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62B1 -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362B1
KR101745362B1 KR1020160011129A KR20160011129A KR101745362B1 KR 101745362 B1 KR101745362 B1 KR 101745362B1 KR 1020160011129 A KR1020160011129 A KR 1020160011129A KR 20160011129 A KR20160011129 A KR 20160011129A KR 101745362 B1 KR101745362 B1 KR 101745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container body
rotar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규
김준영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1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겔상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서 상,하 이동되며 제1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 도포부재가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1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슬릿을 형성한 리드링과, 상기 리드링 외주면에 상하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2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홈을 형성한 회전봉이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봉 내주면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겔상의 화장료를 가압할 수 밀판을 회전봉의 나사산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를 파지한 후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재의 제1,2가이드돌기가 상기 나선형가이드슬릿과 나선형가이드홈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부재에 형성된 상하가이드홈에 의해 이동부재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포부재가 출몰되는 구조이므로,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포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포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부재에 묻은 화장료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20)에 나사 결합되는 밀판(30)과, 상기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에 삽입되는 이동부재(40)와, 상기 이동부재(40) 상부에 결합되어 화장료를 도포하는 도포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40)와 도포부재(5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리드링(60)과, 상기 리드링(60)을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Cometic Container having a retractable 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겔상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서 상,하 이동되며 제1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 도포부재가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1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슬릿을 형성한 리드링과, 상기 리드링 외주면에 상하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2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홈을 형성한 회전봉이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봉 내주면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겔상의 화장료를 가압할 수 밀판을 회전봉의 나사산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를 파지한 후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재의 제1,2가이드돌기가 상기 나선형가이드슬릿과 나선형가이드홈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부재에 형성된 상하가이드홈에 의해 이동부재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포부재가 출몰되는 구조이므로,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포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포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부재에 묻은 화장료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색조화장품이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연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되며 베이스 메이크업에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실러는 여드름, 주근깨, 기미, 뾰루지, 다크써클 등 피부의 결점 부위를 감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컨실러를 사용하면 파운데이션 양을 줄일 수 있어 투명하고 자연스러운 화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컨실러는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고형 컨실러, 파우더형 컨실러, 겔상형 컨실러로 구분되며 고형 컨실러의 경우 커버력은 높지만 화장 시 뭉치는 단점이 있고, 파우더형 컨실러는 커버력은 좋지만 얼굴에 도포시 밀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상당한 지속력을 가지며 또한 피부에 도포 시 밀착감이 좋은 상기 겔상형 컨실러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이에 따라 겔상형 컨실러에 대한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겔상화장료를 펌프용기나, 튜브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 시에 사용자가 손에 덜거나 짜내어, 퍼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겔상형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퍼프를 따로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퍼프를 잃어 버릴 가능성이 높았고, 또한 퍼프를 따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퍼프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직접 손으로 퍼프를 파지하고 사용해야 되므로 오염된 손으로 퍼프를 파지하면 퍼프가 오염되며, 오염된 퍼프를 이용해 피부에 화장료 도포 시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7591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 상단 내측으로 배출벽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벽에는 배출구를 형성한 연결부재(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 상부에는 덮개가 결합되되, 상기 덮개 내측 아랫쪽으로 연장된 퍼프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퍼프고정부에 퍼프(3)가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써, 퍼프(3)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덮개에 결합시켜 퍼프(3)의 분실 방지와 휴대가 용이하며 직접 손으로 퍼프(3)를 파지하지 않아 퍼프(3)의 오염을 방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내용물을 퍼프(3)에 묻히기 위해 용기(1)에 덮개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용기(1)를 뒤집어 내용물을 퍼프(3)에 묻히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화장을 할 때마다 덮개를 용기(1)에 닫고 용기(1)를 뒤집어서 퍼프(3)에 내용물을 묻힌 후 다시 덮개를 열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퍼프(3)에 묻은 내용물을 다 사용하게 되면 다시 덮개를 용기(1)에 닫고 용기(1)를 뒤집어야 함으로써 화장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1025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4) 내부에 내용물 펌핑이 가능한 펌핑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4) 상부에 뚜껑부(5)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에 퍼프(6)가 안착되되, 상기 회전수단 외주면에 나선형 승강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외주면에 승강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구조로써, 회전수단을 회전시키면 퍼프(6)가 뚜껑부(5) 밖으로 출몰되며 출몰시킨 퍼프(6)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4)에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퍼프(6)에 화장료를 묻혀 화장하는 것으로, 화장 시 뚜껑부(5)로부터 퍼프(6)를 분리해서 사용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뚜껑부(5)를 분리하고 회전수단을 회전시켜 퍼프(6)를 출몰시킨 후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펌핑하고 펌핑 된 화장료를 퍼프(6)에 묻혀 사용하는 방식으로 화장을 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여 화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겔상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서 상,하 이동되며 제1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 도포부재가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1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슬릿을 형성한 리드링과, 상기 리드링 외주면에 상하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2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홈을 형성한 회전봉이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봉 내주면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겔상의 화장료를 가압할 수 밀판을 회전봉의 나사산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를 파지한 후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재의 제1,2가이드돌기가 상기 나선형가이드슬릿과 나선형가이드홈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부재에 형성된 상하가이드홈에 의해 이동부재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포부재가 출몰되는 구조이므로,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포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포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부재에 묻은 화장료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도포부재가 출몰된 후 회전부재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재가 리드링과 함께 계속 회전하면서 제2가이드돌기가 나선형가이드홈 상단에 형성된 차단벽에 의해 회전봉이 같이 회전됨으로써, 회전봉과 나사 결합된 밀판은 하부로 이동되어 화장료를 가압하여 화장료를 회전봉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토출유로를 통해 도포부재로 토출되도록 하여 회전운동으로만 도포부재를 출몰시키고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화장품 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제1토출유로(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유로(21) 상에 나선형가이드홈(22)이 형성된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20)에 나사 결합되어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밀어내는 밀판(30)과;
상기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에 삽입되는 삽입회전관(41)이 중앙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회전관(41) 내부 중앙에 제2토출유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토출유로(42) 상단부에 토출구(43)가 형성된 이동부재(40)와;
상기 이동부재(40) 상부에 결합되어 화장료를 도포하는 도포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40)와 도포부재(5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선형가이드슬릿(61)이 형성된 리드링(60)과;
상기 리드링(60)을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하가이드홈(71)이 형성된 회전부재(70);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부재(40)의 상부 외주연에는 제1가이드돌기(45)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45)는 리드링(60)의 나선형가이드슬릿(61)을 관통하여 회전부재(70)의 상하가이드홈(71)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40)의 삽입회전관(41) 하부 외주연에는 제2가이드돌기(46)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돌기(46)는 회전봉(20)의 나선형가이드홈(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봉(20)의 나선형가이드홈(22) 상단에는 차단벽(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40) 상단에는 결합돌륜(4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륜(44)은 도포부재(50)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5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링(60)의 하부 내주면에는 제2래칫기어(6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래칫기어(62)는 용기본체(1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래칫기어(12)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70)의 상부에는 뚜껑(8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는 겔상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서 상,하 이동되며 제1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 도포부재가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1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슬릿을 형성한 리드링과, 상기 리드링 외주면에 상하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제2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나선형가이드홈을 형성한 회전봉이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봉 내주면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제1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겔상의 화장료를 가압할 수 밀판을 회전봉의 나사산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를 파지한 후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재의 제1,2가이드돌기가 상기 나선형가이드슬릿과 나선형가이드홈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부재에 형성된 상하가이드홈에 의해 이동부재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포부재가 출몰되는 구조이므로,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포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포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부재에 묻은 화장료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포부재가 출몰된 후 회전부재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재가 리드링과 함께 계속 회전하면서 제2가이드돌기가 나선형가이드홈 상단에 형성된 차단벽에 의해 회전봉이 같이 회전됨으로써, 회전봉과 나사 결합된 밀판은 하부로 이동되어 화장료를 가압하여 화장료를 회전봉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토출유로를 통해 도포부재로 토출되도록 하여 회전운동으로만 도포부재를 출몰시키고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화장품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도포부재를 노출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를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도포부재를 노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를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20)에 나사 결합되는 밀판(30)과, 상기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에 삽입되는 이동부재(40)와, 상기 이동부재(40) 상부에 결합되어 화장료를 도포하는 도포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40)와 도포부재(5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리드링(60)과, 상기 리드링(60)을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겔상 화장료가 수용되고, 상부 외주면에 회전돌륜(11)과 제1래칫기어(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돌륜(11)에는 회전부재(70)에 형성된 회전환홈(7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래칫기어(12)는 회전돌륜(11)의 상부에 형성되어 리드링(60)에 형성된 제2래칫기어(62)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회전봉(20)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봉(2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제1토출유로(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유로(21) 상에 나선형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봉(20)의 나사산에는 밀판(30)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1토출유로(21)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겔상 화장료가 이동하는 통로이며, 제1토출유로(21)를 이동한 겔상 화장료는 이동부재(40)의 제2토출유로(42)로 이동한다.
상기 제1토출유로(21)의 내주면에는 나선형가이드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가이홈(22)에는 이동부재(40)의 제2가이드돌기(46)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봉(20)의 나선형가이드홈(22) 상단에는 차단벽(23)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벽(23)은 이동부재(40)의 제2가이드돌기(46)가 회전봉(20) 내에서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봉(20)에는 밀판(30)이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밀판(30)은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된 겔상 화장료를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판(30)은 가운데 결합공(31)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밀폐리브(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1)을 관통하여 회전봉(20)에 밀판(30)이 결합된다.
상기 밀폐리브(32)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겔상 화장료를 밀어낼 때,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에 밀착되어 겔상 화장료가 내벽에 남지 않게 한다.
상기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에는 이동부재(40)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이동부재(40)는 중앙 하측으로 삽입회전관(4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회전관(41) 내부 중앙에 제2토출유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토출유로(42) 상단부에 토출구(4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회전관(41)은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측으로 삽입되며, 하부 외주연에 제2가이드돌기(46)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돌기(46)는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가이드홈(22)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형가이드홈(22)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40)의 상부 외주연에는 제1가이드돌기(45)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45)는 리드링(60)의 나선형가이드슬릿(61)을 관통하여 회전부재(70)의 상하가이드홈(71)에 결합된다.
상기 제2토출유로(42)는 제1토출유로(21)를 이동한 겔상 화장료가 토출구(43)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상기 토출구(43)를 통해 배출되는 겔상 화장료는 도포부재(50) 내측으로 스며들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50) 표면으로 배출된다.
상기 이동부재(40) 상단에는 결합돌륜(4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륜(44)은 도포부재(50)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51)에 끼워져 상기 도포부재(50)가 이동부재(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포부재(50)는 내측에서 겔상 화장료가 스며나와 상기 겔상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게 된다.
상기 도포부재(50)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RSBR(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오픈셀 구조의 발포폼이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50)는 브러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부재(50)는 이동부재(40)에 의해 리드링(60) 내측에서 상,하 이동을 한다.
상기 이동부재(40)와 도포부재(5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리드링(60)이 결합된다.
상기 리드링(60)은 외주면에 나선형가이드슬릿(61)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제2래칫기어(62)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형가이드슬릿(61)에는 이동부재(40)의 제1가이드돌기(45)가 관통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래칫기어(62)는 용기본체(10)에 형성된 제1래칫기어(12)와 결합되어 리드링(60)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드링(60)을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회전부재(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70)는 내주면에 상하가이드홈(71)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회전환홈(72)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가이드홈(71)에는 리드링(60)의 나선형가이드슬릿(61)에 돌출된 이동부재(40)의 제1가이드돌기(45)가 위치하여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가이드돌기(45)가 리드링(60) 내부에서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환홈(72)은 용기본체(10)의 회전돌륜(11)이 결합되어 회전부재(70)가 회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회전부재(70)의 상부에는 뚜껑(80)이 더 결합되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포부재(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도포부재(50)가 오염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용기본체(10)에 겔상 화장료를 주입한 다음, 회전봉(20)에 밀판(30)을 나사 결합하여 상기 용기본체(10)에 장착한다.
이후, 이동부재(40)의 삽입회전관(41)을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측으로 삽입 장착하되, 상기 이동부재(40)의 제2가이드돌기(46)가 회전봉(20)의 나선형가이드홈(22)에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40)의 결합돌륜(44)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도포부재(50)를 결합하고, 상기 이동부재(40)와 도포부재(5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리드링(6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0)의 제1가이드돌기(45)는 리드링(60)에 형성된 나선형가이드슬릿(6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후, 회전부재(70)를 리드링(60)을 감싸면서 용기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0)의 제1가이드돌기(45)는 회전부재(70)의 상하가이드홈(71)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회전부재(70)의 상부에 뚜껑(80)을 더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뚜껑(80)을 분리한 다음,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키면 이동부재(40)의 제1,2가이드돌기(45,46)가 리드링(60)의 나선형가이드슬릿(61)과 회전봉(20)의 나선형가이드홈(21)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부재(70)에 형성된 상하가이드홈(71)에 의해 이동부재(4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포부재(50)가 출몰된다.
상기 도포부재(5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부재(50)에 묻은 화장료때문에 뚜껑(8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50)가 출몰된 후 회전부재(70)를 더 회전시키면 이동부재(40)가 리드링(60)과 함께 계속 회전하면서 제2가이드돌기(46)가 나선형가이드홈(22) 상단에 형성된 차단벽(23)에 맞닿아 회전봉(20)을 같이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봉(20)이 회전함에 따라 밀판(30)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화장료를 가압하여 상기 화장료가 도포부재(50)로 토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회전부재(70)의 회전운동으로만 도포부재(50)를 출몰시키고,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11:회전돌륜
12:제1래칫기어 20:회전봉
21:제1토출유로 22:나선형가이드홈
23:차단벽 30:밀판
31:결합공 32:밀폐리브
40:이동부재 41:삽입회전관
42:제2토출유로 43:토출구
44:결합돌륜 45:제1가이드돌기
46:제2가이드돌기 50:도포부재
51:결합홈 60:리드링
61:나선형가이드슬릿 62:제2래칫기어
70:회전부재 71:상하가이드홈
72:회전환홈 80:뚜껑

Claims (5)

  1.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제1토출유로(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유로(21) 상에 나선형가이드홈(22)이 형성된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20)에 나사 결합되어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밀어내는 밀판(30)과;
    상기 회전봉(20)의 제1토출유로(21) 내에 삽입되는 삽입회전관(41)이 중앙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회전관(41) 내부 중앙에 제2토출유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토출유로(42) 상단부에 토출구(43)가 형성된 이동부재(40)와;
    상기 이동부재(40) 상부에 결합되어 화장료를 도포하는 도포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40)와 도포부재(5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선형가이드슬릿(61)이 형성된 리드링(60)과;
    상기 리드링(60)을 감싸면서 용기본체(1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하가이드홈(71)이 형성된 회전부재(70);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부재(40)의 상부 외주연에는 제1가이드돌기(45)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45)는 리드링(60)의 나선형가이드슬릿(61)을 관통하여 회전부재(70)의 상하가이드홈(71)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40)의 삽입회전관(41) 하부 외주연에는 제2가이드돌기(46)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돌기(46)는 회전봉(20)의 나선형가이드홈(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0)의 나선형가이드홈(22) 상단에는 차단벽(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0) 상단에는 결합돌륜(4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륜(44)은 도포부재(50)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5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링(60)의 하부 내주면에는 제2래칫기어(6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래칫기어(62)는 용기본체(1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래칫기어(12)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70)의 상부에는 뚜껑(8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KR1020160011129A 2016-01-29 2016-01-29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KR101745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129A KR101745362B1 (ko) 2016-01-29 2016-01-29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129A KR101745362B1 (ko) 2016-01-29 2016-01-29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362B1 true KR101745362B1 (ko) 2017-06-12

Family

ID=5921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129A KR101745362B1 (ko) 2016-01-29 2016-01-29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3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02Y1 (ko) 2017-10-12 2018-11-13 주식회사 리치코스 컨실러 용기
CN114504181A (zh) * 2020-11-16 2022-05-17 广东一芙化妆品有限公司 具备消毒功能的化妆品涂抹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45Y1 (ko) 2002-08-09 2003-02-14 주식회사 보승코퍼레이션 파우더 배출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45Y1 (ko) 2002-08-09 2003-02-14 주식회사 보승코퍼레이션 파우더 배출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02Y1 (ko) 2017-10-12 2018-11-13 주식회사 리치코스 컨실러 용기
CN114504181A (zh) * 2020-11-16 2022-05-17 广东一芙化妆品有限公司 具备消毒功能的化妆品涂抹装置
CN114504181B (zh) * 2020-11-16 2023-08-01 广东一芙化妆品有限公司 具备消毒功能的化妆品涂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102164415B1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79043Y1 (ko)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745362B1 (ko)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KR101702428B1 (ko) 롤링 립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KR101782508B1 (ko) 회전형 립스틱 용기
KR101855918B1 (ko) 도포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60124966A (ko) 하부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170025697A (ko) 뚜껑 분리와 동시에 퍼프가 출몰되는 파운데이션 용기
KR200384959Y1 (ko) 회전승강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770581B1 (ko) 도포팁에 내용물 저장이 가능한 립 메이크업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60124967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77997Y1 (ko) 회전 가능한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00076367A1 (fr) Contenant de produit de maquillage
KR200350245Y1 (ko)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200010978A (ko) 잔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에어타이트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KR101826517B1 (ko) 듀얼 콤팩트 용기
JP2021106672A (ja) 塗布具付容器
KR20160000760U (ko) 화장도구를 가지는 펌프식 스틱 화장품용기
KR200482837Y1 (ko) 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용기
KR20160017679A (ko) 롤러를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170061871A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2666606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