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928A - 잉크젯용 기록시트 - Google Patents

잉크젯용 기록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928A
KR20040028928A KR10-2004-7000724A KR20047000724A KR20040028928A KR 20040028928 A KR20040028928 A KR 20040028928A KR 20047000724 A KR20047000724 A KR 20047000724A KR 20040028928 A KR20040028928 A KR 20040028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cording sheet
ink
organic particl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미타요시히코
쿠스모토마사야
이시다타다시
Original Assignee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Landscapes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시트형상 지지체와 상기 시트형상 지지체상의 기록면측에 중첩된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수용층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이며, 잉크젯 기록용 시트는, 상기 기록면에 4㎕의 순수한 물을 적하 10초후에 측정하면 상기 기록면과 적하수와의 접촉각이 90˚이상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기록면에 4㎕의 잉크를 적하 l초후에 측정하면 상기 기록면과 적하 잉크와의 접촉각이 30˚이하를 나타내는 기록면을 가진다.
상기 제공된 잉크젯 기록용 시트는, 잉크 흡수성이 뛰어나고 또한 발색 농도, 내광성 및 내황변성이 뛰어나서, 신속한 잉크의 흡수에도 불구하고 물의 발수에 의해 인쇄 표면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발수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잉크젯용 기록시트{INK JET­USE RECORDING SHEET}
잉크젯 기록 방식은, 여러 가지의 작동 원리에 의해 비산시켜 종이 등의 기록용 시트에 고착시키고 이에 의해 화상, 문자 등의 기록을 달성하는 잉크의 액체방울을 포함한다. 상기 잉크젯 기록 방식은, 고속, 저소음, 다색화를 용이하게 하며, 기록 패턴의 융통성이 확장되고, 현상이나 정착이 불필요하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잉크젯 기록방식의 사용이 한자뿐만 아니라 각종 도형 및 칼라 화상 등의 기록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에 대해 급속히 보급되어 있다. 또한, 다색 잉크젯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에 대해서는, 해상도 및 색재현 범위의 확대의 결과로서, 제판 방식에 의한 다색 인쇄나 칼라 사진 방식에 의한 인화와 비교해 손색없는 기록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복사 매수가 적어도 되는 용도에서는, 사진 기술과 비교하여 염가이기 때문에 풀 컬러 화상 기록 분야까지 넓혀지고 있다.
잉크젯 기록 방식을 이용한 프린터 또는 플로터에 대해서는, 화상의 품질 향상에 대한 시장의 요구에 따라서, 해상도의 강화, 색재현 범위의 확대를 달성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것들은 잉크의 방출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방출량에 따른 잉크 수용량의 증가는 상기 기록용 시트의 중요한 기술 과제가 되고 있어 고 잉크 수용량의 확보 및 소망하는 컬러형성의 코팅층을 도포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게 되고 있다. 또한, 광택, 빳빳함, 색상 등의 외관도 은염 사진지 또는 칼라 인쇄용지에 유사한 것이 요망되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던 백상지 및 코팅지의 잉크젯 기록 시트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특히, 종래의 기술에서는 광택의 부여에 의해 잉크젯 기록용 시트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인 잉크 흡수성이 악화되는 문제를 수반한다. 상기 흡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 공극비의 코팅층을 도포할 필요가 있어, 상기 코팅층의 코팅 조성물에 다량의 무기 입자를 부가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위 매트톤(matte tone)으로 불리는 시트만을 얻는 결과로서, 코팅층의 표면은 무기 입자의 영향에 의해 거칠게 된다.
광택을 부여하는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슈퍼 캘린더(supercalender) 또는 글로스 캘린더(gloss calender) 등의 캘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가압되어 가열된 롤 간에 시트를 통과함으로써, 코팅층의 표면이 평활화 되는 것이 공통적인 실제 경험이다. 그러나, 잉크젯 기록용 용지에 대해 광택을 첨가하도록 캘린더링을 실시하는 경우, 광택은 개선되지만, 코팅층의 공극이 감소하여 잉크흡수가 늦어지고 흡수 용량의 부족으로 잉크를 흡수하지 못하고 넘쳐 버려, 누액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한다. 따라서, 캘린더링 조건은 허용되는 잉크 흡수 용량의 범위내에서 조건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어, 현행 기술을 이용하여 높은 잉크 흡수성의 실현을 달성하는 동시에, 사진용지 수준의 광택을 얻는 것은 어렵다.
또한, 상반되는 특성인 잉크 흡수성과 광택을 조정하기 위해서, 코팅층에 미세한 무기 입자를 다량으로 부가시키고, 캐스트 코팅방법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잉크젯 기록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제안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방법에 대해서, 최근의 잉크 방출량이 많은 잉크젯 프린터나 플로터에는, 상반되는 특성인 잉크 흡수성과 광택을 조정하는 것은 어려웠다. 잉크 흡수성을 중시한 설계에서, 예를 들면, 무기 입자를 다량 사용하여 공극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 흡수성을 향상시켰을 경우, 고광택이 얻기 어려워지고, 표면 강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광택을 중시한 설계, 예를 들면 무기 입자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경우, 고광도를 얻을 수 있지만, 공극이 감소되어 잉크 흡수성의 확보가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일반적으로, 잉크젯 기록 방식의 잉크액은, 물을 주성분으로 한 용매와 이 용매에 용해된 음이온성의 수용성 염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잉크 흡수성을 중시한 설계에서, 예를 들면, 무기 입자를 다량으로 사용하여 공극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 흡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염료가 기록 시트 내부에 깊게 침투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게 색 농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겼다(색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잉크중의 염료를 가능한 한 기록 시트 표층에 고정시켜야 한다).
또한, 인쇄된 기록지의 내수성의 향상, 즉 기록 시트가 물과 접촉한 경우에 염료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염료를 기록 시트의 표면층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코팅층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부가하여, 음이온성 염료를 고정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양이온성 폴리머량의 증가는 무기 입자의 함유량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에 의해, 잉크 흡수성의 확보가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를 수반하고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양이온성 폴리머와 무기 입자를 조합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반드시, 광택과 잉크 흡수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잉크젯 기록지는 얻는 것은 곤란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20304호 공보에는 알루미나 수화물, 양이온성 우레탄, 1급 아민과 2급 아민과 에피할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양이온성 수지와 염화 벤제토니움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 잉크젯용 피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10-292137호 공보에는 평균입자 직경이 0.1 내지 l00㎛이고, 흡수율이 평균 입자 직경의 25배 이하인 양이온성 가교수지와 바인더 수지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11-20306호 공보에는, 친수성 바인더 및 양이온성 매염제를 함유하고, 기록면측의 막 표면 pH가 3 내지 5인 잉크 흡수층을 가지는 잉크젯 기록 용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10-264511호 공보에는 가교성 기를 가지는 양이온성 집합체와 친수성 고분자로 구성된 잉크 흡수층을 가지는 기록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0-94830호 공보에는 양이온성 폴리머와 일차 입자 상태까지 분산된 무기 미립자 분산된 용액을 혼합하고, 수용성 폴리머에 상기 혼합물을 첨가하여 도포액을 얻고, 지지체를 상기 도포액으로 도포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용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록재전체에서 양이온성 성분에 의해 잉크염료를 정착시킴으로써 내수성을 실현하기 때문에, 잉크 흡수성의 저하는 방지하지 못한다. 또한, 기록 매체에 물이 침투하기 때문에, 표면 상태의 변화 및 광택의 저하라고 하는 문제는 해소되지는 않았다.
일본국 특개평 11-123867호 공보에는 백색 안료층에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아미노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를 공중합 함으로써 얻어진 양이온성 아크릴수지 에멀젼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성 아크릴수지 에멀젼을 백색 안료층에 바인더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이온성에 의해서 염료를 정착하고 이에 의해, 내수성이 발현하는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 l0-203010호 공보에는, 열에 용해되는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물질이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잉크로 인쇄한 후, 가열에 의해 코팅 조성물이 용해되어 인쇄면을 보호한다. 용해한 코팅 조성물에 의해, 우수한 내수성을 얻을 수 있는 그 결과로 물이 인쇄면에 침투하지 못한다. 그러나 인쇄 후, 가열한다고 하는 공정이 필수 불가결하게 되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잉크젯 프린터는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 기술은 특수한 용도에 한정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0-71608호 공보에는, 기재와, 기재 상에 중첩된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무기 안료를 포함한 다공성 잉크 수용층으로 이루어진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록 매체는, 표면 층에서 물을 발수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내수성은 뛰어나다. 그러나, 상기 다공성 잉크 수용층에 무기 안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발수 효과는 여전히 불충분하고, 또한 무기 안료의 존재 때문에 높은 광택은 기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직경이 1㎛ ~ 1OO㎛인 것이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자 직경이 가시광선의 파장에 비해 크기 때문에, 인쇄 농도가 산란한 광에 의해 극히 저하하여, 뚜렷하지 않은 인쇄밖에 얻을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확실히, 최근에, 잉크젯 기록 방식에 대한 기술 진보에 의해, 선명한 화상과 뛰어난 인쇄 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 사진에 필적하는 화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사진과 비교해 보면, 내광성 및 내황변성이 불충분하여, 예를 들어 장기간동안 저장되었을 경우에 인쇄 화상의 퇴색하고 기록용 시트 표면의 황변이 된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또한, 고광택 및 잉크 흡수성을 가지는 기록용 시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다량의 미세한 무기 입자를 코팅층에 부가시킴으로써 조정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성능 향상을 위해서, 한층 더 미세한 무기 입자를 점차 선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 입자로서 실리카, 알루미나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입자 크기의 감소에 따라서 표면적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이에 의해 상기 무기 입자의 표면 활성이 강화되기 때문에, 내광성이나 내황변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요약하면, 현행 기술의 가능한 대책에 의해, 고광택 및 잉크 흡수성·발색 농도·내수성·내광성·내황변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를 얻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 방식을 이용한 프린터 또는 플로터에 이용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잉크 흡수성이 우수하며 발색 농도, 내광성, 내황변성, 이 양호하고 특히 잉크의 신속한 흡수에도 불구하고 발수함으로써 인쇄 표면을 물로부터 보호하는, 발수성을 가지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 등은, 상기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관점으로 광범하고 철저한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시트상 지지체 상의 기록면측에, 소수성의 유기입자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중첩하고 상기 기록면에 특정의 흡액특성을 구비시키는 것으로, 광택과 잉크 흡수성을 조정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색 농도 및 내광성, 내황변성이 뛰어난 잉크젯용 기록 시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 발견에 의거하여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1] 내지 [7]에 기재한 사항에 의해 형성된다.
[1] 시트형상 지지체와, 상기 시트형상 지지체상의 기록면측에 중첩된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수용층과, 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이며, 상기 잉크젯 기록용 시트는, 상기 기록면에 4㎕의 순수한 물을 적하 10초후에 측정하면 상기 기록면과 적하수와의 접촉각이 90˚이상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기록면에 4㎕의 잉크를 적하 l초후에 측정하면 상기 기록면과 적하 잉크와의 접촉각이 30˚이하를 나타내는 기록면을 가지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2] 상기 유기입자는, (메타) 아크릴계 폴리머(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합체), 스티렌-(메타) 아크릴계 폴리머(스티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계 폴리머(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의(공) 중합체), MBR계 폴리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SBR계 폴리머(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우레탄계 폴리머, 엑폭시계 폴리머, EVA계 폴리머(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 멜라민계 폴리머, 요소계 폴리머 및 올레핀계 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인 유기 입자이다.
[3] 상기 유기입자가, 스티렌,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A)와 다른 하나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B)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 에멀젼 입자이다.
[4] 상기 스틸렌,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A)와 다른 하나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B)의 총중량에 의거하여, 상기 모노머 (A)는 50 내지 100 중량%인 반면에, 상기 모노머(B)는 0 내지 50 중량%이다.
[5] 상기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B)가 양이온성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고, 상기 유기 입자가 양이온성 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된 유기입자이다.
[6] 상기 유기입자가, 양이온성 유기 입자이다.
[7] 상기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이, 어떠한 무기 안료도 포함하지 않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시트는 시트상 지지체상에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가지는 기록용 시트이며, 상기 기록용 시트가 특정의 흡액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접촉각의 측정 방법]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접촉각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용 시트와 적하수 또는 적하 잉크와의 접촉각의 측정에서는, 20℃ 및 65% RH의 분위기 하에서 수평으로 유지한 기록용 시트 기록면에, 순수한 물 또는 잉크 4㎕의 액적(液滴)을 수직으로 착적(着滴)시킨다. 순수한 물에 대해서는, 착적 10초 후의 상기 기록면과 적하수와의 접촉각이 결정된다. 잉크에 대해서는 착적 1초 후의 상기 기록면과 적하 잉크와의 접촉각을 결정한다.
접촉각은 적하 액체와 접촉하고 있는 개체, 즉 이 경우에서는 기록용 시트와의 호환성 또는 적합성을 나타낸다. 접촉각이 90˚이상의 경우, 적하 액체와 접촉하고 있는 개체와는 전혀 적합성이 없어서, 상기 액체를 발액한다. 예를 들면, 잉크젯 기록용 시트에 대해서는, 접촉각이 90˚이상인 경우에 적하 액체는 시트에는 전혀 흡수되지 않는다. 접촉각이 90˚이하의 경우, 접촉각이 작을수록 흡수성은 높아지게 된다.
접촉각은 피브로(FIBRO)사에서 제조된 동적 흡수 특성 시험기(DAT; Dynamic Absorptivity Tester) 모델 1100 또는 DAT MK11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기록용 시트의 기록면에 4㎕의 순수한 물 또는 잉크액적을 적하하여, 적하 후 상태를 비디오에서 촬영한다. 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비디오 화상에서 액적과 기록용 시트 기록 면과의 접촉각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접촉각의 측정에 이용하는 순수한 물은, 통상의 순수한 물 제조 장치에 의해 정제한 어떠한 순수한 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AUTO still WG55(야마토 과학(주) 사 제품)에,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촉각의 측정에 이용하는 잉크로서, 음이온 염료 및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잉크젯 용수성 잉크가 사용된다.
음이온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설포네이트기, 카르복실레이트기 등의 음 이온성기를 가지는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카르보니움 염료, 니트로 염료, 금속 착체 염료 등의 산성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측정용의 염료로는 상기의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다.
측정용 잉크에 상기 음이온 염료가 0.1 내지 15중량%의 범위에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시판의 잉크젯 용수성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어떠한 유기화합물도, 측정용 수성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화합물로서 특별히 어떠한 제한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에틸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N-메틸-2-피롤리돈 또는 2-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류; 글리세린 등의 윤활제; 금속계 수산화물 / 아민류 등의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및 아세틸렌 글리콜 화합물 등의 침투제등을 들 수 있다.
측정용에 포함되는 이들 유기 화합물의 양은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10중량% 내지 40중량%의 범위에 있어도 된다.
상기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 측정용 수성잉크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예를 들면, EPSON PM-800C에 이용하는 칼라잉크 카트리지(IC5CL05)의 시안 잉크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젯 기록용 시트에 대해서는, 잉크를 신속하게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표면에서 물을 발수하는, 즉 발수성을 나타내는 것이 인쇄된 화상의 내수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록용 시트에 대해서는, 기록면에 순수한 물 4㎕의 액적을 기록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착적시킬 경우, 착적 10초 후에 측정된 접촉각이 90˚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착적 30초 후의 접촉각이 90˚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분후의 접촉각이 90˚이상이다. 접촉각이 90˚미만인 경우에는, 기록용 시트 표면에 물이 부착하자마자 침투하기 시작하므로, 기록용 시트 표면이나, 인쇄 부분 상태가 변화하고, 이에 의해 물이 스며들어 색이 분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내수성이 불만족스럽다.
또, 접촉각이 90˚을 나타낼 때까지 경과 시간에 대해서는, 실제 기록용 시트에 물이 스며드는 것으로부터 그 물을 닦아낼 때까지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견지에서, 10초 이상이 바람직하다.
기록면에 잉크 4㎕의 잉크 액적을 수직으로 착적시킨 경우의, 착적 1초 후에 측정된 접촉각이 30˚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각이 20˚이하이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착적 0.5초 후에 측정된 접촉각이 20˚이하이다. 1초 후의 접촉각이 30˚를 넘는 경우, 잉크젯 기록용 시트에 대해서 만족할 만한 잉크 흡수율을 얻을 수 없다.
[시트상 지지체]
본 발명에서, 지지체로서, 종래부터 잉크젯 기록용 시트에 이용되는 지지체, 예를 들면, 보통지, 아트지, 코트지, 캐스트 코트지, 수지 피복지, 수지 함침지, 비코팅지 또는 코팅지 등의 종이 지지체, 양면 또는 한 면을 폴리에틸렌 및/또는 티탄 등의 백색 안료가 갈아서 넣어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 피복한 종이 지지체, 플라스틱 지지체, 부직포, 옷감, 직물, 금속 필름, 금속판 및 이것들을 적층하여 구성한 복합 지지체를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루로우즈, 폴리염화비닐, 폴리 염화 비닐리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로판 또는 폴리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 시트 또는 필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지지체 중에서 투명한 것, 반투명인 것, 및 불투명한 것을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지지체에는 백색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백색의 플라스틱 지지체로서는, 소량의 황산바륨, 산화 티탄 또는 산화 아연 등의 백색안료를 혼합시킨 프라스틱, 미세한 공극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불투명성을 형성한 발포 플라스틱 지지체 또는 백색 안료(예를 들면, 산화 티탄 또는 황산바륨)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한 지지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지지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이용되는 필름, 시트, 판뿐만 아니라, 음료 캔과 같은 원통형상, CD나 CD-R등의 디스크 형상, 기타복잡한 형상을 지지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입자 함유층]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트상 지지체의 기록면 측에,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이 적어도 하나의 층이 겹쳐 있다.
<유기 입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입자는, 수성 잉크와의 친화성이 높고, 또한 소수성의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입자로서는 스틸렌,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A)와 또 하나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B)를 공중합 함으로 얻어진 에멀젼 입자가, 상기 모노머(A)에 유래하는 소수성에 의해 뛰어난 발수성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머(A) 및 모노머(B)의 총중량에 의거하여 모노머(A)가 50 내지 100 중량%, 모노머(B)가 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모노머(A)가 65 내지 100 중량%, 모노머(B)가 0 내지 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머(A)가 80 내지 100 중량%, 모노머(B)가 0 내지 20중량%을 이용하여 중합 된 유기 입자는, 상기 모노머(A)에 유래하는 뚜렷한 소수성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되어 발수성이 강하게 발휘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B)는 상기 모노머(A)와 공중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하게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n-아밀 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및 그 외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12를 각각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등,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아밀 메타크릴레이트, 이소 아밀 메타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기타 탄소 원자수 1 내지 12를 각각 가지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방향족 비닐류: 2-메틸 스티렌, t-부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 아니솔, 비닐나프타렌 및 디비닐 벤젠등,
불포화 카르복실 산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프말산, 무수 아크릴산, 무수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인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프말 산등,
수산기 함유 비닐류;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미드류;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말레아미드,
비닐 에스테르류: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할로겐화 비닐리덴류: 비닐리덴 크롤라이드, 비닐리덴 플로라이드,
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류; N, 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 N-디-t-부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 N-디-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 N-모노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 N-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 및 N-아미노알킬메타크릴아미드류; N, 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 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 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 아미드, N, N-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타크릴 아미드 및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미드,
할로겐이 염소, 취소, 요오드 등인 할로겐화 메틸기, 할로겐화 에틸기, 할로겐화 벤질 할로겐 기 등에 의해 제 4급 오니움 염으로 변환된 상기 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N-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 및 N-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류의 제 4급 오니움 염류;
아크릴로일모르폴린,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록시에틸페닐)-2 H-벤조트리아졸,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히드록시-4-(2-메타크릴로일록시)에톡시벤조페논,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메타크릴레이트, 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메타크릴레이트 등,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에테르, 비닐 케톤, 비닐아미드, 클로로프렌,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비닐 피롤리돈,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그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그리시딜 에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리로니트릴,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 3-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l, 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 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페닐-α, α-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 아릴메르캅탄 등의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유기 입자는, 이들 모노머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제조되는 유기 입자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 극성기를 가지는 것은, 후술하는 특정 범위의 유기 입자의 평균직경을 제어할 수 있는 관점에서 적합하다.
유기입자의 특성에 대해서는, 염료가 음이온성이므로, 염료와 함께 강한 상호작용을 할수 있는 양이온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높은 인쇄 농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양이온성이 강한 모노머의 사용에 의해, 입자 자체를 친수성으로 되게 할 수 있어, 소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모노머(B)로서 양이온성이 아닌 모노머를 이용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이온성 개시제를 이용한 중합에 의해 양이온화 되는 유기입자는, 소수성이 높아서 보다 뛰어난 발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염료와의 친화성도 높다.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모노머가 본 발명에서는 모노머(B)로서 매우 적합하다.
모노머(A)와 모노머(B)의 바람직한 조합에 대해서는, 모노머(A)는 스티렌 및/또는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인 반면에, 모노머(B)는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할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한층 더 모노머(B)로서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으로 사용되는 유기 입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이상인 것이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이상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지는 50,000이상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200만, 매우 적합하게는 100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에서는, 유기 입자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서 공극이 감소한 결과, 기록용 시트의 잉크 흡수성이 저하할 수 있다.
유기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10nm 내지 300nm의 범위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200nm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50 nm의 범위에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이 10nm미만인 경우에는, 미세한 공극이 감소되어 잉크 흡수성이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상기 평균 직경이 300nm를 초과하는 경우,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어서, 인쇄농도가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이 지극히 한정적인 범위 내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되는 유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투명성이 높기 때문에 인쇄농도를 높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적절한 세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잉크 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자 직경은, 실제적으로는 레이저 입자직경 해석 시스템 LPA-3000/3l00(오오츠카 전자 주식회사제품)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유기입자의 유리 전이온도는, 4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다. 유리 전이온도의 상한은, 300 ℃, 바람직하게는 250 ℃ 이다.
유리 전이온도가 65 ℃ 미만인 경우에, 표면층의 미세한 공극이 감소하기 쉽워서, 잉크 흡수성이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경우에, 건조 온도가 높으면 미세한 공극이 감소하기 때문에, 건조 온도를 내리지 않으면 안되어, 생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유리 전이 온도는, 일본공업규격 (JIS)K7121에 따라서 DSC 곡선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유기 입자의 제조 방법>
상기 유기 입자는, 공지된 에멀젼 중합처리 또는 기계 유화처리에 의해 상기 성분(A) 및 성분(B)으로 부터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멀젼 중합처리에서는, 분산제와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각종 모노머를 동시에 채워서 중합하는 방법, 모노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중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중합처리에서는, 중합 온도로서는 일반적으로 통상 30 내지 90 ℃ 이다. 이와 같이, 에멀젼 불리는 실질적으로 유기 입자의 수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에멀젼 중합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유기 입자의 수분산체는, 소량의 분산제의 존재 하에서 매우 안정하게 되고, 또한 극히 작은 입자 직경의 유기 입자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하다.
중합에 사용되는 개시제로서는, 통상의 래디칼 개시제,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
과황산암모늄 및 과황산칼륨 등의 과유산염;쿠멘하이드로페록사이드, t-부틸 하이드로페록사이드, 벤조일 페록사이드, t-부틸 페록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 페록시벤조에이트 및, 라우로일 페록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페닐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N-(4-클로로페닐)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 {2-〔N-(4-히드록시페닐)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 〔2-(N-벤질아미디노) 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알릴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2-히드록시에틸)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히드록시 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도}, 2, 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프로피온아미도}, 2, 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 아미도] 및 2, 2'-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도) 디하이드레이트 등의 아조 화합물; 및
이들과 철이온 등의 금속 이온 및 소듐 하이드로겐 술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 소듐 피로설파이트, 소듐 하이드로겐 설파이트, L-아스코르빈산, 론갈릿트 등의 환원제와의 혼합에 의한 레독스 개시제 중에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이들 개시제 중에서, 양이온성의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페닐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4-클로로페닐)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4-히드록시페닐) 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벤질아미디노) 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알릴아미디노) 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 2'-아조비스{2-N- (2-히드록시에틸)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 개시제에 대해서, 사용된 개시제의 양은 공중합화 하는 모노머의 전중량에 의거하여 0.01 내지 20 중량%, 특히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분산제의 예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및 음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등을 포함한다. 이등 중에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이들 분산제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라우릴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니움 베타인, 코코넛 아민 아세테이트, 스테아릴아민 아세테이트, 알킬아민구안이딘 폴리옥시에탄올, 알킬피콜리니움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tert-옥틸페녹시에틸폴리에톡시에탄올, 노닐페녹시에틸폴리에톡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듐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나프타렌설포네이트, 소듐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포타슘 올레이트, 소듐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올레이트, 소듐 tert-옥틸페녹시에톡시폴리에톡시에틸 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양이온화 폴리비닐 알코올, 양이온화 전분, 양이온화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이온화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미드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이민, 알릴 아민 또는 그 염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디알킬아민 부가 폴리머, 디알릴알킬아민 또는 그 염의 폴리머, 디알킬디지알킬암모늄 염의 폴리머, 디알릴아민 또는 그 염과 이산화 황의 공중합체, 디알릴디알킬암모늄 염/이산화황 공중합체, 디알릴알킬암모늄 염과 디알릴아민 또는 그 염 또는 그 유도체와의 공중합체, 디알릴알킬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민/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디알킬아미노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의 폴리머 또는 N-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디알킬아미노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또는 N-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N, 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 N-디-t-부틸아미노 에틸 아크릴레이트, N, N-디-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 N-모노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N, N-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등의 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류;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또는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N-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 또는 N-아미노알킬메타크릴 아미드류; 및/또는,
할로겐화 메틸기, 할로겐화 에틸기, 할로겐화 벤질기 등으로 4급 염화 된 이들 중에 어떤 것으로도 구성되는 모노머로부터 생성된 호모 모노머,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비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 산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 인산 에스테르화 전분 등의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초산비닐로 공중합화에 의해 얻어진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폴리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젤라틴, 카세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음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 알긴산 및 그 금속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금속염;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금속염; 폴리 아크릴 아미드의 부분 가수분해물 및 그 금속염; 말레인산 공중합물, 리그닌 설폰산 및 그 금속염 및 그 유도체; 옥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알킬알릴설폰산 또는 그 금속염; 폴리옥시알킬 알릴 에테르, 폴리올 복합체, 고급 다가 알코올 설폰산 또는 그 금속염; 젤라틴 또는 아교 등의 수용성 단백질 또는 그 금속염 또는 그 유도체 중에 어떤 것이든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분산제의 사용량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공중합되는 모노머의 전체중량에 의거하여 0.02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 중량%,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t-도데실 메르캅탄, N-도데실 메르캅탄등의 메르캅탄류, 아릴 술폰산, 메타알릴술폰산 또는 그 소듐 염 등의 알릴 화합물 등을 분자량 조절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pH 조정제로서 황산, 염산, 초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 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륨, 황산알루미늄, 초산나트륨, 초산 마그네슘, 초산 칼륨, 암모니아,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구성>
본 발명에 의한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에 함유되는 총 고형분에 의거한 유기 입자의 농도가 60 내지 100 중량% 범위에 있어도 된다. 이 범위내에 유기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발수성이 뛰어난 기록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표면강도 및 광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은 바인더 기능을 가지는 폴리머를 부가시켜도 된다. 바인더 기능을 가지는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수용성 폴리머 또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수분산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이하에 자세하게 말한다.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양이온화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 양이온화 전분, 양이온화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이온화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미드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이민, 알릴아민 또는 그 염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르히드린/디아알킬아민 부가 폴리머, 디알릴알킬아민 또는 그 염의 폴리머, 디알릴디알킬암모늄 염의 폴리머, 디알릴아민 또는 그 염 및 이산화황의 공중합체, 디알릴알킬암모늄 염/이산화황 공중합체, 디알릴디알킬암모늄 염 및 디알릴아민 또는 그 염 또는 유도체의 공중합체, 디알킬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4급 염의 폴리머, 디알랄디알킬암모늄 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아민/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비이온계 수용성 폴리머; 산화 전분, 에스테르화된 전분 또는 인산 에스테르화 전분 등의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초산비닐과 공중합화에 의해 얻어진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유도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폴리메타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젤라틴, 카세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 알긴산 또는 그 금속염 등의 음이온계 수용성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금속염; 폴리아크릴산 또는그 금속염; 폴리아크릴아미드의 부분 가수분해물 또는 그 금속염; 말레인산공중합체; 리그닌 설폰산 또는 그 금속염 또는 그 유도체; 옥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알킬알릴설폰산 및 그 금속염; 폴리옥시알킬 알릴 에테르; 폴리올 복합체; 고급다가 알코올 설폰산 또는 그 금속염; 젤라틴 또는 아교 등의 수용성 단백질 또는 그 금속염 또는 그 유도체 등을 포함한다.
수불용성 폴리머의 수분산체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계 폴리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계 폴리머(스티렌과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MBR계 폴리머(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SBR계 폴리머(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우레탄계 폴리머, 엑폭시계 폴리머 또는 EVA계 폴리머(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수분산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입자는 무기 입자와 마찬가지로 입자간 공극을 형성하여 우수한 잉크 흡수성을 실현하는 반면에, 여기서 언급된 수분산체는 공극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고, 바인더 기능을 주는 목적으로 첨가된다. 따라서, 그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기능을 가지는 폴리머 중에서, 특히 내황변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으로부터, 폴리비닐 알코올, 양이온화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수분산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인더 기능을 가지는 폴리머는, 유기입자 100중량부에 대해서 0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층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중량부,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중량부이다. 바인더량이 초과할 경우에는 바인더가 입자간 공극을 채워서 기록 시트의 잉크 흡수성이 저하할 수 있다.
이들의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층은, 실질적으로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등의 무기 안료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안료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발수성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내광성, 내황변성이 저하한다.
그 외에, 본 발명에 의한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은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건조지 강도 첨가제, 습윤지 강도 첨가제, 내수화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형광 증백제, 착색 안료, 착색 염료, 침투제, 발포제, 이형제, 발포억제제, 소포제(消泡劑), 유동성 개량제, 증점제(增粘劑), 안료 분산제, 양이온성 정착제 등을 부가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기록용 시트는 시트상 지지체상의 기록면측에, 적어도 하나의 층에 상기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이 겹쳐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유기 입자의 함유되는 층이, 잉크의 수용에 관련되는 표면 층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록 시트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만이 겹쳐지는 단층 구조를 가져도 좋다. 또한, 상기 기록시트는 지지체가 잉크 수용층과 본 발명에 의한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에 직렬로 중첩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과 또 하나의 층에 중첩되도록 다층구조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에 대해서는, 발수의 가장 효과적인 발현의 관점에서 기록 시트의 기록면의 가장 밖의 표면 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상 지지체상에 겹쳐진 본 발명의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의 평량은 일반적으로 1 내지 3OOg/m2이지만,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록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기록용 시트는, 층을 형성하도록 시트상 지지체의 한쪽 주면 또는 양쪽 주면에, 유기입자를 포함한 코팅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체 형상의 코팅조합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코터(air knife coater), 롤 코터(roll coater), 바 코터(bar coater), 블레이드 코터(blade coater), 슬라이드 호퍼 코터(slide hopper coater), 그러비어 코터(gravure coater), 플렉소 그러비어 코터 (flexogravure coater), 커튼 코터(curtain coater), 익스투루젼 코터(extrusion coater), 플로팅 나이프 코터(floating knife coater), 콤마 코타(comma coater), 다이 코터(die coater) 등에 의해 종래의 도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용 시트에 관해서는, 표면에 광택이 부여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광택이란 일본공업규격(JIS)Z 8741에 따라서 기록용 시트 기록면의 75˚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예를 들면, 변각 광택계 GM-3 D형(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품)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용 시트는 광택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75˚에서의 광택은 50% 이상이 바람직하다. 50% 미만의 광택은 일반적으로 불충분이 된다.
광택을 부여하기 위한 처리 방법은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슈퍼 캘린더 또는 글로스 캘린더 등의 캘린더 장치를 이용한 일반적인 캘린더링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코팅층의 표면을 평활화 하도록 상기 기록 시트가 기록시트에 인가된 압력 및 열을 가지는 롤 사이에 통과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쇄용 캐스트 코트지의 제조에 이용되는 직접법, 응고법, 재습윤법 또는 프리캐스팅법 등의 캐스트 코팅방법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캐스트 코팅법이란 지지체상에 겹쳐진 코팅층을 습윤 상태에서 유지하고, 가열된 경면 롤에 상기 층을 압착하여 상기 롤의 경면을 상기 층에 전사하고 이에 의해 광택을 얻는다. 상기 층은 상기 롤과 접하고 있는 동안에 건조된다.
직접법에서, 코팅층을 미건조 상태로 가열된 경면 롤에 압착하여 건조하는 효과를 내는 캐스트 코팅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캐스트 코팅법에서, 압착시의 압력, 경면 롤의 온도, 코팅 속도 등은 적절히 선택된다. 특히 경면 롤의 온도는, 유기입자의 유리전이 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면 롤의 온도가 유기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인 경우, 공극이 감소하기 쉽고, 잉크 흡수성이 저하를 초래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 시트상 지지체 상의 기록면 측에, 유기 입자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층을 겹치고 상기 유기입자 함유층에 특정의 흡액특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광택과 잉크 흡수성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색농도 내광성, 내황변성이 뛰어나 특히 잉크의 신속한 흡수에도 불구하고 발수하여 인쇄 표면을 물로부터 보호하는 발수성을 나타내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입자가 특정의 평균 입자 직경 및 특정의 양이온성을 가지는 경우, 현저하게 잉크 흡수성이 우수한 잉크젯 기록용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부 및 %는, 특히 명시하지 않는 한 중량부 및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유기 입자의 준비>
탈이온수 196.6부와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5부를 반응 용기에 채워서, 질소 기류에서 70℃로 가열하여,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O.5부를 첨가하였다. 별도로, 스티렌 95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5부를 탈이온수 40부에, 스테아릴트리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3부의 존재 하에 유화시켜서 유화된 혼합물을 얻는다. 이 유화 혼합물을 4시간에 걸쳐서 상기 반응 용기에 적하한다. 그 후, 동일온도로 4시간 동안 용기 함유량을 유지하였다. 계속해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부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동일온도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이에 의해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 결과, 유기 입자가 물에 분산한 에멀젼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불휘발분 함유량이 30%,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pH 값이 5이다. 광산란 측정에 의해 결정돤 평균 입자 직경이 95nm였다. 일본공업규격(JIS)K7121에 따라서 DSC 곡선으로부터 결정된 유리 전이 온도는 102 ℃ 이었다.
<기록용 시트의 준비>
평량 1O5g/m2의 상질지에, 절대 건조상태로 2Og/m2의 코팅량이 되도록, 유기입자가 물에 분산한 에멀젼 조성물을 코팅하여 C로 60℃에서 3O분 동안 건조시키고, 이에 의해 기록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
<기록용 시트의 준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기록용 시트를, 표면 온도가 75℃로 유지된 경면 롤에, 선압 1OOkg/cm로 압착시켜서, 광택 기록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기록용 시트의 준비>
합성 아모르퍼스 실리카(파인 씰 X-37 B (주)토쿠야마 사제품) 100부 및 완전히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PVA-117 (주)쿠라레이 사제품) 20부를 물에 첨가하여 교반하에서 혼합하여, 고형분15%의 코팅 조성물을 얻었다. 이 코팅 조성물을 평량 1O5g/m2의 상질지에, 절대 건조상태로 2Og/m2의 코팅량이 되도록 코팅하여 l2O ℃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또, 실시예 1로 얻어진 유기입자가 물에 분산한 에멀젼 조성물을, 절대 건조상태로 1Og/m2의 코팅량이 되도록 코팅하여 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표면 온도가 75℃에서 유지된 경면 롤에, 선압 100kg/cm로 압착시키고, 이에 의해 기록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l]
<유기 입자의 준비>
탈이온수 196.6부와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5부를 반응 용기에 채워서, 질소기류하에 70℃에서 가열하여,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O.5부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별도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5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5부,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부를 탈이온수 40부에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3부의 존재하에 유화시켜서 유화 혼합물을 얻는다. 이 유화 혼합물이 4시간에 걸쳐서 상기 반응용기에 적하된다. 그 후, 상기 용기 함유물을 동일온도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계속해서,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O.l부를 첨가하여 동일온도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고 이에의해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 결과, 물에 분산한 유기입자인 에멀젼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에멀젼 조성물의 불휘발분 30%이고, 에멀젼 조성물의 pH는 5이었다. 광산란 측정에 의해결정된 평균 입자직경은 92nm 였다. 일본공업규격(JIS)K7121에 따라서 DSC 곡선으로부터 결정된 유리 전이온도는 76 ℃ 였다.
<기록용 시트의 준비>
절대 건조상태에서 코팅량이 2Og/m2이되도록, 평량 1O5g/m2의 상질지가 유기입자가 물에 분산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부가하고 6O ℃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표면 온도가 75℃에서 유지된 경면 롤에, 선압 100kg/cm로 압착시키고, 이에 의해 기록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기록용 시트의 준비>
합성 아모르퍼스 실리카(파인 씰 X-37 B (주)토쿠야마 사제품) 100부와 완전히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PVA-117 (주)쿠라레이 사제품) 20부와 스미레즈 레진 1001(스미토모 화학공업(주) 제품; 고형분 30%) 33.3부와를 물에 첨가하여 교반하에서 혼합하여, 고형분15%의 코팅 조성물을 얻었다. 이 코팅 조성물을 평량 1O5g/m2의 상질지에, 절대 건조상태로 2Og/m2의 코팅량이 되도록 코팅하여 l2O ℃에서, 1분간 건조시켜서 기록용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3]
<기록용 시트의 준비>
합성 아모르퍼스 실리카(파인 씰 X-37 B (주)토쿠야마 사제품) 100부와 완전히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PVA-117 (주)쿠라레이 사제품) 20부와 스미레즈 레진1001(스미토모 화학공업(주) 제품; 고형분 30%) 33.3부와를 물에 첨가하여 교반하에서 혼합하여, 고형분15%의 코팅 조성물을 얻었다. 이 코팅 조성물을 평량 1O5g/m2의 상질지에, 절대 건조상태로 2Og/m2의 코팅량이 되도록 코팅하여 l2O ℃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또한, 콜로이달 실리카(스노텍스 O; 닛산 화학공업(주) 제품, 고형분20%) 1000부와 완전히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PVA-117(주) 쿠라레이 제품) 20부를 물에 첨가하으로써 교반하에 혼합하여 얻어진 고형분15%의 코팅 조성물을, 절대 건조상태로 1Og/m2의 코팅량이 되도록 결과물인 코팅층을 코팅하여 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표면 온도가 75℃에서 유지된 경면 롤에, 선압 100kg/cm로 압착시키고, 이에 의해 기록용 시트를 얻었다.
[평가방법]
기록용 시트의 품질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접촉각의 측정 방법>
접촉각의 측정은, FIBRO 사제 DAT(동적 흡수 특성 시험기) 1100 DATMKII기를 이용에 의해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기록용 시트 각 기록면에 4㎕의 순수한 물, 또는 잉크를 적하하고, 적하 후 상태의 변화를 비디오 촬영했다. 잉크로서, EPSON PM-800C에 이용가능한 칼라 잉크 카트리지 IC5CL5의 시안 잉크를 이용하였다. 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비디오 화상을 골라내어, 비디오 화상에서 기록면 위에 놓여진 액적의 접촉각을 측정했다.
<광택의 측정 방법>
광택의 측정에서는, 일본공업규격(JIS)Z8741에 따라서 변각 광택계(GM-3 D형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품)에 의해 기록용 시트 표면의 75˚에서의 광택도를 측정했다.
<색 농도의 측정 방법>
시판의 잉크젯 프린터(세이코 엡슨 사제, PM2000C)에 의해 흑색 잉크의 베타 인쇄(solid printing)를 달성한다. 베타부(solid part)의 광학 반사 농도를 마크베스 농도계(RD-918)로 측정했다.
<잉크 흡수성의 측정 방법>
시판의 잉크젯 프린터(세이코 엡슨 사제, PM2000C)에 의해 옐로우 잉크, 마젠다인크, 시안 잉크, 블랙 잉크의 베타 인쇄를 각각 세로 방향으로 달성한다. 상기 프린터로부터 배출된 직후에, 기록 시트의 상부에서 PPC 용지를 누르고, PPC 용지에 잉크가 전사 되는 정도를 목시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0: 잉크의 전사가 없고, 잉크 흡수성이 우수하다.
△: 잉크의 전사가 조금 있지만, 잉크 흡수성이 실용 레벨이다.
×: 잉크의 전사가 많아, 잉크 흡수성이 실용 레벨 이하이다.
<내수성의 측정 방법>
시판의 잉크젯 프린터(세이코 엡슨 사제, PM2000C)에 의해 흑색 잉크로 문자 인쇄를 실시하였다. 인쇄된 부분에 30℃의 시수(市水)를 적하하여 1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어떠한 물방울이 잔류하는 경우는, 그것을 걸레로 빨아 들였다. 표면 상태나 스며듬 등의 인쇄 상태를 목시로 판정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스며듬 또는 색 농도나 표면 상태의 변화가 전혀 없다.
0: 실질적으로 스며듬 또는 색 농도나 표면 상태의 변화를 볼 수 없다.
△: 스며듬 또는 색 농도나 표면 상태의 저하가 있지만, 실용 레벨이다.
×: 스며듬 또는 색 농도나 표면 상태의 저하가 있어, 실용 레벨 이하이다.
<내광성의 측정 방법>
시판의 잉크젯 프린터(세이코 엡슨 사제, PM2000C1,)에 의해 마젠타색 잉크의 베타 인쇄를 실시하였다. 인쇄한 후 기록 시트를 크세논 페이드 미터에 의해 100 시간동안 노광하였다. 노광 전에 대한 노광 후의 광학 반사 농도의 잔존율을 측정하고 "내광성"으로 칭하였다. 광학 반사 농도는 마크베스 농도계(RD-918)에 의해 측정하였다.
<내황변성의 측정 방법>
각각의 기록시트를 카본 아크 페도메타(carbon arc fadometer)에 의해 7시간 동안 인쇄하지 않고 노광하여, 노광전과 노광후의 색 차이를 측정하였다. L*a*b*(CIE에 의한 표시 방법)으로 환산하여 색 차이(△E)는 노광 전후의 색측정한 결과로부터 공식 (△E)={(△L*)2+(△a*)2+(△b*)2}1/2에 의해 산출했다. 색 차이가 크면 클수록 색열화가 크게 발생한다.
실시예 및 비교 예의 조성등에 대해 표 1에, 각 측정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조 성 성상 Tg(℃) 입자경(nm) 층구성 표면처리
St HEMA BA MMA
실시예1 95 5 양이온 102 95 유기입자층
실시예2 95 5 양이온 102 95 유기입자층
실시예3 95 5 양이온 102 93 유기입자층/실리카층
비교예1 5 10 85 양이온 76 92 유기입자층
비교예2 실리카층
비교예3 콜로이달실리카층/실리카층
접촉각(°) 잉크흡수성 농도 광택(75°) 내수성 내광성(%) 내황변성(△E)
물(10초후) 물(1분후) 잉크(0.5초후) 잉크(1초후)
실시예1 120 120 15 9 2.32 13 86.5 1.1
실시예2 120 120 15 10 2.35 73 88.3 1.1
실시예3 120 120 9 6 2.28 72 87.3 1.2
비교예1 52 43 8 7 2.35 71 86.5 1.1
비교예2 21 8 20 5 1.68 8 × 61.3 1.4
비교예3 28 22 12 7 2.22 71 63.5 1.4
본 발명에서, 시트상 지지체 상의 기록면 측에, 유기 입자를 함유한 적어도 하나의 층을 겹치고 상기 유기입자 함유층에 특정의 흡액특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광택과 잉크 흡수성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색농도 내광성, 내황변성이 뛰어나 특히 잉크의 신속한 흡수에도 불구하고 발수하여 인쇄 표면을 물로부터 보호하는 발수성을 나타내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입자가 특정의 평균 입자 직경 및 특정의 양이온성을 가지는 경우, 현저하게 잉크 흡수성이 우수한 잉크젯 기록용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시트형상 지지체와,
    상기 시트형상 지지체상의 기록면측에 중첩된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수용층과,
    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이며,
    상기 잉크젯 기록용 시트는,
    상기 기록면에 4㎕의 순수한 물을 적하 10초후에 측정하면 상기 기록면과 적하수와의 접촉각이 90˚이상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기록면에 4㎕의 잉크를 적하 l초후에 측정하면 상기 기록면과 적하 잉크와의 접촉각이 30˚이하를 나타내는 기록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입자는, (메타) 아크릴계 폴리머((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합체), 스티렌-(메타) 아크릴계 폴리머(스티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계 폴리머(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의(공) 중합체), MBR계 폴리머(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SBR계 폴리머(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우레탄계 폴리머, 엑폭시계 폴리머, EVA계 폴리머(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멜라민계 폴리머, 요소계 폴리머 및 올레핀계 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인 유기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입자가, 스티렌,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A)와 다른 하나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B)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 에멀젼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티렌,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A)와 다른 하나의 공중합 가능한 상기 모노머(B)의 총중량에 의거하여, 상기 모노머(A)는 50 내지 100 중량%인 반면에, 상기 모노머(B)는 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B)가 양이온성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고, 상기 유기 입자가 양이온성 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된 유기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입자가, 양이온성 유기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층이, 어떠한 무기 안료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시트.
KR10-2004-7000724A 2001-07-17 2002-07-17 잉크젯용 기록시트 KR20040028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6938 2001-07-17
JP2001216938 2001-07-17
PCT/JP2002/007265 WO2003008198A1 (en) 2001-07-17 2002-07-17 Ink jet-use recording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928A true KR20040028928A (ko) 2004-04-03

Family

ID=1905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724A KR20040028928A (ko) 2001-07-17 2002-07-17 잉크젯용 기록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70778A1 (ko)
EP (1) EP1418055A4 (ko)
JP (1) JPWO2003008198A1 (ko)
KR (1) KR20040028928A (ko)
CN (1) CN1553863A (ko)
WO (1) WO2003008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52B1 (ko) * 2004-05-18 2008-10-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잉크젯 기록 시트용 유기입자 및 그 기록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0323C (zh) * 2004-05-18 2009-09-16 三井化学株式会社 喷墨记录片材用有机粒子及其制造方法、喷墨记录片材
JP2006076182A (ja) * 2004-09-10 2006-03-2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4616816B2 (ja) 2006-10-24 2011-01-19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EP3003729B1 (en) * 2013-06-06 2018-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abric print medium
US10093119B2 (en) 2016-03-31 2018-10-0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EP3928998A1 (en) * 2020-06-22 2021-12-2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474B2 (ja) * 1990-10-11 2000-07-04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H0691810A (ja) * 1992-09-17 1994-04-05 Toray Ind Inc 記録シート
AU700330B2 (en) * 1995-03-31 1998-12-24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Recording paper
JP3885835B2 (ja) * 1995-09-25 2007-02-28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体用塗被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体
JP3913822B2 (ja) * 1996-02-22 2007-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3652057B2 (ja) 1996-04-16 2005-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塗工用組成物、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CA2209470A1 (en) 1996-08-16 1998-02-16 Francis Joseph Kronzer Fusible printable coating for durable images
JPH10264511A (ja) 1997-01-23 1998-10-06 Daicel Chem Ind Ltd 記録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0304A (ja) 1997-06-27 1999-01-26 Canon Inc インク受容層用塗工液、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3395882B2 (ja) 1997-07-01 2003-04-14 コニカ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H11123867A (ja) 1997-10-23 1999-05-11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H11138982A (ja) * 1997-11-12 1999-05-25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71608A (ja) 1998-06-15 2000-03-07 Canon Inc 被記録媒体および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記録方法
JP2000094830A (ja) 1998-09-25 2000-04-04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000203154A (ja) * 1999-01-14 2000-07-25 Jsr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コ―テイング材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ト
JP2000313847A (ja) * 1999-04-30 2000-11-14 Asahi Chem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カチオン性ラテックス、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バインダー組成物
JP2002086905A (ja) * 2000-07-11 2002-03-26 Mitsui Chemicals Inc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52B1 (ko) * 2004-05-18 2008-10-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잉크젯 기록 시트용 유기입자 및 그 기록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3863A (zh) 2004-12-08
JPWO2003008198A1 (ja) 2004-11-04
WO2003008198A1 (en) 2003-01-30
EP1418055A4 (en) 2004-09-29
EP1418055A1 (en) 2004-05-12
US20040170778A1 (en) 200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4247B2 (ja) 顔料インク用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記録物
EP1277590B1 (en) Recording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7592054B2 (en) Ink jet recording medium
KR20040028928A (ko) 잉크젯용 기록시트
JP418607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3914918B2 (ja) 耐光性に優れる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4752B1 (ko) 잉크젯 기록 시트용 유기입자 및 그 기록 시트
JP200633500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及びそれに用いる有機粒子
JP2002086905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0527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光沢記録紙、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29545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200611098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用有機粒子及び記録シート
US20040160504A1 (en) Ink jet-use recording sheet
JP2002046347A (ja) 記録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4527B1 (ko) 잉크젯 기록 매체
JP2003211822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
JP2003211821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
JP200524680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用塗工材料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200321183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200423746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用水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