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267A - 투사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267A
KR20040037267A KR1020030009269A KR20030009269A KR20040037267A KR 20040037267 A KR20040037267 A KR 20040037267A KR 1020030009269 A KR1020030009269 A KR 1020030009269A KR 20030009269 A KR20030009269 A KR 20030009269A KR 20040037267 A KR20040037267 A KR 2004003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ensor
projection display
scree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827B1 (ko
Inventor
하루나후미오
노자와쯔네유끼
시게따아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3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7Combinations of sonar systems
    • G01S15/872Combination of several systems for attitud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me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액정 프로젝터에 있어서 다이형 왜곡을 자동 조정하기 위해 스크린과의 경사각을 측정할 때, 종래는 거리 센서에 의해 스크린과의 거리를 구하여 경사각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 단위의 거리 검출 정밀도가 요구되어 고가인 거리 센서가 필요하다.
본원에서는 거리 센서를 회전시켜 그 반사파의 레벨을 관측하고, 반사파 레벨이 최대치가 되는 회전 각도로부터 스크린과의 경사각을 검출하여 다이형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저렴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다이형 왜곡의 자동 조정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사형 표시 장치{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 등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이형 왜곡 보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로 작성한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배포하지 않고, 그 프레젠테이션 화면을 액정 프로젝터 등으로 확대 투사하는 프레젠테이션이 회의 등에서 왕성하게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프로젝터 등으로 확대 투사하는 경우, 스크린의 정면, 즉 스크린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투사하였을 때에는, 투사 화면은 왜곡도 없이 표시된다. 한편, 스크린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어긋나게 투사하였을 때에는, 투사 화면은 왜곡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왜곡을 일반적으로 다이형 왜곡이라 부른다. 이 다이형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으로서, 광학적으로 보정하는 방식과 전기적으로 보정하는 방식이 있다. 광학 방식은 구조적으로 제약이 있거나, 비용이 들기 때문에 그다지 이용되고 있지 않다. 전기 방식은 영상 신호의 디지털 처리를 행하여 영상 자체에 반대의 왜곡을 갖게 함으로써 다이형 왜곡을 보정하는 방식으로, 현재에는 이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 방식으로 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왜곡된 화면을 보면서 수동으로 조정을 행하는 방식이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고 있었지만, 이를 자동으로 행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0-122617호 공보 참조).
이 특허 공보에 따르면, 복수의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로부터 스크린과 표시 장치와의 경사각을 구함으로써 다이형 왜곡을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특허 공보에 기재된 방식에서는 스크린과의 경사각을 구하는 데 ㎜ 단위의 거리 검출 정밀도가 요구된다.
즉, 상기 특허 공보의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와 스크린과의 경사 각도를 θ로 하고, 정상적인 투사 화면의 종폭을 d[2개의 센서의 빛을 센서 평행광으로 한 경우, 각 센서 평행광(D1, D2) 사이의 거리에 상당]라 하면, tan θ = (D1 - D2)/d가 성립한다. 이 식에 일반적인 액정 프로젝터의 형상으로부터 d = 300 ㎜, θ = 1°를 대입하면,
D1 - D2 = d × tan θ = 300 × tan 1°≒ 5.2 ㎜
가 된다. 즉 경사각 1°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약 5 ㎜의 검출 정밀도가 요구되는 거리 센서가 필요해진다. 한편, 저렴한 거리 센서,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에서는 검출 정밀도가 좋아도 수 ㎝ 정도인 것밖에 없고, ㎜ 단위로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고가인 레이저 센서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고,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과제 사항을 해결하고, 저렴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다이형 왜곡의 자동 조정을 행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 타이밍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 구성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 각도 특성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 구성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 각도 특성도.
도7은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
도8은 센서 회전 수단의 별도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9는 본 발명을 적용한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 각도 특성도.
도11은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 개념도.
도12는 본 발명의 광학계를 포함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사형 표시 장치
2 : 스크린
10 : 다이형 왜곡 보정부
11 : 신호 처리부
12 : 표시 소자
13, 14 : CPU
101 : 제1 증폭부
102 : 초음파 센서
103 : 다이시트
104 : 피크치 검출부
105 : 제2 증폭부
106, 110 : 모터
108 : 드라이버
109 : AD부
111 : 리드 스크류
112 : 슬라이더
113 : 샤프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리 센서를 회전시켜 그 반사파의 레벨을 관측하고, 반사파 레벨이 최대치가 되는 회전 각도로부터 대스크린 각도를검출하여 다이형 왜곡을 보정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1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센서로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액정 프로젝터 등의 투사형 표시 장치(1)와 스크린(2)으로 구성되고, 투사형 표시 장치(1)는 다이형 왜곡 보정부(10), 신호 처리부(11), 표시 소자(12), CPU(13)로 구성되고, 또한 다이형 왜곡 보정부(10)는 40 ㎑ 발생부(100), 제1 증폭부(101), 초음파 센서(102), 다이 시트(103), 피크치 검출부(104), 제2 증폭부(105), 모터(106), 드라이버(108), AD부(109)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1의 동작을 설명한다. 초음파 센서(102)는 일반적으로 40 ㎑의 펄스를 입력하면 초음파를 발생하고, 또한 초음파를 수신하면 40 ㎑의 펄스를 발생한다. 초음파를 발생하는 만큼의 송신 전용 센서나 초음파를 수신하는 만큼의 수신 전용 센서도 있지만, 여기서는 양쪽을 행할 수 있는 송수신 겸용 센서를 이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40 ㎑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40 ㎑ 발생부(100)에서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2의 파형 ①과 같이 40 ㎑의 펄스를, 예를 들어 20 ㎐ 간격으로 간헐 발진시켜 행한다. 이와 같은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로직 IC를 조합해도 좋지만 회로 규모가 크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이하 PLD) 등을 사용하면 된다. 로직 IC 또는 PLD와 같은 디바이스의 출력은 CMOS 또는 TTL 레벨이 일반적이지만, 한 쪽 초음파 센서(102)에 입력하는 40 ㎑ 펄스의 신호 진폭은 수십 Vpp 이상 필요하므로, 제1 증폭부(101)에서 40 ㎑ 펄스를 증폭한다. 그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고내압 트랜지스터나 트랜스를 이용하면 된다. 초음파 센서(102)는 입력된 40 ㎑ 펄스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한다. 발생된 초음파는 투사형 표시 장치(1)로부터 밖으로 송신되고, 스크린(2)에서 반사되어 상기 초음파 센서(102)로 수신된다. 수신된 초음파에 의해 초음파 센서(102)는 40 ㎑ 펄스를 발생한다. 단, 그 발생하는 40 ㎑ 펄스의 진폭은 수 내지 수십 ㎷pp 정도밖에 없으므로 제2 증폭기(105)에서 증폭한다. 증폭 후의 40 ㎑ 펄스는 도2의 파형 ②과 같이 되어 파형 ①의 펄스보다도 지연된 곳에 발생한다. 이 지연은 스크린(2)까지의 거리를 왕복한 만큼의 시간에 상당한다. 이 40 ㎑ 펄스를 AD부(109)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후, 피크치 검출부(104)에 의해 도2의 파형 ②의 40 ㎑ 펄스의 레벨 피크치를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퍼레이터를 이용하여 대소 비교를 행하고, 그 피크치를 보존하는 로직을 PLD로 조립하는 등으로 하면 된다. CPU(13)는 그 피크치를 취입하여 연산하는 동시에,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CPU(13)의 상세한 처리 방법은 후술한다. 드라이버(108)는 CPU(13)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모터(106)에 공급한다. 모터(106)는 자신의 기어 회전을 다이 시트(103)에 전달함으로써 초음파 센서(102)를 회전시킨다.
도3에 초음파의 반사 특성을 나타낸다. 도3의 ①은 초음파 센서(102)가 스크린(2)에 대해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초음파 센서(102)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는 스크린(2)에 대해 수직으로 반사하여 복귀된다. 도3의 ②는 초음파 센서(102)가 스크린(2)에 대해 약간 각도를 갖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초음파 센서(102)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는 스크린(2)에 대해 입사각이 약간 있기 때문에 초음파 센서(102)로 복귀되는 반사파의 양은 감소한다. 도3의 ③도 ②와 마찬가지로, ②보다 더욱 각도가 있기 때문에 초음파 센서(102)로 복귀되는 초음파의 양도 더욱 감소한다. 이들의 관계를 도면에 나타낸 것이 도4이다. 도4의 횡축은 초음파 센서(102)의 회전 각도, 종축은 피크치 검출부(104)의 출력치인 초음파 반사파 레벨의 피크치이다. 초음파 센서(102)가 스크린(2)에 대해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의 회전 각도 0 °를 기준으로 하면, 도4와 같이 회전 각도 0°를 중심으로 포물선형의 곡선이 된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102)가 스크린(2)에 대해 수직인 경우가 가장 초음파 반사파 레벨이 커진다.
이 특성을 응용하면, 투사형 표시 장치(1)와 스크린(2)의 상대적인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투사형 표시 장치(1)와 스크린(2)이 상대적으로 각도 θ만큼 경사져 있다고 하면, 초음파 센서(102)가 투사형 표시 장치(1)에 대해 각도 θ만큼 회전했을 때에, 초음파 센서(102)는 스크린(2)에 대해 수직 방향을 향하고 있게 된다. 그 때의 초음파 센서(102)의 회전 각도와 피크치 검출부(104)의 출력치의 관계는 도6과 같이 되고, 초음파 센서(102)의 회전 각도가 θ일 때에 초음파 반사파 레벨이 최대가 된다. 이 점으로부터, 초음파 센서(102)의 초음파 반사파 레벨이 최대가 되는 회전 각도를 구함으로써, 투사형 표시 장치(1)와 스크린(2)의 상대적인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CPU(13)에서의 상세한 처리 방법에 대해 도7의 흐름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전제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102)는 투사형 표시 장치(1)에 대해 -20°의 개시 위치로부터 +20°의 종료 위치까지 1°마다 회전시키는 것으로 한다. 우선 초음파 센서(102)를 회전 개시 위치의 -20°가 되도록 모터(106)를 회전시킨다(플로우 30). 다음에 초음파 센서(102)가 회전 종료 위치의 +20°로 오는지의 여부의 판별을 행하여, 오고 있지 않으면 플로우 32로, 오고 있으면 플로우 34로 분기한다. 지금은 아직 회전 개시 위치에 있으므로 플로우 32로 분기한다. 플로우 32에서 피크치 검출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초음파 반사파 레벨을 취입한다. 그 후 초음파 센서(102)를 1°만큼 회전하도록 모터(106)를 회전시키고(플로우 33), 플로우 31로 복귀한다. 플로우 32 및 플로우 33을 초음파 센서(102)가 회전 종료 위치의 +20°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회전 종료 위치로 오면 취입한 -20°로부터 +20°까지의 초음파 반사파 레벨을 비교하여 최대 레벨이 되는 회전 각도를 구한다(플로우 34). 그 회전 각도로부터 다이형 왜곡의 보정량을 연산하여 그 보정량을 신호 처리부(11)로 송신한다(플로우 35). 신호 처리부(11)는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를 갖고 있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행하고, 표시 소자(12)의 표시면에 상기 보정량에 의거하는 다이형 왜곡이 있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고, 이를 확대 투사함으로써 다이형 왜곡 보정을 행한다(플로우 36). 이상이 CPU(13)에서의 처리 방법이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1) 내의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의 동작에 대해 도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1에서는 투사 광축에 대해 스크린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스크린 상의 상부로 감에 따라서 화상이 축소되어 가는 경우에 대한 보정을 나타낸다. 도11은 영상 신호의 다이형 왜곡 보정 전의 영상 표시 소자 상의 영역(41)과, 다이형 왜곡 보정 후의 영상 표시 소자 상의 영역(42)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다이형 왜곡을 실시하도록 디지털 처리한 경우이다. 도11과 같이 화면 최상부의 라인을 O라인, 최하부를 M라인, 중간이 있는 라인을 N라인, 또한 보정 전의 수평 화소수를 L화소로 하고, 다이형 왜곡을 행하기 위해서는 최하부의 M라인을 향하는 데 따른 수평 화소수를 축소해 가도록 디지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M라인의 축소 계수를 0.6, 즉 M라인의 수평 화소수를 L × 0.6 화소가 되도록 다이형 왜곡 보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화면 최상부의 O라인으로부터 M라인으로의 변화를 선형으로 행하는 것으로 하면, 도중의 N라인의 축소 계수는 1.0 - (0.4 × N/M)으로 표시되고, 그 화소수는 L × [1.0 - (0.4 × N/M)]으로 계산된다. 이 계산식에 따라서 수평 화소수를 변경함으로써 다이형 왜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다이형 왜곡을 실시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고, 열마다 축소 계수를 바꾸어 상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에 액정 프로젝터 등의 투사형 표시 장치(1)의 광학계를 포함한 구성예를 보충 설명한다. 도12는 투사형 표시 장치(1)의 광학계를 포함한 구성예로, 도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추가한 부분은 램프(511), 리플렉터(512), 콘덴서 렌즈(513)로 이루어지는 조명 광학계(51)와, 표시 소자(12)의 상을 스크린(2) 상에 투사하는 투사 렌즈(52)이다. 램프(511) 및 리플렉터(512)로부터 출사되는 방사광은 콘덴서 렌즈(513)에 의해 집광되어 표시 소자(12)에 입사된다. 이를 받아 표시 소자(12)에서 발생하는 상이 투사 렌즈(52)로 들어가 스크린(2) 상에 투사된다. 초음파 센서(102)의 배치 위치는 회전했을 때에 투사 렌즈(52) 등에 의해 초음파가 차단되지 않는 장소라면 어디든 무방하다. 또한, 도12의 표시 소자(12)는 투과형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반사형의 표시 소자(12)라도 그에 대응하는 조명 광학계(51)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콘덴서 렌즈(513) 대신에 멀티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초음파 센서를 회전시켜 그 때마다 초음파의 반사파 레벨을 취득하고, 반사파 레벨이 최대치가 되는 회전 각도로부터 대스크린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다이형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센서로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 등의 직선적인 지향성이 있는 파(波)를 발생하는 센서이면, 스크린면에 수직으로 닿았을 때에 반사파 레벨이 최대가 되는 특성은 마찬가지이며,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센서를 회전시키는 데 다이 시트(103)를 모터(106)의 기어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거리 센서 자체가 회전하는 방식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드 스크류형의 모터를 사용하여 그 리드 스크류에 의한 평행 이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도8이 그 예이다. 도8은 초음파센서(102), 모터(110), 리드 스크류(111), 슬라이더(112), 샤프트(113)로 구성된다. 그 동작을 설명하면, 모터(110) 및 리드 스크류(111)가 회전하면, 그에 수반하여 슬라이더(112)가 샤프트(113)에 따라서 평행 이동한다. 그 평행 이동이 초음파 센서(102)에 전달되지만, 초음파 센서(102)는 그 중심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운동한다. 이와 같이 거리 센서 자체가 회전하는 구성이면 기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9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거리 센서를 2개 사용하고, 또한 각각의 거리 센서를 투사형 표시 장치에 대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에 대해 수평 및 수직 중 어느 한 쪽의 다이형 왜곡도 보정할 수 있는 데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예인 도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른 부분은 CPU(14)와, 도1의 다이형 왜곡 보정부(10)와 동일한 블럭이 2개[다이형 왜곡 보정부(10a, 10b)]이다. 그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이형 왜곡 보정부(10a) 내의 초음파 센서(102)는 투사형 표시 장치(1)의 설치 상태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다이형 왜곡 보정부(10b) 내의 초음파 센서(102)는 투사형 표시 장치(1)의 설치 상태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다이형 왜곡 보정부(10a, 10b) 각각의 동작은 회전 방향이 투사형 표시 장치(1)에 대해 다를 뿐이고 그 밖의 동작은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CPU(14)는 다이형 왜곡 보정부(10a)로부터 취득되는 초음파 반사파레벨에 의해 스크린(2)에 대한 수평 방향의 경사각을 검출하고, 다이형 왜곡 보정부(10b)로부터 취득되는 초음파 반사파 레벨에 의해 스크린(2)에 대한 수직 방향의 경사각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CPU(14)는 신호 처리부(11)에 대해, 수평, 수직 양방의 다이형 왜곡 보정량을 송신하고, 신호 처리부(11)는 상기 보정량을 받아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행하고, 수평, 수직 양방의 다이형 왜곡 보정을 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구성으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도1과 동일하다. 다른 것은 CPU(13)에서의 경사각의 연산 방법이다.
도10을 이용하여 그 연산 방법을 설명한다. 초음파는 일반적으로 바람 등의 주위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기 쉽다. 따라서, 도4와 같이 초음파의 반사파 레벨이 깨끗한 포물선이 되는 일은 적고, 도10의 실선과 같이 소음 성분이 가산된 곡선이 된다. 이 곡선으로 최대치를 취하는 각도는 도10의 ①이다. 그러나 이 각도 ①에서의 반사파 레벨은 소음에 의해 커질 가능성이 있고, 본래의 초음파 센서(102)와 스크린(2)이 수직이 되는 회전각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그래서, CPU(13)에 의해 취득한 초음파 반사파 레벨의 데이터열로부터 그 근사식을 구한다. 그 결과가 도10의 점선의 근사식이고, 그 최대치는 각도 ②일 때가 된다. 근사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최소 2제곱 근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근사식을 구함으로써, 소음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CPU(13)는 근사식의 최대치가 되는 초음파 센서 회전각을 구하여 신호 처리부(11)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취득한 초음파 반사파 레벨에 대해, 근사식을 구함으로써 소음성분을 저감하여 다이형 왜곡 보정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음파에서의 주위 환경 조건의 영향을 서술하였지만, 적외선 등의 빛이라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한 다이형 왜곡 보정은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 투입시에 행해도 좋고, 표시 위치 조정이나 입력 신호 검출에 의한 입력 단자 절환 등의 오토셋업 스위치 등의 전용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동작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의 이동을,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로부터의 출력 변화량에 의해 검출하여 다이형 왜곡 보정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원은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액정 프로젝터와 스크린과의 경사각을 검출하여, 다이형 왜곡의 자동 조정을 행할 수 있다.

Claims (20)

  1. 영상 신호를 입력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이며,
    초음파 또는 빛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여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반사한 상기 초음파 또는 빛을 수신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과,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레벨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다이형 왜곡을 보정하는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와,
    투사 수단을 갖고,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된 영상 신호를 스크린 상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2. 영상 신호를 입력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이며,
    초음파 또는 빛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여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반사한 상기 초음파 또는 빛을 수신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과,
    각 회전각에 있어서의 상기 수신 신호 내의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치 검출 수단과,
    상기 피크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와,
    투사 수단을 갖고,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된 영상 신호를 스크린 상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3. 영상 신호를 입력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이며,
    초음파 또는 빛을 상기 스크린에 조사하여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반사한 상기 초음파 또는 빛을 수신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과,
    각 회전각에 있어서의 상기 수신 신호 내의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치 검출 수단과,
    상기 피크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제어하는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와,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된 영상 신호에 따른 광학상이 형성되는 영상 표시 소자와,
    상기 광학상을 투사하는 투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는 상기 피크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크치가 되는 상기 센서의 회전각에 의거하여 상기 투사형 표시장치와 상기 스크린과의 경사각을 연산하고, 상기 경사각에 의한 다이형 왜곡을 보정하도록 처리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형 왜곡 보정 처리 회로는 상기 피크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크치가 되는 상기 센서의 회전각에 의거하여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와 상기 스크린과의 경사각을 연산하고, 상기 경사각에 의한 다이형 왜곡을 보정하도록 처리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치 검출 수단은 각 회전각에 있어서의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근사식을 연산하여 상기 근사식의 최대치를 피크치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치 검출 수단은 각 회전각에 있어서의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근사식을 연산하여 상기 근사식의 최대치를 피크치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회전 수단은 각각 2개씩 갖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각각에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회전 수단은 각각 2개씩 갖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각각에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회전 수단은 각각 2개씩 갖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각각에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회전 수단은 각각 2개씩 갖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각각에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회전 수단은 각각 2개씩 갖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각각에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상기 회전 수단은 각각 2개씩 갖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각각에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KR10-2003-0009269A 2002-10-09 2003-02-14 투사형 표시 장치 KR100521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5557 2002-10-09
JP2002295557A JP3711973B2 (ja) 2002-10-09 2002-10-09 投射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267A true KR20040037267A (ko) 2004-05-06
KR100521827B1 KR100521827B1 (ko) 2005-10-17

Family

ID=3206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269A KR100521827B1 (ko) 2002-10-09 2003-02-14 투사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92045B2 (ko)
JP (1) JP3711973B2 (ko)
KR (1) KR100521827B1 (ko)
CN (1) CN1488990A (ko)
TW (1) TW582019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20B1 (ko) * 2005-10-25 2011-04-18 프리즘, 인코포레이티드 형광 스크린을 이용하는 주사 빔 디스플레이 시스템용 광학설계
US8038822B2 (en) 2007-05-17 2011-10-18 Prysm, Inc. Multilayered screens with light-emitting stripes for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8203785B2 (en) 2006-03-31 2012-06-19 Prysm, Inc. Multilayered fluorescent screens for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8232957B2 (en) 2005-04-01 2012-07-31 Prysm, Inc. Laser displays using phosphor screens emitting visible colored light
US8384625B2 (en) 2006-02-15 2013-02-26 Prysm, Inc. Servo-assisted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ing fluorescent screens
KR101295240B1 (ko) * 2006-06-27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스톤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US8814364B2 (en) 2007-06-27 2014-08-26 Prysm, Inc. Servo feedback control based on designated scanning servo beam in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with light-emitting scre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654B2 (ja) * 2003-02-21 2006-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射型表示装置
JP3871061B2 (ja) 2003-03-25 2007-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792970B2 (en) 2005-06-17 2010-09-07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ired connection between media devices
CN100403157C (zh) * 2003-07-17 2008-07-16 三洋电机株式会社 投影型图像显示器和该显示器的出厂时的调整方法
JP3879858B2 (ja) 2003-09-26 2007-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500758B1 (en) * 2004-03-04 2009-03-10 Sanyo Electric Co., Ltd. Cameras and video players having image projection capabilities
JP3714365B1 (ja) * 2004-03-30 2005-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の台形補正
US7213926B2 (en) * 2004-11-12 2007-05-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46294A1 (en) * 2004-12-30 2006-07-06 Chul Chung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a display
JP2006242833A (ja) 2005-03-04 2006-09-14 Nidec Copal Corp 光学式角度検出装置
CN100454136C (zh) * 2005-04-21 2009-01-21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投影于屏幕上的子影像对齐的系统与方法
JP4169026B2 (ja) * 2005-09-27 2008-10-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JP4169027B2 (ja) * 2005-09-27 2008-10-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JP2007193136A (ja) * 2006-01-19 2007-08-02 Toshiba Corp 投射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画像表示システム
JP5055806B2 (ja) * 2006-03-31 2012-10-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32343B2 (ja) * 2006-06-27 2012-05-1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角度検出装置及び方法
JP5010202B2 (ja) * 2006-07-31 2012-08-2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投射画像調整方法
US20090115915A1 (en) * 2006-08-09 2009-05-07 Fotonation Vision Limited Camera Based Feedback Loop Calibration of a Projection Device
JP4241797B2 (ja) * 2006-09-29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台形歪み補正方法
CN100592199C (zh) * 2006-11-10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聚焦投影仪及其自动聚焦方法
US8675998B2 (en) * 2007-12-06 201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frequency component smoothing,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0098728A (ja) * 2008-09-19 2010-04-30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20100135580A1 (en) * 2008-11-28 2010-06-03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for adjusting video frame
US8396685B2 (en) * 2009-09-15 2013-03-12 Qualcomm Incorporated Small form-factor distance sensor
JP6427937B2 (ja) * 2013-09-05 2018-11-28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CN106331549A (zh) 2015-06-30 2017-01-11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机装置
CN105093789B (zh) 2015-07-03 202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投影面梯形失真校正的方法及装置和投影仪
CN106657953A (zh) * 2016-11-22 2017-05-10 江苏轩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投影仪自动梯形校正系统
CN111739463A (zh) * 2020-06-10 2020-10-02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led显示屏控制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5838B2 (ja) 1988-02-23 1998-12-14 株式会社トプコン オートフォーカス投影装置
JPH0888860A (ja) * 1994-09-19 1996-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画像歪補正装置
JP2000122617A (ja) 1998-10-12 2000-04-28 Toshiba Corp 台形歪み補正装置
JP4493113B2 (ja) * 1999-01-29 2010-06-30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ジェクタおよび投影画像補正装置
JP3302942B2 (ja) * 1999-06-07 2002-07-15 エヌイーシー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
JP4434381B2 (ja) 1999-10-12 2010-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US6847356B1 (en) * 1999-08-13 2005-01-25 Canon Kabushiki Kaisha Coordinate inpu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TW480362B (en) * 2000-09-14 2002-03-21 Delta Electronics Inc Automatic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of the projector display
US6481855B2 (en) * 2001-01-12 2002-11-19 Infocus Corporation Keystone distortion correction system for use in multimedia projectors
JP3646658B2 (ja) * 2001-03-01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歪みの補正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2957B2 (en) 2005-04-01 2012-07-31 Prysm, Inc. Laser displays using phosphor screens emitting visible colored light
KR101029920B1 (ko) * 2005-10-25 2011-04-18 프리즘, 인코포레이티드 형광 스크린을 이용하는 주사 빔 디스플레이 시스템용 광학설계
US8384625B2 (en) 2006-02-15 2013-02-26 Prysm, Inc. Servo-assisted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ing fluorescent screens
US8451195B2 (en) 2006-02-15 2013-05-28 Prysm, Inc. Servo-assisted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ing fluorescent screens
US8203785B2 (en) 2006-03-31 2012-06-19 Prysm, Inc. Multilayered fluorescent screens for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8233217B2 (en) 2006-03-31 2012-07-31 Prysm, Inc. Multilayered fluorescent screens for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KR101295240B1 (ko) * 2006-06-27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스톤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US8038822B2 (en) 2007-05-17 2011-10-18 Prysm, Inc. Multilayered screens with light-emitting stripes for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US8814364B2 (en) 2007-06-27 2014-08-26 Prysm, Inc. Servo feedback control based on designated scanning servo beam in scanning beam display systems with light-emitting screens
US9467668B2 (en) 2007-06-27 2016-10-11 Prysm, Inc. Feedback control of display systems with light-emitting screens having excitation light source and phosphor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2019B (en) 2004-04-01
JP2004134908A (ja) 2004-04-30
US7092045B2 (en) 2006-08-15
US20040070694A1 (en) 2004-04-15
CN1488990A (zh) 2004-04-14
JP3711973B2 (ja) 2005-11-02
KR100521827B1 (ko) 2005-10-17
TW200405991A (en) 200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1827B1 (ko) 투사형 표시 장치
US7303289B2 (en)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US7690797B2 (en) Projector and focus adjustment method
US8038303B2 (en) Projection apparatus and optical ranging method
US20050212951A1 (en) Focus adjusting method and focus adjusting apparatus
JP4169027B2 (ja)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JP2006313116A (ja) 距離傾斜角度検出装置および該検出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KR0147214B1 (ko) 프로젝터의 광량제어장치
US5584552A (en) System for adjusting a size of an image projected on a sloped surface
JP2006317795A (ja) 投射装置と投射装置の測距方法
WO2016052030A1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09229738A (ja) プロジェクタのフォーカス装置
US7477035B2 (en) Dynamic apertur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WO2011013240A1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光量調整方法
US10802270B2 (en) Optical scanner comprising a calibrating unit to calibrate intensity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a mirror driving unit
JP2008083415A (ja) 投影装置
JP2005017336A (ja) 投射面距離測定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
JP2007047502A (ja) 光学系駆動装置および圧電素子の駆動方法
JP4480387B2 (ja)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焦点自動調整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の焦点自動調整方法
US20210064181A1 (en) Oper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US5221985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2005070412A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その焦点調整方法
JP3730979B2 (ja) 傾斜角度測定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
KR0137591B1 (ko) 투사형화상표시장치의자동광량조절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tensity of radiation of projector)
KR0182451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소보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