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598A -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598A
KR20040036598A KR1020030073973A KR20030073973A KR20040036598A KR 20040036598 A KR20040036598 A KR 20040036598A KR 1020030073973 A KR1020030073973 A KR 1020030073973A KR 20030073973 A KR20030073973 A KR 20030073973A KR 20040036598 A KR20040036598 A KR 20040036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iaxially oriented
white
polyester film
oriented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927B1 (ko
Inventor
키흐네토르첸
페이퍼헤르버트
쿠만보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ublication of KR2004003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4Of cross-linked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Abstract

본 발명의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기저층 B를 가지며, 백색 안료로서 실질적으로 TiO2만을 함유하고, 필름의 R값이 43 daN/㎟ 미만, emax비가 2.5 미만이며, 필름의 적어도 한 표면에 아크릴레이트함유 코팅을 가지며, 특히 내인열성이고,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요구르트 컵 등의 음식용기의 뚜껑으로 특히 적합하다. 이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Whit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 및 수성분산액으로서 필름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함유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저층을 갖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백색으로 착색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요구르트 컵의 두껑으로 사용한 예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알루미늄 필름 대신에 사용된다. 이러한 뚜껑을 인쇄하고 그 외면에 엠보싱을 하며, 그 내면에는 뚜껑을 컵에 부착시키는 니스나 핫멜트가 제공된다. 요구르트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컵과 뚜껑은 적당하게 광방지되어야 한다. 이것은 적당한 안료로 뚜껑을 착색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또 뚜껑을 컵에서 제거할 때 뚜껑 필름은 인열되기 시작하거나 인열이 계속되지 않아야 한다. 이 필름은 이축연신 및 적절히 두꺼운 두께에 의해서 이러한 목적에 필요한 특성을 얻는다. 이 필름의 기계적 특성(강도, 내파열성, 내인열전파성)은 필름의 두께에 비례하여 상당히 개선된다. 요구르트 뚜껑으로 사용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는 50∼90㎛가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필름 두께는 원하는 만큼 크게 할 수 없는데, 이것은 재료단가가 두께에 따라 증가하고,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시일링사이클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두께를 얇게하려는 추세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뚜껑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뚜껑은 우수한 색재현을 보장할 수 있고, 매우 만족스러운 시각적 외양을 갖게 하는 민활하고 매우 번쩍이는 면을 갖는다. 이 필름은 종래의 재료에 비해, 내파열성이 700% 이상이기 때문에 생산물을 상당히 우수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 뚜껑은 알루미늄 필름과 같은 종래의 재료인 경우에 나타나는 뚜껑의 파편이 컵에 잔류되지 않고 쉽게 개봉된다. 이러한 특성은 소비자에게 가치를 인정받는다. 컵과 뚜껑이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두재료의 재생성이 매우 우수해진다. 뚜껑 필름은 재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생산물은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강도가 매우 높고 활주성(gliding ability: 규정 프로파일에 따라 필름의 마찰계수는 낮다)이 우수하기 때문에 뚜껑으로서의 사용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뚜껑은 금속이 전혀 없다. 이로 인해 음식물 생산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금속검출에서의 신뢰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내용물에 존재하는 금속성분비율을 아주 정밀하게 검사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가공업자들은 요구르트 컵을 생산하기 위해서 필름 가공에 대한 표준을 사용한다. 뚜껑 필름을 생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검사 변수로는 R값과 emax비가있다. R값은 배향 치수로서 기록될 수 있고, 필름 생산 직후에 필름웨브의 중앙에서 측정한다. emax비는 웨브폭("보우(bow)"로 알려짐)에 대한 배향분포를 나타내고, 필름생산시에 측정되지만 필름웨브의 전체 폭에 대한 이산간격(예를 들어, 측정방법)으로 측정된다. 투명 필름인 경우(본 명세서에서의 백색 필름이 아님), R값은 42∼48이고, emax비는 2.2∼2.8이다. 조사결과, 이들 값은 투명 필름으로부터 백색 필름으로 전이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값이 백색 필름에서 관찰되면, 일반적으로 필름은 박리된다. 필름이 내부적으로 박리되면 두께 방향으로 인열되며, 이 인열로 인해 필름은 파괴되고 연속적으로 인열된다.
상기의 특성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지의 필름에서는 그대로 얻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EP-A-0 605 130호에 뚜껑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투명 층,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 층을 갖는 다층 필름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 필름은 변형율이 ≥ 2.5% 이어야 한다. 또한 이 필름은 인쇄 잉크 및/또는 래커에 대한 접착성을 개선하는 어떤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적당한 것으로는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문헌에는 필름의 R값이나 emax비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EP-A-0 605 130호(실시예 1, 종방향 연신온도; 약 80℃, 종방향 연신에서의 연신비: 3.3)에 따라 제조된 필름은 박리되고, 가공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펀칭을 하여 뚜껑을 만들게 되면 필름이 오그라 든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뚜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단가를 영구적으로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필름의 두께를 들 수 있다. 필름 두께가 얇으면 직접적으로 재료단가가 줄어들게 되고, 시일링사이클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충전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뚜껑의 두께는 원하는 만큼 줄일 수 없기 때문에 가공성 및 취급성 문제가 따른다. 두께가 너무 얇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뚜껑은 인열되어 박리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물건을 보호하거나 뚜껑과 컵을 100% 분리할 수 없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내에 함유된 안료가 많고 클수록 뚜껑의 인열이나 박리의 위험이 커진다. 안료, 특히 비교적 거친 안료인 경우 필름을 컵에서 제거할 때 필름이 파괴되기 시작하는 약한 지점이 생기게 된다.
또 필름이 필름의 슬립성(slip)을 개선하는 코팅을 갖는 경우에 인쇄잉크, 접착제(예를 들어, 핫멜트) 및 시일링니스에 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으나, 필름의 다른 특성, 예를 들어 광학특성에는 더이상의 변화가 없게 된다. 이것은 코팅재료를 반드시 포함하는 분쇄물을 특히 필름 제조시에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비해 특성이 개량된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신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 경제적인 생산성, 우수한 권취성, 우수한 가공성
· 적어도 필름의 한 면의 잉크, 접착제, 시일링 니스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
· 컵으로부터의 매우 우수한 제거능, 비박리성, 인열의 비개시 또는 비확대
· 우수한 광학특성, 특히 필름제조 과정에서 분쇄물을 첨가한 경우에서의 광학특성, 우수한 광방지특성
종래의 투명 필름에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소정의 특성을 갖도록 하는 시도는 실패하였다. 이 필름은 요구르트 컵에서 제거할 때 박리되었다.
상기의 목적은, 기저층 B가 필름의 R값이 43 daN/㎟ 미만, 필름의 emax비가 2.5 미만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며, 필름의 양 면중 적어도 한 면이 연속적으로 가교결합된 아크릴레이트함유 코팅을 갖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필름은 충전재 또는 백색 안료로서 실질적으로 TiO2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출마스터배치로서 중합체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층 B는 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80중량%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레이트함유 층은 수성분산액으로서 필름 표면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안료로서 실질적으로 TiO2를 사용하는 것이 인열이나 박리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스터배치 기술에 의해 TiO2를 첨가함으로써 일정하지 않은 분쇄물 특성에 의한 색차가 비교적 용이하게 해결된다는 이점이 있다. 안료로서TiO2만 사용하는 경우, 필름은 특히 민활하게 되며 보다 번쩍이게 되지만, 블록킹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필름의 권취특성은 열화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은 필름의 두 표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연속적으로 가교결합된 아크릴레이트함유 층을 수성분산액으로서 코팅함으로써 보상된다. 놀랍게도 적어도 하나의 필름 표면에, 가교결합된 아크릴레이트함유 층을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현저한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필름의 롤형성성 및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필름제조에서 발생되는 분쇄물(여기에는 아크릴계 코팅 부분이 함유될 수도 있다)을 필름의 기저층에 혼합시키는 경우에도 필름의 현저한 광학특성이 감소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필름의 R값은 필름제조 직후 필름 웨브의 중앙에서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emax비도 필름제조 직후 측정하지만, 필름웨브의 전체 폭에 대한 이산간격(discrete intervals)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의 R값은 낮다. R값은 필름의 배향 치수이고, 본 발명의 경우는 통상의 배향 치수 △n 또는 △p로 대체한다. 이들은 투명 필름인 경우에만 측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인 경우는 측정할 수 있다.
필름의 R값은 기계방향(MD)의 우측에서 한 번, MD의 좌측에서 두 번(측정방법 참조), MD방향에서 45°각도로 필름웨브의 중앙에서 측정한다. 이 방법은, 요구르트 뚜껑인 경우 필름을 기계방향에 45°각도로 컵에서 제거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뚜껑은 로올로부터 (인쇄, 펀칭하여) 제조된다. 필름의 로올방향(= 웨브 방향)은 MD방향에 상응한다. 필름웨브에는 펀칭될 뚜껑이 MD방향으로 정확하게 놓이거나, TD방향 (TD= MD방향에 90°)으로 정확하게 놓이게 하는 방식에 따라 인쇄된다. 이에 따라 뚜껑이 제거되는 방향은 MD방향의 45°와 항상 일치한다. 이 때문에, MD방향의 45°에서 R값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필름의 R값이 작을수록 더 유리하다. 즉 뚜껑이 인열되기 시작하거나 인열이 확대되는 것이 줄어 든다. 따라서 필름의 박리 경향이 매우 낮아진다. 본 발명의 필름의 R값은 43 daN/㎟ 미만, 바람직하게는 42 daN/㎟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daN/㎟ 미만이다. 그외인 경우(R값이 43 daN/㎟ 이상)는 필름은 인열되고 박리된다. 이러한 단점은 필름의 두께를 현저하게 두껍게 함으로써 좋게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emax비가 낮다는 특징이 있다. emax비는 기계 로올의 전체 웨브 폭에 대한 소정의 이산간격에서 측정한다. 측정은 MD방향의 오른쪽에서 한번, MD방향의 왼쪽에서 두번, MD방향의 45°각도에서 행한다(측정방법 참조). 필름 웨브의 중앙에서의 emax비는 1에 가깝고, 일반적으로 필름 모서리 부근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emax비는 로올의 폭에 대한 필름의 특성, 특히 필름 웨브의 중앙에 관계가 있는 특성의 변화를 나타낸다. emax비가 작을수록, 즉 폭에 대한 필름 특성이 균일할 수록 필요조건이 우수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emax비는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2.2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이다. 그외의 경우(emax비가 2.5 이상)는 필름은 인열되고 박리된다. 이러한 단점은 필름의 두께를 현저하게 두껍게 함으로써 좋게 하여야 하는데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일반적으로 단일층 구조이기 때문에 기저층 B 및 아크릴레이트함유 코팅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경우, 층구조를 필름 대칭으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리한 다층 필름은 ABA 또는 ACBCA이며, A는 외부 상층, C는 중앙층, B는 기저층이다.
필름의 기저층 B는 적어도 8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로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에틸렌 글리콜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PEN), 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및 테레프탈산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DT)), 및 에틸렌 글리콜,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및 비페닐-4,4'-디카르복시산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비벤조에이트, PENBB)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글리콜 유니트와 테레프탈산 유니트, 또는 에틸렌글리콜 유니트와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유니트를 적어도 9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몰%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나머지 단량체 유니트는 다른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올, 또는 다른 디카르복시산으로 부터 유래된다. 기저층은 PE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적합한 지방족 디올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화학식 HO-(CH2)n-OH (n은 3∼6의 정수)의 지방족 글리콜(특히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및 1,6-헥산디올), 또는 탄소원자 6개 이하의 분지 지방족 글리콜을 들 수 있다. 지환족 디올 중에서는 시클로헥산디올(특히, 1,4-시클로헥산디올)을 들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방향족 디올로는 화학식 HO-C6H4-X-C6H4-OH (식중, X는 -CH2-, -C(CH3)2-, -C(CF3)2-, -O-, -S- 또는 -SO2-)인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화학식이 HO-C6H4-C6H4-OH인 비스페놀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는 벤젠디카르복시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예를 들어, 나프탈렌-1,4-디카르복시산 또는 나프탈렌-1,6-디카르복시산), 비페닐-x,x'-디카르복시산(특히, 비페닐-4,4'-디카르복시산), 디페틸아세틸렌-x,x'-디카르복시산(특히, 디페닐아세틸렌-4,4'-디카르복시산) 또는 스틸벤-x,x'-디카르복시산이 바람직하다. 지환족 디카르복시산 중에서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특히,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중에서는 알칸부분이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는 (C3∼C19)-알칸디올산이 가장 적합하다.
기저층 B에는 폴리에스테르 이외에,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 첨가제 및 안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및 시클릭 올레핀 공중합체(COC)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 및 안료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는 공지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출발물질은 디카르복실에스테르 및 디올이며, 이들을 아연염, 칼슘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및 망간염 등의 통상의 에스테르교환 촉매하에서 반응시킨다. 그 후, 중간물질을 삼산화안티몬이나 티탄염과 같은 공지의 중축합 촉매하에서 중축합시킨다. 또 중축합 촉매하에서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디카르복시산과 디올로부터 직접 시작한다.
외층 A 또는 중간층 C에 대해서, 기저층 B에 대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특성, 특히 필름의 소정의 백색도를 얻기 위해서, 기저층 B에 필요한 안료를 첨가할 수 있으나, 다른 층 대신에 또는 다른층에도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황산바륨, 황화하연, 또는 산화아연을 들 수 있다. 단일 착색 안료로서 TiO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압출 마스터배치(여기에서 이산화티탄은 이축배향 필름에서 보다 현저하게 높다)로서 최초 원료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마스터배치에서 통상적인 TiO2의 농도는 이산화티탄 50중량%이다. 이산화티탄은 루틸형 또는 애너테이스형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루틸형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산화티탄의 입자크기는 0.05∼0.5㎛, 바람직하게는 0.1∼0.3㎛이다. 첨가된 안료는 필름의 번쩍이는 백색 외양을 손상시킨다. 소정의 백색도(> 60) 및 소정의 저투명도(< 60%)를 얻기 위해서, 기저층을 많이 충진하여야 한다. 소정의 저 투명도를 얻기 위한 입자 농도는 입자가 함유된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중량%∼20중량%, 바람직하게는 4중량%∼1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16중량%이다.
백색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적당한 광택제를 기저층 및/또는 다른 층에 첨가할 수 있다. 적당한 광택제로는 예를 들어, ?Hostalux KS 및 ?Eastobrite OB-1을 들 수 있다.
기저층과 외층에는 안정화제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들은 용융전에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는 인산 또는 인산 에스테르와 같은 인산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광범위한 범위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120㎛, 바람직하게는 15∼10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이고, 기저층의 비율은 전체 두께의 50∼100%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호일의 한 면(표면)은 수성분산액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필름상의 코팅은 두께가 약 5∼1000nm, 바람직하게는 10∼5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nm이다. 코팅은 공정(in-line)중, 즉 필름제조공정 중, 바람직하게는 횡연신 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역그라비야 롤코팅법에 의한 도포가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층두께가 200nm 이하로 매우 균일하게 도포된다. 도포는 메이어로드법(Meyer Rod)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 인해 비교적 두꺼운 코팅두께를 얻을 수 있다. 코팅은 용액, 현탁액 또는 분산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성 용액, 현탁액 또는 분산액으로 하는 것이 보다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으로 인해 필름 표면 또는 필름에 소정의 기능(낮은 마찰계수, 우수한 가공성, 우수한 롤형성성, 낮은 대전방지성, 우수한 인쇄성, 우수한 접착성), 및 다른 기능이 부여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아로마 차단이 개선되며, 필름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 물질(예를 들어, 사진에멀젼)에도 접착될 수 있다.
상기한 물질/조성물은 묽은 용액, 에멀젼 또는 분산액, 바람직하게는 수성 용액, 에멀젼 또는 분산액 형태로 필름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도포한 후 용매/분산액을 증발시킨다. 횡방향 연신전의 공정중에 코팅하는 경우, 횡방향 연신시 및 이후의 열고정시의 열처리로 용매/분산액을 완전히 증발시켜 코팅을 건조시킨다.
수성 분산액에 존재하는 고형 성분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화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단량체 50중량% 이상과,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용 단량체 약 1∼15중량%로 구성되며, 일단 공중합 상태가 되면 특정 수지성 가교결합제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승온하에서 분자내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른 단량체 유니트를 함유할 수도 있다.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 성분은 50∼99중량%가 바람직하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특히 알킬기가 탄소원자 10개 이하인,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헥실기, 2-에틸헥실기, 헵틸기 및 n-옥틸기를 함유하는 알킬에스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급 알킬아크릴레이트(C1∼C4)로부터 유래된 아실공중합체, 특히 에틸아크릴레이트는 저급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결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 복사코팅 및 매트코팅 사이의 부착성이 우수해진다. 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접착촉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등몰비로 총 70∼9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메타크릴 조합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용 단량체는 15∼65몰%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용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용 단량체보다 5∼30몰% 많이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합에서의 메틸아크릴레이트는 35∼85몰%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공중합용 단량체는 용매저항성 및 코팅의 분자내 가교결합을 증가시키며, 예를 들어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 및 대응 에스테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 크로톤산, 이타콘산 또는 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시기함유 단량체; 말산 무수물 등의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등의 히드록시기함유 단량체; 알릴알코올 및 히드록시에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말레아미드 등의 아미드; 및 비닐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릴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한 가교결합 공중합용 단량체 중에서도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들 단량체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한 공중합사슬이 승온하에서 서로 축합되어 소정의 분자내 가교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크릴레이트 코팅인 경우 요구되는 용매저항성은 외부 가교제, 예를 들어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또는 요소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존재하에 얻어질 수있다. 용매저항성이 필요없는 경우는 가교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코팅에 대해서는 EP-A-0 144 948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예를 들어 p5∼p17)을 본 명세서에 기재한다. 상기 문헌에는 재생산할 수는 없으나 명백히 본 발명에 속하는 혼합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조합에 대한 정보도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코팅은 필름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코팅은 필름의 한 면에만 제공하고, 다른 면에는 다른 코팅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에는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어 대전방지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산화방지제, 염료, 안료, 및 콜로이드 SiO2등의 항블록킹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담지 필름에서의 수성코팅의 습윤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표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이점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제조단가가 표준 폴리에스테르 원료 필름의 단가 보다 약간 비싸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특성은 가공 및 용도에 있어서 종래의 필름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다.
또한 필름제조시에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심각한 부작용 없이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쇄물을 약 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공정을 제공한다.
ㆍ 용융물을 공압출하고 성형하여 편평한 용융 필름으로 함으로써 지저층 B 및 선택적인 외층 A (및 C)로 구성된 단일층 또는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ㆍ 아크릴계 혼합물로 가교결합되는 층으로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제1 및 제2 연신단계 사이가 바람직하다),
ㆍ 필름을 이축연신하는 단계, 및
ㆍ 연신된 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
우선, 각 층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압축하고 액화한다. 용융물(들)을 슬롯다이를 통해 동시에 압출하고, 압출된 (다층) 필름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도로울러(take-off rollers)로 인출한 후, 용융물을 냉각 및 경화한다.
이축연신은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실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먼저 길이방향(즉, 기계방향=MD)으로 연신한 후, 횡방향(즉, 기계방향에 직각=TD)으로 연신한다. 길이방향의 연신은 소정의 연신율에 따라 각각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2개의 로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횡방향 연신을 위해서는 적절한 텐더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신을 행하는 온도는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으며, 소정의 필름 특성에 따라 좌우된다. 길이방향의 연신은 일반적으로 약 80∼140℃에서 실행하고, 횡방향의 연신은 약 80∼150℃에서 실행한다. 길이방향의 연신률 λMD는 일반적으로 2.0:1∼5:1, 바람직하게는 2.5:1∼4.0:1이다. 횡방향의 연신률 λTD은 일반적으로 2.5:1∼5.0:1, 바람직하게는 3.0:1∼4.5:1이다.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연신전에 필름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공지의 방법에 따라 상기의 아크릴레이트로 코팅한다.
우수한 제거능 및 박리능(필름은 제거시 박리되지 않아야 된다)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름의 R값이 43 daN/㎟ 미만, emax비가 2.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경우, 두께방향에서의 필름의 보존성은 뚜껑을 컵에서 제거할 때 보다 훨씬 크며, 필름은 전혀 박리되지 않고 인열되거나 인열이 확대되지 않는다.
필름의 R값 및 emax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는 길이방향 연신 및 횡방향 연신에서의 가공 변수와 사용된 원료의 SV값이다. 가공변수에는 길이방향 연신률과 횡방향 연신률(λMD및 λTD), 길이방향 연신온도와 횡방향 연신온도(TMD및 TTD), 및 필름웨브속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값인 R값 및 emax비가 필름플랜트에서 얻어지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길이방향 연신온도과 횡방향 연신온도를 증가시키거나, 길이방향 연신률과 횡방향 연신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요구르트 컵의 뚜껑으로 사용되지 않는 필름인 경우의 변수값은 다음과 같다.
길이방향 연신 횡방향 연신
연신온도 80∼118℃ 90∼120℃
인신률 4.2∼4.8 4.1∼4.4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인 경우, 연신온도 및 연신률은 하기의 표에 의한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연신 횡방향 연신
연신온도 80∼130℃ 80∼135℃
인신률 2.5∼4.0 3.5∼4.0
연신률이 감소되면 필름은 바람직하지 않은 결함에 노출되기 때문에 불리하다. 예를 들어, 길이방향 연신률이 2.5 이하로 줄어들면 필름에 횡방향의 주름이 발생한다.
필름제조 과정에서, λMD= 4.8, λTD= 4.0, 길이방향 연신온도(TMD) 80∼115℃, 횡방향 연신온도(TTD) 80∼125℃에서 R값이 50 daN/㎟인 경우, 길이방향 연신온도(TMD)가 80∼125℃로 상승하거나, 횡방향 연신온도(TTD)가 80∼135℃로 상승하고, 또는 길이방향 연신율(λMD)이 4.0로 감소하거나, 횡방향 연신율(λTD)이 3.6으로 감소하여 λTD가 3.6으로 되고 R값이 38로 된다. 이러한 치수로 인해 emax비가 본 발명의 범위내로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경우, 웨브속도는 140m/min이고, 필름의 SV값은 730이다. 길이방향 연신인 경우의 온도는 로울온도를 기준으로 하고, 횡빙향 연신온도인 경우의 필름온도는 적외선에 의해 측정된 필름온도에 기초한 것이다.
이어서, 필름을 약 150∼250℃에서 0.1∼10초 동안 열경화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권취한다.
본 발명의 R값과 emax비를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R값과 emax비를 갖지 않는 필름을 제공하는 변수로부터 다음과 같은 절차를 시작한다.
· MD방향의 연신온도를 △T= 3∼15K, 바람직하게는 △T= 5∼12K, 보다 바람직하게는 △T= 7∼10K 상승시킨다.
· MD방향의 연신률을 △λ= 0.3∼0.8, 바람직하게는 △λ= 0.35∼0.7, 보다 바람직하게는 △λ= 0.4∼0.6 감소시킨다.
· TD방향의 연신온도를 △T= 4∼15K, 바람직하게는 △T= 5∼12K, 보다 바람직하게는 △T= 7∼10K 상승시킨다.
· TD방향의 연신률을 △λ= 0.3∼0.8, 바람직하게는 △λ= 0.35∼0.7, 보다 바람직하게는 △λ= 0.4∼0.6 감소시킨다.
적당한 경우, 상기 치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첫번째 두개의 치수를 서로 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축연신후에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필름 표면의 한면 또는 양면에 코로나 또는 화염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처리강도는 약 50mN/m 이상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매우 우수한 취급성, 귄치성 및 가공특성을 갖는다. 또한 컵으로부터의 제거능이 현저하다. 특히, 필름의 인열 및 박리의 시작 및 확대되는 경향이 매우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음식 및 다른 소비재의 포장재, 특히 요구르트컵 등의 음식용기의 뚜껑 필름에 적당하다.
또 본 발명의 필름은 우수한 광학특성을 가지며, 현저한 가공특성 및 롤형성성을 갖는다. 매우 우수한 취급성 및 가공특성에 따라 본 필름은 고속기계에서의 가공에 특히 적합하다. 또 본 필름은 백색도가 현저하기 때문에 광고용으로 효과적인 매우 매력적인 외양을 필름에 부여한다.
필름제조시에 발생하는 분쇄물을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필름의 전체 중량의 약 20∼60중량%까지 압출공정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필름특성을 일괄하여 나타낸다.
본발명의 범위 바람직한 범위 보다 바람직한 범위 단위 시험방법
R값 < 43 < 42 < 40 daN/㎟ 기재된 바와같다
emax < 2.5 < 2.2 < 2.0 - 기재된 바와같다
투명도 < 60 < 55 < 50 % 기재된 바와같다
백색도 > 60 > 65 > 70 % 기재된 바와같다
두께 10∼120 15∼105 20∼80
코팅면의 마찰(COF) < 0.45 < 0.42 < 0.40 - 기재된 바와같다
코팅면의 평균조도 < 50 < 45 < 40 nm DIN 4768,cutoff 0.25mm
광택(측정각 20°) > 50 > 55 > 60 - 기재된 바와같다
황색지수 < 50 < 45 < 40 - 기재된 바와같다
기저층의 충진농도(백색 안료) > 3 > 4 > 5 중량%
원료 및 필름을 특정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DIN=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German Institute for Standardization]
ASTM= America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투명도
투명도는 ASTM-D 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황색지수
필름의 황색지수는 Perkin Elmer Lamda 12 분광광도계(USA), 표준 발광체 D65, 10°표준관측계를 이용하여 ASTM-D 1925-70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정상색값 X, Y, Z를 사용하여 다음의 식으로 황색지수 YI를 계산하였다.
YI= [100 ·(1.28 ·X - 1.06 ·Z)]/Y
백색도
백색도는 필름 20층 이상 겹쳐진 것을 사용하여 Berger법으로 측정하였다. 백색도는 "ELREPHO" 반사율 광도계(독일 Zeiss사 제조), 표준 발광체 C, 2°표준 관측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백색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W = RY + 3RZ - 3RX
(식중, RX, RY 또는 RZ는 X, Y 및 Z 컬러측정필터를 사용했을 때 관련된 반사율을 나타낸다). 사용된 백색 표준은 황산바륨 프레스케이크(DIN 5033, Part 9)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Hansl Loos, "Farbmessung" [color measurement], Verlag Beruf und Schule, Itzehoe (1989)에 기재되어 있다.
SV값 (표준점도)
표준점도 SV(DCA)는 DIN 53726에 의한 방법에 따라 디클로로아세트산 중에서 측정하였다. 고유점도(IV)는 표준점도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IV= [η]= 6.907ㆍ10-4SV(DCA) + 0.063096 [㎗/g]
마찰
마찰은 DIN 53 375로 측정하였다. 미끄럼 마찰계수는 제조 후 14일째에 측정하였다.
광택
광택은 DIN 67530에 따라 측정하였다. 필름표면에 대한 특정 광학 변수로서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표준 ASTM-D 523-78 및 ISO 2813을 기초로 입사각을 20°로 고정하였다. 광빔은 설정된 입사각으로 평평한 검사 표면을 때린 후에 반사 또는 산란한다. 광전자 검출기에 입사되는 광선이 전기적인 비례변수로서 나타낸다. 측정된 값은 치수가 없으며 입사각과 함께 나타내어야 한다.
R값 측정
필름의 R값은 필름 웨브의 중앙에서 측정한다.
개략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폭 15mm, 길이 200mm(좌측 및 우측)의 2개의 필름스트립을 MD방향의 45°로 필름 웨브의 중앙에서 절단하고, Zwick 010 인장변형도 측정장치(독일, Ulm사)로 고정한다. R값을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R값= 1/3 ×(σ30%- σ0.2%) [daN/㎟로 측정]
이 방정식에서 변수 σ30%및 σ0.2%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σ30%= MD방향의 45°로 MD방향의 좌측에서 한 번, 우측에서 한 번 측정한30% 신장에서의 필름의 변형
· σ0.2%= MD방향의 45°로 MD방향의 좌측에서 한 번, 우측에서 한 번 측정한 0.2% 신장에서의 필름의 변형
좌우측에서의 R값 < 43 daN/㎟
e max 비 측정
emax비는 필름 웨브의 전체 폭(기계 롤의 폭)에 대해 측정한다. emax비는 MD방향의 45°각도로 MD방향의 우측에서 한 번, 좌측에서 두 번 측정한다. 필름 웨브의 중앙에서 emax비는 1에 근접하고, 필름 웨브의 중앙에서 필름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만큼 증가한다. 두 측정지점 사이의 거리(TD방향에서, 필름 웨브의 폭방향)는 통상적으로 50cm이다. R값을 측정하는 경우 폭 15mm, 길이 200mm의 2개의 필름 스트립을 MD방향의 45°로 각 필름 웨브(좌측 및 우측)를 절단한다. 이후 견본을 인장변형도 측정장치(상기 참조)에서 신장시킨다. emax비를 하기의 식으로 계산한다.
emax비= ε좌측우측또는 ε우측좌측
(정의에 따라 항상 > 1 이다)
ε좌측은 MD방향의 45°에서 필름 파괴에서의 인장변형력, 좌측
ε우측은 MD방향의 45°에서 필름 파괴에서의 인장변형력, 우측
정의에 따라 emax비는 항상 1보다 크다. 필름 웨브 폭에 대해 측정하는 경우,첫번째 비 (ε좌측우측)는 웨브의 전반에 대한 것이고, 두번째 비 (ε우측좌측)는 웨브의 후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경우 필름의 emax비는 2.5 미만이다.
emax비 < 2.5, 우측 및 좌측
요구르트컵으로부터의 필름의 제거능 측정
요구르트컵으로부터의 필름의 제거능은 시각적으로 평가한다. 이 시험방법에 있어서, 필름(뚜껑)을 RK Print-Coat Instrument (영국, Royston사)를 사용하여 HS-61-095 (독일, Novacote사)의 시일링 니스로 코팅한다. 독터브래드(doctor blade)를 사용하여 두께 24㎛로 습윤적용하였다. 이후 코팅된 필름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필름을 폴리스티렌 컵(내부 직경: 6.5cm, 시일링 가장자리를 포함한 외부 직경: 7.3cm)에 밀봉하였다(PA 210 시일링 장치사용, 영국, Packaging Automation사; 시일링 조건: 150℃, 1초). 저장 48시간 후에 손으로 컵에서 필름을 제거하였다. 제거능은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우수) 10회 시도중 필름의 인열 및/또는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 (= 부족) 10회 시도중 적어도 한 번 필름의 인열 및/또는 박리가 일어나는 경우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코팅은 라텍스 4.5중량%, 황산라유릴 나트륨 0.2중량% 및 Triton X-405(Fluka, Buchs, CH) 9.8중량%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으로 구성된다.라텍스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0중량%, 에틸 아크릴레이트 35중량% 및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5중량%의 공중합체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칩을 160℃에서 건조하여 잔류수분을 50ppm 이하가 되도록 하고, 기저층 B용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공압출 후, 길이방향으로 필름을 배향하고, 코로나 처리 및 역그라비야 롤코팅법을 이용하여 상기 분산액으로 코팅하였다. 코팅의 건조 중량은 약 0.035g/㎡ (이축연신 필름을 기준)이고, 층두께 25nm에 상응한다. 이 방법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신한 필름을 횡방향으로 연신하여 총 두께가 55㎛인 백색 단일층 필름을 얻었다.
기저층 B:
SV값이 80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85중량%,
이산화티탄 50중량%(이산화티탄의 평균입자크기: 약 0.3㎛)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Sukano사, Schindellegi, CH) 15중량%
각 공정단계의 제조조건은 다음과 같다.
길이방향 연신:온도: 80∼125℃
길이방향 연신율: 3.4
횡방향 연신:온도: 80∼135℃
횡방향 연신율: 4.0
열경화:온도: 230℃
시간: 3초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 낮은 마찰계수, 매우 우수한 가공성 및 매우 우수한권취성을 갖는 단일층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은 컵으로부터의 소정의 필름 제거능을 나타내었다. 이 필름은 인열되지 않았으며, 박리의 경향이 전혀 없었다(표 2).
(실시예 2)
변수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길이방향 연신:온도: 80∼125℃
길이방향 연신율: 4.0
횡방향 연신:온도: 80∼135℃
횡방향 연신율: 3.4
열경화:온도: 230℃
시간: 3초
이들 조건하에서,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 낮은 마찰계수, 매우 우수한 가공성 및 매우 우수한 권취성을 갖는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은 컵으로부터의 소정의 필름 제거능을 나타내었다. 이 필름은 인열되지 않았으며, 박리의 경향이 전혀 없었다.
(실시예 3)
필름 두께를 55㎛에서 36㎛로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이러한 비교적 얇은 필름도 매우 우수한 가공성, 매우 우수한 권취성 및 컵으로부터의 소정의 필름 제거능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는 달리, 제조조건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다.
길이방향 연신:온도: 80∼118℃
길이방향 연신율: 4.0
횡방향 연신:온도: 80∼125℃
횡방향 연신율: 4.0
열경화:온도: 230℃
시간: 3초
이 필름은 소정의 가공특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특히 컵으로부터의 소정의 필름 제거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필름은 인열되기 시작하고, 박리되는 경향이 매우 컸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는 달리, 이 필름은 아크릴계 화합물로 코팅하지 않았다. 이 필름은 소정의 가공특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파괴되는 경향이 있고 소정의 권취성을 갖지 못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2에 나나탠다.
실시예 필름두께㎛ 필름웨브폭m R값daN/㎟ emax 코팅된면의마찰 코팅된면의조도 투명도% 백색도% 광택20° 황색지수 가공성 필름제거능
E 1 55 5 39 1.8 0.36 28 28 90 72 36 ++ ++
E 2 55 5 37 1.7 0.35 30 29 90 71 34 ++ ++
E 3 36 5 38 1.8 0.35 31 35 88 70 30 ++ ++
CE 1 55 5 50 2.7 0.36 30 28 90 72 36 + --
CE 2 55 5 39 1.7 0.48 32 28 90 72 36 -- ++
가공성:
++: 매우 우수 +: 우수 --: 열악 -: 보통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매우 우수한 취급성, 귄치성 및 가공특성을 갖는다. 또한 컵으로부터의 제거능이 현저하다. 특히, 필름의 인열 및 박리가 시작되거나 확대되는 경향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음식 및 다른 소비재의 포장재, 특히 요구르트컵 등의 음식용기의 뚜껑 필름에 적당하다.

Claims (19)

  1. 기저층 B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며, 필름의 R값이 43 daN/㎟ 미만, emax비가 2.5 미만이고, 필름의 적어도 한 표면에 아크릴레이트함유 코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R값이 42 daN/㎟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daN/㎟ 미만이고, emax비는 2.2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 B는 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적어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글리콜과 테레프탈산의 유니트, 및/또는 에틸렌글리콜과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의 유니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 B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단일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ABA 또는 ACBCA의 대칭 층구조이며, C는 필름의 중간층이고 A는 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백색 안료 또는 충진재로서 TiO2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기저층 B에만 백색 안료 또는 충진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는 백색 안료가 이것이 존재하는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함유 코팅은 중합화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단량체, 및 분자내 가교결합을 증가시키는 공중합가능한 공중합용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함유 코팅은 수성 분산액 형태로 상기 필름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총 두께는 10∼120㎛, 바람직하게는 15∼10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황색지수는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a) 용융물을 공압출하고 성형하여 편평한 용융 필름으로 함으로써 단일층 또는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아크릴레이트함유 코팅으로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c) 필름을 이축연신하는 단계, 및
    d) 연신된 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소정의 R값 및 emax비를 얻기 위해서, 연신온도를 증가시키고, 연신율(길이방향 및/또는 횡방향 연신에 대한 연신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연신온도는 80∼130℃, 횡방향의 연신온도는 80∼135℃이고, 길이방향의 연신률은 2.5∼4.0, 횡방향의 연신률은 3.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8. 음식 및 다른 소비재의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19. 제18항에 있어서, 뚜껑 필름으로서 요구르트 컵과 같은 컵형태의 용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KR1020030073973A 2002-10-26 2003-10-22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670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9907.1 2002-10-26
DE2002149907 DE10249907A1 (de) 2002-10-26 2002-10-26 Weiß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98A true KR20040036598A (ko) 2004-04-30
KR100670927B1 KR100670927B1 (ko) 2007-01-18

Family

ID=3208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973A KR100670927B1 (ko) 2002-10-26 2003-10-22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01605B2 (ko)
EP (1) EP1420038A3 (ko)
JP (1) JP2004143461A (ko)
KR (1) KR100670927B1 (ko)
DE (1) DE10249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3145A1 (de) * 2003-01-28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Einseitig matte, biaxial orietierte Polyesterfolie mit charakteristischen Schrumpfeigenschaf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502005003889D1 (de) * 2004-04-27 2008-06-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e, dampfsterilisierbare und extrusionsbeschichtbare Polyesterfolie
DE102004030979A1 (de) * 2004-06-26 2006-01-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Extrusionsbeschichtbare Polyesterfoli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DE502006001168D1 (de) * 2005-06-01 2008-09-0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opake Folie mit niedriger Transparenz und verbesserter Durchschlagsfestigkeit
US20070134470A1 (en) * 2005-12-09 2007-06-14 Martin Jesberger Multilayer, whit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US8679605B2 (en) * 2006-03-21 2014-03-25 Pactiv LLC Peelable child resistant pharmaceutical blister lidstock
DE102008056694A1 (de) * 2008-11-11 2010-05-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gestreckte Polyesterfolie die einen Kettenverlängerer enthält,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09021714A1 (de) * 2009-05-18 2010-11-2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Niedrigsiegelnde Polyesterfolie für unpolare Substrate
ES2585129T3 (es) * 2011-11-22 2019-11-21 Danapak Flexibles As Una hoja, un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y uso de una hoja como tapa para envases
JP5952705B2 (ja) * 2012-10-12 2016-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3769A (en) * 1966-06-29 1973-08-21 Mobil Oil Corp Coating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es coated therewith
GB1497101A (en) * 1975-08-04 1978-01-05 Ici Ltd Coated film assemblies
US4302505A (en) * 1979-01-05 1981-11-24 American Hoechst Corp. Dual layered antistatic coated polyester film
US4302506A (en) * 1979-01-05 1981-11-24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Slip coated polyester film
US4214035A (en) * 1979-01-31 1980-07-22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Antistatic coated polyester film
US4571363A (en) 1983-12-12 1986-02-18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Polyester film primed with crosslinked acrylic polymers
GB2210581B (en) 1987-10-05 1992-01-02 Courtaulds Films & Packaging Polymeric films
GB9227031D0 (en) 1992-12-29 1993-02-24 Ici Plc Polymeric sheet
DE19653750A1 (de) * 1996-12-20 1998-06-25 Hoechst Diafoil Gmbh Siegelfähig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36400A1 (de) * 2000-07-26 2002-06-0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0038A2 (de) 2004-05-19
KR100670927B1 (ko) 2007-01-18
EP1420038A3 (de) 2005-02-09
US20040081840A1 (en) 2004-04-29
DE10249907A1 (de) 2004-05-06
US7101605B2 (en) 2006-09-05
JP2004143461A (ja)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1924B1 (en) Whit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with cycloolefin copolymer (COC), process for producing the film, and its use
US10843447B2 (en) Hea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6420019B1 (en) Multilayer, transparent,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US7122239B2 (en) Opaque polyester film containing a cyclic olefin copolymer (COC) with good surface attachmen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US20070134470A1 (en) Multilayer, whit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2003535732A (ja) シクロオレフィン共重合体を含有し、シール性および熱成型性を有する二軸延伸共押出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US6916548B2 (en) White, high-gloss, polyester film containing cyclo-olefin copolymers (COC),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of the same
US6893706B2 (en) White, 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with cycloolefin copolymer (COC), which is matt on at least one side, method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20040067890A (ko) 다층 투명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용도
US7147925B2 (en) White, steam-sterilizable and extrusion-coatable polyester film
KR100670927B1 (ko) 백색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040097B1 (ko) 다층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JP2006199917A (ja) 金属板貼合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及び金属容器
US11186072B2 (en) Peelable polyester film,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180053249A (ko) 이축 배향 가열-밀봉 및 박리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US20080063857A1 (en) Sealabl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with hydrophilic coating
US10618260B2 (en) Thermoformable transparent packing made of polyester with a lower foil and an upper foil,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JP2002331620A (ja) 透明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9915A (ja) 金属板貼合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及び金属容器
JP4670484B2 (ja) 金属板貼合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及び金属容器
JP4604844B2 (ja) 金属板貼合せ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及び金属容器
KR19990031350A (ko)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6199017A (ja) 金属板貼合せ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及び金属容器。
JP2006199014A (ja) 金属板貼合せ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及び金属容器
JP2006199015A (ja) 金属板貼合せ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及び金属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