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655A -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655A
KR20190008655A KR1020170090282A KR20170090282A KR20190008655A KR 20190008655 A KR20190008655 A KR 20190008655A KR 1020170090282 A KR1020170090282 A KR 1020170090282A KR 20170090282 A KR20170090282 A KR 20170090282A KR 20190008655 A KR20190008655 A KR 2019000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smetic container
cosmetic
fasten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탭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탭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탭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9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8655A/ko
Publication of KR2019000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상호 대칭되는 상,하부 위치에 각각 구비하면서도 그 중 어느 하나의 내용물은 다이얼식 회전노브의 작동에 의해 출몰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내용물은 캡에 의한 개폐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스틱형 화장품용기로서 두 종류의 고체형 화장품이나 또는 화장도구와 같은 두 종류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하부로 개구되는 유연한 곡면의 타원형으로 구성되면서 상,하부캡(11)(12)으로 개폐되고, 하부의 소정위치에는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설치실(13)이 구비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설치실(13)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에서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원통형의 다이얼식 회전노브(210); 상기 바디(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노브(210)의 회전작동에 의해 고체형의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내용물(a)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측으로 출몰되도록 수납되는 제1내용물 수납수단(A); 상기 바디(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분리 및 체결에 따른 교체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화장도구 또는 고체형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제2내용물(b)이 수납되는 제2내용물 수납수단(B);을 갖추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which can use different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상호 대칭되는 상,하부 위치에 각각 구비하면서도 그 중 어느 하나의 내용물은 다이얼식 회전노브의 작동에 의해 출몰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내용물은 캡에 의한 개폐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스틱형 화장품용기로서 두 종류의 고체형 화장품이나 또는 화장도구와 같은 두 종류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종류에 따라 분말, 액체, 겔, 고체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되고 있고, 이들은 각각의 사용용도에 맞게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용기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장을 할 때 위생적이면서도 화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전용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같이 화장도구를 이용하는 화장방법은 화장품의 종류나 형태 등에 따라서 스폰지, 브러쉬, 붓, 펜슬 등과 여러 가지의 화장도구를 적절하게 사용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브러쉬나 스폰지와 같은 화장도구는 주로 고체, 분말,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을 화장하는 도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반면에 붓, 펜슬 등과 같은 화장도구는 보다 디테일한 화장을 위한 도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도구들은 그 용도에 맞게 사용되면서도 화장품과는 달리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화장품과는 별도의 독립된 제품으로 생산 공급되어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화장도구는 화장품과는 별도로 독립된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에 따라 이의 제조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음과 더불어 보관 및 휴대시에는 화장품용기와 함께 두 가지 물품으로 보관 및 휴대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2014-0006353호의 화장도구를 가지는 펌프식 스틱 화장품용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의 선출원고안은 액체 상태의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화장을 하기 위한 화장도구를 하나의 화장품용기로 구성하면서도 스틱 형태로 구성하여 휴대 및 보관에 따른 보관성과 더불어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저장용기의 토출구상에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의 공기나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사용시에는 항상 정량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인의 선출원고안은 선출원에서 요구되는 효과는 충분히 가질지라도 공지된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에 화장도구를 구비한 것이고, 또한 화장품이 액체상태임으로써 실제로는 화장도구가 한 조로 필요하지 않는 현실적인 문제점과 더불어 화장도구가 고정된 상태임으로써 때로는 불편함을 주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개선된 화장품용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9457호를 들수 있다.
상기 선등록고안은 화장에 사용되는 분말화장품과 피부에 볼 터치하는 브러쉬를 일체로 구성하면서 상기 브러쉬는 회전용기의 회전작동을 통해서 승, 하강 작동되어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은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 캡과, 이와 더불어 내부에 분말 내용물을 저장하고 상면의 일측에는 저장되어 있는 상기 분말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끝단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분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통로를 관통 형성하면서 상부 가장자리에는 나선형 가이드 홈이 구비된 상부돌기를 소정구간 형성하여 회전용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용기의 내측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브러쉬가 내부에 돌출 장착되고, 상기 배출통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송통로가 관통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승, 하강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브러쉬 용기가 장착된다.
또 브러쉬 용기의 외측 상부에는 회전용기를 지지하면서 상부에는 브러쉬를 보호하는 상부 캡이 장착되는 연결용기가 장착되므로써 화장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상부 캡을 제거하고 회전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브러쉬 용기의 회전돌기는 가이드 홈을 따라 상승하면서 브러쉬가 돌출되고, 이와 반면에 상기 회전용기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브러쉬 용기의 회전돌기는 가이드 홈을 따라 하강하면서 브러쉬가 함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선등록고안의 구성은 회전용기의 회전작동에 의해 브러쉬가 연결용기에 안내되면서 승강작동되는 구성임으로써 즉, 브러쉬가 회전용기로 부터 승강작동되어 출몰되는 구성임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분말 화장품이 수납되는 회전용기의 노즐에 해당되는 분말배출구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운반 및 보관 등에 따른 비사용시 외부의 공기가 분말배출구를 통하여 회전용기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분말 화장품을 굳히게 됨은 물론이고, 각종 균과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또는 화장품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말형의 화장품만을 적용할 수 밖에 없고, 고체형의 화장품이나 액체형의 화장품 등은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사용시에는 회전용기내의 내용물을 브러쉬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토출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흔들어서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의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외에도 브러쉬로 이루어지는 화장도구가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의 토출구상에 구비된 구성들이 많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 구성 역시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화장품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임으로써 고체형의 화장품을 적용하는데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다.
또한 브러쉬만을 출몰식으로 구성하는 전용의 화장도구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화장품을 수납하는 저장용기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임으로써 즉, 두 개의 물품으로 구성되는 것임에 따라 각각 보관 및 휴대하여 사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화장품용기에 상호 대칭되게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이종 내용물은 고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과 더불어, 브러쉬, 스폰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화장도구를 한 조로 조합함으로써 두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물품으로써 편리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시에도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는 두 가지 고체형 화장품을 한 조로 조합하거나 또는 고체형 화장품과 화장도구를 한 조로 조합하는 두 종류의 내용물을 임의대로 적용하면서도 그 중 고체형 화장품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이얼식 회전노브의 회전작동에 의해 출몰식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나머지 반대편의 고체형 화장품 또는 화장도구는 캡으로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이 또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구조의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전체적으로 유연한 곡면의 바디를 가지는 스틱형의 화장품용기로 구성하면서도 어느 일측에는 고체형 화장품을 메인으로 하는 제1내용물을 다이얼식 회전노브의 작동에 의한 출몰식으로 구비하고, 이와는 달리 다른 타측에는 캡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식으로 구비하면서도 제1내용물과는 다른 성분을 가지는 화장품이나 또는 화장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도구로 이루어지는 제2내용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 화장품용기의 일측에는 고체형 화장품이 수납되어 바디에 설치되는 다이얼식 회전노브의 회전작동에 의해 출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체형의 화장품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반대편에는 착탈이 가능하면서도 고체형 화장품이나 또는 화장도구와 같은 다른 내용물을 캡에 의해 개폐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화장품용기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동시에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캡으로 개폐되는 타측의 제2내용물을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따라 준비된 다른 여러 가지 내용물로 교체, 예컨데, 화장도구일 경우 브러쉬, 스폰지 등의 그 조밀도나 부드러움을 달리하는 화장도구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면과 타원형의 바디를 가지는 스틱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한 손으로도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에 따른 핸드링이 편리한 장점과 더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바디를 가지는 화장품용기로 구성하면서도 어느 일측에는 바디에 구비되는 다이얼식 회전노브의 작동에 의해 고체형 화장품이 출몰되는 출몰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을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수납 저장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타측에는 상기 고체형 화장품과는 다른 성분을 가지는 또다른 고체형 화장품이나 또는 브러쉬, 스폰지 등과 같은 화장을 위한 화장도구를 캡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비하면서도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착탈식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화장품용기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각각 구비하면서도 어느 일측의 내용물은 고체형 화장품을 적용하여 회전노브의 작동에 의해 출몰식으로 구비함으로써 고체형 화장품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 및 휴대도 편리한 장점 있는 것이고, 또한 다른 타측에는 메인 화장품과는 서로 성분이 다른 또다른 고체형 화장품이나 또는 여러 가지 화장도구를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과 더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캡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1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저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상기 화장품용기(100)는 외형이 유연한 곡면과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상,하부가 개구되는 스틱형으로 구성되고, 이의 개구부는 각각 상부캡(11)과 하부캡(12)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바디(10)의 내부에는 상,하부를 향해 두 종류의 내용물을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타원형으로 구비되면서 하부에는 별도의 다이얼식 회전노브가 장착되는 설치실(13)이 전,후 연통되게 구비되고, 이의 설치실(13)을 중심으로 그 내부의 상부측에는 고체형 화장품과 같은 제1내용물(a)이 출몰식으로 구비되는 제1내용물 수납수단(A)이 구비되며, 이와 반면에 바디(10)의 하부측에는 하향 개구되면서 그 중심부에 설치실(13)와 연통되는 체결홈(14)을 가지는 원형의 지지구(15)가 일체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제2내용물 수납수단(B)이 착탈식으로 갖추어져 구성된다.
상기 제1내용물 수납수단(A)은 바디(10)의 설치실(13)내에서 중심공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이얼식 회전노브(210)와, 이 회전노브(210)의 회전력에 의해 제자리에서 공회전 작동되는 회전관(220)과, 상기 회전관(220)의 내측에 축결합되어 회전관(220)의 회전동력을 나사식으로 전달받아 수직동력으로 변환하여 승강작동되는 홀더(230)와, 상기 홀더(230)의 전단에 충진되어 바디(10)의 상부 개구부로 출몰되는 고체형의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내용물(a)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노브(210)는 원형의 다이얼식 관체형으로 구비되면서도 바디(10)의 설치실(13)내에 수평방향으로 삽입체결되어 그 전,후면의 일부가 바디(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체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노출된 부분을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내경에는 스플라인(211)이 형성되어 회전관(220)과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220)은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설치실(13)을 기준으로 상부측으로 수직 설치되는 것이며, 상부의 내경에는 회전유도돌기(221)가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나사의 기능을 제공하게 되고, 하부의 내경에는 회전노브(210)의 스플라인(211)과 억지끼움식으로 이맞물림되어 결합되는 스플라인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판(220)은 긴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하단에는 회전노브(210)와 스플라인(211)에 의해 일체형으로 축결합되어 회전노브(210)와 동일한 스트로크로 회전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관(220)의 내부에는 홀더(230)가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는 것으로, 이의 홀더(230)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축(231)이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전관(220)의 내경으로 축결합되므로써 회전관(220)의 회전유도돌기(221)와 나사식으로 이맞물림되고, 나사축(231)의 상단에는 제1내용물(a)이 안착되는 안착실(2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축(231)은 회전관(220)의 내부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에 따른 안정감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표면에 형성되는 나사의 일부만이 회전관(220)의 회전유도돌기(221)와 나사결합되는 것이나, 이는 조립성 및 작동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관(220)의 회전유도돌기(221)를 일정간격의 나사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안착실(232)은 상부가 개구되는 오목한 형태로 구성되어 고체형 화장품인 제1내용물(a)의 하부가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제1내용물(a)의 안착력을 좋게 하기 위한 고정리브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사축(2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안착실(232)과 상,하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초기에 제1내용물(a)을 충진시 겔 또는 크림 상태의 내용물을 투입하는 통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겔 상태의 내용물이 충진된 후에는 굳어져 고체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디(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제2내용물 수납수단(B)은 하부캡(12)에 의해 개폐되면서도 바디(10)의 설치실(13)과 경계되는 하단 부분에 체결공(14)을 가지는 원형의 지지구(1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지지구(15)의 체결공(14)을 통하여 제2내용물(b)이 체결된 고정캡(240)이 착탈식으로 갖추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10)의 체결공(14)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면서도 양측에는 후술할 고정캡(240)이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240)은 전단에 제2내용물(b)인 고체형의 화장품이나 또는 브러쉬, 스폰지, 퍼프 등의 화장도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홈(241)을 가짐과 동시에, 후단에는 바디(10)의 지지구(15)를 감싸아 체결되는 체결구(242)가 일체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지지구(15)의 체결공(14)에 삽입체결되는 체결축(243)을 가진다.
이때 상기 체결축(243)은 외주연 양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므로써 지지구(15)의 체결공(14)으로 삽입된 후, 직각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캡(240)에 체결고정되는 제2내용물(b)의 구성은 제1내용물(a)의 고체형 화장품과는 다른 종류의 내용물로서, 예컨데, 제1내용물(a)과 다른 성분을 가지는 또다른 고체형 화장품이거나 또는 화장품이 아니라 화장을 하기 위한 브러쉬, 스폰지, 퍼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도구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화장도구의 경우 그 크기를 달리하거나 또는 부드러운 정도, 형태, 모양 등에 따라 다수 개를 준비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부호 250은 상부캡(1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도 제1내용물(a)을 최초에 충진시 그 형태를 성형하면서도 이를 보호토록 하기 위한 보호캡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100)의 전,후단에 각각 별도의 상,하부캡(11)(12)이 체결되면서도 내부에는 제1 및 제2내용물(a)(b)이 각각 수납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화장품용기로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으로, 먼저 제1내용물(a)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부캡(11)을 개방한 후, 바디(10)에 설치된 회전노브(210)를 돌려주면, 이의 회전력이 회전관(220)에 전달되어져 회전되고, 회전관(220)은 회전노브(210)와 스플라인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있음에 따라 공회전작동된다.
상기 회전관(220)이 공회전됨에 따라 이의 회전유도돌기(221)와 나사축(231)의 나사로 나사결합된 홀더(230)가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홀더(230)의 안착실(232)에 안착된 고체형 제1내용물(a)인 화장품이 바디(1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내용물(a)인 고체형 화장품이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디(10)를 파지한 상태로 직접 화장을 할 수가 있게 되고, 이렇게 사용하는 제1내용물(a)이 소멸되는 양만큼 회전노브(210)을 더 회전시켜 제1내용물(a)을 서서히 토출시킴으로써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제2내용물(b)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캡(12)을 개방하게 되면, 제2내용물(b)이 오픈됨으로써 바디(10)를 파지한 상태로 제2내용물(b)의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2내용물(b)이 브러쉬, 스폰지, 퍼프 등과 같은 화장도구일 경우에는 하부캡(12)을 개방한 상태에서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이와는 달리 제2내용물(b)이 제1내용물(a)와 성분이 다른 이종의 화장품일 경우에는 역시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내용물(b)은 고정캡(240)의 일측 체결홈(241)내에 체결됨과 동시에, 반대측에서 체결축(243)을 가지는 체결구(242)로 인하여 바디(10)상에 착탈이 가능토록 구성됨으로써 제2내용물(b)의 종류와 크기 등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다른 것으로 교체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컨데, 제2내용물(b)이 브러쉬, 스폰지 등과 같은 화장도구인 경우와 이의 화장도구의 크기와 종류를 달리하는 것을 다수로 준비하거나, 또는 제2내용물(b)이 고체형의 화장품인 것을 준비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스틱형 화장품용기에 두 가지 종류의 내용물을 수납함으로써 즉, 일측에는 고체형 화장품으로 구비하면서도 바디상에 설치되는 다이얼식 회전노브의 회전운동에 의해 외부로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사용하는 양만큼 점차적으로 토출시켜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바디의 반대측에는 캡에 의해 개폐되면서 브러쉬, 스폰지, 퍼프 등과 같은 화장도구나 또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는 고체형 화장품을 구비함으로써 역시 비사용시에는 안전하게 수납하였다가 사용시에는 그 용도에 맞게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0:화장품용기 A:제1내용물 수납수단
B:제2내용물 수납수단 10:바디
11:상부캡 12:하부캡
13:설치실 14:체결공
15:지지구 210:회전노브
211:스플라인 220:회전관
221:회전유도돌기 230:홀더
231;나사축 232:안착실
240:고정캡 241:체결홈
242:체결구 243:체결축
250:보호캡

Claims (5)

  1.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하부로 개구되는 유연한 곡면의 타원형으로 구성되면서 상,하부캡(11)(12)으로 개폐되고, 하부의 소정위치에는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설치실(13)이 구비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설치실(13)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에서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원통형의 다이얼식 회전노브(210);
    상기 바디(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노브(210)의 회전작동에 의해 고체형의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제1내용물(a)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측으로 출몰되도록 수납되는 제1내용물 수납수단(A);
    상기 바디(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분리 및 체결에 따른 교체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화장도구 또는 고체형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제2내용물(b)이 수납되는 제2내용물 수납수단(B);을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화장품용기에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내용물을 동시에 수납하여 출몰식과 개폐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용물 수납수단(A)은 바디(10)의 설치실(13)내에서 중심공을 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노브(210)와 이맞물됨되어 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면서 내측 상부에는 회전유도돌기(221)가 양측으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어 나사의 기능을 제공토록 하는 회전관(220)과;
    상기 회전관(220)의 내측에 축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축(231)이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회전관(220)의 회전유도돌기(221)와 나사식으로 이맞물림되며, 이의 상단에는 고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내용물(a)이 안착되는 안착실(232)을 가지는 홀더(230);로 구성되어 회전노브(2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제1내용물(a)이 바디(10)의 개구부로 출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220)의 내측에는 전체적으로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홀더(230)의 나사축(231)과 그 전체가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회전관(220)의 회전동력에 따라 홀더(230)가 진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하부 개구부내에는 설치실(13)과 연통되면서 체결홈(14)을 가지는 원형의 지지구(15)가 일체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제2내용물(b)이 수납되는 제2내용물 수납수단(B)의 고정캡(24)이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한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용물 수납수단(B)의 고정캡(240)은 전단에 제2내용물(b)이 체결되는 체결홈(241)을 가짐과 동시에, 후단에는 바디(10)의 지지구(15)와 결합되는 체결구(242)를 가지는 체결축(243)으로 구성되어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KR1020170090282A 2017-07-17 2017-07-17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KR20190008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282A KR20190008655A (ko) 2017-07-17 2017-07-17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282A KR20190008655A (ko) 2017-07-17 2017-07-17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655A true KR20190008655A (ko) 2019-01-25

Family

ID=6528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282A KR20190008655A (ko) 2017-07-17 2017-07-17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86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0964A (zh) * 2019-01-29 2020-08-04 (株)奥婷福踔思 化妆品容器
KR200496241Y1 (ko) * 2021-06-14 2022-12-07 주식회사 태성산업 스틱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0964A (zh) * 2019-01-29 2020-08-04 (株)奥婷福踔思 化妆品容器
KR20200093885A (ko) * 2019-01-29 2020-08-06 (주)아우딘퓨쳐스 화장품 용기
KR200496241Y1 (ko) * 2021-06-14 2022-12-07 주식회사 태성산업 스틱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1987C (en) Cosmetic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US8132977B2 (en) Refill container for consumer products
US20200102138A1 (en) Dual dispensing cosmetic container
WO2019177897A1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US6457891B1 (en) Refillable cosmetic powder dispenser
KR20190008655A (ko) 이종 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용기
US20150272297A1 (en) Multifunctional Cosmetic Applicator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CA2461589A1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US20120282010A1 (en) Liquid, fluid, and lotion container and applicator
KR200479043Y1 (ko)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200473460Y1 (ko)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CN215189827U (zh) 唇彩唇蜜笔口红
KR101745362B1 (ko)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0350245Y1 (ko)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KR20160047617A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US2621352A (en) Toothbrush construction
CN218259751U (zh) 双头盖管体结构
KR20160000760U (ko) 화장도구를 가지는 펌프식 스틱 화장품용기
CN214854970U (zh) 一种带有美妆蛋的化妆品容器
KR102142998B1 (ko)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102311515B1 (ko) 화장 도구
KR200491956Y1 (ko) 화장품 용기
KR960008289Y1 (ko) 콤팩트 화장 용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