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106A -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106A
KR20040028106A KR1020020059201A KR20020059201A KR20040028106A KR 20040028106 A KR20040028106 A KR 20040028106A KR 1020020059201 A KR1020020059201 A KR 1020020059201A KR 20020059201 A KR20020059201 A KR 20020059201A KR 20040028106 A KR20040028106 A KR 2004002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side
base station
vehicle terminal
roadside base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152B1 (ko
Inventor
이종식
유흥렬
이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15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노변 기지국과 차량 단말기간의 일반적인 메시지 교환 절차를 개선하여 동일한 메시지 교환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통신 셀 반경을 줄이게 함으로써 오율을 줄이거나 인접 차선에서의 간섭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단말기가 통신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차량단말기가 상기 통신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과 상기 차량단말기 사이에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차량단말기가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에 전송한 후 차선제어수단이 통행요금을 처리하고 노변인증수단이 카드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통행요금처리를 요청받고 상기 통행요금처리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이 제 2 노변기지국에 링크식별자(ID)를 전달하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이 상기 차량단말기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노변인증수단이 거래를 인증한 후, 상기 제 2 노변기지국로부터 거래종료를 통보받으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상기 거래종료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Call Process Method in a Op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첨단 교통관리 서비스 중에서 능동형 단거리전용무선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자동요금징수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구현시 노변 기지국과 차량 단말기 간의 자동요금징수를 위한 호처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능동형 5.8GHz 단거리전용무선통신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단체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 대표적으로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이나 주차장 관리, 교통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구축을 위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시스템의 규격이 정해져 있다. 또한, 자동요금징수시스템에서의 교환되어져야 할 표준 메시지들에 대해서도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도 1a 및 1b 는 기존의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이용한 개방형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이용한 개방형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은, 차선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을 검출하여 차선제어기(105)로 통보하는 차량진입검출장치(101),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여 차선제어기(105)로 통보하는 차종분류장치(102), 차량 내의 차량탑재장치(111)와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통해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교환하는 노변기지국-1 및 노변기지국-2(103, 104)), 상기 노변기지국-1(103)과 노변기지국-2(104) 사이에 위치하여 차선제어기(105)가 노변기지국-1(103)에서 발생한 통신이상이나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을 검출하는 통신위반검출장치(106), 노변기지국-2(104) 이후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면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여 차선제어기(105)로 통보하는 차량진출검출장치(107), 통과하는 차량에 대한 통행요금을 결정하며 위반차량을 판별하는 차선제어기(105), 차선제어기(105)에 의해 선별적으로 차량의 후면번호판 영상을 촬영하는 위반차량촬영장치(108), 그리고 차량탑재장치 (111)에 연결되는 스마트카드(112)를 인증하는 노변인증장치(109)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위한 차량탑재장치(111)와 차량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카드(112)를 포함한다.
상기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이용한 개방형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진입검출장치(101)는 전자동 통행요금징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차선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을 검출하여 차선제어기(105)로 통보한다.
차종분류장치(102)는 실시간 접촉식 분류장치로서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여 차선제어기(105)로 통보한다.
노변기지국-1(103)은 차량 내의 차량탑재장치(111)와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통해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교환한다.
통신위반검출장치(106)는 노변기지국-1(103)과 노변기지국-2(104) 사이에 위치하여 차선제어기(105)가 노변기지국-1(103)에서 발생한 통신이상이나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을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노변기지국-2(104)는 차량탑재장치(111)와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한편, 차량진출검출장치(107)는 노변기지국-2(104) 이후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면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여 차선제어기(105)로 통보한다.
위반차량촬영장치(108)는 차선제어기(105)에 의해 선별적으로 차량의 후면번호판 영상을 촬영한다.
차선제어기(105)는 상기한 장치들과 연동하여 통과하는 차량에 대한 통행요금을 결정하며 위반차량을 판별하는 것을 주요한 기능으로 한다.
상기한 장치들을 도 1b에서와 같이 영업소 내 차선 상에 설치할 경우, 노변기지국-1(103)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통신영역은 차량진입검출장치(101)로부터 시작해서 차량 한 대에 설치된 하나의 차량탑재장치(111)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노변기지국-2(104)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통신영역 또한 통신위반검출장치(106)로부터 시작해서 차량 한 대에 설치된 하나의 차량탑재장치(111)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즉,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상적인 통행요금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개 노변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통신영역을 한 대의 차량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한하며, 이에 따른 장치간의 정보교환 절차를 분배하여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전자동 통행요금징수시스템은 위반차량에 대한 선별적인 번호판영상 촬영만을 필요로 한다.
한편, 상기한 장치들로 구성되는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간 정보교환 절차는 도 2에서 설명한다.
도 2 는 일반적인 능동형 단거리전용무선통신을 이용한 메시지 교환 방법에대한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능동형 단거리전용무선통신을 이용한 메시지 교환 절차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210"은 노변장치, "220"은 단말장치, "230"은 대기상태(Stand-By Phase), "240"은 결합상태(Association Phase), 그리고 "250"은 데이터처리상태 (Data Transaction Phase)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대기상태(Stand-By Phase)(230)에서 노변장치(210)는 FCMS(Frame Control Message Slot) 패킷을 통해 자신의 셀 반경내에 지속적으로 접속을 위한 정보 및 다음 슬롯 구성 정보를 알려준다.
단말장치(220)는 노변장치(210)의 셀 내부에 진입하여 노변장치(210)의 유무를 수신된 FCMS 패킷 정보로부터 얻어내고 데이터 교환할 것이 있으면 결합상태 (240)의 ACTS(ACTivation Slot) 내에 하나의 접속요구 윈도우에 링크 접속 요구 메시지인 ACTC(ACTivation Channel)를 전송한다.
노변장치(210)는 결합상태(240)에서 ACTC를 잘 전송받으면 그 패킷에 포함된 링크 식별자(ID) 값을 토대로 빈 슬롯에 데이터 패킷을 할당해주고 이 정보를 다음 FCMS에 포함시켜준다.
결합상태(240) 이후에 노변장치(210)는 업링크시킬 정보가 있을시에는 동일한 링크 식별자(ID)로 할당된 슬롯 중에서 하향으로 할당된 데이터패킷슬롯(MDS : Message Data Slot)에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주면 되고, 노변장치(210)의 하향 데이터도 FCMS 정보로부터 동일한 링크 식별자(ID)가 있으면 전송받음으로써 데이터를 교환한다.
데이터결합상태(250)에서는 모든 데이터 전송이 끝나면 FCMS는 더 이상의 동일한 링크 식별자(ID)를 통한 데이터슬롯할당을 중지하며 초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도 1a 및 1b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자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일반적인 호 처리절차에서 노변기지국 2개와 차량단말과의 관계만을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이 정리된다.
도 3 은 일반적인 전자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310"은 차량장치, "320"은 노변장치-1, 그리고 "330"은 노변장치-2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에서 "D"는 다운링크(Downlink), 그리고 "U"는 업링크(Uplink)를 각각 나타낸다.
각 차량장치(310)는 먼저 통신영역내에 진입하면 노변장치-1(320)과 노변장치-2(330)에서 모두 무선링크 설정 과정을 거치게 되고(341, 346), 항상 노변장치(320, 330)에서 차량장치(310)로의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를 먼저 링크 설정 후에 내려 보내게 되며(342, 347), 차량장치 서비스 정보를 올리게 된다(343, 348). 이 정보들의 구성은 노변장치-1(320)과 노변장치-2(330)에 대해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플로우를 도 3과 같은 일반적인 호처리 절차를 이용하면 각 노변장치(320, 330)마다 대략적으로 최소한 5번의 처리(Transaction)를 수행해야 한다.
가장 빨리 이루어지는 노변장치-1(320)과 차량장치(310) 간의 호처리절차에서 예를 들어 보면, 차량장치(310)에서 보면 무선링크 등록 요구를 위한 ACTC 패킷전송부터 최종적인 정보 수신까지 걸리는 시간은 12슬롯(Slot)으로 지연시간은 대략적으로 9.4ms 정도가 소요된다. 물론 여기서는 계산의 단순함을 위해서 통행요금 계산이나 카드 인증처리 시간과 같은 지연을 고려하지 않았다.
한편, 노변장치-2(330)와 차량장치(310) 간의 호처리절차에서도 역시 거래 인증과 같은 지연 시간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대략적으로 9.4ms 정도가 소요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처리 절차 수행시 송수신 패킷들의 오차 발생시에는 다시 세 개의 슬롯 길이 만큼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호처리 절차시 실제적으로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차선 내 새로운 차량이 진입할 경우에 더 추가적인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노변 기지국과 차량 단말기간의 일반적인 메시지 교환 절차를 개선하여 동일한 메시지 교환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통신 셀 반경을 줄이게 함으로써 오율을 줄이거나 인접 차선에서의 간섭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1b 는 기존의 능동형 DSRC 무선통신을 이용한 개방형 전자동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능동형 단거리전용무선통신을 이용한 메시지 교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일반적인 전자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설명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단말기가 통신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차량단말기가 상기 통신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과 상기 차량단말기 사이에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차량단말기가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에 전송한 후 차선제어수단이 통행요금을 처리하고 노변인증수단이 카드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통행요금처리를 요청받고 상기 통행요금처리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이 제 2 노변기지국에 링크식별자(ID)를 전달하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이 상기 차량단말기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노변인증수단이 거래를 인증한 후, 상기 제 2 노변기지국로부터 거래종료를 통보받으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상기 거래종료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시스템에, 차량단말기가 통신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차량단말기가 상기 통신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과 상기 차량단말기 사이에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제 2 기능; 상기 차량단말기가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에 전송한 후 차선제어수단이 통행요금을 처리하고 노변인증수단이 카드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통행요금처리를 요청받고 상기 통행요금처리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이 제 2 노변기지국에 링크식별자(ID)를 전달하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이 상기 차량단말기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노변인증수단이 거래를 인증한 후, 상기 제 2 노변기지국로부터 거래종료를 통보받으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상기 거래종료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노변장치-1과 차량장치 간의 패킷 전송 플로우(Flow)를 나타낸다. 여기서, 노변장치에서의 "F"는 FCMS(Frame Control Message Slot), "A"는 ACTS(ACTivation Slot), 그리고 "Di"는 i번째 다운링크(Dowonlink)를 나타낸다. 그리고, 차량장치에서의 "A"는 ACTC(ACTivation Channel), 그리고 "Ui"는 i번째 업링크(Uplink)를 나타낸다.
도 4a는 기존의 노변장치-1과 차량장치 간의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서비스 수용을 위한 패킷 전송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장치에서 보면 무선링크 등록 요구를 위한 ACTC 패킷 전송부터 최종적인 정보 수신까지 걸리는 시간은 12슬롯(Slot)으로 지연시간은 대략적으로 9.4ms 정도가 소요된다. 물론 여기서는 계산의 단순함을 위해서 통행요금 계산이나 카드 인증처리 시간과 같은 지연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은, 자동요금지불 시스템 구조의 특성에 착안하여 메시지 교환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을 상기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노변장치-1(320)이 차량장치(310)로 내려보내는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342)는 항상 일정하므로 무선링크 설정(341) 이전에 방송형 데이터나 멀티캐스트(Multicast)형 데이터로 먼저 내려보낼 수 있다.
방송형 데이터를 이용한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342)의 송출 시작 시점은 진입 장치의 검출 이후이며, 종료 시간은 ACTC 메시지의 수신 시점이다. 이것을 통해서 우리는 링크 설정 시작 이전에 트랜잭션(Transaction)을 한 번 수행함으로써 전송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즉, 노변장치-1에서 최소한의 트랜잭션 플로우(Transaction Flow)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 도 4b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플로우에서 12슬롯이 소요되는데 비해 본발명을 적용하면 최소 플로우로 9슬롯, 대략 7ms로 송수신 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25%감소).
한편, 본 발명은 동일하게 노변장치-2에서 내려보내는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를 도 5a 및 5b를 이용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설명도로서,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노변장치-2과 차량장치 간의 패킷 전송 플로우(Flow)를 나타낸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347) 송출 시작 시점은 여기에서는 정보수신 통보 메시지(345) 수신 후가 되며 정보 송출 종료 시점은 차량 장치 서비스 정보(348) 수신 시점까지이다.
두번째는 노변장치-1과 노변장치-2는 동일한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링크 설정 과정이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도 3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호처리 절차를 보면 차량장치(310)는 노변장치-2(330)로 진입시에도 별도의 새로운 링크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는 시간 지연만 가져오는 불필요한 프로세스이다. 현재 두 개 노변장치가 진행방향으로 연결 운용시를 대비해서 FCMS 내 CCZ 필드값과 TRI, TDI 필드값을 두고 있다. 즉, 노변장치-1과 노변장치-2에서 각각 CCZ=1로 설정하고 TRI 값을 노변장치-1은 "10"으로 설정하고 노변장치-2는 "01"로 설정한다. 또한, TDI="0"으로 설정한다.
위와 같이 설정할 경우 서로 노변장치간 상호 작용을 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노변장치-1(320)에서 정보수신통보(345)가 종료된 시점에서 링크 식별자(ID)값을 노변장치-2에 전달하면 노변장치-2는 전달받은 링크 식별자(ID)값을 가지고 노변장치 서비스 정보(347)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차량장치(310)에서는 노변장치-2 영역 진입시에 링크 설정과정이 필요없으므로 상당히 전송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최소한의 지연 플로우는 도 5b와 같으며 최소 7슬롯 길이면 차량 장치의 송신과정이 모두 끝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능동형 단거리전용무선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한 자동요금징수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송수신 시간을 줄이고, 오율 및 셀 반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단말기가 통신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차량단말기가 상기 통신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과 상기 차량단말기 사이에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차량단말기가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에 전송한 후 차선제어수단이 통행요금을 처리하고 노변인증수단이 카드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통행요금처리를 요청받고 상기 통행요금처리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이 제 2 노변기지국에 링크식별자(ID)를 전달하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이 상기 차량단말기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노변인증수단이 거래를 인증한 후, 상기 제 2 노변기지국로부터 거래종료를 통보받으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상기 거래종료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의 브로드캐스팅 과정은,
    상기 차량 진입 검출부터 링크접속요구메시지(ACTC: ACTivation Channel)를 수신할 때까지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링크식별자 전달 및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 전송은,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이 상기 차량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행요금처리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통보받는 시점에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링크식별자(ID)를 전달하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이 상기 전달받은 링크식별자(ID)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기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4.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시스템에,
    차량단말기가 통신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차량단말기가 상기 통신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과 상기 차량단말기 사이에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제 2 기능;
    상기 차량단말기가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에 전송한 후 차선제어수단이 통행요금을 처리하고 노변인증수단이 카드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으로부터 통행요금처리를 요청받고 상기 통행요금처리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1 노변기지국이 제 2 노변기지국에 링크식별자(ID)를 전달하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이 상기 차량단말기로 노변기지국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차량단말기가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차량단말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노변인증수단이 거래를 인증한 후, 상기 제 2 노변기지국로부터 거래종료를 통보받으면, 상기 제 2 노변기지국에 상기 거래종료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보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59201A 2002-09-28 2002-09-28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KR10089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01A KR100897152B1 (ko) 2002-09-28 2002-09-28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01A KR100897152B1 (ko) 2002-09-28 2002-09-28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106A true KR20040028106A (ko) 2004-04-03
KR100897152B1 KR100897152B1 (ko) 2009-05-14

Family

ID=3733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201A KR100897152B1 (ko) 2002-09-28 2002-09-28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73B1 (ko) * 2002-10-22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가변 통신 반경 제어장치
KR100792665B1 (ko) * 2006-10-25 2008-01-0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자동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상태감시방법
KR20170009218A (ko) * 2015-07-16 2017-01-25 (주)에어포인트 모국 노변 기지국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0229A (ja) * 1994-12-27 1996-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料金収受システム
KR19990008736A (ko) * 1997-07-03 1999-02-05 윤종용 혼합형 개방식 통행요금징수 시스템
JP3463665B2 (ja) * 2000-09-29 2003-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課金情報通信装置、車載機、課金結果取得装置、センター
KR100382925B1 (ko) * 2000-12-09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자동 요금 정산 시스템
KR100822902B1 (ko) * 2000-12-11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KR20040001310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능동형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한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873B1 (ko) * 2002-10-22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가변 통신 반경 제어장치
KR100792665B1 (ko) * 2006-10-25 2008-01-0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자동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상태감시방법
KR20170009218A (ko) * 2015-07-16 2017-01-25 (주)에어포인트 모국 노변 기지국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152B1 (ko)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9794B1 (en) Non-stop toll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KR100838815B1 (ko) Dsrc를 이용한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WO2022062865A1 (zh) 基于etc系统的车辆通信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WO2007059673A1 (fr) Systeme electronique de perception de peage base sur un reseau wlan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correspondant
EP3735005B1 (en) Inter-vehicle wireless payment method employing 5g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for same
JP2001338317A (ja) ノンストップ料金課金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05834B1 (ko) 모국 노변 기지국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97152B1 (ko) 개방형 전자동통행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KR101679128B1 (ko) Wave 기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4131056B2 (ja)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固定局通信装置ならびに移動体通信装置の通信方法
KR20020046223A (ko)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KR101990117B1 (ko) Ir/rf 통신모듈, layer 모듈 및 sam 일체형 mcu 시스템
KR100448074B1 (ko) 능동형 단거리전용통신(dsrc)망을 이용한주차장관리시스템
CN109712405B (zh) 车辆识别方法及系统
KR101636132B1 (ko) Wave 기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393784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장치
EP1879150B1 (en) Method and protoco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ithin an enforcement system of a monitoring or road charging system, enforcement unit and mobile device
JP2930078B1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器
KR102351119B1 (ko) Dsrc 통신데이터 처리 방법
KR100811417B1 (ko) 단거리무선통신 노변기지국과 통합주차장관리서버 연동에의한 주차장안내 방법
KR100982885B1 (ko) 자동요금징수 시스템에서의 통신역전 처리 방법
JP2001195621A (ja) 路車間通信の二重課金防止方法
Linnartz et al. Spectrum needs for IVHS
CN113706731A (zh) 一种etc集成天线功率自适应调整方法和装置
KR20050043600A (ko)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