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945A -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 - Google Patents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945A
KR20040023945A KR1020020055398A KR20020055398A KR20040023945A KR 20040023945 A KR20040023945 A KR 20040023945A KR 1020020055398 A KR1020020055398 A KR 1020020055398A KR 20020055398 A KR20020055398 A KR 20020055398A KR 20040023945 A KR20040023945 A KR 20040023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ye
image
light source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수
권혁제
이규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02005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945A/ko
Publication of KR2004002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285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피검자의 안구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이 광검출 광학계에서 결상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전기적 신호를 연산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시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안구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중앙처리부가 광이 안구에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되도록 광의 조사시간을 제어하고, 연속 조사된 광에 의해 광검출 광학계에 순차적으로 결상된 복수의 이미지를 중앙처리부의 프레임메모리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복수의 이미지의 저장 완료 후,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의 품질을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안구 정보 획득용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품질을 가진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여, 피검자의 안구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피검자가 측정 도중에 눈을 깜빡이더라도 연산이 가능하게 하고 재측정의 발생확률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측정시간의 단축 및 피검자와 검사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Improved method for measuring eyesight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력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검자의 눈의 깜빡임에 무관하게 정확하고 안정되게 시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력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시력측정기는 피검자의 안구의 상태를 살펴서, 안구의 굴절률 및 각막 곡률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이러한 시력측정기는 렌즈와 미러 등으로 이루어진 광학계와, 광학계를 통해 획득된 피검자가 눈의 정보 예를 들면 각막곡률, 수정체의 굴절력 등을 전기적 신호인 영상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 이미지센서의 출력으로부터 피검안자의 눈의 정보를 연산해 내는 중앙처리부와 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시력측정기를 이용하여 피검안자의 안구 상태를 측정할 때, 이미지 센서에는 하나의 안구 이미지만이 캡춰되고, 캡춰된 이미지 정보를 근거로 중앙연산부에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게 되므로, 만약 피검안자가 측정 당시에 눈을 감는 등 눈을 깜빡이게 되면 캡춰된 영상 이미지를 토대로 한 중앙연산부의 연산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서, 수동 또는 검안기 시스템에 의한 자동작업에 의한 재측정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수동 재측정을 하는 경우, 가측정, 운무법 등을 비롯한 모든 측정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 하므로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이때 피검자는 눈을 계속 크게 뜨고 있어야 하므로 피검자에게 눈의 피로감을 주게 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에 의한 자동 재측정이 이루어질 경우에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피검자에게 눈의 피로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자의 눈의 깜빡임에 무관하게 시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력 측정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연속 촬영된 복수개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시력측정값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시력 측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피검자의 안구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이 광검출 광학계에서 결상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전기적 신호를 연산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시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안구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먼저, 중앙처리부가 광이 안구에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되도록 광의 조사시간을 제어한다. 연속 조사된 광에 의해 광검출 광학계에 순차적으로 결상된 복수의 이미지를 중앙처리부의 프레임메모리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복수의 이미지의 저장 완료 후, 중앙처리부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의 품질을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안구 정보 획득용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품질을 가진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를 이용하여 굴절력 등을 연산하여 안구의 정보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검출 광학계는 안구로 입사되어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를 통과한 분리된 광신호를 이미지로 결상하는 광검출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의 품질은, 복수개의 홀을 통과한 광 스폿의 손상 여부, 광 스폿의 그레이 레벨 및 복수개의 광 스폿의 배열 상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력측정 방법을 구현하는 시력측정기는, 광원, 광원으로 출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피검자의 안구로 입사시키는 대물렌즈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행 경로에 있으며, 안구로 입사되는 광은 투과시키고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미러 부재와 상기 진로가 변경된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광검출 광학계, 및 광원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피검자의 안구로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조사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연속 조사에 의해 상기 광검출 광학계에서 순차적으로 검출된 복수의 안구 이미지 중에서, 안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에 적합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연산함으로써, 안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특히, 광원이 측정광원일 경우에, 광검출 광학계는 광원과 대물렌즈부 사이에 위치하며 안구로 입사되는 측정광은 투과시키고 안구의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측정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홀미러, 홀미러에서 반사된 광을 집속하는 렌즈부, 렌즈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분리된 광신호를 이미지로 결상하는 광검출센서를 구비하는 측정광 입사 광학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에는 측정광의 연속 조사에 의해 순차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안구 이미지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메모리,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안구 이미지프레임 중에서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여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가 프레임버퍼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제어부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광검출센서는 CMOS 카메라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메모리는 SDRAM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력 측정기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도 1의 중앙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시력 측정기는,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는 조준광과 측정광을 모두 출사할 수 있는 광원(S)을 포함하는 광 출사 광학계(10), 광 출사 광학계(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피검자의 안구로 입사시키는 대물렌즈부(OL), 광 출사 광학계(10)와 대물렌즈부(OL)사이에 배치되어 안구로 입사되는 광은 투과시키고 안구의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홀미러(M), 홀미러(M)에서 반사된 측정광을 집속하는 렌즈부(L2) 및 렌즈부(L2)를 통과한 광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장치(22, 24, 26)를 포함하는 측정광 입사 광학계(20), 안구와 대물렌즈(OL) 사이에 배치되어 안구로 입사되는 광은 투과시키고 안구의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하프미러(HM), 하프미러(HM)에서 반사된 광을 집속하는 렌즈(L4), 렌즈(L4)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장치(42, 44, 46)를 포함하는 각막 결상용 광학계(40) 및, 측정광 입사 광학계(20) 및 각막 결상용 광학계(40)의 광검출장치(22. 24, 26; 42, 44, 46)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연산하여 피검자의 안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처리부(50)를 포함한다.
측정광 입사 광학계(20) 및 각막 결상용 광학계(40)의 광검출장치(22, 24, 26;42, 44, 46)는 6홀 플레이트(22, 42), 릴레이렌즈(24, 44) 그리고 광검출센서(26,46)로 이루어져 있다. 6홀 플레이트(22, 42)는 각막(62) 또는 망막(64)에서 반사된 광을 분리하며, 분리된 광은 릴레이렌즈(24, 44)를 거쳐 광검출센서(26, 46)에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특히 측정광 입사 광학계의 6홀 플레이트(42)에서 분리된 측정광의 진행방향은 피검안(60)의 굴절률에 따라 달라지므로, 광검출센서(46)에 형성된 6개의 측정광의 위치를 이용하여 피검안(60)의 굴절력을 계산하게 된다. 한편, 피검자의 안구에서 반사된 광을 분리하는 플레이트(22, 42)에는 반드시 6개의 홀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피검안의 굴절력을 계산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그 개수를 정할 수 있다.
한편, 중앙처리부(50)는,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는 조준광과 측정광을 출사하도록 하는 전자 회로(5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회로의 일예가 본 출원인에 출원된 특허 2001-26944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50)는 시력 측정기의 측정광이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조사 시간 제어부(52)가 설치되어 있어서, 측정광 조사 동안에 광검출센서(46)에서 안구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50)는, 연속 촬영된 안구의 이미지 즉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53), 복수개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 연산에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는 선택부(55a), 선택된 이미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연산하는 연산부(55b)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프로세서(55) 및 마이크로프로세서(55)의 동작을 제어하고 프레임 메모리(53)가 프레임 버퍼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제어부(54)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광검출센서(26)로서는 연속촬영 카메라로서 사용될 수 있는 CMOS 카메라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메모리(54)로는 저가/대용량의 SDRAM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력 측정용 검안기를 이용한 시력 측정 과정을 살펴본다.
측정 작업이 시작되면(S10), 챠트 이미지 생성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시선을 챠트의 이미지에 고정시키고,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가진 조준광을 조사하여 검안기에 피검자의 동공을 정렬시켜 가측정을 실시한다(S12). 그리고 검안기에 대한 피검안의 초점이 맞지 않도록 하는 운무 과정을 실시하여(S14) 수정체의굴절력을 실측정하게 된다. 실측정 단계에서 중앙처리부(50)의 조사 시간 제어부(52)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측정광이 조사되어서, 안구의 영상은 순차적으로 측정광 입사 광학계(20)의 미러(M)와 렌즈(L2)를 거쳐, 측정용 입사 광학계(20)의 광검출센서(26)에 순차적으로 복수의 이미지로 결상되며,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는 프레임 단위로 처리되어 메모리제어부(54)를 거쳐 중앙처리부(50)의 프레임메모리(54)에 전달되게 된다(S16). 그리고 소정의 측정광 조사 시간 동안 촬영 될 수 있는 최대 수의 이미지 프레임의 저장이 완료되면, 메모리제어부(54)는 이미지 프레임 저장 완료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55)에 전달하게 된다. 마이크프로세서(55)는 저장완료 신호를 받은 후, 선택부(55a)를 구동시켜 후술하는 도 2의 단계 S20, S22, S24, S26, S28, S30, S32, S34로 이루어진 이미지 프레임 선택 과정에 의해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후 연산부(55b)는 이를 이용하여 공지의 연산 과정에 따라 측정값을 연산한다.
한편, 사람의 눈이 깜빡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0.1 초가 소요되며, 현재의 이미지 촬영기술로서 수개 내지 수십 개의 이미지를 캡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0. 1 내지 1초 정도이고, 측정 과정 중에서 피검자가 눈을 깜빡일 경우라도 안구의 이미지는 연속적으로 촬영되므로, CMOS 카메라와 같은 연속촬영 카메라의 복수개의 이미지 프레임 모두가 측정값 연산에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될 가능성은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수개 내지 수십 개의 이미지를 캡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0. 1 내지 1초 정도이므로, 본 발명에서 연속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은, 측정광과 피검자의 동공을 정렬시키는 가측정 시간, 운무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측정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에 대비하여 검안자 및 검사자에게 부담감을 주지 않는 범위내로 결정될 수 있다.
이제 연속 촬영(S16)된 복수개 프레임의 이미지들로부터 연산 가능한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프레임메모리(53)의 저장이 완료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55)의 선택부(55a)의 구동에 따라 복수개의 이미지 프레임 중 제일 먼저 저장된 즉, 제 1 이미지 프레임이 독출되어 메모리제어부(54)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55)의 선택부(55a)로 전송된다(S18). 여기서 “N”은 검사받는 이미지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이미지 프레임이므로 “N=1"로 표시되었고, “TN"은 근시도수, 난시도수 등을 추출할 타겟 이미지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서 검사가 진행 중이므로 잠정적으로 ”TN=1"로 표시된다. 그리고 ”PF"는 이전 이미지보다 낮은 품질의 이미지가 출력됐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측정되는 이미지가 이전 이미지보다 낮은 품질을 나타낼 경우 “PF=1"로 표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PF=0"으로 표시한다.
독출된 제 1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에 대해서 이젠 6개의 측정광에 대한 품질 테스트를 실시한다(S20). 6개의 측정광에 대한 품질 테스트(이하에서는 이를 6 스폿 테스트라 한다.)란, 측정광 입사 광학계(20)의 6홀 플레이트(26)를 통과하여 6개로 분리된 측정광 각각 즉 6개의 스폿(spot)의 소실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 각 스폿의 그레이 레벨은 어느 정도인지 또한 전체적으로 그레이 레벨의 균일성 또는6개의 스폿 배열의 대칭성 등이 연산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값으로 각 검안기 내부에서 설정되어 있는 값, 즉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5)의 선택부(55a)에 의해 캡춰된 제 1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가 6 스폿 테스트에 의해 연산 가능한 품질을 가진 이미지인 것이 밝혀지면, 프레임메모리(53)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이미지들의 검사는 실시되지 않고, 연산부(55b)는 6 스폿의 측정광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로부터 공지의 연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피검안의 근시 굴절도수와 난시 굴절도수 등을 출력하고(S42), 연산값을 중앙처리부(50)에 연결된 모니터(58)에 표시한다.
만약 캡춰된 이미지의 6 스폿 테스트 결과, 이미지의 품질이 소정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에는, 후속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프레임메모리(53)로부터 독출하여(S22), 2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6 스폿 테스트(S24)를 실시한다. 6스폿 이미지의 품질이 소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6 스폿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폿이 소실되어 거의 “0”에 가까운 그레이 레벨 값을 보인다거나, 또는 그레이 레벨 값이 매우 작아서 각 스폿의 이미지가 명확하지 않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연산이 가능하더라고, 부정확한 연산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제 2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에 대한 6 스폿 테스트(S24)의 결과, 제 2 이미지프레임의 이미지 품질이 소정 기준을 넘을 경우에는 제 1 이미지 프레임에서와같이 후속하는 이미지의 6 스폿 테스트를 행하지 않고 바로, 공지의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생성해낸다(S42).
한편, 제 2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가 정확한 연산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부(55a)에서는 제 1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품질(; 이전의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품질 Nq-1)과 제 2 이미지 프레임(현재 검사중인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품질 Nq)의 이미지 품질을 비교하게 된다(S26). 만약 제 2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품질이 이전의 이미지 프레임 즉 제 1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품질보다 높을 때는, 마이크로프로세서(55)에는 “TN"을 제 2 프레임을 나타내는 숫자(TN=N)로 대체되어 기록되며, ”PF=0"을 유지하고(S30), 연산 가능성에 대해서 선택 심사를 받는 이미지 프레임의 번호가 연속촬영 가능한 이미지 프레임의 최대 수(Max-N)에 도달했는지를 검사 받게 된다(S32). 그리고 만약 제 2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품질이 이전 즉 제 1 이미지 프레임의 것보다 높지 않을 때에는 “TN=1(이전 이미지 프레임)"을 유지하고 ”PF=1"로 변경한 뒤, 제 2 이미지 프레임이 연속촬영 가능한 이미지 프레임의 최대 수에 도달했는지를 검사받게 된다(S32). 단계 S32에서 검사 중인 이미지 프레임이 Max-N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제 2 이미지 프레임에 후속하는 제 3 프레임 이미지 프레임을 독출하여(S34), 단계 S24로 진행하여, 6 스폿 테스트를 받는 등 전술한 단계(S24, S26, S28, S30, S32, S34, S42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하는 도중, 연산 가능한 이미지가 확인되면, 그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연산과정(S42)을 수행하고, 후속하는 이미지 프레임의6점 테스트는 생략한다. 그런데, 연속 촬영 가능한 최대 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도달할 때까지 정확한 연산을 가능케 하는 이미지 프레임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에는, 2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그 첫 번째가 부정확하지만 연산이 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두 번째로는 전혀 연산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전자는, 검사받은 모든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에 있어서 6 스폿 어느 한 스폿 이상의 소실이 있거나 그레이 레벨의 균일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며, 후자는 모든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의 6 스폿 테스트 결과 그레이 레벨이 거의 “0”에 가까운 경우로서, 측정 대상이 되는 피검자의 안구가 완전히 감긴 경우를 포함한다.
전자는, 연산의 부정확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연산에 의한 측정값을 출력하고(S40), 연속촬영 전반에 걸쳐 검안자가 눈을 감아서 측정 대상이 없어 연산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는 검안기와 연결된 모니터에 ”측정 대상 없음“을 표시한다(S38).
한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중에서 연산 가능한 6 스폿 측정광 이미지를 선택하는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 이전 이미지의 품질을 비교하지 않고 S20과 S22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연산 가능한 이미지를 선택하지 위한 과정이 보다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다만 연산이 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없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정광과 조준광이 동일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경우에 한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정광과 조준광이 상호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광조사시간 제어부는 실측정을 위한 측정광원에 연결되어 측정광원의 조사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이미지 프레임을 얻기 위한 연속 촬영 기법을 실측정시에만 사용한 경우만이 설명되었으나, 조준광을 이용한 가측정시에도 연속촬영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는 조준광용 광원도 광 조사 시간 제어부에 의해 그의 조사 시간이 조절되어 연속적인 조준광 출사가 가능하다.
종래의 시력 측정용 검안기와 비교해보면, 종래의 시력 측정용 검안기에서는, 측정 동작 시 측정광이 단발적으로 1회에 한해서 조사되도록 되어 있어서, 측정광 입사 광학계(20)의 광검출센서(26)에서 결상되는 이미지는 오직 하나에 불과했다. 따라서 종래 기술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검자가 측정 시 눈을 깜빡이게 되면 6홀 플레이트(22)를 통과하여 광검출센서(26)에서 결상된 6개의 분리된 광 중의 일부가 소실되거나 또는 6개의 분리된 광으로 이루어진 이미지의 품질이 떨어져서, 연산을 실시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불량한 연산 결과가 나오게 되므로, 재측정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중앙처리부(50)에 조사 시간 제어부, 연속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메모리(53) 및 복수의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5)가 포함되어 있어서, 재측정을 해야 하는 경우는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시력 측정 등과 같은 검안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검사자와 피검자에게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광원,
    상기 광원으로 출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피검자의 안구로 입사시키는 대물렌즈부,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행 경로에 있으며, 안구로 입사되는 광은 투과시키고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미러 부재와 상기 진로가 변경된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광검출 광학계, 및
    상기 광원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피검자의 안구로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입사되도록 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연속 조사에 의해 상기 광검출 광학계에서 순차적으로 검출된 복수의 안구 이미지 중에서, 안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에 적합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연산함으로써, 안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시력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측정광원이며, 상기 광검출 광학계는 상기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부 사이에 위치하며 안구로 입사되는 측정광은 투과시키고 안구의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측정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홀미러, 상기 홀미러에서 반사된 광을 집속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통과한 분리된 광신호를이미지로 결상하는 광검출센서를 구비하는 측정광 입사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는 측정광의 연속 조사에 의해 순차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안구 이미지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메모리,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안구 이미지프레임 중에서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 프레임을 선택하여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가 프레임버퍼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제어부가 포함되어 있는 시력측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센서는 CMOS 카메라이며 상기 프레임메모리는 SDRAM으로 이루어진 시력측정기.
  4. 피검자의 안구에 조사되어 반사된 광이 광검출 광학계에서 결상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전기적 신호를 연산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시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안구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광이 안구에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되도록 광의 조사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연속 조사된 광에 의해 상기 광검출 광학계에 순차적으로 결상된 복수의 이미지를 상기 중앙처리부의 프레임메모리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저장 완료 후, 상기 중앙처리부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의 품질을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안구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품질을 가진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를 이용하여 연산하여 안구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력측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 광학계는 안구로 입사되어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통과한 분리된 광신호를 이미지로 결상하는 광검출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의 품질은,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과한 광 스폿의 손상 여부, 상기 광 스폿의 그레이 레벨 및 상기 복수개의 광 스폿의 배열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시력측정 방법.
KR1020020055398A 2002-09-12 2002-09-12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 KR20040023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98A KR20040023945A (ko) 2002-09-12 2002-09-12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98A KR20040023945A (ko) 2002-09-12 2002-09-12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945A true KR20040023945A (ko) 2004-03-20

Family

ID=3732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398A KR20040023945A (ko) 2002-09-12 2002-09-12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1351A1 (en) * 2017-03-29 2018-10-03 Vivior AG System for assessing a health condition of a us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411A (ja) * 1999-07-09 2001-01-23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1258846A (ja) * 2000-03-14 2001-09-25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2001275980A (ja) * 2000-03-31 2001-10-09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JP2002017682A (ja) * 2000-07-10 2002-01-22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2002238857A (ja) * 2001-02-20 2002-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眼底撮像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411A (ja) * 1999-07-09 2001-01-23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1258846A (ja) * 2000-03-14 2001-09-25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2001275980A (ja) * 2000-03-31 2001-10-09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JP2002017682A (ja) * 2000-07-10 2002-01-22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2002238857A (ja) * 2001-02-20 2002-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眼底撮像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1351A1 (en) * 2017-03-29 2018-10-03 Vivior AG System for assessing a health condition of a user
WO2018178267A1 (en) * 2017-03-29 2018-10-04 Vivior Ag System for assessing a health condition of a u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6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here and cylinder components of subjective refraction using objective wavefront measurement
US749094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objective refraction using wavefront sensing
US71148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objective refraction using wavefront sensing
JP5879826B2 (ja) 眼底撮影装置
KR101812249B1 (ko) 사시 자동측정기구
JP2021041175A (ja) 波面解析器を組み入れた物体フォロプタのフォロプタホイールアセンブリを較正する方法
JP4987426B2 (ja) 眼科測定装置
JP2017169601A (ja) 眼疲労検査装置及び眼疲労検査方法
JP2018047050A (ja) 検眼装置及び検眼プログラム
CN105962886A (zh) 眼科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9063265A (ja) 自覚式検眼装置
JP5011144B2 (ja) 眼科測定装置
JP2018171139A (ja) 自覚式検眼装置
JP7143577B2 (ja) 眼科装置
JPWO2018216551A1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作動方法
JPH067298A (ja) 眼屈折計
KR20040023945A (ko) 향상된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력 측정기
JP2005052248A (ja) 眼調節機能測定装置
WO2021049314A1 (ja) 情報解析装置及び情報解析プログラム。
GB2129963A (en) Visual acuity tester
JP7298134B2 (ja) 検眼システム
KR100479542B1 (ko)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US2023032058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fraction of an Eye
JPH09276221A (ja) 眼科用測定装置
EP30520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berrations of the optical system of a living be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