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679A -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679A
KR20040037679A KR1020020066261A KR20020066261A KR20040037679A KR 20040037679 A KR20040037679 A KR 20040037679A KR 1020020066261 A KR1020020066261 A KR 1020020066261A KR 20020066261 A KR20020066261 A KR 20020066261A KR 20040037679 A KR20040037679 A KR 2004003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rner
cleaner
robot clean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466B1 (ko
Inventor
이성빈
박성일
노희석
홍찬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4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는 청소기 본체(1)의 하면에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8)가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헤드(8)에는 흡입헤드(8)에서 흡입된 먼지나 오물을 이송되는 흡입관(5)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흡입관(5)의 상단부는 필터 컨테이너(4)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필터 컨테이너(4)의 후방에는 팬 모터(2)와 배기실(23)이 차례로 구비되어 있는 로봇 청소기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의 전방 측면에 전방흡입구(101)를 형성하고, 그 전방흡입구(101)와 흡입관(5)을 연결관(102)으로 연결하며, 그 연결관(102)과 흡입관(5)의 연결부위에 개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103)를 설치하여, 청소기가 구석으로 이동하면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댐퍼(103)가 연결관(102)쪽으로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전방흡입구(101)를 통하여 구석의 먼지가 흡입되므로 구석에 있는 먼지까지도 모두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CORNER CLEANING APPARATUS OF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석에 있는 먼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봇 청소기는 스스로 이동하며 청소를 하고, 충전기의 전원이 소진되면 스스로 충전대로 이동하여 충전을 하며, 충전을 마친 다음에는 다시 청소를 하던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서 계속 청소를 하는 기기이다.
도 1은 종래의 로봇 청소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의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모터(2)가 장착되어 있고, 그 팬 모터(2)의 전방에는 팬 모터(2)에 의해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는 필터(3)가 내장된 필터 컨테이너(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컨테이너(4)의 전면에는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관(5)이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관(5)의 하단부에는 바닥(6)의 먼지나 오물을 쓸어 올리기 위한 브러쉬(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흡입헤드(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팬 모터(2)의 하측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한쌍의 구동바퀴(9)가 일정간격으로 두고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헤드(8)의 후위에는 청소기 본체(1)의 후위를 지지하도록 보조바퀴(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의 후면에는 충전단자(11)를 구비한 충전단자부(12)가 설치되어 있고, 실내의 벽면(13)에 설치된 전원단자부(14)에는 충전단자부(12)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15)가 구비되어 있어서, 충전단자(11)가 접속단자(15)에 접속된 상태에서 본체(1) 내측의 충전 밧데리(16)에 충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의 전면 중앙부에는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송신부(17)가 설치되어 있고, 그 초음파송신부(17)의 상,하측에는 초음파송신부(17)에서 송신된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초음파수신부(18)가 일정간격으로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단자부(14)의 하측에는 충전단자부(12)를 전원단자부(14)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광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1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부(12)의 하측에는 상기 발광부(19)에서 발광되는 광신호를 수광할 수 있도록 수광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제어수단이고, 22는 배기구이며, 23은 배기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로봇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할때는, 사용자가 동작버튼을 누르면 충전 밧데리(16)의 전원이 팬 모터(2)에 인가되어 팬 모터(2)가 구동이 되어 지는데, 그와 같이 구동되어지는 팬 모터(2)에 의해 필터 컨테이너(4)에 흡입력이 발생되고, 그 흡입력에 의해 바닥(6)의 먼지나 오물이 흡입헤드(8)로 흡입된 후, 흡입관(5)을 통하여 필터(3)에서 포집되어 진다.
또한, 제어수단(21)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바퀴(9)를 구동시켜서 청소기 본체(1)를 이동시킴에 따라 일정영역의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자동청소를 수행하는 동안 충전 밧데리(16)의 전압레벨이 도시생략된 전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되고, 제어수단에서 전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충전 밧데리(16)의 전압레벨이 설정된 소정레벨 이하로 되면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청소기의 청소가 정지되는 한편, 제어수단은 현재위치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킨 다음,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귀조정에 의해 청소기를 복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청소기 본체(1)가 전원단자부(14)측으로 이동되고, 청소기 본체(1)가 전원단자부(14)의 근처에 이르면, 전원단자부(14)의 하측에 설치된 발광부(19)에서 발광되는 광신호가 충전단자부(12)의 하측에 설치된 수광부(20)에서 수광되고, 그 수광부(20)에서 수광되는 광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이 구동바퀴(9)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충전단자부(12)가 전원단자부(14)측으로 접근된다.
그 다음, 충전단자부(12)의 충전단자(11)가 전원단자부(14)의 접속단자(15)에 접촉이 되고, 전원단자부(14)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전원에 의해 청소기 본체(1) 내의 충전 밧데리(16)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청소기 본체(1) 내의 충전 밧데리(16)가 충전되는 동안, 전압감지부를 통해 충전 밧데리(16)에 충전되는 전압레벨이 감지되어 제어수단으로 제공되고, 제어수단은 전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충전 밧데리(16)의 전압레벨이 설정된 소정레벨 이상이 되면 구동바퀴(9)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가 전원단자부(14)로부터 분리된 다음, 청소기 본체(1)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로 이동되어 청소작업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모서리 부분의 구석에 있는 먼지까지는 흡입헤드(8)에서 전부 흡입하지 못하므로 청소의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구석이 있는 청소영역에서는 청소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서리 부분의 구석에 있는 먼지까지도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청소성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로봇 청소기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석청소장치가 구비된 로봇 청소기를 부분절결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절결하여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팬 모터
4 : 필터 컨테이너 5 : 흡입관
8 : 흡입헤드 23 : 배기실
101 : 전방흡입구 102 : 연결관
103 : 댐퍼 201 : 공기배출공
202 : 공기배출라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소기 본체의 하면에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가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헤드에는 흡입헤드에서 흡입된 먼지나 오물을 이송되는 흡입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흡입관의 상단부는 필터 컨테이너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필터 컨테이너의 후방에는 팬 모터와 배기실이 차례로 구비되어 있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구석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전방흡입구를 형성하고, 그 전방흡입구와 흡입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청소기 본체의 하면에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가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헤드에는 흡입헤드에서 흡입된 먼지나 오물을 이송되는 흡입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흡입관의 상단부는 필터 컨테이너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필터 컨테이너의 후방에는 팬 모터와 배기실이 차례로 구비되어 있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구석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전방흡입구를 형성하고, 그 전방흡입구와 흡입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방흡입구의 주변에 구석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배출공을 형성하고, 그 공기배출공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공과 배기실을 연결하는 공기배출라인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석청소장치가 구비된 로봇 청소기를 부분절결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로봇 청소기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는 청소기 본체(1)의 전방 측면에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전방흡입구(101)를 형성하고, 그 전방흡입구(101)와 청소기 본체(1) 내부의 흡입관(5) 소정부위를 연결하는 연결관(102)를 설치하며, 그 연결관(102)과 흡입관(5)이 연결되는 부위에 흡입유로의 개도를 조정하기 위한 흡입유로조정기구로서 댐퍼(103)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유로조정기구로서 댐퍼(103)외에 3-웨이 밸브 등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고, 이와 같은 댐퍼(104)에 의해 청소기의 위치에 따라 흡입유로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석청소장치가 구비된 로봇 청소기에서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동작버튼을 누르면 충전 밧데리(16)의 전원이 팬 모터(2)에 인가되어 팬 모터(2)가 구동이 되고, 그와 같이 구동되어지는 팬 모터(2)에 의해 필터 컨테이너(4)에 흡입력이 발생되며, 그 흡입력에 의해 바닥(6)의 먼지나 오물이 흡입헤드(8)로 흡입되어 지고, 그와 같이 흡입헤드(8)에서 흡입된 먼지나 오물은 흡입관(5)을 통하여 흡입되어 필터(3)에서 포집되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소기가 청소를 하는 중에 구석으로 이동되면 이를 감지하고 제어수단(21)의 제어신호에 의해 댐퍼(104)가 동작되어 전방흡입구(101)에 연결된 연결관(102)측의 개도가 열리게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전방흡입구(101)를 통하여 구석에 있는 먼지들이 흡입되어 필터(3)에 포집되어 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절결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조는 도 2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전방흡입구(101)의 주변에 공기배출공(201)을 형성하고, 그 공기배출공(201)과 배기실(23)을 연결하는 공기배출라인(202)를 설치하여, 배기실(23)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공기배출공(201)을 통하여 구석으로 배출되어 구석에 있는 먼지를 띄우는 동시에 공기흡입구(101)에서 먼지의 흡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구석의 먼지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는 청소기 본체의 전방 측면에 전방흡입구를 설치하고, 그 전방흡입구와 흡입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그 연결관과 흡입관의 연결부위를 개도를 조정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하여, 청소기가 구석으로 이동하면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댐퍼가 연결관쪽으로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전방흡입구를 통하여 구석의 먼지가 흡입되게 되어 구석에 있는 먼지까지도 모두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청소기 본체의 하면에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가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헤드에는 흡입헤드에서 흡입된 먼지나 오물을 이송되는 흡입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흡입관의 상단부는 필터 컨테이너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필터 컨테이너의 후방에는 팬 모터와 배기실이 차례로 구비되어 있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구석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전방흡입구를 형성하고, 그 전방흡입구는 흡입관을 통하여 흡입되는 흡입력에 의해 먼지가 흡입되어질 수 있도록 흡입관에 연결관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흡입관의 연결부위에 흡입유로의 개도를 조정하기 위한 흡입유로조정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조정기구는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조정기구는 3-웨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5. 청소기 본체의 하면에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가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헤드에는 흡입헤드에서 흡입된 먼지나 오물을 이송되는 흡입관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흡입관의 상단부는 필터 컨테이너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필터 컨테이너의 후방에는 팬 모터와 배기실이 차례로 구비되어 있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구석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전방흡입구를 형성하고, 그 전방흡입구와 흡입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방흡입구의 주변에 구석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배출공을 형성하고, 그 공기배출공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공과 배기실을 연결하는 공기배출라인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흡입관의 연결부위에 흡입유로의 개도를 조정하기 위한 흡입유로조정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조정기구는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조정기구는 3-웨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KR10-2002-0066261A 2002-10-29 2002-10-29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KR10045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261A KR100459466B1 (ko) 2002-10-29 2002-10-29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261A KR100459466B1 (ko) 2002-10-29 2002-10-29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79A true KR20040037679A (ko) 2004-05-07
KR100459466B1 KR100459466B1 (ko) 2004-12-03

Family

ID=3733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261A KR100459466B1 (ko) 2002-10-29 2002-10-29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51B1 (ko) * 2006-12-22 2008-01-21 엄재홍 로봇청소기
US7412748B2 (en) 2006-01-06 2008-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2748B2 (en) 2006-01-06 2008-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ing system
KR100795551B1 (ko) * 2006-12-22 2008-01-21 엄재홍 로봇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466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465B1 (ko) 로봇 청소기의 먼지흡입구조
KR100492577B1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KR101330734B1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050063547A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운전방법
KR20070074145A (ko) 청소기
KR100565256B1 (ko) 로봇 청소기의 브러시 살균장치
KR101325439B1 (ko) 전기 청소기
KR100459466B1 (ko)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KR20120046066A (ko) 전기 청소기
KR100517942B1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높이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84528A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량검출장치
KR100631537B1 (ko) 로봇 청소기의 센서 건조장치
KR20060027702A (ko) 멀티 로봇 청소기
KR100283861B1 (ko) 로봇청소기
KR100556836B1 (ko) 로봇 청소기의 센서 보호창 청소장치
KR100619797B1 (ko) 구석 청소가 가능한 로봇 청소기
KR100504861B1 (ko) 이동 로봇의 초음파 센서운용방법
KR20040084529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헤드
KR100266985B1 (ko) 로봇청소기용 주행로봇
KR100492536B1 (ko) 자동청소기의 충전유도장치
KR100565228B1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각도조절장치
JP7495204B2 (ja) 電気掃除機
KR100619727B1 (ko) 로봇 청소기의 주행장치
KR100595543B1 (ko) 로봇 청소기의 구석 청소 방법
KR100595567B1 (ko) 모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