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394U -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394U
KR20080006394U KR2020070009918U KR20070009918U KR20080006394U KR 20080006394 U KR20080006394 U KR 20080006394U KR 2020070009918 U KR2020070009918 U KR 2020070009918U KR 20070009918 U KR20070009918 U KR 20070009918U KR 20080006394 U KR20080006394 U KR 20080006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jig
ferrule
pressur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휴
Original Assignee
포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9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394U/ko
Publication of KR20080006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abricated by using polish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2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19/22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of the ends of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1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clea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lapping too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섬유 간을 연결시키는 광커넥터용 페룰을 연마하는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는 베이스 부재에 일측에 설치되어 편심되도록 공전 및 자전하는 원판형의 회전디스크와, 회전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마패드와,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연마수단과 연마패드상에 설치되며 페룰이 장착된 연마지그와 연마지그를 가압 또는 승강시키는 지그고정부재와 베이스부재의 타측에 고정된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그고정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베이스부재와 지그고정부재의 사이 또는 회전디스크와 연마패드 사이에 설치되어 연마지그가 연마패드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신호에 의해 피드백시켜 승강수단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에 의하면 연마지그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센서에 의해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설계된 압력을 정량적으로 제공하여 균일한 연마면을 갖는 고품질의 페룰을 생산할 수 있다.
연마기, 광파이버, 광커넥터, 페룰

Description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Polishing machine for optical connector ferrule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을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의 주요부분을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실시간 압력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의 연마기가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연마수단 210: 회전디스크
220: 연마패드 230: 연마지그
237: 페룰 250: 구동부
300: 지그 고정부재 310: 핀지지부
330: 지그 가압 및 승강 핀 400: 승강수단
410: 스텝모터 430: 리드스크루
500: 압력센서 600: 제어수단
본 고안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섬유 간을 연결시키는 광커넥터용 페룰을 연마하는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룰의 연마시 페룰을 고정하는 연마지그의 압력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광섬유를 통해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현재의 동축 케이블에 의한 전기통신에 비해 전송손실이 낮아 전송대역폭에 상관없이 많은 정보량을 먼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어 현재 통신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차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광통신망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 광섬유는 코어(core)라고 불리는 중심부와 코어보다 굴절률이 작고 광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클래드(clad)로 구성되는데, 코어의 통상적인 직경은 8~10㎛정도이고, 이 중 9.3㎛가 거의 일반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섬유는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중간에 광섬유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광통신망 구축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 접속기술이 지원되지 않으면 고품질의 전송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광섬유 간의 접속 및 광커넥터의 연마기술이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 대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페룰(ferrule)의 중심공에는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를 고정한 후 접속되는 양 페룰의 접속단면을 연마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페룰의 접속단면의 형태는 물리적 접촉(PC: physical contact), 경사 접촉(APC: angled physical contact) 등의 형태를 가지는 데, 일반적으로 접속의 불일치로 광손실을 유발한다.
이를 위해 광섬유의 코어끼리 완전히 밀착되도록 돌출부를 만들어 결합시키는 물리적 결합기술(pc접속)과 경사결합 기술(APC접속)의 원리와 개념을 보면, 광섬유의 광축을 따라 전달되는 빛은 코어와 클래딩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면서 목적지까지 도달하게 되는데, 접속점에 공기층 등 불완전한 지점이 있게 되면 진행하는 빛의 일부가 반사되어 광원 쪽으로 되돌아 와서 전송품질을 약화시킨다.
특히 변조신호의 시간 축이 흔들린다거나 출사광량이 변하게 되므로 공기 등에 의한 굴절률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겔상태의 굴절률 정합제를 넣어 반사광을 최소화하는 방법 등이 일부 적용되고 있는데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조건으로 보아서는 굴절률 정합제보다는 페룰 자체를 밀착시키는 방법이 훨씬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다.
서로 접속되는 양방향의 페룰 단면이 원형상태로 돌출되도록 연마하면 코어 내에 한 점이 정점을 갖고 그 정점에서 코어가 물리적 접촉이 되도록 하면 상당한 양의 공기층을 배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속도 접속의 불일치에 따른 내적 요인이나 수평변위, 밀착 정도, 온도, 힘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일정한 반사손실(return loss)을 유발한다.
이러한 반사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페룰 단면상에 서로 접속되는 정점의 위치 편차를 최소화하여야 하는 페룰의 연마기술이 핵심이 된다.
페룰의 연마는 연마회전수, 페룰에 가해지는 연마압력, 연마패드의 밀도선택, 연마시간, 지그 등의 많은 인자가 최적 조건이 선택되어야만 초정밀 연마가 가능하게 된다.
이중 특히 연마면에 대하여 페룰이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연마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상용화 연마기는 연마각도가 6~11도의 범위 내에서만 동작 가능하며 40도 이상의 광각 연마를 필요로 하는 경우 압력조건이 6~11도 연마시와 다르기 때문에 정밀한 광각 연마가 어렵고 연마시 압력에 따라 연마면의 모서리가 페룰마다 서로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페룰의 길이 편차가 클 경우에는 압력에 따라 연마품질이 불균일하게 되므로 품질을 일정하기 위해서는 연마기가 동작하는 중에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압력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일본의 세이코스인스트루먼트 연마기는 페룰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안으로서 무게 추를 연마지그가 장착되는 연마지그 및 패드의 중심축으로 이동시키면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중심의 압력을 변화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많은 실험에 의해 무게 추의 위치가 결정되어야 하고 동작 중에는 압력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14597호에는 연마패드에 장착된 연마지그를 네 곳에 위치한 연마지그 고정레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광파이버 단면 연마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개시된 연마기는 연마하는 페룰의 길이에 따라 압력이 각각 다르게 되어 페룰의 길이의 편차가 큰 경우 연마 후 단면 형태가 서로 달라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페룰의 연마시 연마면에 대하여 페룰이 가하는 압력을 일정하도록 제어하여 균일한 연마면을 갖는 고품질의 페룰을 생산할 수 있는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페룰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협각인 6도의 연마각에서부터 광각인 40도의 연마각까지 정밀하게 연마할 수 있는 광커넥터용 페롤 연마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는 베이스 부재에 일측에 설치되어 편심되도록 공전 및 자전하는 원판형의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마패드와, 상기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연마수단과; 상기 연마패드상에 설치되며 페룰이 장착된 연마지그와; 상기 연마지그를 가압 또는 승강시키는 지그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측에 고정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고정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지그고정부재의 사이 또는 상기 회전디스크와 상기 연 마패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지그가 상기 연마패드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신호에 의해 피드백시켜 상기 승강수단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고정부재는 상기 연마지그의 상방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수평하게 형성되는 핀지지부와, 상기 연마지그와 대향되는 상기 핀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지그를 지지하는 지그가압 및 승강 핀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그고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루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루를 정/역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핀지지부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하면과 대향되는 베이스부재에 상기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그리고 핀지지부는 연마시 상기 연마지그의 요동을 방지하는 보조핀을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100)는 승강수단(400)에 의해 상방에서 하강하면서 페룰(237)이 장착된 연마지그(23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지그고정부재(300)와, 고정된 페룰(237)을 연마하는 연마수단(200)과, 지그고정부재(300)가 연마지그(230)를 상방에서 가 압할 때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500)와, 연마수단(200)과 승강수단(4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가진다.
먼저, 페룰(237)을 연마하는 연마수단(200)으로 하우징(180)의 상면에 형성된 평판형의 베이스 부재(150)의 일측에 회전디스크(210)가 설치되고 회전디스크(210)는 하우징(180)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250)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디스크(210)는 원판형의 형태로 구동부(250)에 의해 자전 및 공전을 동시에 하면서 회전한다. 회전디스크(210)의 상부에는 연마패드(220)가 설치되어 회전디스크(210)와 함께 회전한다. 연마패드(220)의 상면에는 연마면이 형성되어 페룰(237)을 연마하게 된다. 연마패드(220)는 페룰(237)의 종류나 연마작업조건에 따라 그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연마패드(220)의 상면에는 페룰(237)이 장착된 연마지그(230)가 놓인다. 연마작업시 연마지그(230)에는 페룰(237)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구동부(250)는 하우징(18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 1교류모터(253)와 제 2교류모터(257)를 구비한다.
제 1교류모터(253)의 구동축은 회전디스크(210)와 연결되어 회전디스크(210)를 자전시킨다. 제 2교류모터(257)의 구동풀리(258)는 공전테이블(255)과 벨트(259)로 연결되어 공전테이블(255)을 회전시킨다. 공전테이블(255)의 상면에는 제 1교류모터(253)가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제 1교류모터(253)는 공전테이블(25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는 연마패드(220)와 페룰(237)이 접촉되는 연마면이 한 곳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그고정부재(300)는 연마패드(2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연마지그(230)를 가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연마지그(230)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핀지지부(310)와, 핀지지부(310)의 하강으로 연마지그(230)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을 구비한다.
핀지지부(310)는 연마지그(230)의 상방에서 베이스부재(150)의 상면과 수평하게 설치되어 승강수단(4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은 연마지그(230)와 대향되는 상방의 핀지지부(3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이 설치되는 반대방향의 핀지지부(31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승강수단(400)의 리드스크루(430)와 결합된다.
핀지지부(310)가 승강수단(400)에 의해 하강하면 핀지지부(310)에 설치된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이 하방에 위치하는 연마지그(230)를 위에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의 하단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연마지그(230)의 중앙에 형성된 핀안착부(235)의 홈에 삽입되어 연마지그(230)를 고정한다.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과 인접하여 핀지지부(310)에는 보조핀(340)이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조핀(340)은 회전디스크(210)가 편심 회전할 때 연마지그(2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마지그(230)의 중심에서 약간 편심되는 위치에서 연마지그(230)를 누른다.
그리고 승강수단은 지그고정부재(3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재(150)의 타측에서 형성되어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리드스크루(430)와, 리드스크루(430)를 정/역회전시키는 스텝모터(4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리드스크루(430)와 스텝모터(410)는 베이스부재(150)에 고정설치된 프레임(450)에 의해 지지된다.
리드스크루(430)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에는 핀지지부(310)의 관통공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리드스크루(430)는 핀지지부(310)의 관통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프레임(45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리드스크루(430)의 하부에는 베어링(440)이 설치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루(430)가 회전하면 리드 스크루(4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핀지지부(310)는 상방으로 상승하거나 하방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핀지지부(310)가 리드스크루(43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해 프레임의 일측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바(460)가 리드스크루(430)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핀지지부(310)에는 가이드바(460)와 대응되는 형상인 더브테일 형상의 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바(46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프레임(450)의 상부에는 리드스크루(430)을 회전시키는 스텝모터(410)가 설치되고 스텝모터(410)의 구동축과 리드스크루(430)는 커플링(420)에 의해 연결된다. 스텝모터(410)는 제어수단(600)의 제어를 받아 작동한다.
그리고 연마패드(220)의 연마면에 대해 페룰(237)이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센서(500)가 베이스부재(150)와 지그고정부재(300)의 사이에는 압력센 서(500)가 설치된다.
압력센서(500)로는 기계식, 전자식, 반도체식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크리프 현상이 없고 직선성이 우수하며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고감도 고신뢰성인 반도체식 압력센서를(500) 사용한다.
지그고정부재(300)가 승강수단(400)에 의해 하강하면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이 연마지그(23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 데, 이 경우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이 연마지그(230)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면 연마패드(220)에 대한 페룰(237)의 압력을 측정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그고정부재(300)의 핀지지부(310)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부재(510)가 형성되고 가압부재(510)의 하면과 대향되는 베이스부재(150)에 압력센서(500)가 설치된다.
따라서 핀지지부(310)가 하강하면 가압부재(510)가 압력센서(500)을 누르게 되고 그때의 압력값은 저항값으로 변환되어 제어수단(600)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압력센서(5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디스크(210)와 연마패드(220) 사이에 설치되어 페룰(237)이 연마패드(220)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연마패드(220)에 대해 페룰(237)이 가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압력센서(500)가 설치되는 장소는 구애받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압력센서(500)가 허용 압력 이상으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지지대(210)의 하강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미도시)가 베이스 부재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압력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압력신호에 의해 승강수단(400)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어수단(600)은 연마수단(200)의 구동부(250)를 함께 제어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실시간 압력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의 블록도인데,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제어수단(600)은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부(250)의 제 1 및 제 2교류모터와 승강수단(400)의 스텝모터(410)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인 8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스와, 출력부인 디스플레이와, 입력부인 키보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어수단(600)은 제어패널 형태로 연마기(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연마지그(7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 및 승강 핀(830)의 하단에 핀안착부(735)가 힌지결합되어 핀지지부(310)의 하강에 의해 연마패드(220) 위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연마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인데, 도 4와 함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제어수단(600)을 이용한 본 발명의 연마기(100)의 압력제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연마기(100)의 초기상태에서는 승강수단(300)의 핀지지부(310)는 회전디스크(210)의 상방의 일정한 높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연마할 페룰(237)의 작업조건에 따라 연마시간, 회전속도 등을 입력한 후 페룰(237)이 장착된 연마지그(230)를 연마패드(220)에 올려놓는다. 제어수단(600)은 스텝모터(410)를 구동하여 핀지지 부(310)를 하강시키고 이때 지그가압 및 승강 핀(330)이 연마지그(230)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핀지지부(310)의 하강하면서 가압부재(510)가 압력센서(500)를 누르게 되고 이때의 압력센서(500)의 압력값은 제어수단(600)으로 전송되고 입력된 최적의 압력 값과 일치되도록 제어수단은(600) 스텝모터(4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수단(600)은 입력된 조건에 의해 구동부(250)의 제 1교류모터(253)와 제 2교류모터(257)를 구동시켜 연마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 연마작업 중에도 제어수단(600)은 연마지그(2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모니터링한 압력 값과 입력된 최적의 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스텝모터(410)를 제어하여 각 연마조건에 따른 최적의 압력으로 유지시켜 준다.
본 고안의 연마기(100)로 연마한 페룰(237)을 이용하여 광섬유를 접속할 경우 종래의 기술로 연마하는 경우 반사손실(return loss)이 물리적 접촉인 경우 50 dB 정도에서 55 dB이상으로 향상되었으며 경사각 접촉인 경우 종래의 60 dB에서 65dB이상으로 나타났고, 삽입손실(insert loss)은 안정적으로 0.15dB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에 의하면 연마지그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센서에 의해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설계된 압력을 정량적으로 제공하여 균일한 연마면을 갖는 고품질의 페룰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페룰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물리적 접촉이나 경사접촉의 어느 경우에도 협각인 6도의 연마각에서부터 광각인 40도의 연마각까지 정밀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고품질의 페룰을 생산하여 광섬유 간의 접속시에 발생하는 삽입손실 및 반사손실을 개선하여 광통신의 전송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베이스 부재에 일측에 설치되어 편심되도록 공전 및 자전하는 원판형의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마패드와, 상기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연마수단과;
    상기 연마패드상에 설치되며 페룰이 장착된 연마지그와;
    상기 연마지그를 가압 또는 승강시키는 지그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측에 고정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고정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지그고정부재의 사이 또는 상기 회전디스크와 상기 연마패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지그가 상기 연마패드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신호에 의해 피드백시켜 상기 승강수단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고정부재는 상기 연마지그의 상방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수평하게 형성되는 핀지지부와, 상기 연마지그와 대향되는 상기 핀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마지그를 지지하는 지그가압 및 승강 핀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그고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루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루를 정/역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핀지지부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하면과 대향되는 베이스부재에 상기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지지부는 연마시 상기 연마지그의 요동을 방지하는 보조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KR2020070009918U 2007-06-15 2007-06-15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KR20080006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18U KR20080006394U (ko) 2007-06-15 2007-06-15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918U KR20080006394U (ko) 2007-06-15 2007-06-15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94U true KR20080006394U (ko) 2008-12-18

Family

ID=4132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918U KR20080006394U (ko) 2007-06-15 2007-06-15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39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47B1 (ko) * 2009-01-20 2011-09-28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로드 단부의 모서리 버어 제거장치
WO2018199412A1 (ko) * 2017-04-25 2018-11-01 주식회사 엔도비전 광화이버 단면 가공장치
KR20230155667A (ko) 2022-05-04 2023-11-13 김재욱 설태 제거부를 갖는 칫솔
CN117067094A (zh) * 2023-09-18 2023-11-17 深圳市纽飞博科技有限公司 一种裸纤研磨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47B1 (ko) * 2009-01-20 2011-09-28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로드 단부의 모서리 버어 제거장치
WO2018199412A1 (ko) * 2017-04-25 2018-11-01 주식회사 엔도비전 광화이버 단면 가공장치
KR20230155667A (ko) 2022-05-04 2023-11-13 김재욱 설태 제거부를 갖는 칫솔
CN117067094A (zh) * 2023-09-18 2023-11-17 深圳市纽飞博科技有限公司 一种裸纤研磨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723B1 (ko) 연마방법및그장치
US5516328A (en) End surface polishing machine
KR20080006394U (ko) 광커넥터용 페룰 연마기
TW201631681A (zh) 磨光裝置
NO823064L (no) Fiberoptisk retningskobler
US6102785A (en) Polishing apparatus for optical fibers having a pressure transducer and a magnetically attached leveling device
CN100455410C (zh) 光纤轴向磨抛厚度精确控制方法及装置
JP2001259987A (ja) 端面研磨装置
US20020160704A1 (en) Polishing fixture assembly for a fiber optic cable connector polishing apparatus
JP2003127056A (ja) 端面研磨装置及び研磨方法
WO20020625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fiber polishing
US6752536B2 (en) Method of simultaneously polishing a plurality of diverse fiber optic cable connectors
US712335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ore positions of optical element array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core positions thereof
JP4056143B2 (ja) 光ファイバ固定用部材、光ファイバアレイ、光導波路モジュールおよび光ファイバ固定用部材の寸法精度の測定方法
CN115833931B (zh) 一种无源器件的性能测试装置及方法
US6600854B2 (en) Optical fiber polishing system with depth reference
KR101446765B1 (ko) 페룰 저 손실점 측정용 다중 채널 회전장치
US6641472B2 (en) Polishing pad assembly for fiber optic cable connector polishing apparatus
US6309284B1 (en) Mass production polisher
JPH0980250A (ja) 光ファイバ接続の自動位置合わせ機構
CN209774273U (zh) 一种d型光纤传感器包层侧抛研磨装置
JP3759837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JP3942458B2 (ja) 光通信用の多芯コネクタ或いは多芯ファイバアレーのフェルール偏心量測定装置における入射光照明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位置測定装置
US10197735B2 (en) Optical fiber tapping device
JPH10180606A (ja) フェル−ル端面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