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504A -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504A
KR20040038504A KR1020020067472A KR20020067472A KR20040038504A KR 20040038504 A KR20040038504 A KR 20040038504A KR 1020020067472 A KR1020020067472 A KR 1020020067472A KR 20020067472 A KR20020067472 A KR 20020067472A KR 20040038504 A KR20040038504 A KR 2004003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filter
net
meshes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246B1 (ko
Inventor
조계수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2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6Filtering particles other than 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도금장치의 도금조(101)로부터 유출되는 도금액(103)을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망(106)을 상기 전기도금장치의 측부에 설치된 여과부(110)에 일렬로 투입하기 위한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여과부(11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여과부에 투입되기 전의 여과망(106)을 보관하는 여과망 보관부(107A); 상기 여과망(106)을 상기 여과망 보관부(107A)로부터 여과부(110) 내에서 출구 쪽으로 운반하는 제1 운반 수단(108A, 114); 상기 여과부(110)의 출구 쪽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106)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상기 수용된 여과망을 세척하고 뒤집으며 상기 세척된 여과망을 배출하는 여과망 세척부(107B); 및 상기 세척된 여과망(106)을 상기 여과망 보관부(107A) 쪽으로 운반하는 제2 운반 수단(108B, 115)을 구비하며, 상기 여과망 보관부(107A)는 상기 제2 운반 수단(108B, 115)에 의해 이동되어 온 상기 세척된 여과망(106)을 내부에서 보관하고 다시 뒤집어서 상기 여과부(110)의 입구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AUTOMATIC CLEANING AND LOADING APPARATUS OF PLATING SOLUTION FILTER}
본 발명은, 전기도금장치에서 도금액 중의 이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망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투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여과망을 일정시간간격으로 자동으로 세척하고 다시 투입하여 도금액 중의 이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여과망의 역할을 최대한 발휘케 하고 그에 따라 양질의 전기도금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기도금라인 또는 전기도금장치는 도금을 위한 도금액, 도금물질, 전류 등을 이용해 전기도금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도금작업에서, 도금반응 중에 발생되는 산화물(슬러지)이나 이물질 및 불순물이 도금액 내에 존재하면 도금액의 순환이 불량하게 되며 금속이온의 원활한 공급이 어려워 정상적인 도금효율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도금라인을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액(103)이 공급되어 회수되는 도금조(101)의 일측에는 불순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의 여과망(106)이 설치된다. 이들 여과망(106)은 여과망 밀음부(108)를 통해 자동으로 공급되고, 여과작업을 수행한 후 여과망 수거통(109)에 모아진 여과망(106)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세척하여 여과망 보관틀(107)에 장입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작업은 도금조(101)가 다수인 경우에 시간과 안전측면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여과망으로서의 기본 역할인 도금액의 청정화를 기대할 수 없다는 취약점을 안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도금라인의 도금액 여과망(106)을 적용한 상태에 따르면, 도금을 하기 위해 도금조(101), 컨덕터 롤(102) 및 스트립(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금조(101) 내에서, 컨덕터 롤(102) 하부와 스트립(104)이 진행되어 나오는 부분에 도금액 공급용 노즐(미도시)에 의해 도금액(103)이 공급된다. 상기 도금액(103) 내에는 가용성 아연 아노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노드와 컨덕터 롤(102)에 전류를 투입하면 도금액(103) 내의 아연 이온이 스트립(104) 표면에 부착되고 아노드는 녹아 도금액 속에 아연이온을 보충하면서 균일한 도금이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과정 중에 도금액(103)은 한 쌍의 도금액 유도용 측면 플레이트(105)를 통해 도금조(101) 일측에 설치된 여과망(106)으로 회수되고, 여과망(106)은 도금 과정 중에 발생되는 산화물, 불순물 및 도금액 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회수된 도금액은 다시 높은 압력과 빠른 유속을 유지하며 도금액 공급용 노즐(도시 생략)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금 작업 중에 도금액 여과망(106)을 교체하여 여과망 수거통(109)에 모아진 오염된 여과망(106)을 세척하고 여과망 보관틀(107)에 장입해 가며 도금액(103) 내의 불순물을 일부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오염된 여과망(106)의 신속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된 여과망(106)은 세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원활한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도금조(101)가 다수 개가 있는 경우에는 오염된 여과망의 세척이 더욱 지연되어 여과망(106)과 여과망 레일의 고착으로 교체가 어려워진다. 더욱이 여과망이 막힘으로써 다량의 고착된 여과망의 세척 및 교체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들 도금조 내의 여과망 관리가 어려워 막힘이 발생할 경우 도금액이 회수되지 않고 도금조 밖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도금액이 유출될 경우 여과망은 전량 교체된다. 하지만 교체장소가 협소하고 각종 롤이 회전하는 작업장 환경이 위험하여 작업 중의 교체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여과망을 파손하여 도금액 유출을 방지한다. 이는 도금액의 유출을 방치할 경우 환경오염과 제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심지어는 조업이 중단되기까지 하므로 이를 방지하기위함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여과망의 기능은 손상되고 도금액 내의 불순물 및 이물질로 각종 용액의 공급 노즐이 막히게 됨으로써 도금액 유속이 불량하여 도금표면 불량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요약할 때 종래의 전기도금라인의 도금액 여과망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도금 작업 중에 여과망의 자동 교체시 효율적인 세척이 어렵다. 둘째 여과망의 교체지연으로 여과망 레일의 고착되어 교체 자체가 어렵게 된다. 셋째 다수의 여과망이 설치되어 있어 관리 및 유지가 어렵다. 넷째 여과망의 불량에 의한 도금액 공급 노즐의 막힘으로 도금액 유속이 저하되어 도금품질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다섯째 다수의 여과망의 세척, 수리 및 교체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여섯째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협착 및 안전재해의 위험이 잠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도금장치에서 사용되는 도금액으로부터 여과망에 부착되는 산화물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세척된 여과망을 자동으로 재투입하여 여과작업 및 그에 따른 도금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도금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가 설치된 전기도금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장치의 제2 여과망 보관틀과 롤 기구 구동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성에서 상하부 레일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브러시 롤 기구 및 롤 기구 구동부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2 외측 삼각대와 제1 및 제2 삼각대 구동 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내측 삼각대와 브러시 롤의 결합 브래킷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에 따른 여과망의 자동 세척 및 투입작업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6: 여과망107A, 107B: 여과망 보관틀
108A, 108B: 여과망 밀음부111A, 111B: 보관틀 구동 모터
112: 브러시 롤 구동 모터113: 급수 배관
114, 115: 레일119: 피니언 기어
120: 래크 기어138: 구동 샤프트
139, 140: 내측 삼각대141, 142: 외측 삼각대
144: 브러시 롤156, 160: 삼각대 구동 바
161: 삼각대 구동 실린더N: 노즐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는 전기도금장치의 도금조로부터 유출되는 도금액을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망을 상기 전기도금장치의 측부에 설치된 여과부에 일렬로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여과부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여과부에 투입되기 전의 여과망을 보관하는 여과망 보관부; 상기 여과망을 상기 여과망 보관부로부터 상기 여과부 내에서 여과부의 출구 쪽으로 운반하는 제1 운반 수단; 상기 여과부의 출구 쪽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상기 수용된 여과망을 세척하고 뒤집으며 상기 세척된 여과망을 배출하는 여과망 세척부; 및 상기 세척된 여과망을 상기 여과망 보관부 쪽으로 운반하는 제2 운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여과망 보관부는 상기 제2 운반 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온 상기 세척된 여과망을 내부에서 보관하고 다시 뒤집어서 상기 여과부의 입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과 연계되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가 설치된 전기도금장치가 도시되며,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도금장치와 동등한 구성요소에는 동등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전기도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도금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금조(101), 컨덕터 롤(102), 도금액(103), 스트립(104), 한 쌍의 도금액 유도용 측면 플레이트(105), 도금액 여과망(106) 등을 구비하여 전기도금작업을 수행한다.한편 상기 전기도금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는 제1 및 제2 여과망 보관틀(107A, 107B), 제1 및 제2 여과망 밀음부(108A, 108B), 제1 및 제2 보관틀 구동 모터(111A, 111B), 도금액 여과부(110) 등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여과망 보관틀(107B)의 후방에는 브러시 롤 구동 모터(112)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배관(1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금조(101)로부터 측면 플레이트(105)를 통해 유도되는 도금액(103)은 일렬로 배치된 여과망(106)에 의해 여과된 다음 여과망 하측의 도금액 수집기(도시 생략) 및 연결 배관을 통해 다시 도금 노즐(도시 생략)로 공급된다.
도 3은 제1 및 제2 여과망 보관틀(107A, 107B)과 도금액 여과부(1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금액 여과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도금액 수집기 및 연결 배관은 동도에서도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 및 5는 여과망 세척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여과망 보관틀(107B)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일렬의 여과망(106)은 상부 레일(114)에 얹혀져 제1 여과망 밀음부(108A)에 의해 제1 여과망 보관틀(107A)로부터 여과부(110) 내로 이동하여 도금액(103)을 여과한 다음, 다시 제1 여과망 밀음부(108A)의 작동에 의해 제2 여과망 보관틀(107B) 안으로 이동한다. 여과망(106)은 도 3 및 4에서와 같이 상측 레일(114)에 바퀴(116)가 얹혀져 있으므로 밀음부(108A)는 적은 힘으로도 여과망(106)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여과망 세척부 즉 제2 여과망 보관틀(107B) 내에서 세척된 여과망(106)은 또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레일(115)에 얹혀진 다음 제2 여과망 밀음부(108B)의 작동에 의해 제1 여과망 보관틀(107A)로 다시 이동된다. 제1 여과망 보관틀(107A)에 장착된 여과망(106)은 제1 모터(111A)가 구동되고 제1 여과망 보관틀(107A)이 회전되면 하측으로부터 상측 위치로 회전되어 제1 여과망 밀음부(108A)가 밀을 수 있는 최상단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제2 여과망 밀음부(108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34), 연결 브래킷(135) 및 여과망(106)을 미는 푸시 로드(136)로 이루어진다. 실린더(134)에서 발생된 압력은 굴곡된 연결 브래킷(135)을 거쳐 푸시 로드(136)로 전달된다. 여과망 밀음부(108B)를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실린더(134)의 중심축과 제2 보관틀(107B) 최하단의 여과망(106)이 서로 동축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여과망 밀음부(108A)는 실린더와 푸시 로드가 동축에 위치하여 제2 밀음부(108B)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여과망 보관틀(107A, 107B) 내에서의 여과망(106)의 회전 및 관련된 구성을 도 2 내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제2 여과망 보관틀(107B)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은 제1 여과망 보관틀(107A)에 있어서도 대체로 동일하다.
제2 여과망 보관틀(107B)은 제2 모터(111B)의 피니언 기어(119)에 치차 결합되는 원형 래크 기어(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래크 기어(120)의 내주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 개의 여과망 수납용 보조 레일(124)을 구비한 원통형의 여과망 수납 프레임(123)이 결합되어 상기 래크 기어(120)와 함께 회전한다. 한편 상기 래크 기어(120)의 외주에는 6개의 검출봉(121)이 설치된다. 상기 검출봉(121)은 그 위치가 제2 여과망 보관틀(107B)의 외주 일측에 부착된 회전 감지 센서(122)에 의해 검출되며, 그에 따라 상기 검출봉(121)에 상응하는 상기 보조 레일(124)들은 그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크 기어(120)의 후방에는 두 개의 환상 베어링(129, 130)이 설치되며, 래크 기어(120)의 전방에는 이를 가리도록 보관틀 보호용 전방 커버(125)가 설치되어 있다. 보관틀 보호용 전방 커버(125)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구동 모터(111B)가 상기 래크 기어(1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만입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커버(125)는 상부 및 하부 개방부(127, 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개방부(127, 128)는 상하부 레일(114, 115)을 각각 가리는 상하부 레일 커버(117, 118)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각각 상기 제2 여과망 보관틀(107B)의 입구 및 출구를 형성한다.
한편 베어링(130)의 후방에는 환상의 브러시 롤 가이드 기어(131)가 보관틀 보호용 후방 커버(132)에 고정된다. 상기 후방 커버(132)는 상기 여과망 수납 프레임(123) 및 전방 커버(125)와 함께 상기 보관틀(107B) 내부의 세척 공간을 형성한다. 후방 커버(132)의 중앙부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에는 다수의 가요성 플레이트(133)가 설치된다. 상기 가요성 플레이트(133)는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짐으로써 상기 개방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한다. 이때 가요성 플레이트(1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므로 후술하는 브러시 롤 기구(137)가 상기 보관틀(107B) 내부의 세척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도 세척시 물 등이 보관틀(107B) 외부로 튀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세척 공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요성 플레이트(133)의 하측에는 밀음부(108B)의 푸시 로드(136)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에도 역시 복수의 가요성 플레이트(13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요성 플레이트(133-1)는 전술한 가요성 플레이트(133)에 비해 치수만 작을 뿐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므로 추가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선행하는 도 2 내지 도 6을 후속하는 도 7 내지 도 10과 함께 참조하여 브러시 롤 기구(137) 및 이 롤 기구(137)를 회전시키기 위한 롤 기구 구동부(160)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롤 기구(137)는 제2 보관틀(107B) 내에 설치되고, 브러시 롤 구동 모터(112)를 비롯한 구동부(160)는 제2 보관틀(107B)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브러시 롤 기구(137)는 한 쌍의 내측 삼각대(139, 140)의 중앙 구멍(139H, 140H)이 상기 구동 모터(112)의 구동 샤프트(138)의 둘레에 견고하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구동 샤프트(138) 및 구동 모터(112)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구동 샤프트(138)의 상기 내측 삼각대(139, 140)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는 다수의 분사 노즐(N)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삼각대(139, 140)의 전방과 후방에는 외측 삼각대(141, 1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 삼각대(141, 142)는 내측 삼각대(139, 140)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상기 구동 샤프트(138)의 표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그 중앙 구멍(141H, 142H)의 직경이 상기 구동 샤프트(138)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내측 및 외측 삼각대(139, 140; 141, 142)는 각각 슬롯(139S, 140S;141S, 142S)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세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제1 외측 삼각대(141)의 다리의 단부는 연결 바(143)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바(143)의 타단은 브러시 롤(144)의 일단의 결합 브래킷(145)에 의해 인접한 제1 내측 삼각대(139)의 상기 슬롯(139S)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 브래킷(145)은 헤드(145-1)가 연결 바(143)의 타단과 핀(P)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드(145-1)에는 슬롯(139S) 내측의 활주 홈(G)에 맞물리는 돌기(14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브래킷(145)은 연결 바(143)의 타단과 함께 슬롯(139S) 내측에서 활주 홈(G)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및 결합은 제2 내측 및 외측 삼각대(140, 142)와 브러시 롤(144) 타단의 결합 브래킷(145)에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112)에 의해 발생된 회전은 구동 샤프트(138)에 전달되고, 이어서 한 쌍의 내측 삼각대(139, 140)를 거쳐 세 개의 브러시 롤(144)에 전달된다.
한편 내측 및 외측 삼각대(139, 140; 141, 142)는 일측에 부분 원판(147, 148; 149, 15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부분 원판(147, 148; 150)에는 제1 삼각대 구동 바(156)가 관통하기 위한 장방형의 구멍(151)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한편 제1 외측 삼각대(141)의 부분 원판(149)에는 나사 구멍(152)이 형성되고 나사(153)가 관통하여 제1 삼각대 구동 바(156)의 일단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1 삼각대 구동 바(156)의 타단은 구동 모터(1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138) 둘레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 활주 링(165)의 평탄부(166)에 나사 고정된다.
이러한 활주 링(165)은 구동부(160)의 다른 구동 기구인 삼각대 구동 실린더(161)에 의해 구동 샤프트(138)를 따라 왕복이동한다. 즉 삼각대 구동 실린더(161)의 실린더 봉(161-1)은 L-자형의 연결 브래킷(162)에 연결되고, 상기 L-자형 연결 브래킷(162)의 확장된 상단(163)은 상기 활주 링(165)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형태이고 양 측부는 상측 연결 브래킷(164)의 양 측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평탄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상측 연결 브래킷(164)도 역시 상기 활주 링(165)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오목한 중앙부를 가지므로 상기 연결 브래킷의 상단(163) 및 연결 브래킷(165)의 중앙부는 상기 활주 링(165)을 수용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결 구성에 의해 상기 삼각대 구동 실린더(161)가 작동하면 그 구동력은 연결 브래킷(162), 활주 링(165) 및 제1 삼각대 구동 바(156)를 차례로 거쳐 제1 외측 삼각대(141)에 전달된다.
한편 제1 삼각대 구동 바(156)는 타단에 인접한 부위에 래크 나사(1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래크 나사(157)는 피니언 기어(158)를 매개로 제2 삼각대 구동 바(160)의 래크 나사(159)와 결합된다. 상기 제2 삼각대 구동 바(160)의 타단은 제2 외측 삼각대(142)의 부분 원판(150)과 맞닿고 부분 원판(150)에 천공된 나사 구멍(154)을 관통한 나사(155)에 의해 상기 부분 원판(150)에 고정된다. 이들 제1 및 제2 삼각대 구동 바(156, 160), 피니언 기어(158) 및 인접한 구동 샤프트(138)의 일부는 상하부 클램프(167, 16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삼각대 구동 바(156, 16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브러시 롤 기구(137)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161)가 팽창되면 실린더 봉(161-1)은 전진하고 이 전진 운동은 L-자형 브래킷(162), 활주 링(165) 및 제1 삼각대 구동 바(156)를 차례로 거쳐 제1 외측 삼각대(141)에 전달되어 제1 외측 삼각대(141)를 전진시킨다. 한편 실린더 봉(161-1)의 전진 운동은 제1 삼각대 구동 바(156)의 래크 기어(162), 피니언 기어(158), 제2 삼각대 구동 바의 래크 기어(159) 및 제2 삼각대 구동 바(160)를 거쳐 제2 외측 삼각대(142)에 전달되어 제2 외측 삼각대(142)를 후진시킨다. 이렇게 되는 제1 및 제2 외측 삼각대(141, 142)는 서로 멀어지고 그에 따라 결합된 연결 바(143)의 일단을 외측으로 끌고 가게 된다. 따라서 내측 삼각대(139, 140)의 슬롯(139S, 140S)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 바(143)의 타단은 내측 삼각대(139, 140)의 중심 쪽으로 활주하면서 결합된 브러시 롤(144)도 역시 내측 삼각대(139, 140)의 중심을 향해 끌고 가게 된다. 그 결과 세 개의 브러시 롤(144)은 구동 샤프트(138)를 중심으로 수축하게 된다.
한편 실린더(161)가 수축하면 실린더 봉(161-1)의 후퇴 운동에 의해 L자형 브래킷(162), 활주 링(165) 및 제1 삼각대 구동 바(156)는 후퇴하여 제1 외측 삼각대(141)를 후퇴시키고, 제2 삼각대 구동 바(160)는 반대로 전진하여 제2 외측 삼각대(142)를 전진시킨다. 이렇게 되는 제1 및 제2 외측 삼각대(141, 142)는 서로 접근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결합된 연결 바(143)의 일단을 내측으로 끌고 가게 된다. 따라서 내측 삼각대(139, 140)의 슬롯(139S, 140S)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 바(143)의 타단은 내측 삼각대(139, 140)의 외주 쪽으로 활주하면서 결합된 브러시 롤(144)도 역시 내측 삼각대(139, 140)의 외주를 향해 끌고 가게 된다. 그 결과 세 개의 브러시 롤(144)은 구동 샤프트(138)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확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러시 롤(144)이 외측으로 확장하면 상기 브러시 롤(144)의 아이들 기어(146)는 보관틀 보호용 후방 커버(132)에 고정된 환상의 브러시 롤 가이드 기어(131)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112)의 구동에 따라 구동 샤프트(138)가 회전하면, 브러시 롤(144)은 상기 아이들 기어(146)를 매개로 상기 가이드 기어(131)의 내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 배관(113)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분사 노즐(N)을 통해 분사되고 브러시 롤(144)이 회전되면, 브러시 롤(144)의 회전과 세척수의 분사에 따라 제2 여과망 보관틀(107B) 내부에서 여과망(106)들이 세척된다. 아울러 세척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보관틀 구동 모터(111B)의 회전에 따라 제2 보관틀(107B)이 소정 정도 회전하고 그에 따라 세척된 여과망(106)이 최하단 위치에 배치된다. 그 다음 여과망 밀음부(108B)의 푸시 로드(136)에 의해 전방으로 상기 제2 여과망 보관틀(107B)로부터 하부 레일(115)을 따라 이동되어 다시 제1 여과망 보관틀(107A) 안으로 수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에 따른 여과망의 자동 세척 및 투입작업은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된다.
먼저 전기도금장치가 작동되어(S1),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예컨대 1 시간)이 경과하면(S2), 제1 여과망 밀음부(108A)를 전진시켜 여과망(106)을 전진시킨다(S3).
전진이 감지되면(S4), 제1 여과망 밀음부(108A)를 후퇴시키고(S5), 후퇴가 감지되면(S6), 제2 보관틀 구동 모터(111B)를 작동시켜 제2 보관틀(107B) 내부에서 여과망(106)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7). 제2 보관틀(107B)이 소정 위치로 회전된 것으로 감지되면(S8), 제2 보관틀 구동 모터(111B)를 정지시켜 제2 보관틀(107B)의 회전을 중단시킨다(S9).
이어 삼각대 구동 실린더(161)를 팽창시켜 브러시 롤(144)을 확장시키고(S10), 롤 구동 모터(112)를 작동시켜 브러시 롤(144)을 회전시킨다(S11). 이와 함께 급수 배관(113)을 열어 세척수를 노즐(N)을 통해 분사시킴으로써(S12), 여과망(106)의 세척작업을 수행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롤 구동 모터(112)를 정지시키고(S13), 세척수를 차단하여(S14) 세척작업을 완료한 다음 삼각대 구동 실린더(161)를 수축시켜 브러시 롤(144)을 수축시킨다(S15).
제1 보관틀 구동 모터(111A)를 작동시켜 제1 보관틀(107A)을 회전시키고(S16), 회전이 감지되면(S17),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구동 모터(111A)를 정지시킨다.
이어 제2 여과망 밀음부(108B)를 전진시켜(S19), 세척된 여과망(106)을 제1 보관틀(107A) 쪽으로 이동시킨다. 전진이 감지되면(S20), 제2 여과망밀음부(108B)를 후퇴시키고(S21), 후퇴가 감지되면(S22) 제1 단계(S1)로 복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 장치에 따르면, 전기도금장치에서 사용되는 여과망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재투입함으로써 여과망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이 원활해지고 생산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여과망의 막힘에 의한 사고 또는 여과망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전기도금장치의 도금조(101)로부터 유출되는 도금액(103)을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망(106)을 상기 전기도금장치의 측부에 설치된 여과부(110)에 일렬로 투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11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여과부에 투입되기 전의 여과망(106)을 보관하는 여과망 보관부(107A);
    상기 여과망(106)을 상기 여과망 보관부(107A)로부터 상기 여과부(110) 내에서 여과부의 출구 쪽으로 운반하는 제1 운반 수단(108A, 114);
    상기 여과부(110)의 출구 쪽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106)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상기 수용된 여과망을 세척하고 뒤집으며 상기 세척된 여과망을 배출하는 여과망 세척부(107B); 및
    상기 세척된 여과망(106)을 상기 여과망 보관부(107A) 쪽으로 운반하는 제2 운반 수단(108B, 115)을 구비하며,
    상기 여과망 보관부(107A)는 상기 제2 운반 수단(108B, 115)에 의해 이동되어 온 상기 세척된 여과망(106)을 내부에서 보관하고 다시 뒤집어서 상기 여과부(110)의 입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 세척부는
    상기 수용된 여과망(106)을 세척하는 세척공간을 제공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여과망을 뒤집는 원통형 세척실(107B);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2);
    상기 모터(112)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실(107B) 내부로 연장된 구동 샤프트(138);
    상기 세척실(107B)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138)를 중심으로 확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브러시 롤(144);
    상기 샤프트(138)의 원통형 본체(107B) 형성된 물 분사구(N);
    상기 물 분사구(N)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배관(113)을 포함하는 세척수단(137); 및
    상기 브러시 롤(144)을 수축 가능하게 확장시키는 확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수단은
    상기 구동 샤프트(138)에 고정되고, 상기 브러시 롤(144)과 동일한 수효의 암을 가지며, 각각의 암은 내벽에 홈(G)이 형성된 슬롯(139S, 140S)이 있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139, 140);
    상기 구동 샤프트(138)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 롤(144)과동일한 수효의 암을 갖는 한 쌍의 가동 브래킷(141, 142);
    상기 브러시 롤(144)의 축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139, 140)의 슬롯(139S, 140S)의 홈(G)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145-2)가 형성된 결합 브래킷(145);
    일단이 상기 가동 브래킷(141, 142)의 각각의 암의 말단에 피벗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 브래킷(145)에 각각 피벗 결합되는 상기 브러시 롤(144)과 동일한 수효의 연결 바(143);
    상기 가동 브래킷(141, 142)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브래킷 구동 바(156, 160); 및
    상기 브래킷 구동 바(156, 160)를 구동시키는 실린더(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투입 및 세척장치.
KR1020020067472A 2002-11-01 2002-11-01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KR10095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72A KR100951246B1 (ko) 2002-11-01 2002-11-01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72A KR100951246B1 (ko) 2002-11-01 2002-11-01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504A true KR20040038504A (ko) 2004-05-08
KR100951246B1 KR100951246B1 (ko) 2010-04-05

Family

ID=3733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472A KR100951246B1 (ko) 2002-11-01 2002-11-01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2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2151A (zh) * 2018-04-17 2018-08-07 盐城市弘通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旋拌式石油浸渍清洗装置
KR20190093369A (ko) 2018-02-01 2019-08-09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CN110449424A (zh) * 2019-07-18 2019-11-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舟皿自动清理装置
CN110484960A (zh) * 2019-08-02 2019-11-22 矽品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eci导入自动清洗排酸桶系统的方法
KR20210115407A (ko) 2020-03-13 2021-09-27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제철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제거장치
CN114220730A (zh) * 2021-11-08 2022-03-22 深圳市宏达秋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化学镀锡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505B2 (ja) * 1993-03-30 2000-09-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着塗装装置
KR970006439A (ko) * 1995-07-04 1997-02-21 홍성자 가구용 광택제
KR100833020B1 (ko) * 2001-12-05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용액의 오버 플로우 망 자동교체장치
KR200268943Y1 (ko) * 2001-12-24 2002-03-1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도금 설비의 여과망 소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369A (ko) 2018-02-01 2019-08-09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CN108372151A (zh) * 2018-04-17 2018-08-07 盐城市弘通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旋拌式石油浸渍清洗装置
CN110449424A (zh) * 2019-07-18 2019-11-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舟皿自动清理装置
CN110484960A (zh) * 2019-08-02 2019-11-22 矽品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eci导入自动清洗排酸桶系统的方法
KR20210115407A (ko) 2020-03-13 2021-09-27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제철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제거장치
CN114220730A (zh) * 2021-11-08 2022-03-22 深圳市宏达秋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化学镀锡加工工艺
CN114220730B (zh) * 2021-11-08 2024-03-19 吉安宏达秋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化学镀锡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246B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9993B (zh) 伸缩型复合机械臂及清洗装置
CN211635736U (zh) 一种汽车空滤器的自清洗装置
WO2021022697A1 (zh) 过滤装置和切削液过滤系统
KR100951246B1 (ko) 도금액 여과망 자동 세척 및 투입장치
WO199704304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farb- und lackverschmutzten gegenständen
CN113634398A (zh) 一种便于均匀涂抹的金属涂层加工用喷涂装置
CN110103070B (zh) 具有废屑清理功能的机床用平床身
CN110559716B (zh) 过滤装置和切削液过滤系统
KR101113272B1 (ko) 필터 클리너
CN218078597U (zh) 一种带防护水幕的自动喷涂设备
CN213915088U (zh) 一种金属螺杆生产用除污设备
CN213223659U (zh) 一种金属合金钢料盘的清洗装置
JP4910276B2 (ja) 洗浄機構を有する塗工装置
CN210386733U (zh) 一种液晶显示屏背板用清洗装置
KR200268943Y1 (ko) 도금 설비의 여과망 소제장치
CN109252587B (zh) 防止堵塞的下水道清洁车
CN114888014B (zh) 一种沼气罐内壁高压水喷射装置
TWM525787U (zh) 濾芯清洗裝置
CN217043598U (zh) 一种清洁装置以及可调节摄像头装置
CN215236404U (zh) 一种钻咀清洗设备
CN215971701U (zh) 一种有机肥运输车
CN117412496B (zh) 一种高密度印刷电路板加工用除胶渣装置
CN216421887U (zh) 一种自动化机床用切割废料回收装置
CN219709599U (zh) 一种黑铁丝加工用酸洗装置
CN218743356U (zh) 一种用于铜门加工的原料预处理的清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