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26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263A
KR20040029263A KR1020030067725A KR20030067725A KR20040029263A KR 20040029263 A KR20040029263 A KR 20040029263A KR 1020030067725 A KR1020030067725 A KR 1020030067725A KR 20030067725 A KR20030067725 A KR 20030067725A KR 20040029263 A KR20040029263 A KR 2004002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fixing
contact
connecto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3212B1 (ko
Inventor
히로아끼 오비까네
토시오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19734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292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장착용 커넥터(100)는 절연체(10), 다수의 콘택(30) 및 다수의 고정 부재(40)를 포함한다. 콘택(30)은 절연체(10)에 의해 홀딩된다. 유사하게, 고정 부재(40)는 절연체(10)에 의해 홀딩된다. 고정 부재(40)는 커넥터(100)가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 결합할 때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콘택과 접촉하게 되는 콘택(30)중 일부 콘택(30)의 콘택부를 제외하고는 콘택(30)과 유사한 특정 형상을 갖는다. 고정 부재(40)는 콘택(30)에서 콘택부를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인쇄회로판과 같은 기판 표면에 장착가능하고 기판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짝을 이루는 커넥터가 상기 언급한 형태의 커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커넥터가 인쇄회로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을 정도의 큰 반작용력이 커넥터에 주어진다. 커넥터가 인쇄회로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를 인쇄회로판에 고착 또는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고정 부재가 커넥터에 제공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JP-U H05-23429에 개시되어 있다.
JP-U H05-23429의 커넥터는 슬롯을 이용하여 형성된 절연체를 포함한다. 슬롯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절연체의 마주하는 단부에 위치한다. 고정 부재는 슬롯 내로 삽입된다. 고정 부재는 커넥터가 인쇄회로판 위로 고정되도록 인쇄회로판에 용접된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제조 방법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등각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에 포함된 콘택부를 도시한 등각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에 포함된 고정 부재를 도시한 등각도이다.
도 6은 도 4의 콘택과 도 5의 고정 부재가 형성된 캐리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에 대해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Ⅷ-Ⅷ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Ⅸ-Ⅸ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와 도 7의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도시한 등각도이다.
도 11은 도 2와 도 8에 대응하는, 도 1의 커넥터와 도 7의 짝을 이루는 커넥터가 결합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와 도 9에 대응하는, 도 1의 커넥터와 도 7의 짝을 이루는 커넥터가 결합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커넥터를 도시한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커넥터를 ⅩⅥ-ⅩⅥ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4의 커넥터를 ⅩⅦ-ⅩⅦ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3의 커넥터에 포함된 콘택부를 도시한 등각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커넥터에 포함된 고정 부재를 도시한 등각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콘택과 도 19의 고정 부재가 형성된, 캐리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캐리어를 갖는 콘택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캐리어를 갖는 고정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절연체 21 : 제 1 홀딩부
22 : 제 2 홀딩부 30 : 콘택
31 : 제 1 홀딩된 부분 32 : 제 1 고정부
40 : 고정 부재 41 : 제 1 고정된 부분
42 : 제 2 고정된 부분 60 : 기판
100 : 커넥터 200 : 짝을 이루는 커넥터
본 발명은 기판 표면 내/상에 장착가능하고 기판 표면에 대해 제 1 수직 향으로 짝을 이루는 커넥터에 접속가능한 커넥터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커넥터는 절연체, 다수의 콘택 및 다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절연체는 각각의 콘택을홀딩하기 위한 다수의 제 1 홀딩부와 각각의 고정 부재를 홀딩하기 위한 다수의 제 2 홀딩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홀딩부(21,22)는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콘택부는 제 1 홀딩부들중 대응하는 홀딩부에 의해 홀딩된 제 1 홀딩된 부분, 기판 표면 상에 콘택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 및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콘택과 접촉하기 위한 콘택부를 갖는다. 고정 부재는 콘택의 제 1 고정부와 함께 절연체를 기판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각각의 고정 부재는 콘택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2 홀딩된 부분과 제 2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제 2 홀딩된 부분은 제 1 홀딩된 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절연체의 제 2 홀딩부중 대응하는 홀딩부에 의해 홀딩된다;
제 2 고정부는 제 1 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고정 부재를 기판 표면 상에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절연체(10), 다수의 콘택(30), 및 다수의 고정 부재(40)를 포함한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100)는 고정 부재(40)와 콘택(30)에 의해 기판(60)에 고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Z-방향으로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는 커넥터(100)에 끼워져 접속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절연체(10)는 한 쌍의 제 1 벽부(11a,11b), 한 쌍의 제 2 벽부(12a,12b), 중앙 섬형상부(13) 및 바닥부(14)에의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 1 벽부(11a,11b)는 바닥부(14)로부터 Z-방향으로 상향으로 직립하고 Z-방향에 수직인 Y-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벽부(11a,11b)는 Y-방향과 X-방향에 수직인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벽부(12a,12b)는 바닥부(14)로부터 Z-방향으로 상향으로 직립하고 X-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2 벽부(12a)는 제 1 벽부(11a)의 한 단부와 제 1 벽부(11b)의 또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제 2 벽부(12b)는 제 1 벽부(11a)의 다른 단부와 제 1 벽부(11b)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벽부(11a,11b,12a,12b)는 길게 연장된 장방형 밀폐부를 구성한다.
중앙 섬형상부(13)는 바닥부(14)로부터 Z-방향으로 상향으로 직립한다. 중앙 섬형상부(13)는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브(15)가 중앙 섬형상부(13)와 제 1 및 제 2 벽부(11a,11b,12a,12b) 사이에 형성되도록 X-방향으로 제 1 벽부(11a,11b)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또한 Y-방향으로 제 2 벽부(12a,12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콘택(30)을 홀딩하기 위한 다수의 제 1 홀딩 그루브(21)와 각각의 고정 부재(40)를 홀딩하기 위한 다수의 제 2 홀딩 그루브(22)가 각각의 제 1 벽부(11a,11b)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홀딩 그루브(21,22)는 Y-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 2 홀딩 그루브(22)는 Y-방향으로 제 1 홀딩 그루브(21)들중 최외각에 있는 홀딩 그루브에 이웃하여 위치한다. 제 1 홀딩 그루브(21)는 Y-방향으로 제 2 홀딩 그루브(22)들 사이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제 1 홀딩 그루브(21)는 U-자형 단면을 갖도록 제 1 벽부(11a,11b), 바닥부(14), 및 중앙 섬형상부(13) 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홀딩 그루브(21)는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부(15)와 바닥부(14)의 하부면(14a)과 소통한다. 또한 제 1 홀딩 그루브(21)는 제 1 벽부(11a,11b)의 외부측으로 통한다. Z-방향으로 바닥부(14)로부터 절연체(10)의 상부 표면(16)으로 연장하는 고정 홀(23)이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제 2 홀딩 그루브(22)는 L-자형 단면을 갖도록 제 1 벽부(11a,11b)와 바닥부(14) 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중앙 섬형상부(13) 내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홀딩 그루브(22)는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브(15)로 통한다. 그러나, 제 2 홀딩 그루브(22)는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브(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 2 홀딩 그루브(22)는 바닥부(14)의 하부면(14a)과 제 1 벽부(11a,11b)의 외부측으로 통된다. Z-방향으로 바닥부(14)로부터 절연체(10)의 상부면(16)까지 연장하는 고정 홀(24)이 제 2 홀딩 그루브(21)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콘택(30)은 홀딩된 부분(31), 고정부(32) 및 콘택부(33)로 이루어진다. 홀딩된 부분(31)은 L-자형이며 고정 포스트(31a)가 제공된다. 고정 포스트(31a)는 홀딩된 부분(31)의 한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고 두 개의 맞물림부(31b,31c)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2)는 홀딩된 부분(31)의 다른 에지중 한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고정 포스트(31a)로부터 떨어져 있다. 고정부(32)의 자유 단부는 용접된 부분(32a)으로서 기능한다. 커넥터(100)가 기판(60) 상에 장착될 때, 이하 설명되는 것처럼, 용접된 부분(32a)은 콘택(30)이 기판(60)에 고정되도록 기판(60)에 용접된다. 콘택부(33)는 콘택부(33)의 자유 단부에 위치한 돌출부(33a)가 콘택부(33)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30)은 절연체(10)에 의해 홀딩되도록 바닥부(14)로부터 절연체(10)로 삽입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 포스트(31a)는 고정 홀(23) 내로 삽입되고, 맞물림부(31b,31c)는 고정 포스트(31a)와 고정 홀(23) 사이에서 압입-끼워맞춤이 이뤄지도록 고정 홀(23)의 내부면에서 맞물린다. 고정된 부분(31)과 콘택부(33)는 제 1 홀딩 그루브(21)에 의해 홀딩되지만, 돌출부(33a)는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브(15) 내의 중앙 섬형상부(13)의 한 측부(13a)로부터 돌출한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33a)는 대응하는 고정부(32)를 향해 돌출한다. 고정부(32)는 제 1 벽부(11a,11b)의 외부측으로부터 절연체(10)의 외부로 향하여 돌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부재(40)는 홀딩된 부분(41)과 고정부(42)로 이루어진다. 홀딩된 부분(41)은 홀딩된 부분(3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고정 포스트(31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두 개의 맞물림부(41b,41c)에 의해 형성된 고정 포스트(41a)가 홀딩된 부분(41)에 제공된다. 고정부(42)는 고정부(32)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고정부(42)의 자유 단부는 용접된 부분(32a)과 유사한 용접된 부분(42a)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고정 부재(40)는 콘택부(33)와 같은 콘택부를 갖지 않는다.
고정 부재(40)는 콘택(30)에서 콘택부(33)를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실제로, 콘택(30)은 금속판을 스탬핑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6에 도시된것처럼, 고정 부재(40)는 일부 콘택(30)을 선택하고 선택된 콘택의 콘택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캐리어(50)에 계속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 부재(40)는 콘택(30)과 동일한 재료, 즉 본 실시예에서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는 절연체(10)에 의해 홀딩되도록 바닥부(14)로부터 절연체(10) 내로 삽입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 포스트(41a)는 고정 홀(24) 내로 삽입되지만, 맞물림부(41b,41c)는 압입-끼워맞춤이 고정 포스트(41a)와 고정 홀(24) 사이에서 이뤄지도록 고정 홀(24)의 내부면에서 맞물린다. 홀딩된 부분(41)은 제 2 홀딩 그루브(22)에 의해 홀딩된다. 고정부(42)는 제 1 벽부(11a,11b)의 외부측으로부터 절연체(10)의 외부로 향하여 돌출한다.
제 1 및 제 2 홀딩 그루브(21,2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콘택(30)과 고정 부재(40)는 콘택(30)의 콘택부(33)를 제외하고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자동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콘택(30)과 고정 부재(40)를 제 1 및 제 2 홀딩 그루브(21,22)에 각각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부(32,42)는 기판(60)의 표면 상에 위치하지만 절연체(10)는 커넥터(100)가 기판(60) 상에 장착되도록 기판(60)의 홀(63) 내에 위치한다. 용접된 부분(32a,42a)은 도전부(61,62) 상에 각각 배치되며, 콘택(30)과 고정 부재(40)가 기판(60)에 고정되고 따라서 커넥터(100)가 기판(60)에 고정되도록 도전부(61,62)에 용접된다.
본 실시예에서, 콘택(30)과 고정 부재(40)는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다.특히, 35 개의 콘택(30)과 4 개의 고정 부재(40)가 한 세트를 구성하는데, 콘택(30)은 두 개의 고정 부재(40)와 다른 두 개의 고정 부재(40) 사이에 위치한다. 콘택(30)과 고정 부재(40)의 다른 세트는 이미 언급한 세트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콘택(30)과 고정 부재(40)의 한 세트 및 다른 세트는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X-방향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언급한 것처럼 배치되면서, 두 개의 고정 부재(40)는 커넥터(100)의 각각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한다. 즉, 모든 고정 부재(40)는 콘택(30)보다 커넥터(100)의 해당 모서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 부재(40)를 이용한 커넥터(100)의 고정은 커넥터(100)에 인가될 수 있는 회전력에 저항하게 된다. 커넥터의 각각의 모서리 부근에 배치된 고정 부재(40)의 수는 두 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세 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는 절연체(210), 다수의 콘택(220) 및 다수의 더미 콘택(221-228)으로 이루어진다. 절연체(210)는 한 쌍의 제 1 벽부(211a,211b), 한 쌍의 제 2 벽부(212a,212b) 및 바닥부(213)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 1 벽부(211a,211b)는 바닥부(213)로부터 직립하여 Y-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벽부(211a,211b)는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벽부(212a,212b)는 바닥부(213)로부터 직립하여 X-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2 벽부(212a,212b)는 Y-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길게 연장된 그루브(214)가 제 1 및 제 2 벽부(211a,211b,212a,212b)와 바닥부(213)에 의해 형성되도록 제 2 벽부(212a)는 제 1 벽부(211a)의 일 단부와 제 1 벽부(211b)의 또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제 2 벽부(212b)는 제 1 벽부(211a)의 다른 단부와 제 1 벽부(211b)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220)과 더미 콘택(221-228)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더미 콘택(221-228)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를 또 다른 기판(230)에 고정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고 커넥터(100)의 각각의 고정 부재(40)에 대응한다. 따라서, 더미 콘택(221-228)은 기판(230)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필요는 없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더미 콘택(221-228)의 수는 8 개이고 커넥터(100)의 고정 부재(40)의 수와 같다. 콘택(220)의 수는 커넥터(100)의 콘택(30)의 수와 같다. 특히, 콘택(220)과 더미 콘택(221-228)은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데, 각각의 그룹은 35 개의 콘택(220)과 4 개의 더미 콘택(221-224 또는 225-228)을 가지며, 35 개의 콘택(220)은 두 개의 더미 콘택(221,222 또는 225,226)과 다른 두 개의 더미 콘택(223,224 또는 227,228)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콘택(220)과 더미 콘택(221-228)의 구성은 커넥터(100)의 콘택(30)과 고정 부재(40)의 구성에 대응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는 용접된 부분(220a,221a,225a)을 기판(230) 상에 제공된 도전부(231,232)에 용접함으로써 기판(230) 상에 장착되고 고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100)는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와 결합될 때, 커넥터(100)의 중앙 섬형상부(13)는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의 길게 연장된 그루브(214) 내로 삽입되지만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의 제 1 및 제 2 벽부(211a,211b,212a,212b)는 커넥터의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브(15) 내로 삽입된다. 결합 상태에서, 커넥터(100)의 콘택(30)의 돌출부(33a)는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의 콘택(220)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의 더미 콘택(221-228)은 더미 콘택(221-228)과 고정 부재(40) 사이에서 전기 접속이 이뤄지지 않도록 커넥터(100)의 고정 부재(40)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13 내지 도 17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300)는 절연체(310), 다수의 콘택(330), 및 다수의 고정 부재(340)를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절연체(310)는 삽입 헤드부(311)와 바닥부(312)로 이루어진다. 바닥부(312)는 눌려진 하부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삽입 헤드부(311)는 바닥부(312) 위에서 직립하여 Z-방향으로 연장한다. 삽입 헤드부(311)는 Y-방향으로 바닥부(312)와 동일한 크기를 갖지만 X-방향으로 바닥부(312)보다 작다. 바닥부(312)는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기판 상에 장착가능하다. 삽입 헤드부(311)는 도시 안된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위해 제공되는 고정 그루브 내로 삽입되고, 고정 그루브는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그루브를 갖는다.
도 13,14,16,17에 도시된 것처럼, 절연체(310)는 다수의 제 1 홀딩부(315)와 다수의 제 2 홀딩부(317)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홀딩부(315)는 도 16에 도시된 특정 형상을 갖는 슬릿이지만, 제 2 홀딩부(317)는 도 17에 도시된또 다른 형상을 갖는 슬릿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홀딩부(315)는 바닥부(312)의 하부면으로부터 Z-방향으로 상향으로 연장하지만 삽입 헤드부(311)의 상부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홀딩부(315)는 삽입 헤드부(311)의 측부(311a)로 통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홀딩부(315)는 바닥부(312)의 하부면과 삽입 헤드부(311)의 측부(311a)에 연결된다. 따라서, 콘택(330)은 바닥부(312)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1 홀딩부(3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홀딩부(317)는 바닥부(312)의 하부면으로부터 Z-방향으로 상향으로 연장하지만 삽입 헤드부(311)의 상부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제 2 홀딩부(317)는 Z-방향으로 제 1 홀딩부(315) 보다 짧다. 제 2 홀딩부(317)는 바닥부(312)의 하부면과 제 1 홀딩부(315)와 유사한 삽입 헤드부(311)의 측부(311a)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340)는 바닥부(312)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2 홀딩부(31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및 제 2 홀딩부(315,317)는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그룹들중 하나의 그룹에서, 제 1 홀딩부(315)는 제 2 홀딩부(317)들 사이에 위치한다. 특히, 두 개의 제 2 홀딩부(317), 미리 설정된 수의 제 1 홀딩부(315), 및 다른 두 개의 제 2 홀딩부(317)는 순서대로 Y-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홀딩부(315,317)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다. 다른 그룹은 이미 언급한 그룹과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이미 언급한 그룹과 X-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16과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콘택(330)은 홀딩된 부분(331), 고정부(332) 및 콘택부(333)로 이루어진다. 콘택(330)이 바닥부(312)로부터 제 1 홀딩부(315) 내로 삽입되고 압입되어-끼워질 때 제 1 홀딩부(315)의 내부면 내에서 맞물리는 갈고리부(barb)(331a,331b)가 홀딩된 부분(331)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32)는 홀딩된 부분(331)의 연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홀딩된 부분(331)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고정부(332)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크랭크 형상을 갖는다. 콘택(330)이 제 1 홀딩부(315)로 압입되어-끼워질 때 Y-방향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돌출부(332b)가 홀딩된 부분(331)으로부터 연장하는 일 단부에 제공된다. 중간 부분은 홀딩된 부분(331)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다른 단부는 자유 단부이며 이미 언급한 단부와 평행하게 중간 부분으로부터 연장한다. 고정부(332)의 자유 단부는 용접된 부분(332a)으로서 기능한다. 용접된 부분(332a)은 커넥터(300)가 기판 상에 장착될 때 기판에 용접된다. 콘택부(333)는 홀딩된 부분(331)의 다른 단부로부터 연속되고 S-자 형상을 갖는다. 커넥터(300)가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 결합될 때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콘택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부(333a)가 콘택부(333)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330)은 제 1 홀딩부(315)에 의해 홀딩되도록 바닥부(212)로부터 제 1 홀딩부(315) 내로 삽입된다. 콘택(330)이 절연체(310)에 의해 홀딩된 상태에서, 돌출부(333a)는 X-방향으로 삽입 헤드부(311)의 측부(311a)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콘택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가 커넥터(300)와 Z-방향으로 결합될 때 콘택(330)과 접촉될 수 있다. 고정부(332)는바닥부(312)로부터 절연체(10)의 외부로 향하여 돌출한다.
도 17과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고정 부재(340)는 홀딩된 부분(341)과 고정부(342)로 이루어진다. 홀딩된 부분(341)은 홀딩된 부분(33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갈고리부(341a,341b)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330)의 갈고리부(343a,331b)와 유사한, 갈고리부(341a,341b)는 고정 부재(340)가 바닥부(312)로부터 제 2 홀딩부(317)로 삽입되고 압입되어-끼워질 때 제 2 홀딩부(317)의 내부면 내에서 맞물린다. 고정부(342)는 홀딩된 부분(33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홀딩된 부분(341)의 연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홀딩된 부분(341)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콘택(330)의 돌출부(332b)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돌출부(342b)가 고정부(342)에 제공된다. 고정부(342)의 자유 단부는 용접된 부분(342b)으로서 기능을 한다. 용접된 부분(342a)은 커넥터(300)가 기판 상에 장착될 때 기판에 용접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340)는 고정 부재(340)가 콘택(330)의 콘택부(333)와 같은 콘택부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콘택(330)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부재(340)는 콘택(330)에서 콘택부(333)를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실제로, 콘택(330)은 갈고리부(331a,331b,341a,341b)와 돌출부(332b,342b)에 의해 형성된 금속 성형물(preform)을 구부려 제조된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부재(340)는 일부 콘택(330)을 선택함으로써 형성되고, 선택된 콘택의 콘택부는 절단되지만 캐리어(350)에 계속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고정부재(340)는 콘택(330)과 동일한 재료, 즉 본 실시예에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부재(340)는 절연체(310)에 의해 홀딩되도록 바닥부(312)로부터 절연체(310)내로 삽입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홀딩된 부분(341)이 제 2 홀딩부(317) 내로 삽입될 때, 갈고리부(341a,341b)는 홀딩된 부분(341)과 제 2 홀딩부(317) 사이에서 압입-끼워맞춤이 이뤄지도록 제 2 홀딩부(317)의 내부면 내에 맞물린다. 고정부(342)는 바닥부(312)로부터 절연체(310)의 외부로 향하여 돌출한다.
제 1 및 제 2 홀딩부(315,317)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콘택(330)과 고정 부재(340)가 콘택(330)의 콘택부(333)를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콘택(330)과 고정 부재(340)를 자동 장착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홀딩부(315,317) 내로 각각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고정 부재(340)가 커넥터(300)의 각각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모든 고정 부재(340)는 콘택(330)보다 커넥터(300)의 해당 모서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 부재(340)를 이용한 커넥터(300)의 고정은 커넥터(300)에 인가될 수 있는 회전력에 저항하게 된다. 커넥터의 각각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고정 부재(340)의 수는 두 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에 의해 구현된 커넥터는 제조 방법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2)

  1. 기판(60)의 표면에 장착가능하고 상기 기판(60)의 표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에 접속가능하며, 절연체(10), 다수의 콘택(30) 및 다수의 고정 부재(4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절연체(10)는 상기 각각의 콘택(30)을 홀딩하기 위한 다수의 제 1 홀딩부(21)와, 상기 각각의 고정 부재(40)를 홀딩하기 위한 다수의 제 2 홀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홀딩부(21) 및 제 2 홀딩부(22)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콘택(30)은 상기 제 1 홀딩부(21)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부에 의해 홀딩된 제 1 홀딩된 부분(31), 상기 기판(60)의 표면에 상기 콘택(3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32), 및 상기 짝을 이루는 커넥터(200)의 콘택(220)과 접촉하기 위한 콘택부(33)를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40)는 상기 콘택(30)의 제 1 고정부(32)와 함께 상기 절연체(10)를 상기 기판(60)에 고정시키는 커넥터(100)로서:
    상기 각각의 고정 부재(40)는 상기 콘택(3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2 홀딩된 부분(41) 및 제 2 고정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홀딩된 부분(41)은 상기 제 1 홀딩된 부분(31)과 동일한 형상인 상기 절연체(10)의 제 2 홀딩부(22)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부에 의해 홀딩되며; 및
    상기 제 2 고정부(42)는 상기 제 1 고정부(32)와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고정부재(40)를 상기 기판(60)의 표면에 고정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32) 및 상기 제 2 고정부(42)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콘택부(33)는 상기 제 1 고정부(32)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고정부쪽으로 상기 제 3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3a)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딩부(21) 및 상기 제 2 홀딩부(22)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32) 및 상기 제 2 고정부(4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딩부(21)는 상기 제 2 홀딩부(22)들 사이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30) 및 상기 고정 부재(40)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세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절연체(10)는 상기 제 1 홀딩부(21) 및 상기 제 2 홀딩부(22)로 이루어진 두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홀딩부(21) 및 상기 제 2 홀딩부(22)로 이루어진 상기 두 세트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홀딩부(21)와 상기 제 2 홀딩부(22)로 이루어진 상기 각각의 세트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한정된 방식으로 상기 콘택(30)과 상기 고정 부재(40)로 이루어진 대응하는 세트를 홀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10)는 한 쌍의 제 1 벽부(11a,11b), 한 쌍의 제 2 벽부(12a,12b), 중앙 섬형상부(13) 및 바닥부(14)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제 1 벽부(11a,11b)는 상기 바닥부(14)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직립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벽부(11a,11b)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 2 벽부(12a,12b)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바닥부(14)로부터 직립하고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2 벽부(12a,12b)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벽부(11a,11b)의 각각의 단부들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중앙 섬형상부(13)는 상기 바닥부(14)로부터 직립하며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브(15)가 상기 중앙 섬형상부(13)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벽부(11a,11b,12a,12b) 사이에서 한정되도록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제 1벽부(11a,11b)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벽부(12a,12b)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며; 및
    상기 콘택(30)과 상기 고정 부재(40)는 상기 제 1 벽부(11a,11b)에 의해 홀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홀딩부(21)는 상기 중앙 섬형상부(13), 상기 바닥부(14) 및 상기 제 1 벽부(11a,11b)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벽부 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제 2 홀딩부(22)는 상기 바닥부(14)와 상기 제 1 벽부(11a,11b)들 중 대응하는 벽부 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홀딩부(21) 및 제 2 홀딩부(22)에 상기 제 1 벽부(11a,11b)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벽부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4)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 홀(23,24)은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제 1 홀딩된 부분(31) 및 제 2 홀딩된 부분(41)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바닥부(14)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고정 홀(23,24)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포스트(31a,41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부(33)는 상기 중앙 섬형상부(13)의 측부(13a)로부터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길게 연장된 O-자형 그루브(15) 내로 부분적으로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310)는 삽입 헤드부(311)와 바닥부(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헤드부(311)는 상기 바닥부(312)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직립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및
    상기 각각의 제 1 홀딩부(315) 및 제 2 홀딩부(317)는 상기 바닥부(312)와 상기 삽입 헤드부(311) 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삽입 헤드부(311)의 측부(311a)로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부(333)는 상기 삽입 헤드부(311)의 측부(311a)로부터 상기 절연체(310)의 외부로 향하여 상기 제 3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3-0067725A 2002-09-30 2003-09-30 커넥터 KR100533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6655 2002-09-30
JP2002286655A JP3753687B2 (ja) 2002-09-30 2002-09-30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263A true KR20040029263A (ko) 2004-04-06
KR100533212B1 KR100533212B1 (ko) 2005-12-05

Family

ID=3197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725A KR100533212B1 (ko) 2002-09-30 2003-09-30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84089B2 (ko)
EP (1) EP1403974B1 (ko)
JP (1) JP3753687B2 (ko)
KR (1) KR100533212B1 (ko)
CN (1) CN1269266C (ko)
DE (1) DE60301239T2 (ko)
TW (1) TW595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9701B8 (de) * 2004-06-15 2006-06-22 Funkwerk Dabendorf Gmbh Steckverbinder
US7144277B2 (en) * 2004-09-09 2006-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ance face
US6988900B1 (en) * 2004-12-17 2006-01-24 Scinetific-Atlanta, Inc. Surface mount connector assembly
JP4545062B2 (ja) 2005-08-03 2010-09-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287450B2 (ja) * 2006-08-31 2009-07-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287988B1 (en) * 2006-10-25 2007-10-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US7922509B2 (en) * 2007-06-15 2011-04-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sulated pin
JP4555329B2 (ja) * 2007-11-08 2010-09-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DE102008000188A1 (de) * 2008-01-30 2009-08-06 Robert Bosch Gmbh Schnittstellenelement, Schnittstellenelementaufnahme sowie Elektrogerät
TWM339799U (en) * 2008-02-29 2008-09-01 Advanced Connectek Inc Signal terminal and male connector containing same
CN201285839Y (zh) * 2008-08-21 2009-08-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677903B1 (en) * 2008-11-28 2010-03-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4849145B2 (ja) * 2009-03-24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ソケットとヘッダの嵌合状態を保持する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FR2951030B1 (fr) * 2009-10-06 2011-12-09 Nicomatic Sa Connecteur traversant pour support metallique, piece isolante et support metallique associes
JP2012089336A (ja) * 2010-10-19 2012-05-10 Panasonic Corp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065228B2 (en) 2013-11-21 2015-06-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D743914S1 (en) 2014-03-13 2015-11-24 Cree, Inc. Photocontrol receptacle for lighting fixture
US9638405B2 (en) 2014-03-13 2017-05-02 Cree, Inc. Adjustable photocontrol mounting assembly
JP6537890B2 (ja)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750314S1 (en) 2014-12-22 2016-02-23 Cree, Inc. Photocontrol receptacle for lighting fixture
DE202016105563U1 (de) * 2016-10-06 2017-02-02 Lear Corp. Leiterplatten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016C (de) 1925-03-31 1927-01-22 Friedrich Schrader Gewindeverbindung fuer die Hohlkoerper von Heizungskesseln
DE1148597B (de) 1960-10-20 1963-05-16 Georg Neumann Lab Fuer Elektro Verstaerkerschaltung fuer kapazitive Mikrophone
JP2767478B2 (ja) * 1990-02-01 1998-06-18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JP2562970Y2 (ja) 1991-08-30 1998-02-1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コネクタ
GB9122052D0 (en) 1991-10-17 1991-11-27 Amp Holland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2583670Y2 (ja) * 1993-09-20 1998-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サーフェイスマウントコネクタ
JP3337318B2 (ja) 1994-05-30 2002-10-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28199B2 (ja) 1996-03-14 2000-04-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
US5915976A (en) * 1997-02-06 1999-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speed connector
TW488560U (en) * 1999-10-21 2002-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368471B2 (ja) 1999-10-25 2003-01-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732709B2 (ja) * 2000-03-28 2006-01-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076314B2 (ja) 2000-07-17 2008-04-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6338630B1 (en) * 2000-07-28 2002-01-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6464515B1 (en) * 2001-11-28 2002-10-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spe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3974B1 (en) 2005-08-10
TW595051B (en) 2004-06-21
CN1497797A (zh) 2004-05-19
DE60301239D1 (de) 2005-09-15
TW200411988A (en) 2004-07-01
KR100533212B1 (ko) 2005-12-05
CN1269266C (zh) 2006-08-09
EP1403974A1 (en) 2004-03-31
DE60301239T2 (de) 2006-02-09
US20040102065A1 (en) 2004-05-27
JP3753687B2 (ja) 2006-03-08
JP2004127572A (ja) 2004-04-22
US6884089B2 (en) 2005-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212B1 (ko) 커넥터
US5584709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346207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接点の形成方法
KR100216612B1 (ko) 매설 단자를 갖춘 전기 커넥터
KR950012475B1 (ko) 인쇄 기판의 가장자리를 안에 수평으로 내장 및 유지시키기 위한 기판 가장자리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20019179A1 (en) Electrical connector
US5057027A (en) Female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10189079A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
KR930022635A (ko) 얇은 표면 장착형 전기 커넥터
EP3660985A1 (en) Connector
KR20110115514A (ko)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게 회로 기판 사이에 연결가능한 커넥터
KR20060050386A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KR20060016726A (ko) 커넥터
KR101036167B1 (ko) 전기 커넥터
KR970001945B1 (ko) 칩 연결 접촉부를 가진 표면 장착 접속기
KR20020051838A (ko) 전기 커넥터
KR20080067636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623735B2 (ja) コネクタ
KR0140954B1 (ko) 전기 접속기
KR20070016978A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050065388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379170B1 (en) Method of mounting electrical plug-in connections and auxiliary mounting mean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152739B1 (ko) 전자부품 부착용 소켓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콘택트 캐리어
CN115775999A (zh) 连接器
US2001000036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cont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111

Effective date: 200806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731

Effective date: 20090813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916

Effective date: 200911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203

Effective date: 201001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811

Effective date: 201104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701

Effective date: 201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