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177A -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무정지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무정지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177A
KR20040033177A KR1020020062107A KR20020062107A KR20040033177A KR 20040033177 A KR20040033177 A KR 20040033177A KR 1020020062107 A KR1020020062107 A KR 1020020062107A KR 20020062107 A KR20020062107 A KR 20020062107A KR 20040033177 A KR20040033177 A KR 2004003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x
protocol
destination
gatewa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734B1 (ko
Inventor
소도영
장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텍
Priority to KR10-2002-006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7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46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dapting to a particular standardised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digital transmiss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SMS or ISD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41Fault detection of transmission or transmitted data, e.g. interruption or wrong number of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78Performing substitution, e.g. substitute reception or substituting a corrupted line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중전화교환망(PSTN)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팩스 전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T.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공중전화교환망을 통해 팩스 전송하며,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나 팩스 이미지를 포함한 이메일을 전송하고,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팩스 전송하여, 네트워크가 정상이며 바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우선적으로 통신비용 절감을 위해 T.38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팩스 전송을 하며, 상대방이 즉각 팩스 수신을 할 수 없으면 T.37 방식으로 전환하여 팩스 송신을 위해 받은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대방이 팩스를 받을 수 있을 때에 팩스나 이메일을 전송하게 함으로 무정지 팩스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팩스전송 시스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팩스 전송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T.30 방식을 사용하여 PSTN 망으로 기존의 방식대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보다 완벽한 무정지 팩스 전송이 가능토록 해 준다.

Description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non-stop fax transmission with T.38/T.37/T.30 protocol switching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팩스 전송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히는 팩스 전송을 할 때에 팩스 전송을 위한 T.30, T.37 및 T.38 프로토콜을 상황에 맞게 스위칭하면서 팩스를 전송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환경이 어떤 경우에도 팩스 전송이 중지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팩스 전송에 사용되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s,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 표준으로 규정된 T.30, T.37 및 T.38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한다.
T.30 프로토콜 : 기존의 공중전화교환망(PSTN)을 통해 팩스 단말에서 다른 팩스 단말로 팩스를 혹은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안이다.
T.37 프로토콜(Store & Forward) : 팩스단말로부터 들어온 팩스 이미지를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을 하는 시스템 내부에 있는 메모리에 일시 저장한 후에 팩스 전송을 요청한 팩스 단말과의 통신을 끊고, 목적지 팩스 단말에 팩스전달 신호를 보내서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전에 저장해 두었던 팩스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안이다.
T.38 프로토콜(Real Time FAX) :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대 팩스 단말로 팩스를 보내는 방식에 사용되는 표준안이다. 목적 팩스 단말이 사용중이면 통화 중으로 처리되어 팩스 이미지 데이터를 보낼 수 없게 된다.
각 프로토콜에 대해 상기에 설명된 것은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을 위해 간단하게 된 것이며,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의 프로토콜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은 이미 공개되어 있는 해당 프로토콜에 관한 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동작하는 것으로 하며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을 것이다.
종래에 팩스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팩스 전송 방법이나 팩스 전송 단말 장치는, T.30 방식으로 보내는 방식을 채택한 팩스 단말기가 있고, T.37 방식만을 사용하거나 혹은 T.38 방식만을 사용하는 팩스 단말기와 팩스 서버가 있다. 즉 팩스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은 3개가 있으나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만을 사용하는 팩스 단말기를 사용하여 그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을 하는 방법을 사용할 뿐이다.
또한, T.30 방식을 사용하는 팩스 단말의 경우 공중전화교환망을 사용하여팩스 전송을 하므로 팩스 보낼 문서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공중전화교환망을 사용하는 통화료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팩스 전송 시에 공중전화교환망을 사용하지 않는 T.38 방식의 팩스 전송의 경우에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팩스 전송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37 방식을 사용하는 방식의 팩스 단말기 또는 팩스 서버의 경우 공중 전화망을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과 같은 패킷(packet) 망을 통하여 팩스를 전송하므로 통화료가 적게 드나 실시간으로 전송되지 않고 일단 팩스 이미지를 저장했다가 전송하므로 전송 결과를 즉시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 외에도 T.37 혹은 T.38 방식의 팩스 서버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에 이상이 생겨 혹은 시스템에 정전이 되어 서버 시스템이 동작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아예 팩스 전송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T.38/T.37/T.30 프로토콜을 모두 사용하여 팩스 전송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팩스 전송 방법이나 장치의 팩스 전송 실행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여 T.38, T.37 및 T.30 프로토콜들 간에 능동적으로 스위칭하면서 주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팩스 전송을 하여 정전 등의 상황에서도 팩스 전송을 할 수 있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non-stop) 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은, 공중전화교환망(PSTN)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팩스 전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T.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팩스 전송 요청을 공중전화교환망을 통해 목적지로 팩스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팩스 전송의 목적지의 팩스 단말이 연결된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파악하는 단계; (e)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d) 단계에서 목적지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T.38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하는 팩스 전송을 대응하는 목적지로 팩스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f) 단계에서 수신자의 팩스 단말이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었으나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전송을 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이나 팩스 전송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는, 공중전화교환망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팩스전송수신부;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하는 네트웍상태판단부;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이면 T.30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이면 T.37/T.38의 프로토콜로 팩스 전송되도록 팩스 전송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1차스위치부; 상기 1차스위치부가 T.30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상기 팩스전송수신부의 팩스 전송 요청을 공중교환망으로 연결하여 T.30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하는 T.30프로토콜실행부; 팩스 전송의 목적지의 팩스 단말이 연결된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파악하는 목적지상태파악부; 상기 목적지상태파악부에 의해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T.37 프로토콜로, T.38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로 팩스 전송되도록 팩스 전송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2차스위치부; 상기 2차스위치부가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혹은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T.37프로토콜실행부; 및 상기 2차스위치부가 T.38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팩스 전송을 목적지로 팩스 전송하는 T.38프로토콜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2차스위치부는 상기 T.38프로토콜실행부에서 T.38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 중에 인터넷 접속이나 팩스 전송에 이상이 있는 경우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며, 이때에 상기 T.37프로토콜실행부는 상기 T.38프로토콜실행부가 전송하려던 내용을 넘겨받아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로 혹은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non-stop) 팩스 전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공중전화교환망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 전송하는 이 방법은, 목적지를 포함하는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100 단계),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며(110 단계),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T.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100 단계에서 수신한 팩스 전송 요청을 공중전화교환망을 통해 목적지로 팩스 전송한다(120 단계). 이는 보통으로 팩스 보내는 방법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팩스 전송의 목적지의 팩스 단말이 연결된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파악하며(130 단계),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를 전송하며(140 단계), 130 단계에서 목적지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T.38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100 단계에서 수신한 팩스 전송을 대응하는 목적지로 팩스 전송한다(150 단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공중전화교환망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는 이 장치는, 보통의 팩스기(200)로부터의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팩스전송수신부(210),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하는 네트웍상태판단부(220),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이면 T.30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이면 T.37/T.38의 프로토콜로 팩스 전송되도록 팩스 전송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1차스위치부(230), 1차스위치부(230)가 T.30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팩스전송수신부(210)의 팩스 전송 요청을 공중교환망으로 연결하여 T.30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하는 T.30프로토콜실행부(240), 팩스 전송의 목적지의 팩스 단말이 연결된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파악하는 목적지상태파악부(250), 목적지상태파악부(250)에 의해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T.37 프로토콜로, T.38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로 팩스 전송되도록팩스 전송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2차스위치부(260), 2차스위치부(260)가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혹은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T.37프로토콜실행부(270) 및 2차스위치부(260)가 T.38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팩스 전송을 목적지로 팩스 전송하는 T.38프로토콜실행부(28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내부에 있는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는 보통의 전화선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는 팩스기(200)로부터의 팩스 전송을 수신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팩스를 전송하는 팩스 서버로 사용된다.
팩스기(200)로부터 팩스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들어오면 팩스전송수신부(210)가 이를 수신한다(100 단계).
팩스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상태판단부(220)는 T.38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팩스 전송을 할 수 있나를 알기 위해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팩스 전송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100 단계). 네트워크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의 예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ping' 과 같은 기능을 통해 특정한 네트워크 서버를 지정하여 그 서버로 신호를 보내 그에 대한 응답이 오는가 혹은 일정 시간 내에 그 응답이 오는가를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그 외에도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면 보통의 팩스 전송과 같은 방법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게 한다. 이를 위해 1차스위치부(230)는 T.30 프로토콜로 팩스를 전송하도록 스위칭하여 팩스전송수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팩스 전송 요청을 공중전화교환망으로 연결하며, T.30프로토콜실행부(240)는 T.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팩스 전송이 되도록 한다(120 단계).
1차스위치부(230)는 릴레이 스위치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각 프로토콜에 따른 경로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만일 팩스기(200)에 공급되는 전원은 정상이나, 본 발명에 따른 팩스 서버인 도 2의 장치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T.30 프로토콜에 따른 팩스 전송이 되도록 하는 것이 무정지 팩스 전송을 위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네트웍상태판단부(220)가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팩스전송수신부(210)는 팩스기(200)로부터의 팩스 전송을 더미(dummy)하게 전달하며, 전원 공급이 되지 않을 때에는 네트워크상태판단부(200)의 출력은 하드웨어적으로 신호 레벨이 '0'으로 출력되게 혹은 논리적으로 '0'이 되도록 구성하며, 1차스위치부(230)인 릴레이 스위치는 전원 공급이 끊어지거나 네트워크상태판단부(200)의 출력이 레벨이 '0'인 경우에는공중전화교환망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T.30프로토콜실행부(24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아무 동작을 하지 않을 것이므로 팩스기(200)에서의 팩스 전송 요청은 직접 공중전화교환망으로 연결되어 통상의 팩스기에서 팩스 전송하는 T.30 프로토콜을 이용한 팩스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팩스 서버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T.30 프로토콜에 따른 팩스 전송이 실행되어 무정지(non-stop) 팩스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장치에 이상이 생겨서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면 도 2의 장치의 제어하는 부분(예를 들면 CPU)이 이상 동작을 일으키거나, 주요 소자의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하는 경우 등에 대해 미리 에러 신호들을 정의한다. 그리고 이 에러 신호들의 하나가 발생하거나 혹은 에러 신호들의 특정한 조합이 발생할 때를 시스템 실패(system fail)로 정의하여, 시스템 실패의 신호가 발생할 때를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장치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는 경우라고 하여, 이런 경우에도 네트워크상태판단부(220)에서 상기의 경우와 같이 논리적 '0'이 출력하게 한다. 그 결과 1차스위치부(230)가 T.30 경로로 팩스기(200)로부터의 팩스 전송을 스위칭하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팩스 서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팩스 전송이 T.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상태판단부(220)에서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면목적지상태파악부(250)는 팩스전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팩스 전송의 목적지의 팩스 단말에 연결된 팩스 게이트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파악한다.
팩스 게이트는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통해 팩스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종래의 팩스 게이트는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의 어느 하나만을 지원할 수 있다. 팩스 게이트는 보통의 팩스 단말에 연결되어 팩스 게이트를 통해 수신된 팩스가 팩스 단말로 전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에 팩스 게이트에서 팩스 단말로 혹은 팩스 단말에서 팩스 게이트로 전송되는 과정은 T.30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행될 것이다.
혹은 팩스 게이트와 팩스 단말이 결합되어 하나의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IAF(Internet-Aware Fax)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IAF도 T.37 프로토콜 혹은 T.38 프로토콜의 어느 하나만을 지원할 수 있다.
목적지 팩스 게이트가 T.37 혹은 T.38을 지원하는 가를 판단하는 것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에 따른 것이며, 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2차스위치부(260)는 목적지상태파악부(250)에 의해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T.37 프로토콜로, T.38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로 팩스 전송되도록 팩스 전송의 경로를 스위칭한다.
T.37프로토콜실행부(270)는 2차스위치부(250)가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혹은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를 전송한다.
이때에 목적지상태파악부(250)가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가를 파악할 때에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대해서 파악한다. 목적지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없다는 것을 파악하는 방법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T.37 프로토콜의 규약에 따른다. 팩스 게이트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T.37프로토콜실행부(270)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팩스 전송의 목적지에 팩스를 수신할 팩스 게이트웨이가 없으므로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를 전송할 내용을 이미지로 저장한 후에 그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팩스를 수신할 상대방에 대응하는 이메일 어드레스로 이메일을 보내는 것이다. 이런 기능을 팩스 메일러(Fax Mailer)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팩스 목적지인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메일 어드레스가 미리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목적지상태파악부(250)가 목적지에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팩스 게이트웨이가 있으나 그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파악하면 상기 T.37프로토콜실행부(260)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후에 목적지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이 목적지상태파악부(250)에 의해 파악되면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로 팩스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에 팩스 톤(fax tone)을 보내 그에 대한 ACK 신호가 오는가에 따라 상대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전송을 수신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대 팩스 게이트웨이로 팩스 전송이 가능하지 않으면, 즉 상대 팩스 게이트웨이가 다른 팩스 전송을 수신하거나 팩스 전송을 하거나 혹은 그 팩스 게이트웨이로 연결된 팩스 전송 라인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점유되어 있으면 상대 팩스 게이트웨이로 팩스 전송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경우 ITU-T 표준의 T.37 프로토콜은 팩스 전송 요청을 받으면 팩스수신자로써 연결을 하고 팩스 톤을 송신자인 팩스기(200)에 내보내 팩스를 송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접수된 팩스 이미지를 파일로 보관하고 있다가 실제 팩스 게이트웨이로 다시 접속을 하여 팩스를 받도록 한다. 이는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재시도할 수 있다. 이때, 재시도 횟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T.37프로토콜실행부(270)는 2차스위치부(260)가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목적지상태파악부(250)에 의해 목적지 팩스 단말이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면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상대 팩스 단말로 전송한다(140 단계). 이 과정이 T.37 프로토콜에 따른 팩스 전송 과정인 저장 후 전송(store & forwarding)이다.
상기에 설명된 것은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상대방 팩스 게이트웨이가 있으면 저장된 팩스 이미지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며, 바로 팩스를 보낼 수 없는 경우에는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나중에 전송하는 것이며, 목적지에 팩스 게이트웨이가 없는 경우에는 저장된 팩스 이미지를 첨부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목적지의 T.37 프로토콜 지원 팩스 게이트웨이가 있더라도 팩스 대신에 메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목적지상태파악부(250)가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가를 파악할 때에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한 경우에도 팩스를 전송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T.37프로토콜실행부(270)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팩스를 전송하는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T.38프로토콜실행부(280)는 2차스위치부(260)가 T.38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팩스 전송을 목적지로 팩스 전송한다.
ITU-T 표준에 규정된 T.38 프로토콜은 독립된 실시간 팩스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 프로토콜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T.38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팩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대의 T.38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팩스 게이트웨이로 팩스 전송 가능 여부를 요청하고, 상대방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를 수신가능하여 연결되면 송신요청자의 팩스 단말로 ACK 링(ring)이 울리면서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어 팩스송신이 시작된다. 이에 대한 구현 방법은 여러 가지 있겠지만 H.323 이나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현 할 수 있다.
H,323 : 서비스 품질이 보증되지 않은 구내 정보 통신망(LAN)상에서의 음성·동화상·데이터 통신의 단말 규정으로 ITU-T에 의해 권고된 프로토콜이다. 대응 통신망은 이더넷, 100M 이더넷,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토큰 고리형 망이다. 파일 전송, 백판(white board) 등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채널도 규정하고 있으며 인터넷 전화 서비스나 제품에 널리 채용되어 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 세션(session) 설치 프로토콜로 응용계층의 시그날링(signaling) 프로토콜이다. 하나 이상의 참여자로 구성되는 세션을 생성, 변경 및 종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세션은 인터넷 멀티미디어 회의, 인터넷 전화기의 Call,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등을 포함한다.
즉, T.38프로토콜실행부(280)는 2차스위치부(260)가 T.38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팩스 전송을 목적지로 팩스 전송한다(150 단계). 이 과정이 T.38 프로토콜에 따른 팩스 전송 과정이 된다.
이때에 T.38프로토콜실행부(280)에서 T.38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 중에 인터넷 접속이나 팩스 전송에 이상이 있는 경우 2차스위치부(260)는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며, 이때에 T.37프로토콜실행부(270)는 T.38프로토콜실행부(280)가 전송하려던 내용을 넘겨받아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로 혹은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37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는 것은 상기에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설정, 상대방 팩스 혹은 팩스 게이트웨이의 상태, 본 발명에 따른 팩스 전송 장치에 발생되는 정전 및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팩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팩스를 사용하는 주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팩스를 이용할 수 있어 팩스를 사용하는 영역이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상황에 따라 T.38과 T.37 프로토콜이 상황에 따라 전환되어 사용되어야 하므로 그 상황을 확인하여 스위칭해주는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T.38/T.37 프로토콜 스위치라고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1) 처음 팩스 전송 요구가 송신자로부터 들어오면 기본적으로 T.38 모드로 정의하여 임시 태스크(task)를 만들고 그 태스크로 하여금 T.38 혹은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이 되도록 관리토록 한다.
2) 팩스 전송을 수신할 상대 팩스 게이트웨이의 수신 가능 상태를 확인하여 ACK가 제대로 오면 송신 의뢰자인 팩스기(200)에게 통화 가능 회신을 해주고 팩스 이미지를 받아서 T.38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T.38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대 팩스 게이트웨이로 연결 시도 중에 상대 팩스 게이트웨이가 사용중이거나 네트워크 접속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T.37로 스위칭한다.
3) T.37로 스위칭하고 나서 송신 의뢰인 단말인 팩스기(200)로 링 신호를 보내어 팩스 전송을 위해 연결된 것 같이 하여 팩스 이미지 데이터를 받아 들인다.그리고 그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둔다. 그리고 T.37 프로토콜에 따라 이메일로 혹은 저장 후 전송으로 팩스 전송한다. 만일 네트워크 접속에 이상이 있거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T.30 프로토콜에 따라 PSTN 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팩스 서버 장치가 전화를 걸어서 연결이 되면 팩스데이타를 보낸다.
상기 2)의 경우에 T.38 프로토콜로 시도 중에 네트워크 상에서 상대방 팩스 단말로 연결이 안될 때는 T.37로 스위칭한다. 이를 위해 150 단계에서 목적지상태파악부(250)에 의해 수신자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었으나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전송을 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2차스위치부(260)는 T.37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며, 이때에 T.37프로토콜실행부(270)는 T.38프로토콜실행부(280)가 전송하려던 내용을 넘겨받아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네트워크는 정상이나, 일시로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하거나 상대방 팩스 게이트웨이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경로에 있어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상대방의 팩스기가 팩스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설명은 수신하는 곳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혹은 T.38의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만일 수신 팩스 게이트웨이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인 팩스 서버인 경우라면 당연히 상기의 어떤 경우라도 동작하며, 장치의 상태, 네트워크의 상태 등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전송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것은 상기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그대로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각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중전화교환망(PSTN)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팩스 전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T.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공중전화교환망을 통해 팩스 전송하며,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나 팩스 이미지를 포함한 이메일을 전송하고,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팩스 전송하여, 네트워크가 정상이며 바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우선적으로 통신비용 절감을 위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팩스 전송을 하며, 상대방이 즉각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없으면 T.37 방식으로 전환하여 팩스 송신을 위해 받은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대방이 팩스를 받을 수 있을 때에 팩스나 이메일을 전송하게 함으로 무정지 팩스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팩스전송 시스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팩스 전송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T.30 방식을 사용하여 PSTN 망으로 기존의 방식대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보다 완벽한 무정지 팩스 전송이 가능토록 해 준다.
본 발명을 통해 통신 비용이 적게 드는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상대방이 실시간으로 팩스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일 때에는 팩스 이미지 축적 방식을 통해 기존의 전화망으로 또는 팩스 이미지가 첨부된 이메일로 데이터를 전달 할 수도 있다. 더 나쁜 상황, 즉 팩스 서버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에도 팩스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므로 팩스 전송에 신뢰도를 높이게 한다.

Claims (9)

  1. 공중전화교환망(PSTN)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팩스 전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T.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팩스 전송 요청을 공중전화교환망을 통해 목적지로 팩스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팩스 전송의 목적지의 팩스 단말이 연결된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파악하는 단계;
    (e)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d) 단계에서 목적지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T.38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하는 팩스 전송을 대응하는 목적지로 팩스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수신자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었으나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전송을 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이나 팩스 전송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였다가 팩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가를 파악할 때에 목적지 팩스 단말에 연결된 팩스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대해서 파악하고, 팩스 게이트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상기 (e) 단계에서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며,
    상기 (d) 단계에서 목적지에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팩스 게이트웨이가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없는 상태이면, 상기 (e) 단계에서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후에 목적지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가를 파악하여 목적지 팩스 단말에 연결된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팩스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도 팩스를 전송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e) 단계에서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방법.
  5. 공중전화교환망과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팩스전송수신부;
    인터넷이 설정되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하는 네트웍상태판단부;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이면 T.30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이면 T.37/T.38의 프로토콜로 팩스 전송되도록 팩스 전송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1차스위치부;
    상기 1차스위치부가 T.30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상기 팩스전송수신부의 팩스 전송 요청을 공중교환망으로 연결하여 T.30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하는 T.30프로토콜실행부;
    팩스 전송의 목적지의 팩스 단말이 연결된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혹은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파악하는 목적지상태파악부;
    상기 목적지상태파악부에 의해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T.37 프로토콜로, T.38 프로토콜로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파악되면 T.38 프로토콜로 팩스 전송되도록 팩스 전송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2차스위치부;
    상기 2차스위치부가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혹은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전송하는 T.37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T.37프로토콜실행부; 및
    상기 2차스위치부가 T.38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면 T.38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팩스 전송을 목적지로 팩스 전송하는 T.38프로토콜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스위치부는 상기 T.38프로토콜실행부에서 T.38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전송 중에 인터넷 접속이나 팩스 전송에 이상이 있는 경우 T.37 프로토콜로 스위칭되며,
    이때에 상기 T.37프로토콜실행부는 상기 T.38프로토콜실행부가 전송하려던 내용을 넘겨받아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로 혹은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상태파악부가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에 따라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가를 파악할 때에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대해서 파악하고, 팩스 게이트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상기 T.37프로토콜실행부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하며,
    상기 목적지상태파악부가 목적지에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팩스 게이트웨이가 있으나 그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파악하면 상기 T.37프로토콜실행부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후에 목적지의 팩스 게이트웨이가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이 상기 목적지상태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면 상기 저장한 팩스 이미지를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로 팩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상태파악부가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T.37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팩스 수신을 할 수 있는 가를 파악할 때에 목적지 팩스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한 경우에도 팩스를 전송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T.37프로토콜실행부는 팩스 전송할 내용의 팩스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팩스 이미지를 첨부파일로 하여 상기 팩스 목적지에 대응하는 곳으로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웍상태판단부가 네트워크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할 때에 네트워크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는 상기 장치에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와 상기 장치에 소정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 무정지 팩스 전송 장치.
KR10-2002-0062107A 2002-10-11 2002-10-11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무정지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0502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107A KR100502734B1 (ko) 2002-10-11 2002-10-11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무정지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107A KR100502734B1 (ko) 2002-10-11 2002-10-11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무정지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77A true KR20040033177A (ko) 2004-04-21
KR100502734B1 KR100502734B1 (ko) 2005-07-21

Family

ID=3733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107A KR100502734B1 (ko) 2002-10-11 2002-10-11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무정지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7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310B2 (ja) * 1997-05-23 2003-12-15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JP3647291B2 (ja) * 1998-12-17 2005-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JP2001313775A (ja) * 2000-04-28 2001-11-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687579B2 (ja) * 2000-11-02 2005-08-24 村田機械株式会社 構内交換機能付き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送信システム
JP2002158826A (ja) * 2000-11-20 2002-05-31 Murata Mach Ltd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734B1 (ko)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016B2 (en) Telephony signal transmission over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68766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er telephone integration in packet switched telephone networks
US7130409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secondary signal backchanneling
EP2501119B1 (en) A gateway for the survivability of an enterprise network using sip
US85260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liable transmission of facsimiles over packet networks
US68566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er telephone integration in packet switched telephone networks
US20070115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emergency communication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U2022291438B2 (en) Call recording system, call recording method, and call recording program
US20050180396A1 (en) Managing routing path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ystem
JP2006019968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方法
JP4576115B2 (ja) VoIPゲートウエイ装置およびVoIPゲートウエイ装置における呼の発着制御方法
WO2004032471A1 (en) Multimedia pickup service
US8873374B2 (en) Accelerated recovery during negotiation between a media gateway and a media gateway controller
US768876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 a direct communication network
KR100502734B1 (ko) T.38/t.37/t.30 프로토콜 스위칭을 통한무정지팩스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JP5214368B2 (ja) 通信モニタシステム及び通信モニタ方法
Cisco SIP Carrier Identification Code
US72456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phony feature access and gatekeeper policy interaction on combined ToL/PBX systems
JP2005286638A (ja) Ip電話における呼び返し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322974A (ja) Ip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と不完了呼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不完了呼情報通知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5094715A (ja)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
US20140254586A1 (en) Call setup using voice over the internet protocol (voip)
KR20020034704A (ko)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에서의 채널관리 방법
KR20000025925A (ko) 차세대 지능망에서의 클릭 팩스 수신 서비스 제공방법
JP200715859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障害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