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688A -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688A
KR20040037688A KR1020020066271A KR20020066271A KR20040037688A KR 20040037688 A KR20040037688 A KR 20040037688A KR 1020020066271 A KR1020020066271 A KR 1020020066271A KR 20020066271 A KR20020066271 A KR 20020066271A KR 20040037688 A KR20040037688 A KR 20040037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ining amount
mobile communication
charge
set value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7688A/ko
Publication of KR2004003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688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자동화 기기의 인출량 및 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잔량 상태를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잔량 통보 시스템은 자동화기기 식별 번호, 최대 충전 금액 및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설정값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동화기기 관리 수단, 자동화기기별 담당자의 신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동화기기별 담당자 관리 수단, 자동화기기에 남아 있는 상품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잔량 확인 수단, 자동화기기로부터 인출되는 상품 양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잔량 확인 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출량 카운팅 수단 및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잔량 통보 수단에 의하면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남아 있게 되면, 해당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자동화기기가 조속히 충전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Goods Remainder of Automatic Machine Us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인 금융거래 기기 등과 같은 자동화 기기의 잔량을 담당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 기기의 인출량 및 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잔량 상태를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 물품(커피, 음료, 티켓 등) 자동판매기 등과 같은 자동화기기는 버튼 입력 등에 의한 사용자의 거래 요구를 해석하고, 사용자의 거래 요구에 대응하는 화폐나 상품을 인출시키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자동화기기는 무인으로 운영되며, 화폐나 상품이 모두 인출되면 해당 자동화기기의 담당자가 화폐나 상품을 재충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화폐나 상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자동화기기의 담당자가 항상 자동화기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폐나 상품을 인출하려고 할 때 잔량이 없거나 부족하여 자동화기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자동화기기 담당자와 연락을 취하여 자동화기기 담당자에 의해 화폐나 상품을 충전하도록 한 후 자동화기기를 이용할 수는 있지만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해당 자동화기기를 운영하는 업체에 대한 불신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금융 자동화기기의 경우 휴일에는 평일에 비하여 사용 빈도가 높아 금융 자동화기기의 잔고가 더욱 쉽고 빈번하게 바닥나게 되며, 잔고가 없을 때마다 화폐를 충전하지 않게 되면 해당 은행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기기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설정값보다 잔량이 부족한 경우 해당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잔고 부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자동화기기에서 서비스하는 상품의 잔량이 항상 설정값 이상으로 확보되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화기기에서 서비스하는 상품의 잔량을 항상 설정값 이상으로 확보함으로써, 자동화기기 사용자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량 통보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잔량 통보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량 통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 10-m : 이동통신 단말기20 이동통신 시스템
30 :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40-1 ~ 10-n : 자동화기기
50 : 잔량 통보 시스템500 : 제어부
502 : 자동화기기 관리 수단
504 : 자동화기기별 담당자 관리 수단
506 : 잔량 확인 수단508 : 인출량 카운팅 수단
510 :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520 : 데이터베이스
522 : 자동화기기 DB524 : 담당자 DB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자동화기기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되어,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 상태를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잔량 통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자동화기기의 식별 번호, 최대 충전 금액 및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설정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동화기기 관리 수단; 상기 각 자동화기기마다 배정된 담당자의 신상정보를 상기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동화기기별 담당자 관리 수단; 상기 각 자동화기기에 남아 있는 상품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잔량 확인 수단; 상기 각 자동화기기로부터 인출되는 상품의 양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상기 잔량 확인 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출량 카운팅 수단; 및 상기 잔량 확인 수단에서 확인한 상기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이 상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자동화기기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되어,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 상태를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잔량 통보 방법으로서, (a) 상기 각 자동화기기별 최대 잔량, 잔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정값 및 담당자 관련 정보를 책정하는 단계; (b)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자동화기기에 대하여 인출 이벤트가 발행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d) 인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출 후의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인출 후의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담당자에 의해 상기 자동화기기가 충전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g) 상기 자동화기기가 충전된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자동화기기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h) 상기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량 통보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잔량 통보 시스템(50)은 다수의 자동화기기(40-1 ~ 40-n)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에 접속되어, 각 자동화기기(40-1 ~ 40-n)에서 인출하는 상품의 수 또는 양을 카운팅하고, 그 결과로 남아 있는 상품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는 각 자동화기기(40-1 ~ 40-n)마다 상품 잔량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잔량 통보 시스템(50)에 알려 주며, 잔량 통보 시스템(50)은 자동화기기(40-1 ~ 40-n)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해당 자동화기기(40-1 ~ 40-n) 담당자에게 통보하여 준다.
자동화기기(40-1 ~ 40-n)의 잔량이 설정값 이하가 되었음을 담당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잔량 통보 시스템(50)은 단문, 음성,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작성하며, 이 메시지가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하여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1 ~ 10-m)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설정값은 잔량의 최하 수위에 해당하는 제1 설정값 및 잔량이 0인 상태의 제2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설정값은 자동화기기의 특성에 따라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에서 결정한다.
자동화기기 담당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1 ~ 10-n)로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자동화기기의 잔량이 설정값 이하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잔량이 0으로 되기 전 자동화기기(40-1 ~ 40-n)의 상품을 재충전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이 없이 자동화기기(40-1 ~ 40-n)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잔량 통보 시스템(50)은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에서 운영하거나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와는 독립적인 운영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잔량 통보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잔량 통보 시스템(50)은 제어부(500), 자동화기기 관리 수단(502), 자동화기기별 담당자 관리 수단(504), 잔량 확인 수단(506), 인출량 카운팅 수단(508),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510) 및 데이터베이스(52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520)는 자동화기기 DB(522) 및 담당자 DB(524)를 포함하는데,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자동화기기 관리 수단(5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 및 이에 접속되는 다수의 자동화기기(40-1 ~ 40-n)의 식별번호, 최대 충전 금액, 제1 설정값, 제2 설정값을 자동화기기 DB(522)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자동화기기별 담당자 관리 수단(504)은 각 자동화기기마다 배정된 담당자의 신상정보 예를 들어, 이름,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담당자 DB(52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잔량 확인 수단(506)은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각 자동화기기(40-1 ~ 40-n)에 남아 있는 화폐 또는 상품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역할을 하며, 인출량 카운팅 수단(508)은 자동화기기(40-1 ~ 40n)로부터 인출되는 상품의 양을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카운팅하여 이전 시점의 잔량으로부터 인출된 상품의 양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510)은 잔량 확인 수단(506)에서 확인한 잔량이 제1 설정값 또는 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이를 해당 자동화기기(40-1 ~ 40-n) 담당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메시지가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하여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510)에서 작성되는 메시지는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화기기(40-1 ~ 40-n)가 금융 자동화기기인 경우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는 은행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이 된다. 만약,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에서 제1 자동화기기(40-1)의 최대 충전량을 100만원, 제1 설정값을 10만원, 제2 설정값을 0원으로 결정함에 따라, 자동화기기 DB(522)에는 자동화기기별로 이러한 내용이 저장되게 되고, 초기에 제1 자동화기기(40-1)에 100만원을 충전해 둔 후, 다수의 사용자가 제1 자동화기기(40-1)를 이용함에 따라, 잔량 통보시스템(50)의 인출량 카운팅 수단(508)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화폐의 양을 카운팅하고, 잔량 확인 수단(506)은 잔액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잔량 확인 수단(506)의 확인 결과 제1 자동화기기(40-1)의 잔액이 10만원 미만이 된 경우 잔량 통보 시스템(50)의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510)은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해 해당 자동화기기(40-1)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형태는 예를 들어, '***담당자님, 1번 자동화기기의 잔액이 9만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충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자동화기기(40-1) 담당자는 해당 자동화기기(40-1)를 적어도 제1 설정값 이상, 바람직하게는 최대 충전량으로 충전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없이 자동화기기(40-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한 담당자가 제1 자동화기기(40-1)를 충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잔량 통보 시스템(50)의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510)은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재차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 후 담당자에 의해 제1 자동화기기(40-1)가 재충전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현금인출이 계속되어 제1 자동화기기(40-1)의 잔액이 제2 설정값 즉, 0으로 된 것이 잔량 확인 수단(506)에 의해 확인되면, 잔량 통보 시스템(50)의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510)은 잔량이 0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20)을 통해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잔량 통보 시스템(50)은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30)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자동화기기(40-1 ~ 40-n) 식별번호, 각 자동화기기(40-1 ~ 40-n)별로 책정된 최대 잔량, 제1 설정값, 제2 설정값, 담당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잔량 통보 시스템(50)의 잔량 확인 수단(506)은 주기적으로 각 자동화기기(40-1 ~ 40-n)의 잔량을 확인하여(S101) 현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출 이벤트가 발행하면(S102), 인출 후의 잔량이 제1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한다(S103).
잔량이 제1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한 결과, 제1 설정값 이상으로 잔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단계(S101)로 진행하고, 잔량이 제1 설정값 미만이 된 경우에는 잔량이 제2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한다(S104). 확인 결과 잔량이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사실(자동화기기의 잔량이 제1 설정값 미만이 됨)을 통보하는 제1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송한다(S104).
이후, 제1 메시지를 수신한 담당자에 의해 해당 자동화기기가 충전되면 잔량이 제1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S103)로 진행하고,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S107). 만약, 잔량이 제1 설정값 미만이고 충전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출 후의 잔량이 제2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S104)로 진행한다.
한편, 잔량이 제2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S104)에서 잔량이 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사실(자동화기기의 잔량이 제2 설정값 미만이 됨)을 통보하는 제2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S108), 담당자에 의해 자동화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단계(S106)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정값을 하나만 책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잔량이 설정값보다 작게 되면 해당 자동화기기의 담당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메시지를 재차 전송하여 자동화기기의 충전이 조속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 자동화기기, 자동 판매기와 같은 무인 자동화기기의 상품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남아 있게 되면, 해당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자동화기기가 조속히 충전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다수의 자동화기기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되어,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 상태를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잔량 통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자동화기기의 식별 번호, 최대 충전 금액 및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설정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동화기기 관리 수단;
    상기 각 자동화기기마다 배정된 담당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동화기기별 담당자 관리 수단;
    상기 각 자동화기기에 남아 있는 상품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잔량 확인 수단;
    상기 각 자동화기기로부터 인출되는 상품의 양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상기 잔량 확인 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출량 카운팅 수단; 및
    상기 잔량 확인 수단에서 확인한 상기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이 상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
    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수단에서 작성되는 메시지는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기기는 금융 자동화기기, 자동 판매기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상품의 최하 수위를 나타내는 제1 설정값 및 상기 상품 잔량이 0임을 나타내는 제2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시스템.
  5. 다수의 자동화기기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화기기 관리 서버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되어,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 상태를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잔량 통보 방법으로서,
    (a) 상기 각 자동화기기별 최대 잔량, 잔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정값 및 담당자 관련 정보를 책정하는 단계;
    (b)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자동화기기에 대하여 인출 이벤트가 발행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d) 인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출 후의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인출 후의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담당자에 의해 상기 자동화기기가 충전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g) 상기 자동화기기가 충전된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자동화기기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h) 상기 잔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상품의 최하 수위를 나타내는 제1 설정값 및 상기 상품 잔량이 0임을 나타내는 제2 설정값으로 이루어지고,
    (i) 상기 잔량이 제1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잔량이 제2 설정값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
    (j) 상기 잔량이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제1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잔량이 제2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자동화기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참조하여 제2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자동화기기가 충전되었는지 확인하는 (f) 단계로 진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는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기기는 금융 자동화기기, 자동 판매기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 방법.
KR1020020066271A 2002-10-29 2002-10-29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7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271A KR20040037688A (ko) 2002-10-29 2002-10-29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271A KR20040037688A (ko) 2002-10-29 2002-10-29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88A true KR20040037688A (ko) 2004-05-07

Family

ID=3733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271A KR20040037688A (ko) 2002-10-29 2002-10-29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768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18A (ja) * 1992-07-17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販売機
KR20010010544A (ko) * 1999-07-21 2001-02-15 윤종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10111907A (ko) * 2000-06-14 2001-12-20 김주형 자판기 관리 방법
KR100365043B1 (ko) * 2000-06-19 2002-1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자동 판매기의 상품 부족 상태 및 비정상 상태 감시 방법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18A (ja) * 1992-07-17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販売機
KR20010010544A (ko) * 1999-07-21 2001-02-15 윤종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10111907A (ko) * 2000-06-14 2001-12-20 김주형 자판기 관리 방법
KR100365043B1 (ko) * 2000-06-19 2002-1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자동 판매기의 상품 부족 상태 및 비정상 상태 감시 방법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5376B1 (en) Charging system in interactive on-line service
KR100581067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구매가 가능한 자동판매 시스템 및 관리서버 제어방법
CN1128075A (zh) 产品和信息的分发销售网络系统
CA2597363A1 (en) Method for providing call intermediation services and system therefore
CN101329793A (zh) 电子货币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
JP5205215B2 (ja) 窓口呼出装置
KR2004003768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상품 잔량 통보시스템 및 방법
JP6209564B2 (ja) 入金管理装置及び入金管理方法
JP2008191720A (ja) 電子マネーチャージシステム、電子マネーチャージ発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子マネー事業者システム
JP2001167358A (ja) 買い物預かりロッカーシステム
CN101025832A (zh) 自动出票机、自动出票系统以及计算机程序
CN101354805B (zh) 银行接口机、自动充值方法及系统
KR1004743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송수신 기능을 이용한 현금인출 방법
JP5606944B2 (ja) 入金機案内システムおよび入金機予約案内システム
JP2002354521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そのサーバ
JP5827597B2 (ja) 障害対応システム、自動取引装置、障害対応方法、および、障害対応プログラム
JP2007207006A (ja) 電子バリューチャージ方法、電子バリューチャージシステム及び電子バリューチャージプログラム
JP2024009055A (ja) 貨幣取扱装置及び貨幣取扱システム
KR20210053827A (ko)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JP2002024892A (ja) 現金引出機能を持つ公衆電話機
JP2021056555A (ja) 自動取引装置
AU2006200687B9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validator
DK2066105T3 (en) 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data
AU682295B2 (en) Remote signalling system
JP6193751B2 (ja) 取引装置、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