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718A -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 - Google Patents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718A
KR20040028718A KR10-2003-7010604A KR20037010604A KR20040028718A KR 20040028718 A KR20040028718 A KR 20040028718A KR 20037010604 A KR20037010604 A KR 20037010604A KR 20040028718 A KR20040028718 A KR 2004002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lve
conductor
phase
parallel
fo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자와히로시
사노코우지
우에누시마사시
누마타신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66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7Integrated apparatus for measur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축심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1)를 구비한 스위치기어이며, 상기 진공밸브(1)의 1단에 접속한 부하측 도체(2),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배치하고, 1단을 상기 진공밸브(1)의 타단에 접속한 제1 접속도체(9),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고, 1단을 상기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에 접속한 타단을 모선(11)에 접속한 제2 접속도체 (10)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기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SWITCH GEAR AND MULTI-LAYER SWITCH GEAR}
스위치기어에 있어서는 그 주회로를 구성하는 진공밸브(진공개폐기), 모선부, 부하측 도체(케이블 접속용 도체)가 서로 간섭않도록 거리를 떼어놓은 구획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진공밸브, 모선부, 부하측 도체의 전체 접하는 체적이 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마찬가지로 스위치기어의 주회로를 구성하는 3상의 진공밸브, 모선부, 부하측 도체의 1단조를 2단적층, 또는 3단적층 구성으로 한 것의 전체 접하는 체적이 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회로를 구성하는 밸브, 부하측 도체를 서로 근접시켜서 전체로 점유하는 체적을 작게 하여 스위치기어의 축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주회로를 구성하는 3상의 진공밸브, 모선부, 부하측 도체를 서로 근접시켜서 전체로 점유하는 체적을 작게 하여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의 축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심 또는 축방향을 바닥면에 배치한 진공밸브를 가진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의 부하도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진공밸브의 배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의 1단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5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의 1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6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의 상면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의 부하측 도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에서 1은 축심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진공개폐기)에서 내부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으로 된 개폐접점을 가진다. 2는 진공밸브(1)에 접속된 도체의 1단에 접속하여 구비하며, 연장시킨 부하측 도체(케이블 접속용 도체)이며, 선단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압착단자(커넥터)(3)을 가진다. 4는 진공밸브(1)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부, 5는 진공밸브(1)의 타단인 가동접점측에 접속되어 고정된 L자형 도체이다. L자형 도체를 접속한 진공밸브(1)는 유지링(6)이며, 조작기구부(4)에 고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7은 진공밸브(1)와 조작기구부(4)를 포함한 전류차단성능을 가진 차단장치이다. 8은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이며, 진공밸브(1)의 축방향으로 연장한 도체를 둘러싸고 설치되어 부하전류를 측정한다. 15는 변류기이며, 진공밸브(1)의 축방향으로 연장한 도체를 둘러싸고 설치되어 계측용 전류를 측정한다.
9는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렬로 배치한 제1 접속도체이며, 도 2에 나타난 것 같이 그의 1단은 진공밸브(1)의 타단에 L자형 도체(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도체(9)의 1단은 탄력성을 가지며, 단면이 ㄷ자상인 접촉자(12)이며, 그중에 L자형 도체(5)를 탄력에 거슬러서 삽입함으로써 L자형 도체(5)에 접속된다. 또한, 도 2에서 그의 (b)도는 그의 (a)도의 2점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10은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한 제2 접속도체이며, 그의 1단은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을 접어굽혀서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11은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제2 접속도체(10)의 세로방향과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한 모선(전원측 도체)이며, 그 1단은 제2 접속도체(10)의 타단(선단부)과 접속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은 3상타이프이며, 부하측도체(2), 진공밸브(1), 제1 접속도체 (9),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은 1상분과 동일한 것이 3개 병렬로 배치되어 3상렬은 바닥면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진공밸브(1)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폭방향(진공밸브의 축심에 직각방향에서 바닥면과 병행방향)의 치수를 축소화할 수 있다. 제1 접속도체(9)의 각상은 그의 1단과 타단의 구조가 동일하나, 도 2(a)에 나타난 것 같이 세로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부하측 도체(2), 진공밸브(1),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은 서로 절연거리를 사이에 두고 근접배치되어 있다. 진공밸브(1)를 유지한 조작기구(4)는 점검때문에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에 대해서 인출할 수가있으며, 그때에 제1 접속도체(9)의 1단의 접촉자(12)에서 L자형 도체(5)의 선단도 인출된다.
도 3은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바닥면에 직각인 평면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2 접속도체의 3상렬은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병행으로 한줄로 놓여 있으며, 절연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접속도체(9)의 접촉자(12)의 근원부위에서 부하측 도체(2)의 근원부위가 배치가능범위(R)이다. 이 자유도를 이용함으로써 주회로에서의 모선에 대해서 융통성있는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때, 도 3의 2점 쇄선에 나타난 것 같이 3상분의 진공밸브(1), 부하측 도체(2)와 모선(11)은 서로 근접한 거의 3각형(바람직하게는 정삼각형 또는 모선(11)을 정점으로 한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스위치기어의 축소화를 기도한 주회로의 배치로 할 수가 있다. 3도에서 제1 접속도체(9)는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병행이며, 바닥면도 병행이나,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병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바닥면에서 경사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는 부하측 도체(2)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진공밸브(1)와 부하측 도체(3)의 각조와 제2 접속도체(10)가 병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도체(10)의 선단이 모선(11)에 나사죄임되고,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도에서 단위공간이 점하는 주회로(고압충전부)의 체적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주회로가 근접배치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고압충전부는 부하측 도체(2), 진공밸브(1),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를 나타내느 사시도이며, 진공밸브의 축심의 3상렬은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동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기의 구조에서는 높이방향의 치수를 크게 축소화되는 구조이다.
실시의 형태 3.
도 6은 진공밸브의 배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그 (a)도는 진공밸브단체를 나타낸다. 그 (b) ~ (e)는 진공밸브를 횡단적 측면에서 표시한다. 그 (b)는 진공밸브의 축심의 3상렬이 바닥면에 수직인 배치(상하배치)인 경우를 나타내며, 실시의 형태 1의 경우이다.
그 (c)는 진공밸브의 축심의 3상렬이 바닥면에 경사배치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 (d)는 진공밸브의 축심의 3상이 지그재그 배치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 (e)는 진공밸브의 축심의 3상렬이 바닥면에 평행인 배치인 경우를 나타내며, 실시의 형태 2의 경우이다.
또한, 13은 진공밸브(1)의 멈춤나사를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인 스위치기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또 다른 근접배치 때문에 고체절연물로 몰드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동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치고, 설명을 생략한다.
진공밸브, 제1 접속도체,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간을 에폭시 고체절연물(140)로 절연하고, 일체주형구조로 하였다. 스위치기어를 보다 간결한 크기로 하기 위해 스위치기어의 충전부를 절연파괴전계가 20kV/mm(공기 : 3kV/mm)와 약 6.67배 큰 에폭시 고체절연물로 일체주형한다.
실시의 형태 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의 1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5인 다단적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은 축방향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진공개폐기)에서 내부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으로 된 개폐접점을 가진다.
진공밸브(1)의 3상렬은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된다.
2는 진공밸브(1)에 접속된 도체(21)의 1단에 접속되고, 연장된 부하측 도체(케이블 접속용 도체)이며, 선단에 케이블을 압착하고, 압착커넥터(30)를 가진다. 4는 진공밸브(1)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조작기구부, 5는 진공케이블(1)의 타단인 가동접점측에 접속되어 고정된 L자형 도체이다. L자형 도체를 접속한 진공밸브(1)는 유지링(6)이며, 조작기구부(4)에 고정되어 유지되어 있다. 7은 진공밸브(1)와 조작기구부(4)를 포함한 전류차단성능을 가진 차단장치이다.
8은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이며, 진공밸브(1)에 접속된 도체(21)를 둘러싸고 설치되어 부하측 전류를 측정한다. 15는 변류기이며, 진공밸브(1)에 접속된 도체(21)를 둘러싸고 설치되어 계측용 전류를 측정한다.
9는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렬로 배치한 제1 접속도체이며, 도 9에 나타난 것 같이 그 1단은 진공밸브(1)의 타단에 L자형 도체(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도체(9)의 1단은 탄력을 가지며, 단면이 ㄷ자상인 접촉자 (12)이며, 그중에 L자형 도체(5)를 탄력에 거슬러서 삽입함으로써 L자형 도체(5)에 접속된다. 10은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한 제2 접속도체이며, 그 1단은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을 굽혀서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11은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제2 접속도체(10)의 세로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한 모선(전원측 도체)이며, 그 1단은 제2 접속도체 (10)의 타단(선단부)과 접속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5는 3상타이프이며, 부하측 도체(2), 압착커넥터(3), 진공밸브 브(1), 변류기(8), 변류기(15), L자형 도체(5),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 (10)와 모선(11)은 1상분과 동일한 것이 3개 병렬에 배치되어 3상렬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접속도체(9)의 각상은 그 1단(접촉자)과 타단의 구조가 동일하나, 도 9에 나타난 것 같이 세로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부하측 도체(2), 진공밸브(1),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 (11)은 서로 절연거리를 사이에 두고 근접배치하고 있다. 진공밸브(1)를 유지한 조작기구(4)는 점검때문에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에 대하여 인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제1 접속도체(9)의 1단의 접촉자(12)에서 L자형 도체 (5)의 선단도 인출된다.
도 9의 파선원형ㆍ타원형으로 나타내는 것 같이 3상분의 진공밸브(1), 압착커넥터(3) 부착부하측 도체(2), 제2 접속도체(10)를 서로 근접한 삼각형(바람직하게는 삼각형 또는 모선을 정점으로 하는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스위치기어의 축소화를 도모한 주회로의 배치로 할 수가 있다. 특히, 진공밸브(1)와 제2 접속도체(10)와의 근접화에 의해 축소화가 도모된다. 도 8에서 제1 접속도체(9)는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병행이며, 제2 접속도체(10)와 거의 직각이나,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병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접속도체(10)와 거의 직각에서 경사되게 배치되어도 된다.
도 8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직방체는 부하측 도체(2), 압착커넥터(3), 진공밸브(1),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10)를 가진 3상의 1단조를 수용하는 컴파트먼트이며, 높이를 H, 폭을 L로 한다.
이와 같이 축방향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1)의 3상렬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하고, 진공밸브(1)의 1단에 각상 부하측 도체(2)를 접속하며,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배치한 각상 제1 접속도체(9)의 1단을 진공밸브(1)의 타단에 접속하여 세로방향을 진공밸브(1)의 축방향으로 거의 직각으로 배치한 각상 제2 접속도체(10)의 1단을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에 접속함으로써 스위치기어의 축소화, 특히 높이성분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때, 스위치기어에서의 1단조(1피더)의 높이와 폭의 비는 거의 「H : L = 3 : 5」로 할 수가 있었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5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에 나타난 것 같이 3상 1단조를 6단 수직방향으로 다단적층한 것이다. 11은 수직방향의 복수단조공통의 각상모선이며, 각3상 1단조의 컴파트먼트(22)영역을 통과하고 있다. 복수단조 공통의 각상모선(11)에는 도 8, 도 9에서 설명한 것 같이 각 단조의 각상 제2 접속도체(10)가 거의 직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단조를 수직방향으로 다단적층패널(피더패널)을 병렬배치할 때에는 그 각 패널간을 접속하는 각상열패널용 모선도체가 필요하게 되나, 어느 단조의 각상 제2 접속도체(10)를 각상열패널용 모선도체로서 겸용할 수가 있다. 예로써, 최하단조의 각상 제2 접속도체(14)를 각상열패널용 모선도체로서 이용하면 된다.
실시의 형태 5에서 1단조당의 치수는 모선전압 12kV에서 「높이 H : 350mm, 폭 L : 550mm」정도(단, 그 치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는 후술의 충전부를 고체절연물로 절연할 필요가 있다)임으로 패널높이가 2300mm이면 단조수 N6이다. 여기서, 최하층의 컴파트먼트(17)(복수단조를 수직방향으로 다단적층한 것보다 밑의 컴파트먼트)는 높이가 다른 컴파트먼트보다 작게 되나, 각상 부하측 도체(케이블) 처리공간으로 할 수가 있어 부하측 도체를 끌어넣어 작업공간으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인 다단적 스위치기어의 1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이 형태 6인 다단적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 5와 동일 또는 동등부분에는 동일부호를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진공밸브(1)의 축방향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하고, 진공밸브(1)의 3상렬을 바닥면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하고 있다. 진공밸브(1)에 접속된 제1 접속도체(9)는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병행이며, 진공밸브(1)의 축방향과 거의 직각으로 배치된 모선(11)과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1, 도 12의 것에서는 치수의 축소화, 특히 폭방향 L(진공밸브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에서 바닥면과 병행방향)의 치수를 축소화할 수 있다.
진공밸브(1)를 수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진공밸브(1)의 도체 (21)에 접속된 부하측 도체(2)의 선단의 압착커넥터(3)는 3상의 각 커넥터(3)간에 서로 근접하여 간섭함으로 각상 커넥터(3)가 서로 이간하도록 도 11에 나타나는 것 같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망의 각도(θ)로 기울어진다. 필요에 따라, 도 12에 나타나는 것 같이 부하측 도체(2)의 세로방향(진공밸브의 축방향)의 길이를 각상간에 다르게 하여 각상간에 적절한 절연거리(d)를 비우게 함으로써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6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에 나타낸 3상 1단조를 3단수직방향으로 다단적층한 것이다. 11은 수직방향의 복수단조 공통의 각상 모선이며, 각3상 1단조의 컴파트먼트(22)영역을 통과하고 있다. 복수단조 공통의 각상 모선(11)에는 도 11, 도 12에서 설명한 것 같이 각단조의 각상 제1 접속도체(9)가 거의 직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단조를 수직방향에 다단적층패널(피더패널)을 병렬배치할 때에는 이들 각 패널간을 접속하는 각상열패널용 모선도체가 필요하게 되나, 어느 단조의 컴파트먼트(22)영역에 있어서 병렬배치된 각 패널간을 접속하는 각상열패널용 모선도체 (14)를 수직방향의 복수단조 공통의 3상 모선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여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각상열패널용 모선도체(14)는 패널(피더패널)을 병렬배치 않을 때에는 접속할 필요는 없다.
실시의 형태 6에서 1단조당의 치수는 모선전압 12kV이고, 「폭 L : 350mm, 높이 H : 550mm」정도(단, 그 치를 가능케하기 위하여는 후술의 충전부를 고체절연물로 절연할 필요가 있다)임으로 패널높이가 2300mm이면 단조수 N3이다. 여기서 최하층의 컴파트먼트(17)(복수단조를 수직방향으로 다단적층한 것보다 밑의 컴파트먼트)는 각상 부하측 도체(케이블)처리공간으로 할 수가 있어 부하측 도체를 끌어넣어 작업공간으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7.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또 다른 근접배치 때문에 고체절연물로 몰드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5와 동일 또는 동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에 잇어서 진공밸브(1), 제1 접속도체(9), 제2 접속도체(10)와 모선(11)간을 에폭시 고체절연물(18)로 절연하고, 일체형 구조로 하였다.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보다 간결한 크기로 하기 위해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의 충전부를 절연파괴전계가 20kV/mm(공기 : 3kV/mm)와 약 6.67배 큰 에폭시 고체절연물로 일체주형으로 함으로써 축소형 다단적 스위치기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는 3상 1체로 일체주형하고 있으나, 상분리에 고체절연물로 일체주형하여도 된다.
실시의 형태 8.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또다른 근접배치때문에 고체절연물로 몰드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5와 동일 또는 동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낸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진공밸브(1), 제1 접속도체(9), 모선(11)과 열패널용 모선도체(14)간을 에폭시 고체절연물(19)로 절연하고, 일체주형구조로 하였다. 또한, 도 15에서는 3상일체로 일체주형하고 있으나, 상분리에 고체절연물로 일체주형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기어는 축심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를 가진 스위치기어이며, 상기 진공밸브의 일단에 접속한 부하측 도체,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배치하여, 일단을 상기 진공밸브의 타단에 접속한 제1 접속도체 및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여, 일단을 상기 제1 접속도체의 타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모선에 접속한 제2 접속도체를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기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선은 그 세로방향이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과, 상기 제2 접속도체의 세로방향에는 거의 직각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접속도체의 타단에 접속된 것이다. 이에 따라, 스위치기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도체의 일단은 상기 진공밸브의 인출을 가능케한 접속자를 가지며, 타단을 굽혀 상기 제2 접속도체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점검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 상기 부하측 도체, 상기 제1 접속도체, 상기 제2 접속도체와, 상기 모선은 각각 3상이다. 이에 따라, 스위치기어의최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진공밸브, 상기 제1 접속도체, 상기 제2 접속도체와, 상기 모선간을 고체절연물로 절연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보다 일층 스위칭기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는 축방향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의 3상열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것이며, 상기 진공밸브의 일단에 접속한 각상 부하측도체,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으로 병행으로 배치하고, 일단을 상기 진공밸브의 타단에 접속한 각상 제1 접속도체 및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고, 일단은 상기 제1 접속도체의 타단에 접속한 각상 제1 접속도체 및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고, 일단을 상기 제1 접속도체의 타단에 접속한 각상 제2 접속도체를 설치한 3상 1단조를 복수단조 수직방향으로 단을 적층하고, 수직방향의 복수단조 공통의 각상모선에 각 단조의 상기 각상 제2 접속도체의 타단을 접속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다단적 스위치기어의 축소화, 특히 높이성분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상 제2 접속도체는 병렬배치된 각 패널간을 접속하는 각상열 패널용 모선도체를 겸용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축소화와 함께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복수단조를 수직방향으로 다단적층한 것 보다 밑의 컴파트면을 각상 부하측 도체의 처리공간으로 한 것이다. 그에 따라, 전체로 축소화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상진공밸브, 상기 각상 제1 접속도체, 상기 각상 제2 접속도체와, 상기 각상모선간을 3상 1체로 구성하여 절연물로 절연한 것이다. 그에 따라, 더욱 축소화가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단적층 스위치기어는 축방향을 바닥면에 병렬로 배치한 진공밸브이 3상열을 바닥면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한 것이며, 상기 진공밸브의 일단에 접속한 각상 부하측 도체 및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배치하고, 일단을 상기 밸브의 타단에 접속한 각상 제1 접속도체를 구비한 3상 1단조를 복수단조 수지방향으로 단적층하고, 수직방향의 복수단조 공통의 각조모선을 각단조의 상기 각상 제1 접속도체의 타단을 접속한 것이다. 이에 따라, 다단적 스위치기어의 치수의 축소화, 특히 폭방향(진공밸브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바닥면과 병행방향)의 치수를 축소화됨과 동시에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각단조의 상기 부하측 도체의 각상커넥터가 서로 이간되도록 상기 각상커넥터를 수직방향에 대해서 굽힌 것이다. 이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열거리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병렬배치된 각 패널간을 접속하는 각상열 패널용 모선도체를 수직방향의 복수단조 공통의 상기 3상 모선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여 접속한 것이다.
이에 따라, 축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밸브를 가진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

  1. 축심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1)를 가진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1)의 1단에 접속한 부하측 도체(2),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배치하고, 1단을 상기 진공밸브(1)의 타단에 접속한 제1 접속도체(9) 및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고, 1단을 상기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에 접속하고, 타단을 모선(11)에 접속한 제2 접속도체 (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2. 축방향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1)의 3상렬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1)의 1단에 접속한 각상 부하측 도체(2),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배치하고, 1단을 상기 진공밸브 (1)의 타단에 접속한 각상 제1 접속도체(9) 및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하고, 1단을 상기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에 접속한 각상 제2 접속도체(10)를 구비한 3상 1단조를 복수단조 수직방향에 단적층하고, 수직방향의 복수단조 공통의 각상 모선(11)에 각단조의 상기 각상 제2 접속도체(10)의 타단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층 스위치기어.
  3. 축방향을 바닥면에 병행으로 배치한 진공밸브(1)의 3상렬을 바닥면에 거의 수직으로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1)의 1단에 접속한 각상 부하측 도체(2) 및 세로방향을 상기 진공밸브(1)의 축방향에 병행으로 배치하고, 1단을 상기 진공밸브(1)의 타단에 접속한 각상 제1 접속도체(9)를 구비한 3상 1단조를 복수단조 수직방향으로 단적층하고, 수직방향의 복수단조 공통의 각상 모선(11)에 각단조의 상기 각상 제1 접속도체(9)의 타단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층 스위치기어.
KR10-2003-7010604A 2001-12-07 2002-05-24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 KR20040028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4780 2001-12-07
JP2001374781 2001-12-07
JPJP-P-2001-00374781 2001-12-07
JP2001374780 2001-12-07
PCT/JP2002/005038 WO2003049245A1 (fr) 2001-12-07 2002-05-24 Appareillage de commutation et appareillage de commutation multicouc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718A true KR20040028718A (ko) 2004-04-03

Family

ID=2662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604A KR20040028718A (ko) 2001-12-07 2002-05-24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53164B1 (ko)
JP (1) JPWO2003049245A1 (ko)
KR (1) KR20040028718A (ko)
CN (1) CN1493099A (ko)
TW (1) TWI280714B (ko)
WO (1) WO2003049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9490B2 (en) * 2003-09-22 2007-07-03 Eaton Corporation Medium voltage vacuum circuit interrupter
JP4582691B2 (ja) * 2004-04-26 2010-11-17 日東工業株式会社 配電盤
DE102005039555A1 (de) * 2005-08-22 2007-03-01 Abb Technology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lterpolteilen für Nieder - Mittel - und Hochspannungsschaltanlagen, sowie Schalterpolteil selbst
ES2343495B2 (es) 2007-07-09 2011-05-30 Ormazabal Distribucion Primaria, S.A. Modulo de corte y conexion.
JP5017015B2 (ja) * 2007-08-10 2012-09-05 株式会社東芝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CN205029231U (zh) * 2012-12-24 2016-02-10 Abb技术有限公司 开关设备
JP6403273B2 (ja) * 2015-04-17 2018-10-10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装置
CN106098462A (zh) * 2016-08-12 2016-11-09 镇江世晟电气有限公司 模块化真空开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31709Y1 (ko) * 1967-05-17 1970-12-04
JPS55148305U (ko) * 1979-04-09 1980-10-25
JPS6122405Y2 (ko) * 1980-01-22 1986-07-05
JPS57196426A (en) * 1981-05-28 1982-12-02 Tokyo Shibaura Electric Co Vacuum bulb unit
JPH0424726Y2 (ko) * 1986-06-12 1992-06-11
JP2972276B2 (ja) 1989-05-17 1999-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電盤
JPH0723918U (ja) * 1993-10-08 1995-05-02 株式会社高岳製作所 固体絶縁開閉装置
WO1995027298A1 (en) * 1994-03-31 1995-10-12 Abb Power T & D Company Inc. Interrupter assembly
JPH1198627A (ja) * 1997-09-19 1999-04-09 Nissin Electric Co Ltd 遮断器
JP2001210200A (ja) * 2000-01-27 2001-08-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イッチギ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9245A1 (fr) 2003-06-12
EP1453164A4 (en) 2005-03-09
JPWO2003049245A1 (ja) 2005-04-21
EP1453164A1 (en) 2004-09-01
CN1493099A (zh) 2004-04-28
TWI280714B (en) 2007-05-01
EP1453164B1 (en)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11684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KR20040028718A (ko) 스위치기어 및 다단적층 스위치기어
CN101432938A (zh) 气体绝缘开关装置
EP3671789A1 (en) Medium or high voltage switchgear with a three position switch
WO2018231357A1 (en) Switchgear with double bus configuration
WO2018231356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with vertically stacked interrupters
CN101084564B (zh) 高压开关设备
EP2148401A1 (en) Gas insulation switching device
EP1496585B1 (en) Metal closed type distributor
EP0058519B1 (en) Electrical junction of high conductivity for a circuit breaker or other electrical apparatus
US6559404B1 (en) Vacuum circuit interrupter
CN1225521A (zh) 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EP1160946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CN1033676C (zh) 气体绝缘开关装置
EP1227558B1 (en) Switchgear
US8605412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EP1705767A1 (en) Combined disconnector-earthing switch device
JP2019213410A (ja) 配電盤システム
CN218334997U (zh) 共箱式环保气体柜
WO2017022510A1 (ja) 開閉装置及びスイッチギヤ
CN101901715B (zh) 断路器
CN101842950B (zh) 电磁接触器
CN101477913B (zh) 具有多个平行布置的断路器室且具有公共的传动机构及减小的长度的断路器
CN101606292A (zh) 高压电开关设备
JP4218925B2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