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505B1 - 물감용기 - Google Patents

물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505B1
KR101727505B1 KR1020150037208A KR20150037208A KR101727505B1 KR 101727505 B1 KR101727505 B1 KR 101727505B1 KR 1020150037208 A KR1020150037208 A KR 1020150037208A KR 20150037208 A KR20150037208 A KR 20150037208A KR 101727505 B1 KR101727505 B1 KR 10172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ap
container
pai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115A (ko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2015003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감 등을 담는 물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감용기에 브러시(brush)를 구비함으로써, 채색 시 별도의 채색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물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물감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부(11) 및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된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상단부에 결합분리되는 캡(20); 및
상단부는 상기 캡(20)에 결합 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공간부(11)로 노출되는 브러시(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20)은,
하방 개구 되어 상기 개구부(12)에 체결되는 몸체(21);
상기 몸체(21)의 상부를 덮는 개폐커버(22);
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1)에는,
상부중앙에 형성된 토출구(211);
상기 토출구(211)의 하방으로 연결된 지지관(212);
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30)는,
상단부는 상기 몸체(21)의 지지관(212)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공간부(11)로 노출되는 브러시대(31);
상기 브러시대(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브러시모(32);
로 이루어진 물감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의 지지관(212)은,
상하 관통 형성된 내부연결로(212d)를 갖는 관체(212a);
상기 관체(212a)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브러시대(31)의 상단부가 접하게 되는 스토퍼(212b);
상기 관체(212a)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관체(212a)의 하단부에서 상기 스토퍼(212b)의 하단부까지 연결된 유로(212c);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용공간부(11)의 물감(P)이 유로(212c) 및 내부연결로(212d)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21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채색 시, 팔레트, 붓, 물통 등의 채색도구가 불필요한 물감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감용기{PAINT RECEPTACLE}
본 발명은 물감 등을 담는 물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감용기에 브러시(brush)를 구비함으로써, 채색 시 별도의 채색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물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물감용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137호(2012.08.21.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물감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에 결합 되는 외뚜껑과 몸체 사이에 나사뚜껑을 더 형성하여 이중뚜껑으로 개폐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사뚜껑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중심막대가 형성되는데, 중심막대의 일단에는 회전날개가 구비되고, 타단은 외뚜껑과 연결되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외뚜껑을 회전시키면 중심막대와 회전날개가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날개에 의해 몸체 내부의 내용물을 희석함으로써, 내용물이 굳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내용물과 혼합 시에도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물감용기에 의하면,
채색을 위해 다양한 색상의 물감을 사용 시에는, 사용하던 붓을 깨끗이 세척하고 새로운 색상의 물감을 다시 붓에 묻혀서 사용하거나, 또는 다수 개의 붓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물감을 이용하여 채색을 하기 위해서는 팔레트(palette), 붓, 물 및 물통 등의 채색도구가 반드시 별도로 구비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채색 시, 팔레트, 붓, 물통 등의 채색도구가 불필요한 물감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물감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부(11) 및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된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상단부에 결합분리되는 캡(20); 및
상단부는 상기 캡(20)에 결합 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공간부(11)로 노출되는 브러시(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20)은,
하방 개구 되어 상기 개구부(12)에 체결되는 몸체(21);
상기 몸체(21)의 상부를 덮는 개폐커버(22);
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1)에는,
상부중앙에 형성된 토출구(211);
상기 토출구(211)의 하방으로 연결된 지지관(212);
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30)는,
상단부는 상기 몸체(21)의 지지관(212)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공간부(11)로 노출되는 브러시대(31);
상기 브러시대(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브러시모(32);
로 이루어진 물감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의 지지관(212)은,
상하 관통 형성된 내부연결로(212d)를 갖는 관체(212a);
상기 관체(212a)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브러시대(31)의 상단부가 접하게 되는 스토퍼(212b);
상기 관체(212a)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관체(212a)의 하단부에서 상기 스토퍼(212b)의 하단부까지 연결된 유로(212c);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용공간부(11)의 물감(P)이 유로(212c) 및 내부연결로(212d)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21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물감용기는,
채색 시, 팔레트, 붓, 물통 등의 채색도구가 불필요한 물감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감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감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감용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를 이용한 채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캡 및 브러시와 연장수단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캡 및 브러시와 연장수단의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캡 및 브러시와 연장수단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그립부재의 연속결합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캡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용기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감용기는,
크게 용기(10), 캡(20) 및 브러시(3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용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어 물감(P)이 내장되는 수용공간부(11), 그리고
상부에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開口部)(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10)는 원형이나 타원형 기둥 구조, 또는 삼각이나 사각의 다각형 기둥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용기(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나선부(13)가 더 형성되는데, 이 나선부(13)는 상기 캡(20)에 형성되는 대응나선부(213)와 상호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용기(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용기(10)를 쉽게 파지(把持)하도록 유도하는 함몰부(14) 및 물감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5)는 눈금이나 띠 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10)는 필요에 따라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와 개폐커버(22)로 이루어지는데,
몸체(21)는,
하방 개구 되는 내부공간부를 갖으며, 상기 개구부(12)에 체결되는데, 상부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토출구(211), 토출구(211)의 하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결된 지지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21)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나선부(13)와 체결되는 대응나선부(213)가 형성되며, 몸체(21)의 상부 외주면 일측에는 오목홈(21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214)은 하기의 걸림부(222)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개폐커버(22)를 오픈할 때 손가락이 상기 걸림부(222)에 좀더 쉽게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관(212)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연결로(212d)를 갖는 원통체 형상의 관체(212a)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연결로(212d)의 중단부에는 하기의 브러시대(31)가 몸체(2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212b)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연결로(212d)의 하단부에서 상기 스토퍼(212b)의 하단부까지는 유로(212c)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로(212c)는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내부연결로(212d)의 내주면을 따라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개폐커버(22)는,
상기 몸체(21)와 힌지연결되어 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22)의 하부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부(2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222)는 상기 몸체(21)의 오목홈(214)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커버(22)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221)이 함몰되어 형성된다.(도 1, 도 3 및 도 8 참조)
브러시(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상기 몸체(21)의 지지관(212)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공간부(11)로 노출되는 브러시대(31) 및 브러시대(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브러시모(32)로 이루어진다.
이때 브러시(30)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관(21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며, 경우에 따라 지지관(212)의 내부연결로(212d)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브러시(30)의 상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브러시모(3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21)에 의해 상기 브러시대(31)과 연결되는데,
상기 장착부(321)는 상방 개구된 상부장착홀(321a), 하방 개구된 하부장착홀(321b) 및 장착부(3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장착홀(321a)과 하부장착홀(321b)을 구획하는 차단막(321c)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장착홀(321a)에는 상기 브러시대(31)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장착홀(321b)에는 브러시모(32)의 상단부가 결합 된다.
이때 상기 브러시대(31)는 상부장착홀(321a)에 억지끼움 결합 되거나, 필요에 따라 브러시대(31)의 하단부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부장착홀(321a)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브러시모(32)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물감용기에 의하면, 도 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브러시모(32)가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채색 시, 사용자는 상기 캡(20)을 상기 용기(10)와 분리한 후, 캡(20)과 결합된 브러시(30)를 이용하여 채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붓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은 브러시모(32)에 물감(P)이 항상 묻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팔레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 색상의 물감용기마다 붓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붓에 다른 색상을 묻히기 위해서 붓을 물에 세척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물 및 물통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화법에 따라 채색의 농도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용기(10)에 물을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붓, 팔레트, 물 및 물통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감용기를 거꾸로 세운 후, 상기 캡(20)을 오픈하고 용기(10)의 함몰부(14)를 파지하고 손으로 가압하면, 수용공간부(11)의 물감(P)이 상기 지지관(212) 하단부의 유로(212c)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로(212c)에 유입된 물감(P)은 지지관(212)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된 유로(212c)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212b)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로(212c)를 지나 내부연결로(212d)로 유입된 후 상기 캡(20)의 토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유아들처럼 붓의 사용이 서툰 경우에는 붓을 사용하지 않고도 채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단부에 상기 개폐커버(22)의 끼움홈(221)에 대응결합되는 끼움돌기(413)가 형성되어, 상기 캡(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연장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장수단(4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부재(41)와 그립부재(42)로 이루어지는데,
중계부재(41)는,
일측으로 개구 되어 내부에 상기 끼움홈(221)에 대응 결합 되는 끼움돌기(413)가 형성된 홀딩부(411) 및 타측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412)로 이루어진다.
이때 끼움홈(221) 및 끼움돌기(413)는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캡(20)이 홀딩부(411)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립부재(42)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412)가 탈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대응결합부(421) 를 갖는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412)가 상기 대응결합부(421)에 삽입되어져 중계부재(41)와 그립부재(42)가 결합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412)의 측면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12a)가 상기 대응결합부(421)에 형성된 대응수용홈(421a)에 결합 되어, 상기 결합부(412)가 상기 대응결합부(421)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계부재(41)와 그립부재(42)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그립부재(42)의 중단부에는 사용자가 그립부재(42)를 쉽게 파지(把持)하도록 유도하는 융기부(42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長)붓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가 손쉽게 연장수단(40)을 상기 캡(20)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립부재(42)가 둘 이상이 구비되는데, 각 그립부재(42)의 타측에는 상기 중계부재(41)의 결합부(4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42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또 다른 그립부재(42)의 대응결합부(421)와 상기 그립부재(42)의 체결부(422)가 상호 탈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둘 이상의 그립부재(42)가 그립부재(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채색 시, 필요한 길이를 조절하여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물감용기는 용기(10)의 내부공간부(11)에 물감 외에 필요에 따라 기름이나 액상 약제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액상물(液狀物)을 내부공간부(11)에 충전(充塡)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물감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
11 ; 수용공간부 12 ; 개구부
13 ; 나선부 14 ; 함몰부
15 ; 표시부
20 ; 캡
21 ; 몸체
211 ; 토출구
212 ; 지지관
212a ; 관체 212b ; 스토퍼
212c ; 유로 212d ; 내부연결로
213 ; 대응나선부
214 ; 오목홈
22 ; 개폐커버
221 ; 끼움홈 222 ; 걸림부
30 ; 브러시
31 ; 브러시대
32 ; 브러시모
321 ; 장착부
321a ; 상부장착홀 321b ; 하부장착홀
321c ; 차단막
40 ; 연장수단
41 ; 중계부재
411 ; 홀딩부 412 ; 결합부
412a ; 결합돌기 413 ; 끼움돌기
42 ; 그립부재
421 ; 대응결합부 421a ; 대응수용홈
422 ; 체결부 423 ; 융기부

P ; 물감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부(11) 및 상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된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상단부에 결합분리되는 캡(20); 및
    상단부는 상기 캡(20)에 결합 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공간부(11)로 노출되는 브러시(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20)은,
    하방 개구 되어 상기 개구부(12)에 체결되는 몸체(21);
    상기 몸체(21)의 상부를 덮는 개폐커버(22);
    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1)에는,
    상부중앙에 형성된 토출구(211);
    상기 토출구(211)의 하방으로 연결된 지지관(212);
    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30)는,
    상단부는 상기 몸체(21)의 지지관(212)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공간부(11)로 노출되는 브러시대(31);
    상기 브러시대(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브러시모(32);
    로 이루어진 물감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의 지지관(212)은,
    상하 관통 형성된 내부연결로(212d)를 갖는 관체(212a);
    상기 관체(212a)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브러시대(31)의 상단부가 접하게 되는 스토퍼(212b);
    상기 관체(212a)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관체(212a)의 하단부에서 상기 스토퍼(212b)의 하단부까지 연결된 유로(212c);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용공간부(11)의 물감(P)이 유로(212c) 및 내부연결로(212d)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21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캡(20)이 탈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딩부(411)가 형성된 중계부재(41)와 상기 중계부재(41)의 타측에 결합된 바(Bar) 형상의 그립부재(42)로 이루어진 연장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감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상부에는 끼움홈(221)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411)의 내부에는 상기 끼움홈(2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끼움돌기(413)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413)가 상기 끼움홈(2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캡(20)과 상기 연장수단(40)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감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재(41)의 타측에는 결합부(4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재(4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412)가 탈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대응결합부(42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12)가 상기 대응결합부(421)에 결합 됨으로써, 중계부재(41)와 그립부재(42)가 상호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감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42)는 둘 이상이 구비되고, 각 그립부재(42)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4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4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감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37208A 2015-03-18 2015-03-18 물감용기 KR10172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08A KR101727505B1 (ko) 2015-03-18 2015-03-18 물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08A KR101727505B1 (ko) 2015-03-18 2015-03-18 물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15A KR20160112115A (ko) 2016-09-28
KR101727505B1 true KR101727505B1 (ko) 2017-04-17

Family

ID=5710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208A KR101727505B1 (ko) 2015-03-18 2015-03-18 물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5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523A (en) 1982-07-14 1985-06-11 Kurt Vogelsang Gmbh Enamel touch-up kit including knife bla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523A (en) 1982-07-14 1985-06-11 Kurt Vogelsang Gmbh Enamel touch-up kit including knife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15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556B2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RU2582467C2 (ru) Удерживаемая в руке смесительная емкость
US7878727B2 (en) Dispenser cap and dispenser
US7690534B2 (en) Device for placing two products in contact
KR101212771B1 (ko) 리필 어댑터가 내장된 여행용 치약의 마개
CN110636775B (zh) 具有模块化结构的容器
KR101727505B1 (ko) 물감용기
KR20110003585U (ko) 휴대용 병다발
KR200442638Y1 (ko) 이성분 혼합용기
CN218288576U (zh) 一种双料成品用瓶
KR101624996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90008655A (ko)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KR100722494B1 (ko) 손톱 화장품을 위한 이중 용기
KR20140047853A (ko) 화장용 솔
KR102093504B1 (ko) 붙박이 화장용구를 탑재한 파우치형 액상 색조 화장품 용기
KR20170115904A (ko)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TWI441756B (zh) Automatic bottle cap device
JP6774904B2 (ja) 計量キャップ
JP5686411B2 (ja) 定量栓
JP3120768U (ja) 化粧水用容器
KR101456114B1 (ko) 용이한 토출구조를 갖는 정량 배출용기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TWI441758B (zh) Automatic bottle cap device
KR101905179B1 (ko) 오염방지부가 형성된 튜브용기
JPH0733879U (ja) 二成分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