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789A -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789A
KR20040023789A KR10-2003-7009431A KR20037009431A KR20040023789A KR 20040023789 A KR20040023789 A KR 20040023789A KR 20037009431 A KR20037009431 A KR 20037009431A KR 20040023789 A KR20040023789 A KR 2004002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plate
intermediate fram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825B1 (ko
Inventor
우라세고헤이
사쿠마노부미쓰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24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with laterally or vertically adjustable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트랙 프레임(11)을 상부 선회체가 배럴(13)을 통해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12)과, 센터 프레임(12)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캐터필러가 각각 장착되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21, 21)과, 각 사이드 프레임(21)을 센터 프레임(12)에 연결하는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에 의해 구성한다. 그리고, 이들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를, 예를 들면 원형의 중공 파이프재에 의해, 상면측의 횡단면 형상을 경사지게 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튀어 오른 진흙이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 등에 부착되어, 퇴적(堆積)하려고 해도, 이들의 진흙은 경사진 횡단면 형상에 따라 낙하되어, 진흙의 부착, 퇴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TRACK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S}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크롤러(캐터필러)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하고, 좌, 우의 캐터필러를 구동함으로써 산악지, 진창 등의 부정지(不整地)를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2(1987)-59578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0-230252호 공보 등).
이 종류의 종래 기술에 의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는 상부 선회체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이 센터 프레임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캐터필러가 각각 장착되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과, 이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센터 프레임에 연결하는 복수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트랙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트랙 프레임의 각 사이드 프레임은 길이 방향의 한쪽에 유동(遊動)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유동 바퀴 브래킷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다른 쪽에는 주행용의 유압 모터를 구동 바퀴 등과 함께 장착하기 위한 모터 브래킷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터필러는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유동 바퀴와 구동 바퀴 사이에 두루 감아 장착되어 있다. 이 캐터필러는 주행용의 유압 모터로 구동 바퀴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의 주위에서 회전 동작하여, 차량의 전, 후진을 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진창 등을 주행할 때에 캐터필러에 의해 말려 올려지거나, 튀어 올려지거나 하는 진흙이 트랙 프레임 상에 퇴적한다. 이 때문에, 퇴적된 진흙은 캐터필러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이 진흙은 차량(특히, 트랙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 및 다리부 등)을 오손(汚損)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센터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전, 후로 이간시켜, 전, 후의 다리부 사이를 진흙 빼기 구멍으로 함으로써 진흙의 퇴적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트랙 프레임에서는, 다리부의 상면측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리부의 상면 측에는 진흙이 퇴적되기 쉬어, 굴착 작업 등의 종료 후에 진흙을 제거하기 위해 수세(水洗) 등의 세정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생기며, 이와 같은 세정 작업에 다대한 노력와 시간을 소비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로서, 트랙 프레임의 상면 측에 평판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흙받이 커버를 설치하고, 이 흙받이 커버를 좌, 우 방향 등으로 가진(加振)함으로써 토사 등의 퇴적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18861호 공보 등).
그러나, 이 경우에는, 트랙 프레임의 상면 측에 평판형의 흙받이 커버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데다, 이 흙받이 커버를 진동시키기 위한 가진기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있어, 부품 개수가 증가하여 조립 시의 작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소형의 유압 셔블 등에 있어서는, 트랙 프레임을 컴팩트하게 형성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캐터필러 근방의 장착 스페이스 등이 매우 작아, 흙받이 커버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의 하부 주행체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이 적용된 소형의 유압 셔블을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트랙 프레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트랙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확대하여 본 트랙 프레임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중간 프레임부를 도 4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으로부터 확대하여 본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유동 바퀴 브래킷부를 도 4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으로부터 확대하여 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 중의 다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제1의 변형예에 의한 다리부를 도 8과 대략 동일 위치에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의 변형예에 의한 다리부를 도 8과 대략 동일 위치에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의 변형예에 의한 다리부를 도 8과 대략 동일 위치에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의 변형예에 의한 다리부를 도 8과 대략 동일 위치에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5의 변형예에 의한 다리부를 도 8과 대략 동일 위치에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트랙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트랙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앞다리부와 뒷다리부를 도 17 중의 화살표 XVIII-XVIII 방향으로부터 확대하여 본 앞, 뒷다리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낸 일부 파단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6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6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 중의 센터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앞다리부, 뒷다리부 등을 일부 생략한 상태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수평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흙받이 커버 등을 불필요하게 하여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진흙 등의 부착, 퇴적을 방지할 수 있어 수세 등의 세정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선회체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이 센터 프레임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캐터필러가 각각 장착되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과, 이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센터 프레임에 연결하는 전, 후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다리부를 진흙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상면을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진창 등을 주행할 때에 캐터필러에 의해 진흙이 트랙 프레임 상에 튀어 올라도, 이와 같은 진흙을 다리부의 상면측으로부터 경사면(만곡면을 포함함)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도록 제거할 수 있어, 트랙 프레임의 다리부 등에 진흙이 부착하여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다리부를 횡단면 형상이 원호형 또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중공(中空)의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대략 삼각 형상 등의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다리부를 형성할 수 있어, 상면측에 진흙이 부착하여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횡단면 형상이 원호형 또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중공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원호형 또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중공 구조의 다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2장의 판재를 상, 하로 중합(重合)하도록 하여 중공 구조의 다리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측의 판재에 원호형 또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진흙을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지게 하여 외부로 제거할 수 있어, 진흙의 부착,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사이드 프레임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가지는 통체(筒體)로서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공의 파이프재를 절단하여 다리부를 형성하는 경우나, 판재를 굽힘 가공하여 다리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다리부에 대한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각 다리부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는 센터 프레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져 연장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센터 프레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진 다리부의 경사 방향에 따라서도 진흙을 배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이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 프레임부는 좌, 우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간 프레임부에는 좌, 우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사면을 따라 진흙을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도록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측에서도 진흙의 부착,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이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 바퀴 브래킷부는 캐터필러 인장(引張) 조정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좌, 우 방향의 중앙부에 정상부를 가지며, 이 정상부의 위치로부터 좌, 우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동 바퀴 브래킷부측에서는 좌, 우 방향의 중앙부(정상부)로부터 좌, 우의 외측으로 향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어, 그 내부에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좌, 우의 경사면을 따라 진흙을 배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다리부는 좌, 우 방향에서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후의 다리부를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대하여 전, 후로 이간(離間)시켜 배치할 수 있고, 이들 다리부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을 센터 프레임에 충분한 강성(剛性)을 가지고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전, 후의 다리부 사이를 진흙 함정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이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다른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며,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는 경사 전방으로 또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연결하고, 뒤쪽의 다리부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중간 프레임부와 모터 브래킷부측의 접속 플랜지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후의 다리부를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와 모터 브래킷부의 접속 플랜지측에 전, 후로 이간시켜 배치할 수 있고, 이들 다리부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을 센터 프레임에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전, 후의 다리부사이를 진흙 함정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이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다른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며,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는 경사 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유동 바퀴 브래킷부에 연결하고, 뒤쪽의 다리부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중간 프레임부와 모터 브래킷부측의 접속 플랜지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후의 다리부를 사이드 프레임의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모터 브래킷부의 접속 플랜지측에 전, 후로 크게 이간시켜 배치할 수 있고, 이들 다리부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을 센터 프레임에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전, 후의 다리부 사이를 진흙 함정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 프레임부는 좌, 우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간 프레임부에는 좌, 우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사면을 따라 진흙을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도록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측에서도 진흙의 부착,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와 뒤쪽의 다리부는 서로 상이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시나 작업 시에 트랙 프레임이받는 하중 분담 등에 따라 앞쪽의 다리부와 뒤쪽의 다리부를, 각각 상이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센터 프레임에 대한 사이드 프레임의 접합 강도 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에는 배토판(排土板)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래킷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토판용의 지지 브래킷을 센터 프레임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센터 프레임을 컴팩트하게 형성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다리부를 센터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좌, 우 방향의 간격을 가변(可變)으로 조정하는 가동(可動) 다리로서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트랙 프레임의 차폭 조정을 가동 다리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가동 다리 등에 진흙이 부착하여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을 유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1)은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이며, 이 하부 주행체(1)는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12) 및 사이드 프레임(21) 등으로 이루어지는 트랙 프레임(11)을 구비하고, 사이드 프레임(21)의 길이 방향 한쪽에는 아이들러로서의 유동(遊動) 바퀴(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21)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는 주행용의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로킷으로서의 구동 바퀴(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바퀴(3)와 유동 바퀴(2) 사이에는 사이드 프레임(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 우의 캐터필러(4)(도 1 중에 한쪽만 도시)가 감겨 있다. 그리고, 하부 주행체(1)는 상기 유압 모터로 캐터필러(4)를 구동함으로써 노상 주행 등을 실행하는 것이다.
(5)는 하부 주행체(1) 상에 선회 바퀴(6)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이며, 이 상부 선회체(5)에는 운전실을 구획 형성하는 캡(7), 카운터 웨이트(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선회체(5)의 앞부분 측에는 예를 들면 스윙 포스트식의 작업 장치(9) 등이 설치되고, 이 작업 장치(9)에 의해 토사 등의 굴착 작업이 실행된다.
한편, 하부 주행체(1)의 앞쪽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토판(排土板)(10) 등이 상, 하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토판(10)은 토사 등의 배토 작업, 흙 고르기 작업 등을 실행하는 것이다.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이며, 이 트랙 프레임(11)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12)과, 이 센터 프레임(12)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21, 21)과, 이들 사이드 프레임(211)을 센터 프레임(12)에 연결하는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2)는 트랙 프레임(1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센터 프레임이며, 이 센터 프레임(12)은 강판 등을 사용하여 각각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센터 프레임(12)은 상면측 중앙에 선회 바퀴(6)를 장착하기 위한 배럴(barrel)(13)이 고착된 상판(14), 이 상판(14)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이 상판(14)과 상, 하 방향에서 대면한 하판(15), 좌, 우의 측판(16, 16), 앞판(17) 및 뒤판(1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좌, 우의 측판(16, 16)은 상판(14)과 하판(15)의 좌, 우 양단측에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좌, 우 양측으로부터 폐쇄하고 있다. 또 앞판(17)과 뒤판(18)은 상판(14)과 하판(15)의 전, 후 양단측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상판(14)과 하판(15) 사이를 앞쪽과 뒤쪽으로부터 폐쇄하고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12)은 이들 상판(14), 하판(15), 좌, 우의 측판(16, 16), 앞판(17) 및 뒤판(18)에 의해 편평한 박스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판(14)과 하판(15)의 중앙부에는 센터 프레임(12) 내에 센터 조인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14A, 15A)이 상, 하 방향으로 뚤려 형성되어 있다.
(19)는 센터 프레임(12)의 전단측 중앙부에 설치한 장착 브래킷이며, 이 장착 브래킷(19)은 앞판(17) 등의 중앙부에 용접 수단을 사용하여 접합되어, 센터 프레임(12)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브래킷(19)에는 도 1에 나타낸 배토판(10)을 상, 하로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20, 20)은 장착 브래킷(19)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여 센터 프레임(12)의 전단(前端)측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 브래킷이며, 이 각 지지 브래킷(20)은 장착 브래킷(19)과 거의 동일하게 앞판(17) 등에 용접 수단을 사용하여 접합되어, 센터 프레임(12)으로부터 앞쪽으로 경사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 브래킷(20)에는 도 1에 나타낸 배토판(10)에 설치한 좌, 우의 지지암(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21, 21)은 센터 프레임(12)의 좌, 우 양측에 설치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이며, 이 각 사이드 프레임(21)은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하는 중간 프레임부(22), 유동 바퀴 브래킷부(25) 및 모터 브래킷부(2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21)에는 유동 바퀴(2)와 구동 바퀴(3) 사이에 캐터필러(4)가 장착되는 것이다.
(22)는 사이드 프레임(21)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간 프레임부이며, 이 중간 프레임부(22)는 강판 등의 금속 판재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折曲)함으로써, 좌, 우의 측판부(22A, 22B), 정상부(22C) 및 경사판부(22D)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중간 프레임부(22)는 좌, 우의 측판부(22A, 22B)가 서로 평행이 되어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지만, 이들 측판부(22A, 22B) 중 좌, 우 방향의 내측[센터 프레임(12)측]에 위치하는 측판부(22A)는 외측의 측판부(22B)보다 긴 치수(큰 높이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측판부(22A)의 상단측은 대략 V자형으로 굴곡되어 산 형상을 이루는 정상부(22C)로서 형성되고, 이 정상부(22C)와 측판부(22B) 사이는 경사 하향 경사지는 경사판부(22D)로 되어 있다.
또 중간 프레임부(22)의 앞부분측에는 외측의 측판부(22B)와 경사판부(22D) 사이에 대략 사각형의 창부(22E)가 형성되고, 이 창부(22E)는 덮개판(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개(開), 폐(閉)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캐터필러 인장(引張) 조정 장치(27)에 그리스 등을 보급 또는 주입할 때에는 상기 덮개판에 의해 창부(22E)를 연 상태에서, 그리스 건(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 창부(22E)를 통해 중간 프레임부(22) 내에 삽입하는 것이다.
(23)은 중간 프레임부(22)의 길이 방향 한쪽을 폐쇄하는 한측의 접속 플랜지, (24)는 중간 프레임부(22)의 길이 방향 다른 쪽을 폐쇄하는 다른 쪽의 접속 플랜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접속 플랜지(23, 24)는 강판 등의 평판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중간 프레임부(22)의 전, 후단측에 용접에 의해 각각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속 플랜지(23)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형의 끼워 맞춤 구멍(23A)이 뚤려 형성되고, 이 끼워 맞춤 구멍(23A)에는 후술하는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의 후단부 등이 끼워져 장착된다. 이에 따라,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의 후단부는 접속 플랜지(23)의 끼워 맞춤 구멍(23A)으로부터 중간 프레임부(22)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 같이 중간 프레임부(22)의 창부(22E)로부터 삽입된 그리스 건은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의 후단부측을 통해 그리스 등의 주입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 접속 플랜지(24)는 중간 프레임부(22), 접속 플랜지(23)보다 폭 넓게(좌, 우 방향의 치수가 크게) 형성되며, 그 한 측면에는 중간 프레임부(22)의 다른 측단부와 함께 후술하는 뒷다리부(31)의 선단측이 접합되어 있다.
(25)는 중간 프레임부(22)의 길이 방향 한쪽에 접속 플랜지(23)를 통해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이며, 이 유동 바퀴 브래킷부(25)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강판 등의 금속 판재를 정상부가 산 형상인 5각형으로 절곡함으로써, 좌, 우 대칭의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 우의 측판부(25A, 25A), 정상부(25B) 및 좌, 우의 경사판부(25C, 25C)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동 바퀴 브래킷부(25)는 좌, 우의 측판부(25A, 25A)가 서로 평행이 되어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 측판부(25A, 25A) 사이의 중앙부가 대략 역(逆)V자형으로 돌출된 산 형상의 정상부(25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정상부(25B)와 각 측판부(25A) 사이는 좌, 우 방향으로 각각 경사 하향 경사지는 경사판부(25C)로 되어 있다.
또 각 측판부(25A)의 내측면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 우의 유동 바퀴 가이드(26, 26)가 설치되고, 이 각 유동 바퀴 가이드(26)는 도 1에 나타낸 유동 바퀴(2)를 유동 바퀴 브래킷부(25)의 길이 방향(전, 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또 유동 바퀴 브래킷부(25) 내에는 도 3, 도 7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 같이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가 설치되고, 유동 바퀴 브래킷부(25)는 이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전술한 각 측판부(25A), 정상부(25B) 및 각 경사판부(25C)로 이루어지는 좌, 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는 내부에 그리스가 충전된 실린더, 이 실린더의 외측에 설치된 장력(張力) 조정 스프링(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는 도 1에 나타낸 유동 바퀴(2)를 캐터필러(4)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기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캐터필러(4)의 장력 조정 등을 실행하는 것이다.
한편, 유동 바퀴 브래킷부(25)의 정상부(25B)측에는 도 2,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U자형으로 연장되는 노치(25D)가 형성되고, 이 노치(25D)의 주위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 부착판(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노치(25D), 테두리 부착판(28)은 도 1에 나타낸 유동 바퀴(2)가 사이드 프레임(21)의 길이 방향(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상하는 것이다.
(29)는 중간 프레임부(22)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접속 플랜지(24)를 통해 설치된 모터 브래킷부이며, 이 모터 브래킷부(29)에는 도 2,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형의 장착 구멍(29A)이 형성되고, 이 장착 구멍(29A)에는 주행용의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나는 구동 바퀴(3)는 주행용의 유압 모터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캐터필러(4)를 유동 바퀴(2) 사이에서 주위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다.
(30, 30)은 사이드 프레임(21)의 중간 프레임부(22)를 센터 프레임(12)의 측판(16)에 연결한 좌, 우의 앞다리부이며, 이 각 앞다리부(30)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횡단면이 중공 원형의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그 상면측은 정상부(30A)의 위치로부터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하향 경사져 있다.
그리고, 각 앞다리부(30)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터 프레임 (12)과 사이드 프레임(21) 사이를 이 사이드 프레임(21)과 직교하도록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앞다리부(30)의 일단(기단)측은 센터 프레임(12)의측판(16)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 앞다리부(30)의 타단(선단)측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 하향 경사져 연장되고, 중간 프레임부(22)의 측판부(22A)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31, 31)은 앞다리부(30)보다 뒤쪽에 위치하여 사이드 프레임(21)과 센터 프레임(12) 사이를 연결한 좌, 우의 뒷다리부이며, 이 각 뒷다리부(31)는 도 8에 예시한 앞다리부(30)와 거의 동일한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그 횡단면은 중공의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각 뒷다리부(31)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터 프레임(12)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1)의 접속 플랜지(24)측을 향해 좌, 우 방향으로, 또한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뒷다리부(31)의 일단측은 센터 프레임(12)의 측판(16)과 뒤판(18) 사이의 각(角) 코너측에 접합되어 있다. 또 뒷다리부(31)의 타단(선단)측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 하향으로 후방으로 경사져 연장되고, 중간 프레임부(22)의 뒤쪽 부위와 모터 브래킷부(29)측의 접속 플랜지(24) 사이에 접합되어 있다.
(32, 32)는 좌, 우의 보강판이며, 이 보강판(32)은 뒷다리부(31)와 사이드 프레임(21)의 중간 프레임부(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보강판(32)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뒷다리부(31)의 선단측과 중간 프레임부(22)의 뒤쪽 부위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양자 사이에 접합되어, 뒷다리부(31)와 중간 프레임부(22) 사이의 접합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압 셔블의 트랙 프레임(11)은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가지는 것이며,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트랙 프레임(11)은 상부 선회체(5)를 장착하기 위한 배럴(13)을 가지는 센터 프레임(12)과, 이 센터 프레임(12)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21, 21)과, 이 사이드 프레임(21)과 센터 프레임(12) 사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각 사이드 프레임(21)을 센터 프레임(12)에 연결한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다리부(30)는 센터 프레임(12)과 사이드 프레임(21) 사이를 좌, 우 방향에서 경사 하향 경사져 연장되어, 선단측을 중간 프레임부(22)의 앞부분측에 연결하고 있다. 또 뒷다리부(31)는 센터 프레임(12)과 사이드 프레임(21) 사이를 경사 후방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선단측을 모터 브래킷부(29)측의 접속 플랜지(24)와 중간 프레임부(22)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다리부(30)와 뒷다리부(31)는 사이드 프레임(21)에 대하여 중간 프레임부(22)의 앞쪽 부위와 뒤쪽의 접속 플랜지(24)측으로 전, 후로 이간시켜 설치할 수 있고, 이들 앞다리부(30)와 뒷다리부(31)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21)을 센터 프레임(12)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가지고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12)을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21, 21) 사이에 안정된 들보 구조를 이루어 설치할 수 있어, 트랙 프레임(11) 전체의 강도를 확실하게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전체를 골조 구조로 함으로써 트랙 프레임(11)의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앞다리부(30)와 뒷다리부(31)는 중공 원통형의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그 상면측은 도 8에 예시한 것과 같이 정상부(30A)의 위치로부터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하향 경사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진창 등의 주행 시에 캐터필러(4)에 의해 진흙이 말려 오르거나, 튀어 오르거나 하면, 이와 같은 진흙은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 상에 부착되거나 퇴적되거나 하려고 한다. 그러나, 앞다리부(30)와 뒷다리부(31)는 원형의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진흙은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의 횡단면 형상에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도록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에 진흙이 부착,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들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는 센터 프레임(12)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1)측으로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의 경사 방향에 따라 진흙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앞다리부(30)와 뒷다리부(31) 사이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삼각 형상의 공간부(33)로 되어, 이 공간부(33)를 진흙 함정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2l)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22)와, 중간 프레임부(22)의 길이 방향 한쪽에 접속 플랜지(23)를 통해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25)와, 중간 프레임부(22)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다른 접속 플랜지(24)를 통해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프레임부(22)는 좌, 우의 측판부(22A, 22B) 중 센터 프레임(12)측에 위치하는 내측의 측판부(22A)를 외측의 측판부(22B)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시켜, 측판부(22A)의 상단측을 산 형상의 정상부(22C)로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정상부(22C)와 외측의 측판부(22B) 사이에는 경사 하향 경사지는 경사판부(22D)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21)의 중간 프레임부(22)에 있어서도, 그 상면측에 좌, 우 방향의 내측 부위[정상부(22C)]에서 외측 부위로 향해 경사판부(22D)에 의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캐터필러(4)에 의해 말아 올려진 진흙 등은 정상부(22C)로부터 경사판부(22D)에 따라 외부로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도록 배출되어, 사이드 프레임(21)측에서도 진흙의 부착,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이드 프레임(21)의 유동 바퀴, 브래킷부(25)는 도 7에 예시한 것과 같이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좌, 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면측에는 좌, 우 방향의 중앙부에 정상부(25B)를 가지는 동시에, 이 정상부(25B)의 위치로부터 좌, 우로 경사 하향 경사진 경사판부(25C, 25C)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동 바퀴 브래킷부(25)측에서도, 그 상면측에 좌, 우 방향의 중앙부[정상부(25B)]로부터 좌, 우의 외측으로 향한 경사면을 경사판부(25C)에 의해 형성할 수 있어, 이들 경사판부(25C)에 따라 진흙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 유동 바퀴 브래킷부(25) 내에는 캐터필러 인장 조정 장치(27)를 여유를 갖고 수용할 수 있어, 캐터필러(4)의 장력 조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11)은 사이드 프레임(21),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를 전술한 것과 같은 횡단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들에 진흙이 부착되거나 퇴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굴착 작업 등의 종료 후에 실행하는 수세 등의 세정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채용하고 있는 흙받이 커버 등은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증가하여 조립 시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트랙 프레임(11)을 컴팩트하게 형성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소형의 유압 셔블 등에 있어서도, 흙받이 커버 등을 불필요하게 하여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진흙 브러시 성능(진흙의 배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횡단면이 원형의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앞다리부(30)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제1 변형 예와 같이 횡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인 중공 파이프재에 의해 앞쪽의 다리부(41)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다리부(41)의 횡단면을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정상부(41A)를 예각의 산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 정상부(41A)의 양측을 하향 직선형으로 경사진 경사면부(41B, 41B)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부(41)의 진흙 브러시 성능을 향상시켜,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중공 구조로서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제2 변형 예와 같이 횡단면이 역U자 형상을 이루는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다리부(42)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다리부(42)의 정상부(42A)를 산 형상으로 돌출시키고, 이 정상부(42A)의 양측을 원호형(볼록 만곡형)에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부(42B, 42B)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낸 제3 변형예와 같이, 횡단면이 등각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다리부(43)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다리부(43)의 상면 측에 폭이 좁은 정상부(43A)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정상부(43A)의 양측을 하향 직선형으로 경사진 경사면부(43B, 43B)로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낸 제4 변형 예와 같이, 횡단면이 비대칭인 형상의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다리부(44)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한쪽의 측면부(44A) 상단측을 정상부(44B)로 하고, 이 정상부(44B)와 다른 쪽의 측면부(44C) 사이에는 정상부(44B)로부터 다른 쪽의 측면부(44C)를 향해 경사 하향으로 직선형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44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제5 변형 예와 같이, 타원 형상을 이루는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다리부(45)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 다리부(41∼45)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뒷다리부(31)(도 2, 도 4 등에 나타냄)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앞쪽의 다리부를 센터 프레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을 향해 경사 전방으로 연장하고, 뒤쪽의 다리부를 경사 후방으로 연장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51)은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51)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트랙 프레임(11)과 대략 동일하게,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52),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57, 57), 앞다리부(61), 뒷다리부(6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52)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센터 프레임(12)과 대략 동일하게, 배럴(53), 관통 구멍(54A)을 가지는 상판(54), 하판(도시하지 않음), 좌, 우의 측판(55)(한쪽만 도시), 앞판(56) 및 뒤판(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52)의 앞쪽에는 배토판(10)용의 장착 브래킷(19) 및 지지 브래킷(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57, 57)은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며, 이 각 사이드 프레임(57)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이드 프레임(21)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며, 중간 프레임부(58), 유동 바퀴 브래킷부(59) 및 모터 브래킷부(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중간 프레임부(58)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중간 프레임부(22)와 동일하게 경사판부(58A) 등을 가지고 있다.
(61, 61)은 좌, 우의 앞다리부이며, 이 각 앞다리부(61)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앞다리부(30)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 앞다리부(61)는 센터 프레임(52)의 측판(55)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57)의 유동 바퀴 브래킷부(59)를 향해 경사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측은 유동 바퀴 브래킷부(59)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62, 62)는 좌, 우의 뒷다리부이며, 이 각 뒷다리부(62)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뒷다리부(31)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다리부(62)의 선단측은 센터 프레임(52)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57)의 접속 플랜지(24)측을 향해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중간 프레임부(58)의 뒤쪽 부위와 접속 플랜지(24)에 접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앞다리부(61)와 뒷다리부(62)는 원형의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앞다리부(61), 뒷다리부(62)의 횡단면 형상에 따라 진흙을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도록 배출할 수 있어, 앞다리부(61), 뒷다리부(62)에 진흙이 부착,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앞다리부(61)를 경사 전방으로 연장하여 선단측을 사이드 프레임(57)의 유동 바퀴 브래킷부(59)에 연결하고, 뒷다리부(62)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하여 선단측을 중간 프레임부(58)의 뒤쪽 부위와 모터 브래킷부(60)측의 접속 플랜지(24)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다리부(61), 뒷다리부(62)를 사이드 프레임(57)의 유동 바퀴 브래킷부(59)와 모터 브래킷부(60)측의 접속 플랜지(24)에 전, 후로 크게 이간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앞다리부(61), 뒷다리부(62)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57)을 센터 프레임(52)에 높은 강성을 가지고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앞다리부(61), 뒷다리부(62)를,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57, 57) 사이에서 센터 프레임(52)을 중심으로 한 대략 X자형의 들보 구조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앞다리부(61), 뒷다리부(62)에 의해, 트랙 프레임(51) 전체를 안정된 프레임 구조로 제작, 조립할 수 있다. 또앞다리부(61)와 뒷다리부(62) 사이에는,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삼각 형상의 공간부(63)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공간부(63)를 진흙 함정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전, 후의 다리부를 좌, 우 방향에서 서로 평행으로 연장하고, 그 선단측을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71)은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71)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트랙 프레임(11)과 대략 동일하게,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72),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77, 77), 앞다리부(81), 뒷다리부(8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72)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센터 프레임(12)과 대략 동일하게, 배럴(73), 관통 구멍(74A)을 가지는 상판(74), 하판(도시하지 않음), 좌, 우의 측판(75)(한쪽만 도시), 앞판(76) 및 뒤판(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72)의 앞쪽에는 배토판(10)용의 장착 브래킷(19) 및 지지 브래킷(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77, 77)은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며, 이 각 사이드 프레임(77)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이드 프레임(21)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중간 프레임부(78), 유동 바퀴 브래킷부(79) 및 모터 브래킷부(8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중간 프레임부(78)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중간 프레임부(22)와 동일하게 경사판부(78A) 등을 가지고 있다.
(81, 81)은 좌, 우의 앞다리부이며, 이 각 앞다리부(81)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앞다리부(30)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며, 센터 프레임(72)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77)측을 향해 좌, 우 방향에서 경사 하향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앞다리부(81)는 후술하는 하판(83)의 앞쪽판부(83A)와 앞 상판(84)을 접합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82, 82)는 좌, 우의 뒷다리부이며, 이 각 뒷다리부(82)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뒷다리부(31)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뒷다리부(82)는 센터 프레임(72)의 뒷부분측을 사이드 프레임(77)의 중간 프레임부(78)에 연결하고, 양자 사이를 앞다리부(81)와 대략 평행으로 좌, 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경사 하향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뒷다리부(82)는 후술하는 하판(83)의 뒤쪽판부(83B)와 뒷상판(85)을 접합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앞다리부(81)와는 서로 상이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83)은 앞다리부(81)와 뒷다리부(82)와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판이며, 이 하판(83)은, 예를 들면, 센터 프레임(72)의 하판(도시하지 않음)과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판(83)은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터 프레임(72)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77)을 향해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는앞쪽판부(83A), 뒤쪽판부(83B)와, 이들 앞쪽판부(83A), 뒤쪽판부(83B) 사이에 형성된 대략 U자형의 노치 오목부(83C)로 구성되어 있다.
(84)는 앞상판을 나타내며, 이 앞상판(84)은 하판(83)의 앞쪽판부(83A)와 함께 앞다리부(81)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앞상판(84)은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강판 등을 프레스 성형 수단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전, 후의 측판부(84A, 84B), 정상부(84C) 및 경사판부(84D)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앞상판(84)은 전, 후의 측판부(84A, 84B)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판부(84A, 84B)의 하단은 하판(83)의 앞쪽판부(83A) 상에 용접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앞상판(84)은 하판(83)과 함께 앞다리부(81)를 구성하고 있다.
또 측판부(84A, 84B) 중 앞쪽에 위치하는 측판부(84A)는 뒤쪽의 측판부(84B)보다 긴 치수(큰 높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판부(84A)의 상단측은 대략 V자 모양으로 굴곡되어 산 형상을 이루는 정상부(84C)로서 형성되고, 이 정상부(84C)와 측판부(84B) 사이는 뒤쪽을 향해 경사 하향 직선형으로 경사지는 경사판부(84D)로 되어 있다.
(85)는 뒷상판을 나타내며, 이 뒷상판(85)은 하판(83)의 뒤쪽판부(83B)와 함께 뒷다리부(82)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뒷상판(85)은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강판 등을 프레스 성형 수단으로 정상부가 산 형상을 한 5각형으로 절곡함으로써, 전, 후의 측판부(85A, 85B), 정상부(85C) 및 전, 후의 경사판부(85D, 85E)로이루어지는 전, 후로 대칭의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뒷상판(85)는 전, 후의 측판부(85A, 85B)가 서로 평행으로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판부(85A, 85B)의 하단은 하판(83)의 뒤쪽판부(83B) 상에 용접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뒷상판(85)은 측판부(85A 85B) 사이의 중앙부가 대략 V자 모양으로 돌출된 산 형상의 정상부(8)로 되고, 이 정상부(85C)와 전, 후의 측판부(85A, 85B) 사이는, 각각 경사 하향으로 직선형으로 경사지는 경사판부(85D, 85E)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앞다리부(81)의 앞상판(84)은 정상부(84C)로부터 뒤쪽을 향해 경사 하향 경사지는 경사판부(84D)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경사판부(84D)에 따라 진흙을 배출함으로써, 앞다리부(81)에 진흙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뒷다리부(82)의 뒷상판(85)은 정상부(85C)로부터 앞쪽, 뒤쪽에 경사 하향 경사지는 경사판부(85D, 85E)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경사판부(85D, 85E)에 따라 진흙을 배출함으로써, 뒷다리부(82)에 진흙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앞다리부(81)와 뒷다리부(82)는 하판(83)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센터 프레임(72)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77)의 중간 프레임부(78)측을 향해 서로 평행으로, 또한 전, 후로 이간시켜 형성할 수 있다.이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77)과 센터 프레임(72)은 이들 앞다리부(81), 뒷다리부(82)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앞다리부(81)와 뒷다리부(82) 사이에는 하판(83)에 형성한 대략 U자형의 노치 오목부(83C)에 의해 진흙 함정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앞다리부(81)는 하판(83)의 앞쪽판부(83A)와 앞상판(84)을 서로 상, 하에서 접합함으로써 조립되며, 뒷다리부(82)도 하판(83)의 뒤쪽판부(83B)와 뒷상판(85)을 서로 상, 하에서 용접함으로써 조립되어 있다. 또한 앞다리부(81)와 뒷다리부(82)는 서로 상이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시나 작업 시에 트랙 프레임(71)이 받는 하중 분담 등에 대응시켜, 앞다리부(81), 뒷다리부(82)를 각각 소요로 하는(적절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센터 프레임(72)에 대한 사이드 프레임(77)의 접합 강도 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앞쪽의 다리부에 배토판용의 지지 브래킷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91)은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51)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트랙 프레임(11)과 대략 동일하게,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21, 21)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91)은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92)과 앞다리부(96), 뒷다리부(97)가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92)는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센터 프레임이며, 이 센터 프레임(92)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센터 프레임(12)과 대략 동일하게, 배럴(93), 관통 구멍(94A)을 가지는 상판(94), 하판, 좌, 우의 측판, 앞판 및 뒤판(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센터 프레임(92)은 상판(94) 등의 가로폭 치수(좌, 우 방향의 치수)가 배럴(93)의 외경 치수에 근접하도록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센터 프레임(92)은 차폭 방향에서 단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92)의 앞쪽에는 좌, 우 방향의 중앙부에 장착 브래킷(9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착 브래킷(95)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배토판(10)용의 장착 브래킷(19)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 배토판(10)을 지지하는 후술하는 지지 브래킷(99)은 후술하는 앞다리부(96)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96, 96)은 좌, 우의 앞다리부이며, 이 각 앞다리부(96)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앞다리부(30)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며, 센터 프레임(92)의 측면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1)의 중간 프레임부(22)를 향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앞다리부(96)는 제1 실시예보다 장척(長尺)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도중 부위에는 후술하는 지지 브래킷(9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앞다리부(96)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제4 변형예에 의한 다리부(44)와 대략 동일하게, 횡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이 되는 각통(角筒) 파이프재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같은 다리부(44)를 사용한 경우에는, 앞다리부(96)의 앞쪽면은 후술하는 지지 브래킷(99)을 넓은 용접 면적을 가지고 접합할 수 있다.
(97, 97)은 좌, 우의 뒷다리부이며, 이 각 뒷다리부(97)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뒷다리부(31)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며, 센터 프레임(92)의 뒷부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1)의 접속 플랜지(24)측을 향해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뒷다리부(97)의 선단측과 사이드 프레임(21)의 중간 프레임부(22) 사이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강판(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뒷다리부(97)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뒷다리부(31)보다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 사이드 프레임(21)과 센터 프레임(92) 사이에는 앞다리부(96), 뒷다리부(97) 사이에 위치하여 대략 삼각 형상의 공간부(98)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98)는 진흙 함정으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99, 99)는 센터 프레임(92)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여 앞다리부(96)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 브래킷이며, 이 각 지지 브래킷(99)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지 브래킷(20)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지지 브래킷(99)은 기단측이 앞다리부(96)에 용접 수단으로 접합되며, 선단측은 앞쪽으로 경사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 브래킷(99)에는 도 1에 나타낸 배토판(10)에 설치한 좌, 우의 지지암(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배토판(10)용의 지지 브래킷(99)을 앞다리부(96)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아래와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배토판(10)용의 지지 브래킷(99)을 센터 프레임(92)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센터 프레임(92)의 상판(94) 등을 배럴(93)의 외경 치수에 근접시키도록 가로폭 치수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터 프레임(92)을 차폭 방향에 관해 가능한 한 짧게 하여,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앞다리부(96)는 사이드 프레임(21)과 센터 프레임(92) 사이에 이 센터 프레임(92)과 직교하도록 좌, 우 방향(하향 경사져도 됨)으로 연장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토판(10) 등의 지지암을 지지 브래킷(99)에 대하여 용이하게 핀 결합할 수 있어, 조립 시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앞다리부, 뒷다리부를 좌, 우 방향으로 신축(伸縮)하는 가동 다리로 하고, 좌, 우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간격(차폭)을 가변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101)은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트랙 프레임(101)은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102),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106, 106), 앞가동 다리(110), 뒷가동 다리(11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센터 프레임(102)은 배럴(103) 등을 가지며, 센터 프레임(102)의 앞쪽에는 배토판(10)용의 장착 브래킷(19) 및 지지 브래킷(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센터 프레임(102)에는 전, 후로 이간되어 원통형의 가이드통(104,105)이 설치되며, 이들 가이드통(104, 105) 내에는 후술하는 가동 다리(110, 111)가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 전, 후의 가이드통(104, 105) 사이에는 후술하는 조정 실린더(112)가 설치되어 있다.
(106, 106)은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며, 이 각 사이드 프레임(106)은 중간 프레임부(107), 유동 바퀴 브래킷부(108) 및 모터 브래킷부(10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중간 프레임부(107)는 경사판부(107A)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110, 110)은 좌, 우의 앞가동 다리이며, 이 각 앞가동 다리(110)는 예를 들면 센터 프레임(102)측의 가이드통(1O)4에 대응하여 원형의 중공 파이프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앞가동 다리(110)는 일단(기단)측이 센터 프레임(102)의 가이드통(104)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선단)측이 사이드 프레임(106)의 중간 프레임부(107)에 용접 수단 또는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앞가동 다리(110)는 후술하는 조정 실린더(112)를 신축 동작시킴으로써, 센터 프레임(102)의 가이드통(104)에 대하여 수평 방향(좌, 우 방향)으로 신장, 축소되는 것이다.
(111, 111)은 앞가동 다리(110)와 평행으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좌, 우의 뒷가동 다리이며, 이 각 뒷가동 다리(111)는 앞가동 다리(1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가동 다리(111)는 일단(기단)측이 센터 프레임(102)의 가이드통(105)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선단)측이 사이드 프레임(106)의 중간 프레임부(107)에 고착되어 있다.
(112)는 조정 실린더를 나타내고, 이 조정 실린더(112)는 센터 프레임(102)의 가이드통(104, 105) 사이에 위치하며,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106, 10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정 실린더(112)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압유가 급배됨으로써 로드(112A)를 좌, 우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조정 실린더(112)의 로드(112A)를 신장시킬 때에는, 앞가동 다리(110), 뒷가동 다리(111)가 센터 프레임(102)의 가이드통(104, 105)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센터 프레임(102)과 사이드 프레임(106)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트랙 프레임(101) 전체의 차폭이 확장된다.
또 조정 실린더(112)의 로드(112A)를 축소시킬 때에는, 앞가동 다리(110), 뒷가동 다리(111)가 센터 프레임(102)의 가이드통(104, 105) 내로 축소되도록 격납된다. 이에 따라, 센터 프레임(102)과 사이드 프레임(106) 사이는 간격이 작아져, 트랙 프레임(101) 전체의 차폭이 축소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앞가동 다리(110), 뒷가동 다리(111)을 사용하여 센터 프레임(102)과 사이드 프레임(106)과의 간격을 가변 조정할 수 있어, 트랙 프레임(101) 전체의 차폭 조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전, 후의 다리부를 주조(鑄造) 수단에 의해 성형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121)은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트랙 프레임을 나타내며, 이 트랙 프레임(121)은 후술하는 센터 프레임(122),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129, 129), 앞다리부(135), 뒷다리부(136)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22)는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센터 프레임이며, 이 센터 프레임(122)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센터 프레임(12)과 대략 동일하게, 배럴(123)이 고착된 상판(124), 하판(125), 좌, 우의 측판(126, 126), 앞판(127) 및 뒷판(12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센터 프레임(122)은 상판(124)과 하판(125)이 상방으로부터 보아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측판(126)은 전, 후 방향의 중간 부위로부터 뒤쪽이 배럴(123)의 외주 에지에 따르도록 굴곡되고, 우측의 측판(126)도 전, 후 방향의 중간 부위로부터 뒤쪽이 배럴(123)의 외주 에지에 따르도록 굴곡되어 있다.
(129, 129)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며, 이 각 사이드 프레임(129)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이드 프레임(21)과 대략 동일하게, 중간 프레임부(130), 앞쪽의 접속 플랜지(131), 뒤쪽의 접속 플랜지(132), 유동 바퀴 브래킷부(133), 모터 브래킷부(13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중간 프레임부(130)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중간 프레임부(22)보다 전, 후방향의 길이가 크게 형성되어 있고, 유동 바퀴 브래킷부(133)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동 바퀴 브래킷부(25)보다 전, 후방향의 길이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 프레임부(130)의 상면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경사 하향 경사지는 경사판부(130A)로 되어 있다.
(135, 135)는 좌, 우의 앞다리부이며, 이 각 앞다리부(135)는 센터 프레임(122)으로부터 각 사이드 프레임(129)을 향해 경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다리부(135)는 센터 프레임(122)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5A)와, 사이드 프레임(129)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5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5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5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1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다리부(135)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5A),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5B), 중간통부(135C)가, 예를 들면 주강(鑄鋼) 재료, 또는 용접 가능한 주철[예를 들면, 탈탄(脫炭) 주철] 재료를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 통체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앞다리부(135)는 횡단면이 중공 형상을 이루고, 그 상면측은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하향 경사져 있다.
여기에서, 중간통부(135C)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앞다리부(30)와 대략 동일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5A)의 횡단면은 중간통부(135C)로부터 서서히 확경(擴徑)되는 나팔형의 확경 통체로서 형성되어, 센터 프레임(122)의 측판(126)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5B)의 횡단면은 중간통부(135C)로부터 서서히 확경되는 나팔형의 확경 통체로서 형성되어, 사이드 프레임(129)의 중간 프레임부(130)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136, 136)은 좌, 우의 뒷다리부이며, 이 각 뒷다리부(136)는 센터 프레임(122)으로부터 각 사이드 프레임(129)을 향해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뒷다리부(136)는 센터 프레임(122)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6A)와, 사이드 프레임(129) 및 뒤쪽의 접속 플랜지(132)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6B)와,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6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6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통부(13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다리부(136)는 앞다리부(135)와 동일하게, 주강 재료 등을 사용한 주조 수단에 의해, 단일 통체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뒷다리부(136)는 횡단면이 중공 형상을 이루고, 그 상면측은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하향 경사져 있다.
여기에서, 중간통부(136C)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앞다리부(30)와 대략 동일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6A)의 횡단면은 중간통부(136C)로부터 서서히 확경되는 나팔형의 확경 통체로서 형성되어, 센터 프레임(122)의 측판(126)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6B)의 횡단면은 중간통부(136C)로부터 서서히 확경되는 나팔형의 확경 통체로서 형성되어, 사이드 프레임(129)의 중간 프레임부(130)와 뒤쪽의 접속 플랜지(132)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앞다리부(135)를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5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5B)를 가지는 통체로서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 성형하며, 뒷다리부(136)를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136A)와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136B)를 가지는 통체로서 주조 수단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중공의 파이프재를 절단하여 다리부를 형성하는 경우나, 판재를 굽힘 가공하여 다리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앞다리부(135), 뒷다리부(136)에 대한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들 앞다리부(135), 뒷다리부(136)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실시예에서는 앞가동 다리(110), 뒷가동 다리(111)를 원형의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도 9∼도 13에 나타낸 제1∼제5 변형예에 의한 다리부(41∼45)와 대략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는 중공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가동 다리를 형성해도 된다. 이 점은 도 14∼도 19에 나타낸 제2∼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리부(61, 62, 81, 82, 96, 97)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앞다리부(30), 뒷다리부(31)를 동일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신하여, 전, 후의 다리부를 서로 상이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며, 예를 들면 도 18에 예시한 앞다리부(81), 뒷다리부(82) 등과 같이 2장의 판재를 서로 연결, 접합함으로써, 산 형상의 정상부를 가지는 중공 구조체로서 다리부를 구성해도 된다. 이 점은 제1∼제4 변형예 및 제2 , 제4 실시예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 사용한 다리부(30, 31, 41∼45, 61, 62, 81, 82, 96,97) 등은 1장의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원호형 또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중공 구조체로서 형성해도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 선회체(5)에 캡(7)을 설치하는 형식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운전석의 상방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한 캐노피 형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점은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의 하부 주행체에 적용하는 트랙 프레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유압 크레인 등 외의 건설 기계 하부 주행체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상부 선회체가 장착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캐터필러가 각각 장착되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센터 프레임에 연결하는 전, 후의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진흙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상면을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횡단면 형상이 원호형 또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중공(中空)의 파이프재로 형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횡단면 형상이 원호형 또는 직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중공 구조체로서 형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에 접합되는 센터 프레임측 접합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접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측 접합부를 가지는 통체(筒體)로서 주조수단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측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져 연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형성된 유동(遊動)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는 좌, 우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 바퀴 브래킷부는 캐터필러 인장(引張) 조정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좌, 우 방향의 중앙부에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정상부의 위치로부터 좌, 우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는 좌, 우 방향에서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다른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 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는 경사 전방으로 또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프레임부에 연결하고, 뒤쪽의 다리부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중간 프레임부와 모터 브래킷부측의 접속 플랜지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한쪽에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 유동 바퀴 브래킷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다른 쪽에 다른 접속 플랜지를 통해 형성된모터 브래킷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는 경사 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유동 바퀴 브래킷부에 연결하고, 뒤쪽의 다리부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을 상기 중간 프레임부와 모터 브래킷부측의 접속 플랜지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는 좌, 우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와 뒤쪽의 다리부는 서로 상이한 횡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 중 앞쪽의 다리부에는 배토판(排土板)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래킷이 설치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좌, 우 방향의 간격을 가변(可變)으로 조정하는 가동(可動) 다리로서 구성되는 건설 기계의 트랙프레임.
KR10-2003-7009431A 2001-11-13 2002-11-08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KR100527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7871 2001-11-13
JP2001347871 2001-11-13
PCT/JP2002/011675 WO2003042022A1 (fr) 2001-11-13 2002-11-08 Chassis pour chenille equipant des engins de chant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89A true KR20040023789A (ko) 2004-03-18
KR100527825B1 KR100527825B1 (ko) 2005-11-09

Family

ID=1916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431A KR100527825B1 (ko) 2001-11-13 2002-11-08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60796B2 (ko)
KR (1) KR100527825B1 (ko)
CN (1) CN1304236C (ko)
WO (1) WO2003042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003A (ja) * 2002-12-06 2004-07-08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クローラフレーム
CN1530496B (zh) * 2003-03-10 2010-04-2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建筑机械的履带构架
JP4394503B2 (ja) 2003-05-20 2010-0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4526852B2 (ja) 2003-05-20 2010-08-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4617096B2 (ja) * 2003-05-20 2011-0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2005255141A (ja) * 2004-02-10 2005-09-22 Komatsu Ltd クローラフレーム
JP4527074B2 (ja) * 2006-03-13 2010-08-18 ヤンマー株式会社 掘削作業機
JP5041747B2 (ja) * 2006-07-11 2012-10-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センターフレーム及びセンター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12020677A (ja) * 2010-07-15 2012-02-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装軌式車両のトラックフレーム
CN102837748A (zh) * 2011-06-21 2012-12-26 江苏柳工机械有限公司 履带式滑移转向装载机底盘
CN102367058B (zh) * 2011-09-22 2014-10-22 高雄应用科技大学 随起伏地形调整的履带型车辆
AU2012337985B2 (en) 2011-11-14 2016-05-1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Truck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5773861B2 (ja) * 2011-12-22 2015-09-02 三菱農機株式会社 セミクローラトラクタ
JP5536941B2 (ja) * 2013-08-01 2014-07-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土装置
WO2015108104A1 (ja) * 2014-01-17 2015-07-2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4015804B (zh) * 2014-06-16 2017-11-10 柳工常州机械有限公司 推土机三段式半刚性枢轴台车架
JP6475094B2 (ja) * 2015-06-03 2019-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CN106869925B (zh) * 2016-08-12 2019-11-05 凌夕珈 一种可调式车体、重心式破岩机及破岩方法
CN110341800A (zh) * 2019-06-20 2019-10-18 三一重机有限公司 可伸缩底盘及工程机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164Y2 (ko) * 1985-04-30 1991-10-21
JPS6259577U (ko) * 1985-10-02 1987-04-13
JP2633423B2 (ja) * 1991-09-30 1997-07-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用の走行装置
JPH09111806A (ja) * 1995-10-17 1997-04-28 Yutani Heavy Ind Ltd タンクの取付方法
JPH09111805A (ja) * 1995-10-19 1997-04-2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ブレード用油圧シリンダ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5323A (zh) 2004-12-15
JP4060796B2 (ja) 2008-03-12
CN1304236C (zh) 2007-03-14
KR100527825B1 (ko) 2005-11-09
JPWO2003042022A1 (ja) 2005-03-03
WO2003042022A1 (fr)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825B1 (ko)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WO2013073415A1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KR100621479B1 (ko)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KR100554367B1 (ko) 건설 기계의 트랙 프레임
EP1479831B1 (en) Crawler frame with a blade fixing bra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KR20040049789A (ko) 건설기계의 크롤러 프레임
JP5405447B2 (ja) 下部走行体のフレーム装置
GB2434348A (en) Track-laying vehicle with cast track sub-frames
JP4366521B2 (ja) 旋回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3378479B2 (ja)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0326875A5 (ko)
JP3399829B2 (ja) 旋回作業機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6088766A (ja) 装軌式車両
JP2010163078A (ja) 装軌式車両
CN101787719B (zh) 工程机械的排土装置
JP2003048577A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2003267274A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4949963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0198471A (ja) クロ―ラ走行装置
WO2012008189A1 (ja) 装軌式車両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2173060A (ja) 装軌式車両及びそれに用いる泥除けカバー
WO2001046002A1 (fr) Structure porteuse de pignon fou
JP3917356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4251444B2 (ja) 建設機械のクローラフレーム
JP2007153234A (ja) 装軌式車両の下部走行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