with sectional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KR20040040309A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0571748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JP2008127070A (ja) 調味料液同時注出容器
JPH07223644A (ja) 二成分混合容器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RU222122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концентрата 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хладительного напитка без консервантов
KR101727505B1 (ko) 물감용기
JPH10316176A (ja) 二液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