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261A -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261A
KR20040031261A KR1020020060639A KR20020060639A KR20040031261A KR 20040031261 A KR20040031261 A KR 20040031261A KR 1020020060639 A KR1020020060639 A KR 1020020060639A KR 20020060639 A KR20020060639 A KR 20020060639A KR 20040031261 A KR20040031261 A KR 20040031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urn signal
switch
vehic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정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1261A/ko
Publication of KR2004003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2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차량에 분산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별도의 제어장치와 복잡한 배선의 추가 없이 운전자의 방향지시 및 비상 경고등의 분산 제어가 가능케 할 목적으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차량 동작 신호 검출수단과;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을 운영하는 멀티펑션 모듈, 전방 좌, 우 램프 모듈, 후방 좌, 우 램프 모듈 및 클러스터 모듈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멀티 펑션 모듈에서 차량 동작 신호 검출수단으로부터 스위치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전환하여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전송하여 공유하고,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에 공유된 각각 모듈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분산 제어 네트워크 모듈 수단과; 상기 분산 제어 네트워크 모듈 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에 전송하는 멀티 펑션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들 중 어느 한 모듈에 고장이 발생할지라도 고장에 따른 피해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기 배선의 최소 사용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a method for turn signal controlling of car using Local Net Works}
본 발명은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론워크(Local Net Works : LON works)를 이용하여 제어장치가 필요 없이 알고리즘에 의해 소프트웨어로 처리함으로써, 제어 장치를 삭제하고 그에 따른 배선 축소시키면서 라우터(router)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산 네트워크(Local Net Works)란 Control Net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시스템이다.
상기 LON은 범용성을 갖는 통신시스템으로서 OSI 7계층을 모두 사용하며 건물자동화(35%) 및 home 자동화(15%) 또는 산업(공정)제어(35%) 등에 응용되며 그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다.
LON과 LAN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LAN이 주로 컴퓨터, 서버, 프린터 등과 같은 컴퓨터 주변기기들 사이의 많은 양의 Data 전송을 주목적으로 한다면 LON는 이와는 달리 적은 양의 텔레그램(최대 255Kbyte)을 필드 주변장비들 사이에서 전송한다.
이 Lon을 구축하기 위해서 LonWorks가 요구된다. 즉 Lon을 구축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일종의 Tool이라고 할 수 있다. Lon의 가장 큰 장점중의 하나는 다양한 통신매개체와 더불어 커다란 대역폭을 사용하며, 라우터(Router)를 사용하여 상이한 메디움를 상호연결하고 Node의 배열(Configurartion)은 연결특성과는 무관하게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각의 노드(node)의 응용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Lonworks 기술은 자동화 네트워크의 구현을 위한 일종의 프랫폼(Plattform)이며 이 네트워크는 응용프로세스(Application process)안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형 장비, 노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 구축, 운용, 유지를 위해 필요한 보조수단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H/W로서의 Neuron Chip, 통신프로토콜로서의 LonTalk -Protocol, 전송 메디움과의 연결을 위한 트랜시버(Tranceiver), 개발 툴(Tool)로 LonBuilder , NodeBuilder , LNS(Lon Network Service)가 있다.
상기한 LON 네트워크를 차량에 적용하기 전, 종래의 차량에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방향지시 스위치 및 비상 경고 스위치 등을 조작하면,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의 방향지시 스위치 검추부(11) 또는 비상 경고 스위치 검출부(12) 등은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상태를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제어장치(2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전, 후방 좌, 우 방향 지시등과 클러스터 내의 벌브 등을 설정된 시간 주기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구동장치(30)로 출력하면, 상기 구동장치(30)는 상기 제어장치(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방향 지시등 점,소등 및 비상 경고등의 점, 소등 동작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운전자의 터닝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스위치의 한번동작에 지속적인 주기로 램프의 깜박임을 표시하기 위해 별도의 후레셔 제어장치(Flasher Controlling Unit)가 필요하였고, 그에 따른 복잡한 배선 연결 등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레셔 제어장치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후레셔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구동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 운행 중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후레셔 제어장치를 삭제한 후, 차량에 분산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별도의 제어장치와 복잡한 배선의 추가 없이 운전자의 방향지시 및 비상 경고 램프 제어가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 출원 출원번호 제 2000-0002523호에 상세히 개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서 분산 네트워크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방향지시 스위치 및 비상 경고 스위치 작동시 램프의 제어가 일괄적으로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분산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별도의 제어장치와 복잡한 배선의 추가 없이 방향지시 및 비상 경고램프 제어가 가능한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에서, 운전자의 방향지시 및 비상 경고 스위치 작동시 턴 시그널의 일괄적 제어 이루어질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에서 턴 시그널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3은 종래의 차량 후레셔 장치 구성 블록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신호 입력수단 110 : 좌, 우 회전 신호 발생부
120 : 비상 신호 발생부 200 : 네트워크 통신 모듈 수단
210 : 멀티 펑션 모듈부 220 : 전방 모듈부
230 : 후방 모듈부 240 : 클러스터 모듈부
250 : 분산 네트워크 라인 300 : 구동수단
310 : 전방 좌, 우 방향지시 램프 320 : 후방 좌, 우 방향지시 램프
330 : 클러스터 벌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향지시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방향지시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신호가 입력됨이 판단되면 네트워크 망 및 각각의 모듈을 동기화 시킨 후, 상기 입력신호를 네트워크 망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네트워크 망에 전송된 방향지시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신호를 각각의 모듈에서 해당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로서, 차량 동작신호 검출장치(100)는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분산 제어 네트워크 모듈 장치(200)는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을 운영하는 멀티펑션 모듈, 전방 좌, 우 램프 모듈, 후방 좌, 우 램프 모듈 및 클러스터 모듈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멀티 펑션 모듈에서 차량 동작 신호 검출장치(100)로부터 스위치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 및 각각의 모듈을 동기화 시킨 다음,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전환하여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전송하여 공유하고,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에 공유된 각각 모듈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장치(300)는 상기 분산 제어 네트워크 모듈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차량 동작신호 검출장치(100)는 운전자의 방향 지시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스위치 상태가 가변 됨을 검출하는 방향지시 스위치 신호 검출부(110)와;
운전자의 비상 경고 스위치 조작상태에 따라 스위치 상태가 가변 됨을 검출하는 비상 경고 스위치 신호 검출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네트워크 모듈 장치(200)는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한 후, 네트워크 통신망 및 각각의 모듈을 동기화 시킨 다음,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펑션 모듈(210)과;
상기 멀티 펑션 모듈(21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공유하는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20)과;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20)에 공유된 해당 정보를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입력받아 전방 좌, 우측 방향 지시 램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방 좌, 우 램프 모듈(230)과;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20)에 공유된 해당 정보를 설정된 프로토콜에의해 입력받아 후방 좌, 우측 방향 지시 램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후방 좌, 우 램프 모듈(240)과;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20)에 공유된 해당 정보를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입력받아 클러스터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벌브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클러스터 모듈(250)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전방 좌, 우 램프 모듈(230)과 후방 좌, 우 램프 모듈(240)은 각각 좌측 램프 모듈(미도시)과 우측 램프 모듈(미도시)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에서 구동장치(300)는 램프 구동부를 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분산 제어 네트워크 모듈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구동신호에 동기되어 소정의 설정 시간 주기로 온/오프 구동되는 전방 좌, 우 램프 구동부(310)와;
램프 구동부를 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분산 제어 네트워크 모듈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구동신호에 동기되어 소정의 설정 시간 주기로 온/오프 구동되는 후방 좌, 우 램프 구동부(320)와;
운전석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차량 운행에 필요한 차속 및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표시하고,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벌브의 온/오프 동작을 소정의 설정 시간 주기로 구동시키는 클러스터 구동부(3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을 이루어진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면 모든 제어장치들은 사용하는 모든 변수를 초기화한다(S100).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운전자의 차량의 방향지시 및 비상 경고 스위치 조작상태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받는 네트워크 모듈장치(200)의 멀티펑션 모듈부(210)는 차량 동작신호 검출장치(100)에서 차량 방향지시 스위치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10,S120).
상기에서 차량 동작신호 검출장치(100)로부터 차량 방향지시 스위치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스위치 신호가 입력됨이 판단되면, 멀티펑션 모듈부(210)는 자체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50)을 설정 시간(예 : 400ms)동안 동기화 시킨다(S130).
이어서, 멀티 펑션 모듈부(210)는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50)이 동기화가 완료되면 설정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입력된 스위치 신호를 소정의 데이터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50)으로 전송한다(S140).
이 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네트워크 모듈장치(200)에 구비된 전방 좌, 우 램프 모듈(220), 후방 좌, 우 램프 모듈(230) 및 클러스터 모듈(240)은 각각 자체적인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동기화 된 후,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250)에 공유되는 해당 데이터를 각각 읽어들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구동신호를 출력한다(S150,S160).
즉, 운전자가 좌측 방향 지시 스위치 조작 온 에 의한 데이터가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에 공유되는 경우, 전, 후방 각각의 좌측 램프 모듈(220,230)은 상기 공유된 좌측 방향 지시 스위치 온 데이터를 읽어들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설정 시간 주기(예 : 400ms)로 온/오프 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방향지시 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로 리턴한다.
또한, 클러스터 모듈(240)도 상기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에 공유된 좌측 방향 지시 스위치 데이터를 읽어들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운전석 앞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클러스터 내의 벌브를 온/오프 구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방향지시 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로 리턴한다.
이로서, 운전자의 방향 지시 스위치 및 비상 경고 스위치 조작할 경우, 네트워크 라인상의 모든 턴 시그널을 일단 오프 시키고, 동시에 다시 온 시킴으로써, 종래의 후레쉬 제어장치와 같은 안정된 턴 램프 구동을 이룰 수 있고, 멀티 펑션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들 중 어느 한 모듈이 고장이 발생할지라도 고장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기 배선의 최소 사용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은 본 발명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차량 동작 제어의 모든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분산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별도의 제어장치와 복잡한 배선의 추가 없이 운전자의 방향지시 및 비상 경고 램프의 분산 제어가 가능하여 운전자의 방향 지시 스위치 및 비상 경고 스위치 조작할 경우, 네트워크 라인상의 모든 턴 시그널을 일단 오프 시키고, 동시에 다시 온 시킴으로써,종래의 후레쉬 제어장치와 같은 안정된 턴 램프 구동을 이룰 수 있고,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 통신망에 전송하는 멀티 펑션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들 중 어느 한 모듈이 고장이 발생할지라도 고장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기 배선의 최소 사용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방향지시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방향지시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신호가 입력됨이 판단되면 네트워크 망 및 각각의 모듈을 동기화 시킨 후, 상기 입력신호를 네트워크 망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네트워크 망에 전송된 방향지시 신호 또는 비상 경고 신호를 각각의 모듈에서 해당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방법.
KR1020020060639A 2002-10-04 2002-10-04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KR20040031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639A KR20040031261A (ko) 2002-10-04 2002-10-04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639A KR20040031261A (ko) 2002-10-04 2002-10-04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261A true KR20040031261A (ko) 2004-04-13

Family

ID=3733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639A KR20040031261A (ko) 2002-10-04 2002-10-04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12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2902C (zh) * 2004-06-09 2008-10-01 诺基亚西门子通信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分散组织的网络的时间同步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988A (ko) * 1997-04-03 1998-11-16 고제섭 직렬다중통신을 통한 자동차 전장품 제어장치
JP2001138804A (ja) * 1999-11-11 2001-05-22 Yazaki Corp 車載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ランプ負荷の点滅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システム
KR20030062100A (ko) * 2002-01-16 2003-07-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75012A (ko) * 2002-03-15 2003-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량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988A (ko) * 1997-04-03 1998-11-16 고제섭 직렬다중통신을 통한 자동차 전장품 제어장치
JP2001138804A (ja) * 1999-11-11 2001-05-22 Yazaki Corp 車載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ランプ負荷の点滅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システム
KR20030062100A (ko) * 2002-01-16 2003-07-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75012A (ko) * 2002-03-15 2003-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량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2902C (zh) * 2004-06-09 2008-10-01 诺基亚西门子通信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分散组织的网络的时间同步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0841B2 (ja) セグメント化された制御装置
CN111343085B (zh) 车载can总线网关的路由系统及方法
JP2009255808A (ja) 通信制御装置、車両制御装置、及びシミュレータ
KR20180136645A (ko) 차량 네트워크에서 진단을 위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CN114174125A (zh) 车辆控制系统
US7283488B2 (en) J1850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messaging technique
JP2851003B2 (ja) 車両内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US7733947B2 (en) Data transceiving method and data transceiving equipment
KR20040031261A (ko)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의 턴 시그널 제어 방법
KR20030062100A (ko) 분산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38804A (ja) 車載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ランプ負荷の点滅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システム
CN116156114A (zh) 一种车载视频分路采集系统及方法
CN210377145U (zh) 一种用于车辆的模型在线验证系统
JPH07200010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排他制御交信方法
KR100501681B1 (ko) Ips를 이용한 스톱 및 테일 램프 고장 검출방법
EP1233577B1 (en) A circuit module for interconnection between local networks in a distributed electronic system for motor vehicles
EP0666200A2 (en) Distributed control apparatu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in, and a vehicle including such an apparatus
KR100736771B1 (ko) 캔 통신버스 인터페이스 장치
JPH04227352A (ja) 多重伝送方式
JPS61218243A (ja) 集約配線システム
KR10020297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엠버스 절제 장치
KR0164136B1 (ko) 프로세서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워크-스테이션과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764857B2 (ja) 通信処理用回路素子
CN117580730A (zh) 灯控制器及车辆用灯具系统
JP2926934B2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