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084A -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 Google Patents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084A
KR20040026084A KR1020020056603A KR20020056603A KR20040026084A KR 20040026084 A KR20040026084 A KR 20040026084A KR 1020020056603 A KR1020020056603 A KR 1020020056603A KR 20020056603 A KR20020056603 A KR 20020056603A KR 20040026084 A KR20040026084 A KR 2004002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ischarge
cover member
vent cap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747B1 (ko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7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확인구을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에 배기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의 커버부재(110)와; 커버부재(110)의 하부와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결합나사부(24)가 형성된 결합관체(120)와; 결합관체(120)의 내부에 수용된 중공구조의 스폰지부재(1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44)과 상부면에 투명한 방전확인창(142)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ㆍ하부면의 사이에 단면적이 감소된 협도부(俠道端)(1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폰지부재(130)에 내장된 중공구조의 방전확인구(140)와; 각기 상이한 색깔을 가지는 구형상으로, 전해액의 비중에 대응하여 부유되어 방전확인창(142)에 의해 축전지의 "정상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방전확인구 (140)의 협도부(146)와 하부면 사이에 내장된 비중 체크볼(G)(R)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축전지의 각 셀 단위로 충, 방전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종래의 방전점검구가 요구되지 않아 축전지의 제조원가 절감 및 축전지의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A vent cap with discharge display panel for a battery}
본 발명은 방전량 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밴트캡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축전지의 전해액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보충하여야 하는 축전지에 있어서, 축전지의 셀 단위로 충,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전량 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PT 축전지는 순간 시동능력이 매우 탁월하고 계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화물차, 지프, 버스 및 상용차에 주로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PT 축전지의 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축전지 (10)는 다수의 셀과 전해액을 내장한 몸체부(11)의 상부면에 내장 셀들에 각기 대응된 캡(15)(17)과 축전지의 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전점검구(19)가 제공되어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은 손잡이이고, 12 및 14는 (+)(-) 전극단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축전지(10)는 방전점검구(19)를 구비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특정 셀만의 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축전지(10) 전체의 방전량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군수용 차량은 전투태세 장비 확인에 관련하여 일일점검이 요구되는 바, 전술된 구성의 축전지(10)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일일점검시 축전지(10)의 벤트캡(17)을 열고 전해액을 확인하는 한편,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축전지(10)는 전해액의 상태 확인시 나무젓가락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점검을 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함은 물론, 군특성상 신속한 일일점검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축전지(10)의 전해액 보충 및 가스를 방출하는 벤트캡(17)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벤트캡(17)은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로써 하부 외주면에 결합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축전지(10)의 각기 대응된 개구(도시 안됨)에 체결되며, 상부면에는 가스가 방출되는 배기공(1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폰지부재 (17c)가 내장된 구성이다. 따라서, 전해액의 증발가스는 벤트캡(17)의 스폰지부재 (17c)를 통과하여 배기공(17b)을 통해 외기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전지의셀단위로 신속하게 충, 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전량 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에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의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하부와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관체와; 결합관체의 내부에 수용된 중공구조의 스폰지부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과 상부면에 투명한 방전확인창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ㆍ하부면의 사이에 단면적이 감소된 협도부(俠道端)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폰지부재에 내장된 중공구조의 방전확인구와; 각기 상이한 색깔을 가지는 구형상으로, 전해액의 비중에 대응하여 부유되어 방전확인창에 의해 축전지의 "정상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방전확인구의 협도부와 하부면 사이에 내장된 비중 체크볼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의 외주벽과 결합관체의 상단 일측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성형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의 하단 내주벽에 형성된 결합철부(凸部)와 결합관체의 상단 외주벽에 형성된 결합요부(凹部)가 각기 대응되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됨에 따라 커버부재가 결합관체로부터 개폐된다.
또한, 커버부재의 하단 내주벽에 형성된 체결나사부와 결합관체의 상단 외주벽에 형성된 결합나사부가 각기 대응되어 체결 또는 체결해제됨에 따라 커버부재가 상기 결합관체로부터 개폐될 수 있으며, 이는 커버부재와 결합관체가 분리되는 구성이다.
비중 체크볼의 재질은 백금(Pt)으로써, 축전지의 "정상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색깔은 녹색이며 축전지의 "과방전" 상태에 대응되는 색깔은 적색이다. 따라서, 전해액의 비중이 1.280 이상이면 녹색 비중 체크볼이 부유되고, 전해액의 비중이 1.280 이하이면 적색 비중 체크볼이 부유된다. 또한, 비중 체크볼이 부유되지 않는 경우는 전해액이 부족한 상태로 방전확인창에는 무색 또는 흰색으로 보인다.
여기서, 비중 체크볼의 직경은 협도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축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벤트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을 이용한 축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과 축전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도 5는 벤트캡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에 의해 축전지의 충,방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벤트캡110 : 커버부재
112 : 배기공114 : 결합철부(凸部)
115 : 체결나사부120 : 결합관체
122 : 몸체부124 : 결합나사부
126 : 결합요부(凹部)129 : 결합나사부
130 : 스폰지부재140 : 방전확인구
142 : 방전확인창144 : 통공
146 : 협도부(俠道端)150 : 연결부재
200 : 축전지211 : 몸체
213 : 손잡이215, 217 : 전극단자
220 : 밧데리액G, R : 비중 측정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을 이용한 축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벤트캡을 구비한 축전지(200)는 다수의 셀과 전해액을 내장한 몸체부(211)의 상부면에 내장 셀들에 각기 대응된 캡(100)(101) (103)이 제공되어 있으며, 내장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215) (217)가 캡(101)(201)의 인접 부분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13은 손잡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축전지(200)는 전해액 보충 및 가스방출 기능의 벤트캡(101), 일반 캡(103) 그리고 본 발명의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100)이 각기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벤트캡(100)을 모든 셀들에 대응된 개구에 제공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전점검구(19)를 설치하지 않아도 각 셀당으로 셀의 방전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과 축전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벤트캡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100)은 축전지의 몸체부(211)에 형성된 개구에 체결되어 있으며, 방전확인창(142)를 통해 녹색이 표시됨으로써 축전지의 상태가 "충전양호"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전해액 (220)은 방전확인구(140)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144)을 통해 방전확인창(142)의 하부까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의 증발가스는 스폰지부재(130) 및 배기공 (112)을 통해 외기로 배기된다.
본 발명의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벤트캡(100)은 배기공(112)이 형성된 커버부재(110)가 스폰지부재(130) 및 방전확인구(140)이 내장된 결합관체(120)와 결합되어 구성되며, 커버부재(11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110)의 외주벽과 결합관체(120)의 상단 일측부가 연결부재(15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110)는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로써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내주벽에 결합철부(凸部)(1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철부(114)의 형상은 임의 두께를 갖는 띠형상이거나 다수의 돌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합관체(120)는 상,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로써 상부 외주벽에 전술된 축전지의 개구와 체결되도록 결합나사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벽에전술된 커버부재(110)의 결합철부(114)와 대응하여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결합 요부(凹部)(12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철부(114), 결합요부(126) 및 연결부재(150)는 유연성이 양호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폰지부재(130)는 결합관체(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결합관체(120)와 유사한 상하부면이 개방된 관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스폰지부재(130)는 증발된 전해액이 통과되는 경로로써, 적당한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관체(120)와 방전확인구(14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형상의 제한은 무의미하다.
방전확인구(140)는 스폰지부재(130)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투명한 방전확인창(142)이 제공되어 있으며, 전해액(220)이 방전확인구(14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부면 또는 다른 벽(또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확인구(140)는 방전확인창(142)와 하부면 사이에 단면적이 감소된 협도부(1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협도부(俠道端)(146)는 후술되는 비중 점검볼(G)(R)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비중 체크볼(G)(R)은 녹색과 적색으로 도색된 백금(Pt) 재질의 구체(球體)로 방전확인구(140)의 협도부(146)과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제공되어 있으며, 전해액(220)의 비중이 1.280 이상이면 녹색 볼(G)이 부유되고(도 7a 참조) 전해액의 비중이 1.280 이하이면 적색 볼(R)(도 7b 참조)이 부유된다. 녹색 볼(G)은 축전지의 "정상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적색 볼(R)은 축전지의 "과방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비중 체크볼(G)(R) 이외의 부호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 전해액(220)에 대응하여 부유된 비중 체크볼(G)(R)은 하광상협된 협도부(146)에 걸려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전확인창(146)을 통해 협도부(146)에 걸려진 비중 체크볼(146)의 색깔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녹색 또는 적색의 비중 체크볼(G)(R) 중 어느 것도 협도부(146)에 걸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전해액(220)의 부족으로 방전확인창 (146)에는 무색이나 흰색으로 보인다(도 7c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벤트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벤트캡(100)은 커버부재(100)의 하부 내주벽에 형성된 결합나사부(115)와 결합관체(120)의 상단 외주벽에 형성된 결합나사부(129)가 각기 대응되어 체결되는 구성으로 전술된 연결부재(150)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술된 구성외의 동일한 구성요소는 새로이 번호매김하지 않고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몇 가지 예상하면, 커버부재와 결합관체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다른 수단을 사용하거나 비중 체크볼의 형상 및 색깔 등을 변경하는 구성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축전지의 각 셀 단위로 충, 방전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는 이점(利點)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성은 군부재와 같이 일일점검이 요구되는 군차량에 적용시에는 축전지의 신속한 충, 방전점검이 가능하여 군수차량의 축전지를 항상 최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군전력을 증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종래의 방전점검구가 요구되지 않아 축전지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축전지의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상부면에 배기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의 커버부재(110)와;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부와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결합나사부(24)가 형성된 결합관체(120)와;
    상기 결합관체(120)의 내부에 수용된 중공구조의 스폰지부재(1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44)과 상부면에 투명한 방전확인창(142)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ㆍ하부면의 사이에 단면적이 감소된 협도부(俠道端)(1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폰지부재(130)에 내장된 중공구조의 방전확인구(140)와;
    각기 상이한 색깔을 가지는 구형상으로, 전해액의 비중에 대응하여 부유되어 상기 방전확인창(142)에 의해 축전지의 "정상충전" 상태 또는 "과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방전확인구(140)의 협도부(146)와 하부면 사이에 내장된 비중 체크볼(G)(R)을 포함하여 구성된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10)의 외주벽와 상기 결합관체(120)의 상단 일측부가 연결부 (15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단 내주벽에 형성된 결합철부(凸部)(114)와 상기 결합관체(120)의 상단 외주벽에 형성된 결합요부(凹部)(126)가 각기 대응되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110)가상기 결합관체(120)로부터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단 내주벽에 형성된 체결나사부(115)와 상기 결합관체(120)의 상단 외주벽에 형성된 결합나사부(129)가 각기 대응되어 체결 또는 체결해제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110)가 상기 결합관체(120)로부터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 체크볼(G)(R)은 백금(Pt) 재질로써, 전해액의 비중이 1.280 이상이면 녹색 체크볼(G)이 부유되어 축전지의 "정상충전" 상태를 표시하고, 전해액의 비중이 1.280 이하이면 적색 체크볼(R)이 부유되어 축전지의 "과방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 체크볼(G)(R)의 직경(D)은 상기 협도부(146)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KR10-2002-0056603A 2002-09-17 2002-09-17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KR10045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603A KR100452747B1 (ko) 2002-09-17 2002-09-17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603A KR100452747B1 (ko) 2002-09-17 2002-09-17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084A true KR20040026084A (ko) 2004-03-27
KR100452747B1 KR100452747B1 (ko) 2004-10-14

Family

ID=3732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603A KR100452747B1 (ko) 2002-09-17 2002-09-17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7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03B1 (ko) * 2006-12-15 2008-05-06 주식회사 델코 축전지용 충전 지시계장치
KR101016113B1 (ko) * 2009-01-21 2011-02-17 주식회사 공간이동 스틸박스 교량의 슬라브 거푸집용 높이 조절장치
WO2022114144A1 (ja) * 2020-11-27 2022-06-02 京セラ株式会社 逆止弁用ボー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49B1 (ko) * 2005-09-05 2007-04-09 황철애 배기 플러그형 축전지 인디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763A (ja) * 1983-08-11 1985-03-0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解液循環装置を備える鉛蓄電池
EP0207346B1 (en) * 1985-07-03 1990-10-31 LA BATTERIA di M. TADIELLO S.r.l. Plug for cells of electrical storage batteries
KR19980028236A (ko) * 1996-10-21 1998-07-15 박병재 배터리의 전해액 충진도 확인장치
KR19980050749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배터리의 전해액 충진도 확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03B1 (ko) * 2006-12-15 2008-05-06 주식회사 델코 축전지용 충전 지시계장치
KR101016113B1 (ko) * 2009-01-21 2011-02-17 주식회사 공간이동 스틸박스 교량의 슬라브 거푸집용 높이 조절장치
WO2022114144A1 (ja) * 2020-11-27 2022-06-02 京セラ株式会社 逆止弁用ボ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747B1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5190B1 (en) Battery modu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ells in the battery module
US6528206B2 (en) Electric accumulator battery
JP4537958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20050130033A1 (en) Combined battery and battery holding frame
JP5396161B2 (ja) 蓄電池
ES2193849B1 (es) Bateria de acumuladores electricos.
US7935440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node tab of pin type
KR20000051285A (ko) 리튬 이차 전지
JP5148861B2 (ja) 蓄電池の排気構造
KR19990082935A (ko) 배터리 팩,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전자장치
CN103915587A (zh) 可再充电电池组
CN219534694U (zh) 一种盖板和锂电池
JP4953527B2 (ja) 電池
US2548558A (en) Storage battery
KR100452747B1 (ko) 방전확인구를 구비한 축전지용 벤트캡
JP5147151B2 (ja) 制御弁式鉛蓄電池
US20100086836A1 (en) Battery Capacity Chromogenic Device
US8187742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704949B1 (ko) 배기 플러그형 축전지 인디케이터
CN219419393U (zh) 一种电池及动力设备
CN219350434U (zh) 电池及电池包
CN217387441U (zh) 单体电池、电池包和车辆
KR20210049327A (ko) 방식 부재가 구비된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04172099A (ja) 蓄電池排気構造
CN221226515U (zh) 一种电池单体、电池包及用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