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133A -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133A
KR20040028133A KR1020020059238A KR20020059238A KR20040028133A KR 20040028133 A KR20040028133 A KR 20040028133A KR 1020020059238 A KR1020020059238 A KR 1020020059238A KR 20020059238 A KR20020059238 A KR 20020059238A KR 20040028133 A KR20040028133 A KR 2004002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heater
frame
connecto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386B1 (ko
Inventor
안정균
김상조
박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3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2Assembly tools, e.g. crimping tool or pressing ben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공정순서대로 각 공구를 배열하여 설치하므로 광케이블용 커넥터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절감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의 절감과 작업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쪽 측면으로 개구되는 설치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윗면 한쪽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이 놓여지는 고정대와, 고정대와 인접하여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대에 놓여진 광케이블에 커넥터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압착기와, 압착기와 인접하여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선단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절단기와 인접하여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기와, 프레임의 고정대 반대쪽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절단된 단면을 가열하여 매끄럽게 하는 가열기와, 프레임의 설치홈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단면을 구면으로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Assembling Device of Connector for Plastic Optic Fiber}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가 요구되는 현장에서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커넥터 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공구를 하나의 장비로 구비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광섬유(POF;plastic optical fiber)는 주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수지가 중심이 되어 제조되며, 석영유리제 광섬유에 비하여 굵기가 5∼10배 정도이고 신호의 전송거리도 200m 정도로 짧기 때문에, 홈네트워크, 거리가 매우 짧은 광학현미경의 영상화면 전송, 정밀한 제어기기의 제어용과 같이 공장안이나 사무실 또는 기기 내부에서의 단거리통신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전기적인 잡음이나 장해를 받지 않는 특성 때문에 전자기기 관련분야에서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광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광섬유 절단기를 이용하여 광섬유의 절단을 행하고, 단면가공히터를 이용하여 광섬유의 절단된 면을 매끄럽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광섬유에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작업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에서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구가 각각 별도의 공구로 구성되므로, 작업자는 다양한 공구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하나의 공구로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고, 다음 공구를 꺼내어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공정별 연속작업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단면가공히터는 스테인레스제 가열판을 사용하므로 가열판의 면이 고르지 못하고 온도제어를 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할 때마다 광섬유의 광학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착기와 절단기, 정렬기, 가열기, 연마기를 하나의 프레임에 공정순서대로 배열하여 설치하므로 광케이블용 커넥터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절감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있으며 제조원가의 절감과 작업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는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착기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착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절단기와 정렬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절단기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있어서 가열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마기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마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마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는 한쪽 측면으로 개구되는 설치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윗면 한쪽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이 놓여지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에 놓여진 광케이블에 커넥터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압착기와, 상기 압착기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선단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기와, 상기 프레임의 고정대 반대쪽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절단된 단면을 가열하여 매끄럽게 하는 가열기와, 상기 프레임의 설치홈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의 단면을 구면으로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기와 절단기 및 정렬기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힌지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연마기는 상기 프레임의 설치홈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회전핀을 통하여 한쪽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다른쪽 밑면에는 설치홈의 밑면과 구름접촉하도록 롤러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측면으로 개구되는 설치홈(4)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윗면 한쪽에 설치되고 광케이블(8)이 놓여지는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2)의 윗면에 고정대(10)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10)에 놓여진 광케이블(8)에 커넥터(9)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광케이블(8)을 고정하는 압착기(20)와, 상기 압착기(20)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2)의 윗면에 고정대(10)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을 절단하는 절단기(30)와, 상기 절단기(30)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2)의 윗면에 고정대(10)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케이블(8)의 광섬유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기(40)와, 상기 고정대(10) 반대쪽에 고정대(10)쪽을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고 광케이블(8)의 광섬유가 절단된 단면을 가열하여 매끄럽게 하는 가열기(50)와, 상기 프레임(2)의 설치홈(4)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케이블(8)의 광섬유 단면을 구면으로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케이블(8)은 플라스틱(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수지)으로 만든 광섬유와 이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피복으로 이루어지고, 광케이블(8)의 선단에는 다른 장치와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9)가 끼워져고정된다.
상기 고정대(10)에는 상기 광케이블(8) 및 커넥터(9)가 안착되는 적치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적치홈(12)은 1개 이상을 형성하고, 암수 한쌍의 커넥터(9)를 만들 수 있도록 2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착기(20), 절단기(30), 정렬기(40)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는 지지대(80)에 힌지핀(84)을 통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80)에는 상기 압착기(20), 절단기(30), 정렬기(40)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돌기(82)가 위쪽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82)에는 상기 힌지핀(84)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구멍이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압착기(20)는 상기 고정대(10)에 놓여지는 커넥터(9)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한다.
상기 압착기(20)의 밑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0)에 놓여지는 커넥터(9)를 누를 수 있도록 클램프부재(22)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10)에는 상기 클램프부재(22)와 접하여 상기 압착기(20)의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9)에 완전하게 고정되는 고정핀(29)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기(20)의 상기 지지대(80) 반대쪽 끝부분 밑면에는 자석(24)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2)의 윗면에는 상기 압착기(20)가 고정대(10)쪽으로 회전하여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자석(24)이 접하는 위치에 고정자석(74)이 설치되는 자석대(70)를 설치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기(20)를 고정대(10)쪽으로 완전히 회전시키면, 상기 자석(24)과 고정자석(74)이 인력에 의하여 서로 맞붙은 상태로 되고, 상기 압착기(20)에 의하여 광케이블(8) 및 커넥터(9)가 눌려 고정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30)와 정렬기(40)의 경우에도 고정대(10)쪽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기(30)와 정렬기(40)의 밑면에도 자석(34), (44)을 설치하고, 상기 자석대(70)의 대응되는 위치에도 고정자석(74)을 추가로 더 설치한다.
상기 절단기(30)의 밑면에는 도 1 및 도 6∼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32)을 설치한다.
상기 정렬기(40)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이 삽입되어 위치가 정렬되는 정렬구멍(42)을 복수개(광섬유의 수에 대응되는 갯수) 형성한다.
상기 가열기(50)는 도 1,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윗면에 상기 고정대(10)의 중심선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열기(50)의 상기 고정대(10)쪽 선단에는 유리열판(52)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기(50)이 내부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상기 유리열판(52)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상기 유리열판(52)에는 정밀 래핑가공을 행하여 광섬유의 단면을 매끄러운 면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리열판(52)에는 온도센서(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프레임(2)의 한쪽에 설치되는 온도계(58)에 해당 온도가 표시되도록 구성하고, 온도계(58)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가열기(50)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리열판(52)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범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프레임(2)의 윗면에는 가열기(50)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5)와, 가열기(50)의 작동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56)를 더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에는 상기 타이머(56)의 설정된 시간이 완료된 경우 경보음이나 경광등이 작동되어 광섬유 단면의 가공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경보기(57)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기(50)의 한쪽 측면에는 고정대(10)쪽으로 전후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5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기(50)의 고정대(10)쪽 선단 하부에 제1가압자석(59)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10)의 가열기(50)쪽 선단 하부에 상기 제1가압자석(59)과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제2가압자석(14)을 설치하여, 상기 가열기(50)를 손잡이(54)를 잡고 고정대(10)쪽으로 이동시켜 근접시키면, 상기 제1가압자석(59)과 제2가압자석(14)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대(10)에 고정된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과 상기 유리열판(52)이 소정의 압력으로 맞닿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1가압자석(59)과 제2가압자석(14)의 인력에 의하여 광케이블(8)의 선단과 유리열판(52)이 서로 맞닿은 직후에는 순간적인 반작용에 의하여 가열기(50)가 약간 후진하게 되는 데, 이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타이머(56)에 시작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시키는 센서스위치(53)를 상기 가열기(50)의 내부에 설치한다.
상기 연마기(60)는 도 3 및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설치홈(4)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6)에 회전핀(7)을 통하여 한쪽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연마기(6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 연마기(60)의 다른쪽 밑면에는 상기 설치홈(4)의 밑면과 구름접촉하도록 롤러(66)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연마기(60)는 상기 회전핀(7)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설치홈(4)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연마기(60)의 윗면에는 연마지(62)를 설치하고, 상기 연마기(60)의 위쪽에는 상기 광케이블(8) 및 커넥터(9)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어댑터(64)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2)에는 상기 어댑터(64)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9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일실시예를 이용한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0)의 적치홈(12)에 커넥터(9)가 선단부분에 삽입된 광케이블(8)을 올려놓고, 커넥터(9) 위쪽에 누름부재(29)를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압착기(10), 절단기(20), 정렬기(30)는 세워진 상태(상기 고정대(10)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기(10)를 고정대(10)쪽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강제로 회전시키면, 상기 압착기(10)의 클램프부재(22)가 고정핀(29)과 접촉하게 되고, 압착기(10)의 가압력에 의하여 고정핀(29)이 상기 커넥터(9)에 완전하게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압착기(10)의 자석(24)과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된 자석대(70)의 고정자석(7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압착기(10)가 커넥터(9)를 소정의 힘으로 누르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렬기(40)를 고정대(10)쪽으로 회전시켜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을 정렬구멍(42)으로 삽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위치를 일정하게 정렬하고, 상기 절단기(30)를 고정대(10)쪽으로 회전시키면 칼날(32)에 의하여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이 절단된다. 이 때 정렬기(40) 및 절단기(30)에 설치된 자석(44), (34)과 상기 자석대(70)에 설치된 고정자석(74)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정렬기(40) 및 절단기(30)의 고정대(10)쪽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에서 절단기(30)의 칼날(32)에 의하여 절단되는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은 커넥터(9)의 페롤 끝단으로부터 대략 0.5㎜ 정도 되도록 절단기(30) 및 고정대(10)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에 대한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절단기(30)를 고정대(1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정렬기(40) 역시 고정대(10)로부터 멀어지는 회전시키며 절단되어 버려지는 광섬유의 조각들을 정렬구멍(42)으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열기(50)를 손잡이(54)를 잡고 고정대(10)쪽으로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상기 가열기(50)의 유리열판(52)이 상기 광케이블(8)의 광섬유가 절단된 끝면과 맞닿는 위치까지 전진시킨다. 이 때 상기 가열기(50)의 제1가압자석(59)과 상기 고정대(10)의 제2가압자석(1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밀착되게 되고, 약간의 반작용에 의하여 가열기(50)가 잠시 후진하게 되며, 상기 센서스위치(53)가 작동하여 타이머(5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스위치(55)는 온상태이므로 유리열판(52)은 가열된 상태이다.
상기 유리열판(52)이 가열된 상태이므로 유리열판(52)과 접촉된 광섬유의 절단된 단면이 광통신의 신호전달을 할 수 있는 상태의 매끄러운 면으로 용융하게 되고, 용융되는 길이만큼 상기 제1가압자석(59)과 제2가압자석(14)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가열기(50)가 전진하면서 유리열판(52)과 광섬유의 단면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접하게 된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타이머(56)가 작동하여 경보기(57)가 작동하면, 상기 가열기(50)를 손잡이(52)를 잡고 후퇴시킨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기(20)를 고정대(1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회전시켜 클램프부재(22)가 커넥터(9)를 압착하여 고정한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마기(60)를 회전시켜 설치홈(4)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64)에 커넥터(9)를 삽입하여 절단되고 용융된 광섬유의 단면이 어댑터(64)의 밑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마기(60) 윗면에 설치된 연마지(62)와 광섬유의 단면이 접하도록 한 다음, 어댑터(64)를 회전시키게 되면 광섬유의 끝면이 연마지(62)와 접촉하면서 구면 연마되어 최상의 광학 접속을 이룰 수 있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에 의하면, 종래 광섬유 절단기와 단면가공히터 등을 별도의 공구로 사용하던 것에 비하여, 현장에서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정밀한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또 광커넥터의 제조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이로 인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장비만을 휴대하면 작업이 가능하므로, 보수나 수리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종래 여러 공구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구입비가 대략 1/3 정도 절감되고, 작업공간을 크게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에 의하면, 일정하게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되는 온도계 및 타이머 등을 설치하여 가열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품질의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에 의하면, 가열기에 정밀 래핑가공한 유리열판을 사용하므로 종래 광섬유 단면가공히터에서 스테인레스제 가열판을 사용하던 것에 비하여 보다 매끄러운 면으로 단면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한쪽 측면으로 개구되는 설치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윗면 한쪽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이 놓여지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에 놓여진 광케이블에 커넥터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광케이블을 고정하는 압착기와,
    상기 압착기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케이블의 광섬유 선단을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와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케이블의 광섬유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기와,
    상기 고정대 반대쪽에 고정대쪽을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절단된 단면을 가열하여 매끄럽게 하는 가열기와,
    상기 프레임의 설치홈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케이블의 광섬유 단면을 구면으로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위쪽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압착기, 절단기, 정렬기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지지대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기의 밑면에는 상기 고정대에 놓여지는 커넥터를 누를 수 있도록 클램프부재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클램프부재와 접하여 상기 압착기의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에 완전하게 고정되는 고정핀을 설치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기와 절단기 및 정렬기의 상기 고정대쪽 끝부분 밑면에는 각각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는 상기 압착기와 절단기 및 정렬기가 고정대쪽으로 회전하여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자석이 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자석이 설치되는 자석대를 설치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의 밑면에는 상기 광케이블(8)의 광섬유 선단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을 설치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기에는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 선단이 삽입되어 위치가 정렬되는 정렬구멍을 복수개 형성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상기 고정대의 중심선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기의 상기 고정대쪽 선단에는 정밀 래핑가공을 행한 유리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기의 내부에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유리열판에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되는 온도계에 해당 온도가 표시됨과 동시에 온도계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유리열판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범위로 유지하며,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는 가열기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와 가열기의 작동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및 경보기를 설치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고정대쪽 선단 하부에 제1가압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의 가열기쪽 선단 하부에 상기 제1가압자석과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제2가압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가열기의 내부에는 제1가압자석과 제2가압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광케이블의 선단과 유리열판이 서로 맞닿은 직후에는 순간적인 반작용에 의하여 가열기가 약간 후진하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센서스위치를 설치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는 원판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의 설치홈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회전핀을 통하여 한쪽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마기의 다른쪽 밑면에는 상기 설치홈의 밑면과 구름접촉하도록 롤러를 설치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의 윗면에는 연마지를 설치하고,
    상기 연마기의 위쪽에는 상기 광케이블 및 커넥터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어댑터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하는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KR10-2002-0059238A 2002-09-30 2002-09-30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KR10052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38A KR100520386B1 (ko) 2002-09-30 2002-09-30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38A KR100520386B1 (ko) 2002-09-30 2002-09-30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133A true KR20040028133A (ko) 2004-04-03
KR100520386B1 KR100520386B1 (ko) 2005-10-11

Family

ID=3733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238A KR100520386B1 (ko) 2002-09-30 2002-09-30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556B1 (ko) * 2006-02-07 2008-05-2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광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6072A (en) * 1983-05-20 1986-06-24 Shields Charles E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single piece connectors to a flat multiconductor cable
JP3008378B2 (ja) * 1992-02-19 2000-02-14 株式会社日立テレコムテクノロジー コネクタ・フラット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の自動組立装置
JP3301253B2 (ja) * 1995-02-24 2002-07-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コネクタ自動組立・検査システム
JP3800264B2 (ja) * 1997-05-28 2006-07-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端面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1347428A (ja) * 2000-06-06 2001-12-18 Hitachi Ltd ケーブル組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556B1 (ko) * 2006-02-07 2008-05-2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광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386B1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03846B (en) Optical fiber holder and end-face preparation tool
KR100471083B1 (ko) 광섬유 절단장치
CA2384467A1 (en) Optical fiber wire holder, fused connection device, cutting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optical fiber
CN112817089B (zh) 一种光纤处理工具
US20140287661A1 (en) Prussure module and polishing fixture module for fiber optic polisher
RU24825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калывания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US20130247728A1 (en) Optical fiber cutter/coating material remover apparatus and method of cutting optical fiber and removing coating material
KR100520386B1 (ko) 플라스틱 광케이블용 커넥터 조립장치
JPH10175151A (ja) フェルールホルダ及びフェルール研磨装置
US20100029180A1 (en) Optical fiber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JPH0778563B2 (ja) 光フアイバの切断装置
JP4446142B2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JPH10332986A (ja) 光ファイバ端面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4057553B2 (ja) 光ファイバ切断器
US6309284B1 (en) Mass production polisher
AU729952B2 (en) Optical fiber holder and end-face preparation tool
KR20080006394U (ko)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CN210270262U (zh) 带定位孔的光纤阵列和光纤阵列接头
KR100914190B1 (ko) 에프티티에이치망 현장용 광커넥터 연마 지그
CN211074251U (zh) 一种光纤插芯切割机
JP3546867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端面の加工方法
CN211841248U (zh) 一种光纤表皮打磨装置
US6186871B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polishing operation on a fibre or a fibre optic cable in a cable termination
WO2019043049A1 (en) CLAMPING DEVICE FOR OPTICAL FIBER
CN217345008U (zh) 一种多角度光纤研磨抛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