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965A -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965A
KR20040023965A KR1020020055424A KR20020055424A KR20040023965A KR 20040023965 A KR20040023965 A KR 20040023965A KR 1020020055424 A KR1020020055424 A KR 1020020055424A KR 20020055424 A KR20020055424 A KR 20020055424A KR 20040023965 A KR20040023965 A KR 2004002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value
function
menu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965A/ko
Publication of KR2004002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영상 장치에서 종래 메뉴 방식으로 접근하여야 함에 따라 여러 번의 키 조작을 요하였던 기능을 메뉴로 접근하지 않고 간편한 키조작에 의해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관련성이 있는 복수개의 기능을 간단한 한 번의 키조작에 의해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영상 장치의 각종 기능에 대한 지시가 할당된 입력 키들을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특정한 기능의 지시에 관련된 입력 키를 소정의 조작 조건으로 조작하면 메뉴를 통해 접근되는 소정의 기능 지시 내용에 상응하는 키값을 설정하는 키값 설정부와, 상기 키값 설정부에서 설정한 키값을 영상 장치로 송출하는 키값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Display device, remote controller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영상 장치 및 그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번의 키조작에 의한 메뉴 방식으로만 선택할 수 있었던 기능을 간단한 단축키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단축키 구비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에 대응하는 영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단축키를 이용해서 영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장치란 영상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텔레비젼,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 비디오 시디 플레이어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근래에는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여 고화질과 고음질의 영상물을 상영가능한 DVD가 영상원으로 각광받고 있고, 이에 따라 DVD 플레이어의 보급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DVD 포맷의 재생뿐 아니라 DVD포맷으로의 저장까지도 가능한 DVD 플레이어겸 리코더도 개발이 완료되어 시장에 출현하고 있으며 머지 않은 장래에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DVD 플레이어를 비롯한 오늘날의 영상 장치는 영상원의 고급화 및 영상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른 당연한 귀결로, 과거의 것들에 비해 그 기능이 매우 많으며 복합기기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DVD 플레이어가 가라오케 기능을 갖는 경우 등이 그러한 예이다. 또한 기능이 다양한 것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텔레비젼과 스피커 시스템의 종류나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게 설정하여야 할 설정사항도 많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로 영화를 감상하는 경우에 그 영상원에서 16:9 화면비와 4:3 화면비가 모두 지원된다면 와이드텔레비젼을 갖고 있는 사용자는 16:9화면비를, 일반 텔레비젼을 갖고 있는 사용자라면 4:3화면비로 DVD 플레이어를 설정하여야 자신의 텔레비젼에 맞는 쾌적한 화면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DVD에서 지원되는 자막도 영어, 한국어 등 여러 가지로 설정할 수 있는데 외국어 학습을 위한 목적상 무자막으로 설정하거나 원하는 언어로 된 자막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스피커 시스템이 2.1채널인가 5.1채널인가에 따라 그에 맞는 음향출력 포맷을 설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상기한 사항들 외에도 최적의 감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설정이 필요하며 영상원에 관련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의 설정을 요하는 사항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의 작동이나 설정의 선택(이하 기능 및 설정을 구별하지 않고 기능이라 칭함)을 위해서, 리모트 컨트롤러에 각각의 기능을 지시하기 위한 별도의 키들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 지나치게 많은 키가 필요하게 될 것이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거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적정한 크기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키간의 간격이 좁아져 엉뚱한 키를 조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 실용적이지 못하고 번잡한 문제점들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재는 소위 메뉴 방식으로 작동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다.
메뉴 방식으로 작동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메뉴키와 이동키 그리고 선택키가 구비되어 있다. 메뉴키를 누르면 가장 큰 범주로 나누어진 주메뉴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주메뉴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서브메뉴들이 나타나고, 서브메뉴들 중에서 원하는 서브메뉴로 이동키를 써서 이동한 다음 선택키를 누르게 되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그 서브메뉴가 그 자체로 어떤 기능이 할당된 서브메뉴인 경우에는 그 기능이 실행된다. 그렇지 않고 더 작은 범주의 서브메뉴들의 상위개념적인 서브메뉴인 경우에는 그 하위개념의 서브메뉴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메뉴 방식은 적은 수의 키로 많은 기능에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원하는 기능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보면서 여러 단계에 걸친 복잡한 키조작을 거쳐야 하므로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화면에 메뉴가 디스플레이됨으로 인해 그 시간 동안 영상의 시청이 방해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6:9 화면으로 보면서 한국어 자막을 표시하는 기능의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영화시청의 준비단계의 기능이라는 면에서 관련성이 있고 그에 따라 거의 항상 같이 행하게 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종래에는 각각에 해당하는 메뉴를 찾아 들어가서 별도로 수행시켜야 했다. 즉, 복수개의 관련된 기능을 수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메뉴로 접근하여 별도로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뉴 방식으로 여러번의 키조작에 의해 접근될 뿐 별도의 전용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상 장치의 기능을, 사용자의 간단한 키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메뉴 방식의 복잡한 키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간단한 키조작으로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양질의 영상과 음향을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축키 구비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관련성이 있는 복수개의 기능을 간단한 키조작에 의해 한꺼번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 단축키 조작가능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새로운 기능의 구현을 위해 별도의 키를 증설함이 없이 기존의 키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키값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영상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장치의 각종 기능에 대한 지시가 할당된 입력 키들을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특정한 기능의 지시에 관련된 입력 키를 소정의 조작 조건으로 조작하면 메뉴를 통해 접근되는 소정의 기능의 지시 내용에 상응하는 키값을 설정하는 키값 설정부와, 상기 키값 설정부에서 설정한 키값을 영상 장치로 송출하는 키값 송신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공된다.
상기 조작 조건은 상기 입력키를 다른 입력키와 정해진 범위 내의 시차로 조작하는 조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 조건은 상기 입력키를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누르는 조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 조건에 의해 키값 설정부에서 설정하는 키값은 복수개의 기능의 수행을 지시하는 내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소정의 조작 조건에 따른 키값을 받는 키값 수신부와, 수신된 키값이 메뉴에 있는 소정의 기능을 지시하는 단축키값인지를 판단하여 그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단축키값이 복수개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인 경우 그 복수개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떤 기능의 지시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써서 메뉴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는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특정한 기능 지시에 관련된 입력 키에 대한 소정의 조작 조건으로 발생된 키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키값이 메뉴 내의 기능 중 어떤 것을 지시하는 내용인지를 판별하는 과정과, 판별된 메뉴 내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키값을 판별하는 과정은 복수개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내용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오늘날 대부분의 리모트 컨트롤러들과 마찬가지로 메뉴 방식의 조작이 가능하고, 영상 장치의 각종 기능에 대한 지시가 할당된 입력 키들을 구비한 키 입력부(110)가 있으며, 이 키 입력부(110)로부터 키 입력을 키값 설정부(120)가 판단하여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값을 설정한다. 키값 송신부(130)에서는 상기 키값 설정부가 설정한 키값을 영상 장치로 송출한다.
상기 키 입력부(110)에는 플레이(Play), 스톱(Stop), 포즈(Pause) 등 영상 감상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키들과, 챕터 선택이나 채널 선택을 위한 숫자키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키에는 고유의 용도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메뉴 방식의 조작을 위한 메뉴키, 이동키, 선택키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사용에 적당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키의 수를 적정 갯수로 유지하여야 함에 따라 비교적 자주 접근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는 메뉴에만 포함시키고 별도의 키를 두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메뉴에만 포함되어 있고 별도의 키가 할당되지 않은 기능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의 경우 사용자가 메뉴에 접근하지 않고도 간단한 키조작으로 실행 지시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에서 단축키 입력이라 칭하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단축키 입력은 입력 키를 통상과 상이한 소정의 조작 조건으로 조작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작 조건은 다양할 수 있는데, 우선, 당해 입력키를 다른 입력키와 정해진 범위 내의 시차를 두고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통상과 상이한 조작 조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정해진 범위 내의 시차에는 동시에 조작하는 것이 포함된다.
여기서의 다른 입력키는 별도의 기능이 할당되지 않은 단축키용 기능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축키용 기능키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과 다른 일반키들, 주로 숫자키 10개와 함께 조작하여 단축키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입력키를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통상과 상이한 조작 조건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이러한 상이한 조작 조건에 따른 키 입력은 상기 키값 설정부(120)에 의해 메모리(121)에 저장된 키 입력과 비교되고 어떠한 종류인지가 판단된다. 메모리(121)에는 통상적인 조작 조건에 따른 키 입력과 통상적이지 않은 조작 조건에 따른 몇 가지 키 입력이 저장되어 있다. 키값 설정부(120)는 통상적이지 않은조작 조건에 의한 키 입력이 이러한 메모리(121)에 저장된 키 입력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키값을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된 키값은 메뉴로 접근 되는 기능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상과 상이한 조작 조건에 의해 키값 설정부(120)에서 설정하는 키값은 메뉴 내의 단일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내용의 키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개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내용의 키값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단축키를 인지하여 영상 장치 조작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공하는 단축키와 그 단축키의 기능을 설명한 단축키 설명서를 제품 판매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키값 설정부(120)에서 단축키 조작에 대응하는 키값으로 판단되어 당해 키값으로 설정되고 나면 그 키값이 영상 장치로 송출된다.
도 2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100)으로부터의 키값을 수신하는 영상 장치의 블럭도이다.
영상 장치(200)에서 키값 수신부(210)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00)에 입력한 키 입력에 따른 키값을 리모트 컨트롤러(100)으로부터 수신하며, 제어부(220)에서는 수신된 키값을 메모리(221)에 저장된 키값과 비교 판단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여 키값에 할당된 기능이 실행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이 제어부(220)는 통상적인 키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판단하는 것은 물론이고, 단축키 처리에 관련된 부분이 있어서, 메뉴에 있는 기능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내용의 단축키값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축키 처리에 관련된 부분은 단일의 기능을 행할 것을 지시하는 단축키값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하는 것은 물론이고, 복수개의 기능을 행할 것을 지시하는 단축키값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능 내지 설정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장치는 DVD 플레이어나 DVD 플레이어겸 리코더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단축키를 이용한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어떤 기능의 지시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써서 메뉴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는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특정한 기능의 지시에 관련된 입력 키를 소정의 조작 조건으로 조작하여 발생된 키값을 수신하게 된다(S310). 상기 상이한 조작 조건은 리모트 컨트롤러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 다음, 상기 키값이 메뉴 내의 기능 중 어떤 것을 지시하는 내용인지를 판별하게 된다(S320).
그 다음에는, 그 결과로 판별된 메뉴 내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330).
이때, 상기 키값을 판별하는 과정(S320)은 키값이 메뉴 내의 복수개의 기능의 수행을 지시하는 내용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판별된 경우 상기 수행 과정은 판별된 복수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메뉴에 있는 기능을 메뉴에 접근함이 없이 단축키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메뉴에 없는 새로 구현하고 싶은 기능을 상기의 단축키 조작에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키의 갯수를 증가시킴이 없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메뉴 방식으로 여러번의 키조작에 의해 접근되고 그 기능을 위한 별도의 전용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상 장치의 기능을 사용자의 간단한 단축키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메뉴 방식의 복잡한 키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관련성이 있는 복수개의 기능을 간단한 키조작에 의해 한꺼번에 실행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기존의 키를 활용하여 새로운 키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새로운 기능이 출현한 경우 키의 갯수를 증가시킴이 없이 기존의 키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영상 장치의 각종 기능에 대한 지시가 할당된 입력 키들을 구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특정한 기능의 지시에 관련된 입력 키를 소정의 조작 조건으로 조작하면 메뉴를 통해 접근되는 소정의 기능의 지시 내용에 상응하는 키값을 설정하는 키값 설정부와;
    상기 키값 설정부에서 설정한 키값을 영상 장치로 송출하는 키값 송신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조건은 정해진 범위 내의 시차로 상기 입력키를 다른 입력키와 함께 조작하는 조건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조건은 상기 입력키를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누르는 조건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값 설정부에서 설정하는 키값은 복수개의 기능의 수행을 지시하는 내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5.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소정의 조작 조건에 따른 키값을 받는 키값 수신부와;
    수신된 키값이 메뉴에 있는 소정의 기능을 지시하는 단축키값인지를 판단하여 그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부를 포함하는 영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축키값이 복수개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것인 경우 그 복수개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
  7. 일부 기능의 지시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써서 메뉴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는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특정한 기능 지시에 관련된 입력 키에 대한 소정의 조작 조건으로 발생된 키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키값이 메뉴 내의 기능 중 어떤 것을 지시하는 내용인지를 판별하는 과정과;
    판별된 메뉴 내의 기능 내지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 장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값을 판별하는 과정은 복수개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내용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 제어방법.
KR1020020055424A 2002-09-12 2002-09-12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 KR20040023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24A KR20040023965A (ko) 2002-09-12 2002-09-12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24A KR20040023965A (ko) 2002-09-12 2002-09-12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965A true KR20040023965A (ko) 2004-03-20

Family

ID=3732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424A KR20040023965A (ko) 2002-09-12 2002-09-12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96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585A (ja) * 1993-12-20 1995-07-14 Casio Comput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60043947A (ko) * 1995-05-30 1996-12-23 배순훈 매크로 명령 기능을 가지는 리모콘
KR19990025620A (ko) * 1997-09-13 1999-04-06 전주범 텔레비디오에서의 매크로동작 수행방법
KR19990035290A (ko) * 1997-10-31 1999-05-15 오충기 다기능 리모콘의 전자기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585A (ja) * 1993-12-20 1995-07-14 Casio Comput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60043947A (ko) * 1995-05-30 1996-12-23 배순훈 매크로 명령 기능을 가지는 리모콘
KR19990025620A (ko) * 1997-09-13 1999-04-06 전주범 텔레비디오에서의 매크로동작 수행방법
KR19990035290A (ko) * 1997-10-31 1999-05-15 오충기 다기능 리모콘의 전자기기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7774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US8212707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070063744A (ko) 타임 쉬프트 진행 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수신기
KR20000061224A (ko) 영상기기의 메뉴화면 표시방법
US20010007455A1 (en) Method of menu-driven control of an external connected device in an audio/video apparatus
US2007000323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CN101548540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395567B1 (ko) 설정치를 공유하는 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콤비네이션시스템의 환경 설정방법
JP5585002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EP1313315A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20120023420A (ko)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1712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contents and reproducing/recording selected contents
US20040197087A1 (en) Method for displaying available languages supported by the content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KR20040023965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영상 장치와 영상 장치 제어방법
US20080284913A1 (en)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8122382B2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JP2013510458A (ja) コンテンツアイテムの再生のために装置の設定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864720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US823786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mote control functions
JP3044907B2 (ja) 複数av機器の操作方式
JPH10112889A (ja) ポインタ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7300438A (ja) 入出力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入出力制御方法、入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406992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JP4676601B2 (ja) チャンネル設定装置
JPH08214182A (ja) Av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