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638Y1 - 이성분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이성분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638Y1
KR200442638Y1 KR2020070020865U KR20070020865U KR200442638Y1 KR 200442638 Y1 KR200442638 Y1 KR 200442638Y1 KR 2020070020865 U KR2020070020865 U KR 2020070020865U KR 20070020865 U KR20070020865 U KR 20070020865U KR 200442638 Y1 KR200442638 Y1 KR 200442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hole
component mixing
contain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70020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6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개의 성분을 필요시에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성분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되, 상단이 하단보다 작게 개구되며, 상측면에는 통공(110)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단에는 토출공(210)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차단막(2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제1중공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110)으로 외력의 전달시 상기 제1중공부(230)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210)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보관용기(2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좌우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예각 기울어져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 회전체(300); 및 상기 회전체(300)의 내측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제2중공부(410)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310)에 끼움결합되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10)가 좌우회전되는 패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승시에는 상기 차단막(220)을 뚫고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제1중공부(230)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보관용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에 의하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품을 제1보관용기와 제2보관용기에 의해 각각 따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사용 직전에 두 종류의 화장품을 섞은 후 사용하므로 유통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변질 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기초화장, 색조화장, 두발화장, 바디화장

Description

이성분 혼합용기{A container for mixing two component}
본 고안은 이성분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품을 제1보관용기와 제2보관용기에 의해 각각 따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사용 직전에 두 종류의 화장품을 섞은 후 사용하므로 유통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변질 될 염려가 없는 이성분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남녀노소 모두 필요에 따라 화장품(化粧品)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다양한 색채을 갖춘 화장용품 및 도구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관련업체의 연구개발에 의해 다채로운 양질의 화장용품 및 도구가 하루가 다르게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통상 화장(化粧)은 기초화장, 색조(메이크업)화장, 두발화장, 바디화장 등으로 크게 분류되며, 안면화장은 기초화장을 한 후에 색조화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화장의 순서이다.
사용자의 취향 또는 트렌드에 따라 화장품은 다양한 재료, 색상으로 제작되 는데, 상기와 같은 화장품은 액상화장품과 분말화장품으로 분류되며, 액상과 분말, 또는 비중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액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성분화장품도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성분화장품은 하나의 용기에 2가지의 화장품을 보관함에 따라, 유통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소요되면 될수록 서로 다른 상태의 두 화장품이 서로에 의해 변질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양 손에 도포됨으로서 그 만큼 많은 내용물의 손실이 발생되는 바, 특히 소량으로 제공되면서 고가인 화장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손에 도포되는 손실비율이 크게 증가됨에 따라, 가격대비 비경제적이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품을 제1보관용기와 제2보관용기에 의해 각각 따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사용 직전에 두 종류의 화장품을 섞은 후 사용하므로 유통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변질될 염려가 없는 이성분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토출구를 십자형상의 금형으로 절단형성하므로 사용시에는 혼합된 이성분의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에 방울로 맺히게 되어 화장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실리콘 재질의 제1보관용기의 복원력으로 상기 토출구에 맺혀있던 화장품을 중공부로 흡입하므로 외기로 인한 화장품의 변질의 염려가 없는 이성분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되, 상단이 하단보다 작게 개구되며, 상측면에는 통공(110)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단에는 토출공(210)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차단막(2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제1중공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110)으로 외력의 전달시 상기 제1중공부(230)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210)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보관용기(2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좌우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예각 기울어져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 회전체(300); 및 상기 회전체(300)의 내측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제2중공부(410)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310)에 끼움결합되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10)가 좌우회전되는 패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승시에는 상기 차단막(220)을 뚫고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제1중공부(230)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보관용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보관용기(200)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공(210)은 십자형상으로 절단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22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단과 통공(110)을 덮는 상부덮개(120);와 상기 회전체(300)의 외부를 덮는 하부덮개(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측케이스(130)와 하측케이스(140)로 분할형성되되, 상기 상측케이스(130)의 하단과 하측케이스(140)의 상단은 탄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단의 외측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상승시 상기 차단막(220)을 뚫는 칼날(4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품을 제1보관용기와 제2보관용기에 의해 각각 따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사용 직전에 두 종류의 화장품을 섞은 후 사용하므로 유통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변질 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출구를 십자형상의 금형으로 절단형성하므로 사용시에는 혼합된 이성분의 화장품이 상기 토출구에 방울로 맺히게 되어 화장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실리콘 재질의 제1보관용기의 복원력으로 상기 토출구에 맺혀있던 화장품을 중공부로 흡입하므로 외기로 인한 화장품의 변질의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의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이성분 혼 합용기의 회전체와 제2보관용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는 본체(100), 제1보관용기(200), 회전체(300), 제2보관용기(400)가 포함되며, 통공(110), 상부덮개(120), 상측케이스(130), 하측케이스(140), 토출공(210), 차단막(220), 제1중공부(230), 가이드홀(310), 하부덮개(320), 제2중공부(410), 가이드돌기(420), 칼날(4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후술할 제1보관용기(200)가 보관되는 케이스의 일종인데,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하단보다 작게 개구된 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콘 형상으로 형성된 상측면에는 통공(110)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본 고안인 이성분 혼합용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인 화장, 즉, 화장시에만 본 고안인 이성분 혼합용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단과 통공(110)을 덮는 상부덮개(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측케이스(130)와 하측케이스(140)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상측케이스(130)의 하단과 하측케이스(140)의 하단은 서로 탄성결합되는데, 상기 제1보관용기(200)의 크기에 따라 또는 용도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통공(110)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보관되어 있는 후술할 제1보관용기(200)에 예컨대,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 록 형성된다.
상기 제1보관용기(200)는 실리콘 등의 연성재질로 제작되며, 제1중공부(230)에 액상의 화장품이 보관된 상태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보관용기(200)의 상단에는 토출공(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공(210)은 제1중공부(230)에 보관되어 있는 액상의 화장품이 외부로 토출되는 구멍이며, 하단에는 제1중공부(230)에 보관되어 있는 액상의 화장품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차단막(2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토출공(210)은 십자형상의 금형으로 절단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십자형상으로 절단되면, 도 4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소량씩 방울로 맺히게 되어 화장품의 불필요한 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는 연성재질의 상기 제1보관용기(200)와 토출공(210)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중공부(230)에 보관되어 있는 화장품을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여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차단막(220)은 비교적 얇은 알루미늄 등의 내부식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단막(220)의 하측으로 후술할 제2보관용기(400)가 삽입되어 제2보관용기(400)에 보관되어 있는 분말의 화장품이 상기 제1중공부(230)로 유입된다.
상기 회전체(3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좌우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외측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덮개(320)에 의해 덮여 있는데, 상기 하부덮개(320)는 사용자의 외력을 상기 회전체(300)에 전달해주는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에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데, 예각, 즉, 90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310)에는 후술할 제2보관용기(400)의 가이드돌기(420)가 끼워져 상기 제2보관용기(400)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제2보관용기(400)가 상기 회전체(300)의 하측에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홀(310)의 하측 끝단은 열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관용기(400)는 상기 회전체(300)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분말의 화장품이 보관되는 제2중공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420)가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420)는 상기 가이드홀(310)에 끼워져 상기 하부덮개(320)의 좌우회전되는 패턴에 따라 상기 제2보관용기(400)가 상승 또는 하강 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2보관용기(400)에는 칼날(4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칼날(430)은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상승시 상기 제1보관용기(200)의 하단을 막고 있는 차단막(220)을 파지하는 역할을 하며, 일측은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바닥 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단의 외측까지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칼날(430)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2보관용기(400)가 차단막(220)을 뚫고 분말의 화장품을 상기 제1중공부(230)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칼날(430)과 같이 차단막(220)을 뚫는 파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제2보관용기(400) 상부의 전체면으로 뚫는 힘, 즉, 파지력이 분산되므로 상기 칼날(4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성분 혼합용기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상태는 제1보관용기(200)와 제2보관용기(400)의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은 초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상태는 상기와 같은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하여 제1보관용기(200)와 제2보관용기(400)에 보관되어 있던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성분을 혼합하기 위해 본 고안인 이성분 혼합용기를 뒤집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인 이성분 혼합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부덮개(320)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돌리면, 상기 하부덮개(320)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체(300)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300)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회전체(3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2보관용기(400)가 하측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는데, 상기와 같이 제2보관용기(400)가 하측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면, 상기 제2보관용기(400)에 형성된 칼날(430)은 제1보관용기(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차닥막()을 뚫고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제2보관용기(400)가 제1보관용기(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제2중공부(410)에 보관되어 있던 분말의 화장품이 제1중공부(230)에 보관되어 있는 액상의 화장품에 유입되며, 사용자는 본 고안인 이성분 혼합용기를 상하방향으로 흔들어 두 가지 성분, 즉, 이성분의 화장품을 적절히 혼합시킨다.
도 4의 상태는 상기와 같은 도 3의 상태에서 본체(100)의 상단과 통공(110)을 덮고 있던 상부덮개(120)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00)의 상단과 통공(110)을 덮고 있던 상부덮개(120)를 연 후, 상기 통공(110)으로 일부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1보관용기(200)를 누르면, 도 4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공(210)에는 액상과 분말이 혼합된 이성분의 화장품이 한 방울씩 맺히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한 방울씩 맺힌 이성분의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한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본 고안인 이성분 혼합용기를 세운 후, 덮개를 덮어 보관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성분 혼합용기의 상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보관용기와 회전체의 작동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본체 110-통공
120-상부덮개
200-제1보관용기 210-토출공
220-차단막 230-제1중공부
300-회전체 310-가이드홀
320-하부덮개
400-제2보관용기 410-제2중공부
420-가이드돌기 430-칼날

Claims (6)

  1.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되, 상단이 하단보다 작게 개구되며, 상측면에는 통공(110)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단에는 토출공(210)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차단막(2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제1중공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110)으로 외력의 전달시 상기 제1중공부(230)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210)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보관용기(2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좌우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예각 기울어져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 회전체(300); 및
    상기 회전체(300)의 내측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제2중공부(410)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310)에 끼움결합되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10)가 좌우회전되는 패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승시에는 상기 차단막(220)을 뚫고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상기 제1중공부(230)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보관용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혼합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관용기(200)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공(210)은 십자형상으로 절단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혼합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2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혼합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단과 통공(110)을 덮는 상부덮개(120);와
    상기 회전체(300)의 외부를 덮는 하부덮개(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혼합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측케이스(130)와 하측케이스(140)로 분할형성되되, 상기 상측케이스(130)의 하단과 하측케이스(140)의 상단은 탄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혼합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단의 외측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보관용기(400)의 상승시 상기 차단막(220)을 뚫는 칼날(4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혼합용기.
KR2020070020865U 2007-12-27 2007-12-27 이성분 혼합용기 KR200442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865U KR200442638Y1 (ko) 2007-12-27 2007-12-27 이성분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865U KR200442638Y1 (ko) 2007-12-27 2007-12-27 이성분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638Y1 true KR200442638Y1 (ko) 2008-11-28

Family

ID=4164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865U KR200442638Y1 (ko) 2007-12-27 2007-12-27 이성분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63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74B1 (ko) 2013-03-11 2013-08-1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386707B1 (ko) 2012-11-26 2014-04-18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혼합형 화장품 용기
KR200472282Y1 (ko) 2012-11-07 2014-04-30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KR101433902B1 (ko) * 2013-10-14 2014-08-29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개폐가 용이한 밀폐용기
KR102194355B1 (ko) * 2020-05-18 2020-12-24 주식회사 엔게인 앰플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82Y1 (ko) 2012-11-07 2014-04-30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WO2014073795A1 (ko) * 2012-11-07 2014-05-15 (주)아모레퍼시픽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KR101386707B1 (ko) 2012-11-26 2014-04-18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혼합형 화장품 용기
KR101296574B1 (ko) 2013-03-11 2013-08-1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433902B1 (ko) * 2013-10-14 2014-08-29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개폐가 용이한 밀폐용기
KR102194355B1 (ko) * 2020-05-18 2020-12-24 주식회사 엔게인 앰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9741A1 (en) Applicator for coloring antiseptic
KR200442638Y1 (ko) 이성분 혼합용기
JP4557624B2 (ja) 定量注出器
US69080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JP2010260581A (ja) 計量塗布栓
KR102264427B1 (ko) 내부 액세스를 가지는 분배 용기
CN113382660A (zh) 具有可旋啜吸件和柔性手柄的容器盖
KR100886456B1 (ko)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US20100000887A1 (en) Liquid container system
KR20120127062A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0843642B1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1987650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200421167Y1 (ko) 디스펜서
KR101062262B1 (ko) 피스톤이 적용된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579065B1 (ko) 화장품 용기
JP2593386Y2 (ja) ブラシ付き注出容器
KR200496150Y1 (ko) 화장품 용기
KR102092866B1 (ko) 마스크팩 용기
CN219108879U (zh) 一种多功能化妆品分装盒
JP4880769B2 (ja) 任意割合吐出容器
AU734595B3 (en) Device for obtaining contents in a container at desired quantity
CN206576499U (zh) 指甲油容器
KR200362322Y1 (ko) 파우더 용기
KR20230152236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