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686A -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 Google Patents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686A
KR20040031686A KR10-2003-7006588A KR20037006588A KR20040031686A KR 20040031686 A KR20040031686 A KR 20040031686A KR 20037006588 A KR20037006588 A KR 20037006588A KR 20040031686 A KR20040031686 A KR 20040031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electrode
electrode portion
substrate
mirror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라다요시유끼
모찌즈까다꾸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ublication of KR2004003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6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을 가공하여 일체적인 기판의 일부로서 취출전극부 (11, 12) 를 갖는 기판 (1, 2) 에 의해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상하 도전막의 취출전극부를 한쪽 1 변에 통합함으로써 상하 기판을 어긋나게 하는 수법 등에 비해 유효면적율이 향상되고, 또한 취출전극부를 가리기 위해 덮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 기판을 어긋나게 하는 수법 등에 비해 각 취출전극부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또 서로 겹치지 않는 크기의 2 개의 취출전극부 (11, 12) 로 나눔으로써 그 만큼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 기판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 하부 취출전극부 (2) 와 상부 취출전극부 (4) 가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클립전극에 의한 접속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LIQUID TYPE ELECTROCHROMIC ELEMENT}
전압을 인가하면 가역적으로 전해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가역적으로 착색/탈색하는 현상을 일렉트로크로미즘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이용한 일렉트로크로믹 (이하, EC 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 소자는 광량제어소자 (예컨대 방현 미러 (antiglare mirror) 나 조광(調光) 유리 등, 미터류 또는 EL 표시소자 등의 휘도조정소자 등) 또는 세그먼트를 이용한 숫자 표시나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소자로 사용되고 있다. EC 소자는 EC 소자를 구성하는 EC 층의 재료 형태에 따라 용액형, 완전 고체형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중 EC 층의 적어도 일부가 액체 또는 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액체형 EC 소자이다.
대표적인 액체형 EC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 도 7 이다.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하부도전막 (3) 이 부착된 하부유리기판 (1) 과 상부도전막 (4) 이 부착된 상부유리기판 (2) 을, 각 도전막 (3,4) 이 내측으로 오도록 하여 시일부 (5) 에 의하여 접합시키고, 시일부 (5) 의 일부에 설치한 EC 용액주입구 (도시 생략) 로부터 EC 용액 (6) 을 주입시켜 충전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EC 소자의 하부도전막 (3) 과 상부도전막 (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착색층인 EC 용액 (6) 내부에서 전기적인 화학반응이 일어나 소자는 착색된다. 또한, 착색과는 반대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면 역반응에 의해 소자는 탈색된다.
그런데 현재, 액체형 EC 소자에서 하부도전막 (3) 및 상부도전막 (4) 을 각각 외부배선과 접속시키기 위한 취출전극부를 설치하기 위해, 도 8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장의 도전막이 부착된 유리기판 (1, 2) 을 도시된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거나, 도 8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경사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있다. 그리고, 폭 W1, W2 에 의하여 각각 노출되는 노출부분을 취출전극부 (1a, 2a) 로 하고, 이 취출전극부 (1a, 2a) 상에 노출되는 도전막부분을 취출전극으로 하고 있다. 또는 도 8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장의 도전막이 부착된 유리기판 (1, 2) 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 하여 취출전극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1296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498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190528호, U.S.P 5,668,663호). 이와 같이 기판을 어긋나게 하는 것은, 액체형 EC 소자에서는 실제로는 도 6 에 나타내는 기판간격 (h) 이 매우 좁기 때문에 기판을 어긋나게 하지 않으면 외부배선과의 접속이 곤란하고, 특히 상하 기판에 클립전극 등을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취출전극부를 적어도 액체형 EC 소자의 2 변에 설치해야만 한다. 취출전극부나 시일부와 같은 주변부분은 유효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EC 소자의 2 변에 취출전극부를 설치하면 취출전극부의 면적은 불가피하게 커져 유효면적율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취출전극부나 시일부와 같은 주변부분을 틀 등으로 가릴 필요가 있을 경우, 취출전극부의 면적이 크면 이 취출전극부를 덮는 면적이 커져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차량 등에 탑재되는 일렉트로크로믹 미러에서는 미러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미러 링 (틀 가장자리) 의 두께로 인하여 답답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서는 액체형 EC 소자의 1 변에 취출전극부를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액체형 EC 소자의 착색/탈색의 유효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취출전극부를 액체형 EC 소자의 1 변에 통합함으로써 배선이 용이해지고 배선길이도 짧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용 방현 미러의 경우, 미러부분의 유효면적이 증가되어 유효시계가 넓어지기 때문에 안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고, 미러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미러 링의 슬림화에 의해 디자인 면에서도 외관의 스마트함이 향상된다. 또한, 2 이상의 변에서 전극 취출을 형성할 경우에 비해 동일한 유효시계를 확보하고, 또한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액체형 EC 소자를 발광체 소자의 휘도조정용으로 사용한 경우, 취출전극부를 액체형 EC 소자의 1 변에 통합함으로써 제한된 스페이스에서의 전극 취출이 가능해지고, 이로써 종래에 곤란했던 한쪽에서의 전극 취출을 필요로 하는 발광체 소자 (예컨대 미터류나 EL 표시소자 등) 의 휘도조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광량제어나 표시에 사용되는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등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의 일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의 일 실시양태에 관한 회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을 자동차용 방현 내부 미러에 적용한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 은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층에서의 반응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전극 취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은 액체형 EC 소자의 1 변에 하부도전막의 취출전극부와 상부도전막의 취출전극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하 기판형상 등을 고찰한다. 예컨대 도 1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기판 (2) 의 1 변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취출전극부 (12) 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기판 (1) 의 1 변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하부 취출전극부 (11) 를 형성한다.이 때, 도 1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기판 (1, 2) 을 어긋나게 하지 않고 겹치게 하여 기판의 적층방향 (기판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에서 본 경우, 하부 취출전극부 (11) 와 상부 취출전극부 (12) 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부 취출전극부 (11) 및 상부 취출전극부 (12) 를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하 도전막의 취출전극부 (11, 12) 를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쪽 1 변에 통합함으로써 상하 기판을 어긋나게 하는 수법 등에 비해 유효면적율이 향상되고, 또한 취출전극부를 가리기 위해 덮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 기판을 어긋나게 하는 수법 등에 비해 각 취출전극부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서로 겹치지 않는 크기의 2 개의 취출전극부로 나눔으로써 그 만큼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 기판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부 취출전극부 (11) 와 상부 취출전극부 (12) 가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으므로 클립전극에 의한 접속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각 취출전극부는 직사각형 기판에 취출전극형성용 부재 (예컨대 기판편 등) 를 고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지만, 강도나 비용 면에서는 기판을 가공하여 일체적인 기판의 일부로서 각 취출전극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공한 각 기판의 전체 면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각 취출전극부에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취출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취출전극부와 외부배선의 접속은 클립전극을 통하여 행하는데 간단하고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클립전극에 의하면 자동차탑재용 EC 소자 등과 같이 심한 진동이 항상 가해지는 환경하에서 사용되어도 접촉불량 등의 위험이 적고 접속의 신뢰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취출전극부는 기판의 길이가 긴 1 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하 도전막의 각 취출전극의 길이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전압의 안정, 착색/탈색의 안정, 신뢰성, 응답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 (도전성 박막) 의 길이가 짧은 변이 7 cm 이하인 것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 알려져 있는 도전성 박막의 저항값으로는, 길이가 짧은 변을 7 cm 초과로 한 경우 취출전극부를 EC 소자의 1 변에 통합하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는 전압의 안정, 착색/탈색의 안정, 신뢰성, 응답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기판 (도전성 박막) 의 길이가 짧은 변은 6.5 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c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하 도전막이 투명도전막인 경우, 후술하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구조의 액체형 EC 소자는 도 4 와 같은 회로도로 나타낼 수 있다. 전하는 상부 투명도전막의 저항 a1a2, 하부 투명도전막의 저항 a3a4을 통과하고, 그 양은 a1> a2> a3> a4이다. 따라서, 전압 안정, 착색/탈색 안정은 취출전극으로부터의 거리 즉 a1a2간의 거리 및 a3a4간의 거리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들 거리가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취출전극부의 길이 (도 1 에서의 A, B) 를 임의로 변경할수 있다. 각 취출전극부의 길이는 각각, 각 취출전극부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클립전극을 부착할 수 있는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클립전극 1 개가 접촉불량이 되어도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동차탑재용 EC 소자의 경우, 격한 진동에 의해 접촉불량이 되기 쉽기 때문에 이는 중요하다. 또, 자동차탑재용 EC 소자의 경우, 클립전극의 수는 20 ∼ 40 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취출전극부의 길이 (도 1 에서의 A, B) 나 면적을 각 도전막의 재료의 차이에 의한 박막저항 (면저항) 에 따라 전압 안정, 착색/탈색 안정이 되는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ITO 등이 투명전극의 취출전극부의 길이 (면적) 를 최대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크롬 등의 전극 겸 반사막의 취출전극부의 길이 (면적) 는 작아도 된다. 이는 투명전극막의 박막저항은 전극 겸 반사막의 박막저항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 취출전극부의 길이 (도 1 에서의 A, B) 나 면적을, 각 도전막의 재료가 동일한 경우 같은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압 안정, 착색/탈색 안정을 위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의 일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을 가공하여 일체적인 기판의 일부로서 취출전극부 (11, 12) 를 갖는 기판 (1, 2) 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각 기판의 전체 면에 도전성 박막 (도시 생략) 을 형성함으로써 각 취출전극부 (11,12) 에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취출전극을 형성한다. 각 도전막이 내측으로 오도록 하여 시일부 (5) 로 접합시키고, 시일부 (5) 의 일부에 설치한 EC 용액주입구 (5') 로부터 EC 용액 (6) 을 주입시켜 충전한 후 EC 용액주입구 (5') 를 밀봉한다. 다음으로, 각 취출전극부 (11, 12) 에 클립전극 (21) 및 도전선 (도시 생략) 을 접속하고, 이들 클립전극 및 도전선을 통하여 외부배선이 각각 접속된다.
여기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전극부 (11, 12) 를 형성하지 않는 EC 소자의 3 변에 대해서는 시일부 (5) 로부터 외측의 주변부의 폭을 2.5 mm 로 하고, 취출전극측의 1 변에 대해서는 취출전극부의 폭을 1.5 mm 로 하여 시일부로부터 외측의 주변부의 폭을 4.0 mm 로 하였다. 이 결과, 시일부로부터 외측의 기판주변영역의 면적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고, 시일부에서 내측의 EC 소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유효영역의 면적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었다. 또, 이들 값은 높은 신뢰성 등을 고려한 경우의 현상태에서의 가장 바람직한 수치이지만, 통상의 신뢰성 수준이면 취출전극부의 폭을 1.5 mm 이하로 할 수 있고, 시일부 (5) 로부터 외측의 주변부의 폭을 2.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일부로부터 외측의 기판주변영역의 면적을 최대한 적게 할 필요가 그다지 없는 경우는 취출전극부의 폭을 1.5 m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시일부 (5) 로부터 외측의 주변부의 폭을 2.5 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을 자동차용 방현 내부 미러에 적용한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러 (20) 의 유효영역의 외측의 기판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덮는 미러 링 (21) 에서는 취출전극부 (11, 12)를 형성한 1 변에 위치하는 미러 링의 폭 (D) 에 비해 다른 변의 적어도 1 변의 폭 (A, B, C) 을 종래와 비교하여 좁게 할 수 있다. 2 이상의 변에서 전극 취출을 행할 경우, 2 이상의 변의 폭이 D 와 동일해진다. 이와 같이 미러 링 (21) 의 슬림화에 의해 디자인 면에서도 외관의 스마트함이 향상된다. 또한, 미러부분의 유효면적이 확대되어 유효시계가 넓어지기 때문에 안전성에 기여한다. 또, 2 이상의 변에서 전극 취출을 행할 경우에 비해 동일한 유효시계를 확보하고, 또한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부 미러 또는 외부 미러에 적용되면, 이들 미러는 스마트하게 보이는 것이 특히 요구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러 부착시의 미러 상부의 변에 취출전극영역이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미러 상부에 취출전극영역을 배치하면 보다 스마트하게 보여 바람직하기 때문이고, 특히 내부 미러의 경우, 미러 부착시의 미러 상부의 미러 링의 폭이 다소 있어라도 외관이 시각적으로 거슬리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일렉트로크로믹 방현 미러는 평면미러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곡률미러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일렉트로크로믹층은 EC 층의 적어도 일부가 액체 또는 겔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 도전막이 부착된 유리기판 사이에 EC 층을 개재시켜 제작할 필요가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비올로겐 유도체 등의 캐소드 화합물과, 메탈로센 (M(C5H5)2)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애노드 화합물을 비수용매로 용해한 전해액으로 EC 층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 (1) 식은 전형적인 비올로겐 유도체의 캐소드 화합물 반응식이고, 도 6 (2) 식은 메탈로센의 애노드 화합물 반응식이다. 도 6 (1) 식에서 R1, R2는 각각 1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도 6 (2) 식에서 M 은 금속을 나타낸다.
액체형 EC 층에서, EC 물질로는 비올로겐 이외에도 방향족 아민, 산화환원 착체, 프탈로시아닌, 헤테로고리형상 화합물, 플루오란, 스티릴, 안트라퀴논, 프탈산디에스테르 등 많은 EC 물질을 들 수 있다. 전해질로는 수계 또는 비수계의 액체 (전해액) 나, 반고체 (고분자 전해질) 등을 들 수 있다.
불투명도전막으로는 각종 도전성 금속막을 사용할 수 있고, 도전막 겸 반사막으로는 Al, Ag, Cr 등의 금속막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도전막으로는 ITO (인듐, 주석산화물), SnO2, In2O3, ZnO 등의 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도전막은 증착법, 이온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등 공지의 박막형성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상하 도전막을 ITO막, Cr막으로 하고, 사이즈 (250 ×50 mm) 의 자동차용 내부 미러를 제작한 샘플에서는 반사율을 10 % ∼ 50 % 로 변화시킬 수 있고, 방현 미러로서의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하 도전막을 모두 ITO막으로 하고, 사이즈 (250 ×50 mm) 의 투과형 EC 소자를 제작한 샘플에서는 투과율을 10 % ∼ 80 % 로 변화시킬 수 있고, 예컨대휘도조정으로서의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투과형 EC 소자에서는 EC 소자의 각 취출전극부를 1 변에 통합함으로써 한쪽으로부터 모든 전극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제한된 스페이스에서의 전극 취출이 가능해지고, 이로써 종래에는 곤란했던 한쪽으로부터의 전극 취출을 필요로 하는 EL 패널 등의 발광체 소자의 휘도조정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는 예컨대 일렉트로크로믹 미러, 특히 자동차용 내부 미러 또는 외부 미러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일렉트로크로믹 방현 미러나, 한쪽으로부터의 전극 취출을 필요로 하는 발광체 소자 등 그 구조에 따라 복수의 변에서의 전극 취출이 곤란한 소자의 휘도조정이나 광량제어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12)

  1. 2 장의 도전막이 부착된 유리기판을 접합시키고, 하부도전막과 상부도전막 사이에 일렉트로크로믹층을 개재시켜 제작하는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로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의 1 변에 하부도전막의 취출전극부와 상부도전막의 취출전극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기판의 1 변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하부 취출전극부를 형성하고, 상부기판의 1 변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취출전극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하 기판을 어긋나게 하지 않고 겹치게 하여 기판의 적층방향에서 본 경우, 상기 하부 취출전극부와 상기 상부 취출전극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하부 취출전극부 및 상기 상부 취출전극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기판을 가공하여 일체적인 기판의 일부로서 각 취출전극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 취출전극부와 외부배선의 접속을 클립전극을 통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전극부를 상기 기판의 길이가 긴 1 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길이가 짧은 변은, 7 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취출전극부의 길이를 각각, 각 취출전극부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클립전극을 부착할 수 있는 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취출전극부의 길이 (면적) 를 각 도전막의 재료의 차이에 의한 박막저항 (면저항) 에 따라 전압 안정ㆍ착색/탈색 안정이 되는 비율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도전막의 재료가 동일한 경우, 상기 각 취출전극부의 길이 (면적) 를 같은 길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내부 미러 또는 외부 미러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방현 미러.
  11. 제 10 항에 있어서,
    미러 부착시의 미러 상부의 변에 상기 취출전극부가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방현 미러.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으로부터의 전극 취출을 필요로 하는 발광체 소자의 휘도조정을 실시하기 위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KR10-2003-7006588A 2001-10-05 2001-10-05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KR20040031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8798 WO2003032069A1 (fr) 2001-10-05 2001-10-05 Element electrochimique de type liq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686A true KR20040031686A (ko) 2004-04-13

Family

ID=1173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88A KR20040031686A (ko) 2001-10-05 2001-10-05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29074B2 (ko)
EP (1) EP1437620A1 (ko)
JP (1) JPWO2003032069A1 (ko)
KR (1) KR20040031686A (ko)
CN (1) CN1476549A (ko)
WO (1) WO2003032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5794B (zh) * 2012-12-05 2015-02-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液体自动变色伪装薄膜装置
US10179546B2 (en) * 2015-09-30 2019-01-15 Gentex Corporation Full display mirror
CA3008595C (en) 2015-12-15 2021-01-05 Ricoh Company, Ltd. Electrochromic apparatus
KR20190137833A (ko) 2017-04-20 2019-12-11 카디날 아이지 컴퍼니 고성능 사생활 보호 창유리 구조체
CN107009699B (zh) * 2017-05-18 2019-08-20 重庆森土科技发展有限公司 可触摸调光的一种调光玻璃
WO2019014613A1 (en) 2017-07-13 2019-01-17 Cardinal Ig Company ELECTRICAL CONNECTION CONFIGURATIONS OF OPAQUE GLAZING STRUCTURES
MX2020004703A (es) 2017-11-06 2021-03-02 Cardinal Ig Co Sistema de acristalamiento de privacidad con impulsor electrico discreto.
MX2020011871A (es) 2018-05-09 2021-01-20 Cardinal Ig Co Acristalamiento de privacidad controlable electricamente con impulsor de recuperacion de energia.
WO2020037185A1 (en) 2018-08-17 2020-02-20 Cardinal Ig Company Privacy glazing structure with asymetrical pane offsets for electrical connection configurations
US11474385B1 (en) 2018-12-02 2022-10-18 Cardinal Ig Company Electrically controllable privacy glazing with ultralow power consumption comprising a liquid crystal material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that varies in response to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EP3921152A1 (en) 2019-02-08 2021-12-15 Cardinal Ig Company Low power driver for privacy glazing
KR20220013370A (ko) 2019-04-29 2022-02-04 카디날 아이지 컴퍼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사생활 보호 유리 구조에 대한 시차 운전 전기 제어
WO2020223297A1 (en) 2019-04-29 2020-11-05 Cardinal I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one or more electrically controllable privacy glazing structures
US11325352B2 (en) 2019-04-29 2022-05-10 Cardinal Ig Company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control for one or more electrically controllable privacy glazing structures
CN110908208B (zh) * 2019-12-17 2021-11-09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626A (ja) 1984-11-29 1986-06-17 Asahi Glass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装置
JPS61190528A (ja) 1985-02-20 1986-08-25 Daicel Chem Ind Ltd ジアリルフタレ−ト系フイルムの製法
JP2539819B2 (ja) 1987-04-07 1996-10-02 旭硝子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素子
JPH01172887A (ja) 1987-12-28 1989-07-07 Tosoh Corp Elパネル
JPH035135U (ko) * 1989-05-31 1991-01-18
JPH035135A (ja) 1989-06-02 1991-01-10 Hitachi Chem Co Ltd 難燃性積層板及びその製造法
US5668663A (en)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US5923457A (en) * 1997-04-02 1999-07-13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including a low sheet resistance, high transmission transparent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2069A1 (fr) 2003-04-17
US20040057100A1 (en) 2004-03-25
JPWO2003032069A1 (ja) 2005-01-27
CN1476549A (zh) 2004-02-18
US6829074B2 (en) 2004-12-07
EP1437620A1 (en)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1685A (ko) 완전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KR20040031686A (ko) 액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EP3190459A1 (en) Electrochromic device
US7532383B2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KR100824495B1 (ko) 액정 표시 패널
US9201253B2 (en) Display device
JP4873146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US9709868B2 (en) Electrochromic device
EP1591827B1 (en) Electrochromic mirror
US7697190B2 (en) Electrode structure of electrochromic device
CN110828698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06323386A (ja) 液晶表示装置
US2015010975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al thin film-provided spacer
EP3125082A1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ensing structure
US20230280627A1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substrate with electrode
JPH0749466Y2 (ja) 防眩ミラー
JPS59219723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装置
JP3771398B2 (ja) 溶液相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EP4343419A1 (en) Electronic element for electronic dimming spectacles
CN116931331A (zh) 增加可视范围的电致变色后视镜镜片组
CN115291430A (zh) 彩膜基板、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JPH10104603A (ja) 液晶表示装置
JPH09292635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JPS63153524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素子
KR20050094524A (ko) 광 셔터를 갖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