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564A - 코팅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팅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564A
KR20040022564A KR1020020054167A KR20020054167A KR20040022564A KR 20040022564 A KR20040022564 A KR 20040022564A KR 1020020054167 A KR1020020054167 A KR 1020020054167A KR 20020054167 A KR20020054167 A KR 20020054167A KR 20040022564 A KR20040022564 A KR 20040022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sol
alcohol
titanium
zirco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환
박원규
김용진
김태형
송병길
안영진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 유니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니플라텍 filed Critical (주) 유니플라텍
Priority to KR102002005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2564A/ko
Publication of KR2004002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1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을 가진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 1차막 코팅액 제조는 유무기 복합재료를 만들기 위하여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유기 실란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지르코니아 복합코팅졸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응용하여 안개 방지(anti-fogging) 기능을 가진 티타니아 복합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 1차막 코팅액 제조공정과 티타늄(Ti)을 이용한 2차막 코팅액의 제조공정을 갖는 코팅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액의 제조 방법은 롤 코팅(Roll)법을 사용하여 PC기판에 코팅 후 항온조에서 건조하고 구성된 코팅막에 대해 연필경도 및 안개 방지의 지표인 접촉각을 측정하여 막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코팅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FOR COATING MATERIALS}
본 발명은 기능성을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1차막 코팅액 제조 공정으로 유무기 복합재료를 만들기 위하여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유기 실란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지르코니아(ZrO2) 복합코팅졸을 생성하며, 이를 응용하여 안개방지기능을 가진 티타니아(TiO2) 복합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 1차막 코팅액 제조공정과 티타늄(Ti)을 이용한 2차막 코팅액의 제조공정을 갖는 코팅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졸겔법은 유리와 세라믹스를 비교적 저온에서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무기재료 합성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무기재료뿐만 아니라, 무기물과 유기물의 특징을 겸비한 새로운 재료 합성에도 응용된다. 이러한 재료는 무기재료에 관련한 연구자들에 의해서 유기수식실리케이트라는 의미의 ORMERSIL(organically modified 실리케이트)또는 유기재료 관련연구자들은 세라믹 폴리머라는 의미로 CERAMER라 부르는 것이다. 이처럼 유기-무기재료를 물리적인 혼합뿐 아니라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의미로 혼성재료 (hybrid material)이라 한다. 이러한 재료는 무기재료의 특성과 유기재료의 특성을 살린 기능성 재료라 할 수있다. 이러한 재료에 대해 몇몇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무기-유기 혼성재료가 처음으로 발표된 것은 Phillip과 Schmidt에 의해 합성된 하드콘텍트렌즈 재료이다. 콘텍트렌즈 특성에 요구되는 조건은 산소투과성이 클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metyl silloxane골격이 필요하다. 또한 인간의 눈물에 있는 단백질이 부착하지 않게끔 물에 대한 젖음 특성을 부여해줄 수 있는 알콜 group ≡COH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group을 남기고 필요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투명재료를 얻기위해 Schmidt등은 졸겔과정을 이용하였다.
하이브리드 생성구조로서, epoxy 실란((CH3O)3SiC3H6OCH2-CH-O-CH2), metacryloxy 실란 ((CH3O)3SiC3H6OOCC(CH3)=CH2 ), 티탄 알콕사이드 ( Ti(OR')4)를 90:5:5mol%의 비율로 된 혼합용액을 반응시켜 이것에 20-30mol%의 metacrylate monomer를 과산화물중합촉매를 가해 반응을 더 진행시켜 균질한 점성용액으로 만들어 150℃이하 온도에서 가열 경화시키면, metaxrylate는 중합하여 poly metacrylate가 되어 silloxane과 결합을 한다. 생성된 하이브리드는 강화성분, 치밀화 성분, 및 친수 성분으로서 다음 식 1과 같은 구조를 지닌다.
각각의 부분이 재료의 특성발현을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이 재료는 투명, 균질, 치밀한 본체로서 인장강도가 높고, 가요성(flexibility)도 있다. 산소투과성이 크고, 또한 눈물에 잘 젖으므로 단백질이 렌즈에 부착하기 어렵다.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 방법에 있어서 실리콘에 결합한 유기관능기에 의해서 실리카 질강목을 수식하는 것에 의해 hetero-poly-siloxan 재료의 성질계산이 가능하다.
hetero-poly-siloxane 은 일반적으로 Si(OR)4, R'nSi(OR)4-n, YSi(OR)3을 반응시켜 만들어진 것으로 식 2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R = alkyl기 R′= alkyl 기 또는 aryl, R′′= alkylene 기 또는 arylene기, Y = 유기관능기 group, n=1, 2 또는 3이다.
이처럼 단체상에 투과막을 만들 수 있다. 무기물질은 고온까지 안정하며 고압에 견디며, 유기용매에 녹지 않는다라는 특징을 가지는데 박막을 만들기 어려운 것에 반해, 유기고분자는 박막의 형성능력이 크고, 투과막재료로서 뛰어나다. 이 양자의 이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치밀한 재료(실리콘 유사)에서 다공질 재료 (실리카 겔) 까지 만들 수 있다. hetero poly siloxane의 기계적 성질, 다공성, 유전성, 흡착, 흡수특성 등의 여러 성질은 무기물 과 유기물의 비, 유기관능 그룹, 반응조건 (촉매, 온도, 용매)에 따라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변화하며, 그 때문에 각종 특성이 있는 재료가 만들어진다.
Wilkes등은 -Si-O- 유리망목중에 유기고분자 또는 oligomer를 축합반응에 의해서 인도하여 만든 유기수식 실리케이트재료를 CERAMER라고 명명하였다. tetra ethoxy 실란과 poly di-methy siloxane(PMDS)을 반응시켰다. tetra ethoxy 실란 Si(OR)4의 가수분해로 생성된 Si(OH)4 와 PMDS는 다음과 같이 반응하여 투명한 Hybrid재료가 된다고 생각되어진다.
유기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di siloxane 폴리머가 있으므로 이 재료는 가요성(flexible)이며 파단될 때까지 6∼15%로 신장하며, 107 Pa 정도의 Young율 을 나타내는 재료가 된다.
이상 유기수식 실리케이트 또는 CERAMER라고 불리우는 무기-유기 Hybrid재료를 소개하였다. 이는 -O-Si-O-Si-의 결합과 -O-Si-C- 결합에서 생긴 물질로, 무기부분이 유기폴리머 또는 oligoner로 결합되어 network가 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재료는 다음 특징을 기대할 수 있다.
① 상온부근의 온도에서 재료를 합성할 수 있다. 조건에 따라서 치밀한 재료도 다공성 재료도 합성할 수 있다. 무기질로는 겔을 고온까지 가열하여 처음으로 치밀화할 수 있지만 hybrid에서는 저온에서 치밀한 재료가 된다.
② 무기겔에 비교하여 강도가 높다. 또한 취성이 작은 가요성 있는 재료를 만들 수 있다.
③ 무기물과 유기물의 중간정도의 폭넓은 경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
④ 무기재료와 유기고분자재료의 중간정도의 탄성율을 지니게 할 수 있다.
⑤ 이상 여러 성질에 덧붙여, 특수한 기능을 지니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은 젖음특성, 산소투과특성, 내습성을 가진 재료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막 코팅액 제조는 그 막특성이 불량하여 요구되는 친수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유기 실란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지르코니아(ZrO2) 복합코팅졸을 생성하는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1차막 코팅액의 제조공정과, 상기 지르코니아(ZrO2) 복합코팅졸을 생성하는 1차막 코팅액 공정을 응용하여 안개방지기능을 가진 티타니아(TiO2) 복합졸을 생성하는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친수성 2차막 코팅액 제조공정을 포함함으로써, PC기판에 코팅 후 항온조에서 건조하고 구성된 코팅막에 대해 연필경도 및 안개방지의 지표인 접촉각을 측정하여 막특성을 평가하는 코팅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내스크래치성 유무기복합 졸의 FT-IR 커브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는 지르코늄-15 졸의 FT-IR 커브; 도 1의 b는 지르코늄-15에 실란계열 고분자를 첨가한 졸의 FT-IR 커브; 도 1의 c는 1차 내스크래치성 유무기복합졸의 FT-IR 커브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PC(Polycarbonate)시트에 코팅한 1차막의 두께 측정표(0.53㎛)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L사 샘플과 본 샘플의 비교한 도면이며, 도 3의 (a)는 L사 샘플의 스크래치 표면; (b)는 L사 샘플의 코팅 표면; (c)은 본 샘플의 스크래치 표면; 그리고 (d)는 본 샘플의 코팅 표면을 나타낸 도면.
도 4,5,6,7 및 도 8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2차 코팅 졸로 코팅한 시트상의 수적의 상태를 상온 건조시와, 50℃, 및 100 ℃ 건조시에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100 % 인 경우, 도 5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7 ml 인 경우, 도 6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14ml 인 경우, 도 7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28 ml 인 경우, 그리고 도 8은 코팅이 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1차유무기복합코팅졸의 실험과 초친수성을 갖는 2차유무기복합코팅졸의 실험방법을 채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내스크래치성 1차막 코팅액 제조에 있어서, 출발원료는 지르코늄 알콕사이드(지르코늄 알코사이드)로 하고, 분산용매는 알콜 솔벤트(알콜 솔벤트), 반응촉매는 에시드(Acid)을 사용하며, H2O, 및 실란 컴파운드(실란 컴파운드)를 준비한다.
이어서,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 내스크래치성 1차막 코팅액 제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출발원료로 분산용매에 녹인 후, 증류수와 반응촉매를 첨가 교반한다. 이 후 여기에 실란계 화합물을 차례로 첨가 교반 후 고급알콜로 희석시켜 1차 유무기 복합 코팅 졸을 만든다. 여기에 다시 내스크래치성과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실리카 졸을 소량 첨가하여 최종 유무기 복합 코팅 졸을 만든다. 코팅 공정은 Roll 코팅 을 이용하였으며, 건조온도는 100℃, 건조시간은 15∼30분이었다.
따라서,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1차막 코팅액은 고 PC기판(Polycarbonate 시트)에 코팅하여 얻어진 최종 코팅 막의 연필경도를 5∼6H 이상이 얻어진다.
한편, 초친수성 2차막 코팅액 제조에 있어서, 출발원료 : 티타늄 알코사이드, 분산용매 : 알콜 솔벤트, 반응촉매 : Acid, H2O, 및 실란 컴파운드를 준비한다.
이어서,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이용 친수성 2차막 코팅액 제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출발원료로 분산용매에 녹인 후, 증류수와 반응촉매를 첨가 교반한다. 이 후 여기에 실란계 화합물을 차례로 첨가 교반 후 고급알콜로 희석시켜 2차 초친수성 코팅 졸을 만든다. 코팅 공정은 롤(Roll)코팅을 이용하였고, 건조온도는 상온, 50℃, 100℃, 건조시간은 15∼30분이었고 PC기판(Polycarbonate 시트)에 코팅하여 얻어진 최종 코팅 막에 광을 조사하여 친수성효과를 얻었고, 그에 상응하게 컨택 앵글을 낮추었다.
이와 같은 실험에 따른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1차유무기복합코팅졸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icker's Hardness 측정을 위해, Vicker's Hardness 장비사양은 장비명 : Vicker's Hardness Tester, 모델명 : FV-7/Tybe B, Test Load : Type B - Kgf(0.3, 0.5, 1, 3, 5, 10, 20, 30이고, Load Applying Speed : Initial loading speed - 120㎛/sec, Actial loading speed - 60㎛/sec, Power Supply : Japan Single Phase Ac100V, 50/60Hz을 사용한다.
표 1은 Vicker's Hardness 측정결과표로서, Temp. : 26.7℃, Dwell Time : 15sec, (단위 : ㎏f)조건하에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1차유무기복합코팅졸의 Vicker's Hardness측정치를 나타내는 같이 Vicker's Hardness측정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치에서 나타나듯이 막전체가 비교적 고르고 균질한 막을 형성한 것을 볼 수 있고, Lord의 차이에는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고려할 수 있는 점은 온도를 150℃로 승온하여 건조하고 건조시간을 연장한다면 약간 높은 Vicker's Hardness값을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범용되어지는 내스크래치성을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FT-IR 측정을 위해 FT-IR 장비사양은 장비명 : FT-IR(적외선흡광분석), Model : MB-104이고, Sampling accessory type : Open Beam, Test gas : H2O, 1ATM를 사용한다.
여기서, 내스크래치성 유무기복합졸 제조공정에 따른 FT-IR의 커브를 얻기위해 FT-IR 장비를 사용하면, 도 1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a는 지르코늄-15 졸의 FT-IR 커브; 도 1의 b는 지르코늄-15에 실란계열 고분자를 첨가한 졸의 FT-IR 커브; 도 1의 c는 1차 내스크래치성 유무기복합졸의 FT-IR 커브를 나타낸다.
셋째, Ellipsometer(막두께)측정을 위해 Ellipsometer 장비사양은 장비명 : Ellipsometer, Model : ST2000, Measurement Range Spot Size : 200Å∼35㎛, 20㎛ Typically, Measurement Speed : 0.5sec/site Typically,를 사용한다.
여기서, PC(Polycarbonate)시트에 코팅한 1차막의 두께 측정표(0.53㎛)는 도 2를 통해 나타낸다.
넷째, PH 측정을 위해 PH Meter 장비사양은 장비명 : Programmable Printing PH Bench Meter으로, PH Area : 0.00 ∼ 14.0, mv : +/-399.9(ISE); +/-1999(ORP), ℃ : -10 ∼ +125, Voltage : 12VDC, Power : 5Watts을 사용한다.
표 2는 PH 측정결과표로서, Temp. : 24.9℃ ,(단위 : PH)인 경우의 결과표를 나타낸다.
다섯째, 점도 측정을 위해 Viscometer 장비사양은 장비명 : Programmable DV-ⅠⅠ+ Viscometer으로 ,모델명 : LVDV-ⅠⅠ+, Voltage : 230v 이상, Frequency : 50/60Hz, Power : 22Watts를 사용한다.
표 3은 점도 측정결과표로서, Temp. : 24.2℃, Spindle number : S63, RPM : 20 (단위 : 1mPa.s)인 경우의 결과표이다.
여섯째, 연필경도 측정을 위해 연필경도 측정기 장비사양은, 장비명 : 연필긁기 경도시험기, Model No : DYM-207, 회사명 : DAEYEONG 을 사용한다.
표 4는 연필경도 측정결과표이고, 도 3은 L사 샘플과 본 샘플의 비교한 도면이며, 도 3의 (a)는 L사 샘플의 스크래치 표면; (b)는 L사 샘플의 코팅 표면; (c)은 본 샘플의 스크래치 표면; 그리고 (d)는 본 샘플의 코팅 표면을 나타낸다.
표 4와 도 3에서는 Temp. : 24.0℃, (단위 : H/100g)의 조건하에서 실험된 결과이다.
표 4와 도 3의 a, b, c, 및 d에서 보이는 것처럼 L사의 샘플과 본 샘플을 비교하여 보았다. 내스크래치성과 내마모성을 요구하는 1차막의 결과에서는 건조 온도를 낮추고도 동일한 연필경도 값을 갖는 1차막 코팅 졸을 얻을 수가 있었다. 여기서 고려할 수 있는 점은 온도를 150℃로 승온하여 건조시 약간 높은 연필경도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내스크래치성 비교와 표면 코팅성 비교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L사 샘플과 본 샘플의 1차막의 내스크래치성과 코팅성 비교에 있어서, 같은 경도의 연필로 긁었을 때 코팅표면이 날카롭게 긁혀져 나간 L사의 샘플에 비해 본 샘플은 덜 날카롭게 긁혀져 나간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각 코팅막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L사의 샘플의 코팅면은 도 3(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코팅표면이 거친(Lough) 반면 도 3의(d)에서는 코팅표면이 평활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스크래치성과 코팅성을 비교한 결과 건조온도를 낮추고 동일한 연필경도를 얻을 수 있었고, 코팅성에 있어서는 본 샘플이 L사의 샘플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친수성을 갖는 2차유무기복합코팅졸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필경도 측정을 위하여 연필경도 측정기 장비사양은 장비명 : 연필긁기 경도시험기, Model No : DYM-207, 회사명 : DAEYEONG을 사용한다.
표 5는 2차막의 연필경도 측정결과표로서, Temp. : 24.0℃, (단위 : H/100g)인 경우의 결과이다. 표 5는 친수성 2차막의 연필경도를 Ti-10 졸의 양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표 5에서 보이는 것처럼 14ml와 28ml를 100℃로 건조하여 측정한 샘플이 가장 좋은 연필경도값을 가진다.
또한, 표 6은 광 조사 후 2차막의 연필경도 측정표로서, Temp. : 20℃, (단위 : H/100g)인 경우의 결과이다. 표 6은 광을 조사한 후 연필경도를 측정한 표이다.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코팅, 건조과정을 거쳐 마지막으로 광을 조사하면 연필경도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7은 컨택 앵글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2차 코팅 졸로 코팅한 시트위의 수적의 형태를 나타낸 도 8로부터, 2차 코팅 졸로 코팅한 시트의 컨택 앵글은 Temp. : 20℃, (단위 : H/100g)조건하에서, Ti-10 졸 28ml에서 가장 좋은 Contact angle이 나타나는 것을 볼수 있다.
상기한 실험결과는 도 4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히 알수 있다.
도 4,5,6,7 및 도 8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2차 코팅 졸로 코팅한 시트상의 수적의 상태를 상온 건조시와, 50℃, 및 100 ℃ 건조시에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100 % 인 경우, 도 5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7 ml 인 경우, 도 6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14ml 인 경우, 도 7의 a,b, 및 c 는 티타늄 -10 졸 28 ml 인 경우, 그리고 도 8은 코팅이 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액의 제조 방법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출발원료로 하여 분산용매, 반응촉매, 증류수, 실란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내스크래치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는 코팅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그 후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출발원료로 하여 2차막을 구성하고 거기에 광을 조사하여 초친수성과 항균성을 갖는 2차 코팅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부터, 자동차 유리에 친수성 TiO2막을 코팅할 경우 우천시에 자동차의 시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안전운행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건물의 외장용 타일에 응용할 경우, 광분해 특성으로 건물 외벽의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친수특성에 의하여 우천시 오염물질들을 씻겨 내려가게 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을 스스로 깨끗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항균특성으로 곰팡이나 세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좋은 재료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코팅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유기 실란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지르코니아(ZrO2) 복합코팅졸을 생성하는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1차막 코팅액의 제조공정과,
    상기 지르코니아(ZrO2) 복합코팅졸을 생성하는 1차막 코팅액 공정을 응용하여 안개방지기능을 가진 티타니아(TiO2) 복합졸을 생성하는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친수성 2차막 코팅액 제조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액의 제조 방법.
  2. 내스크래치성 1차막 코팅액의 제조공정으로써,
    출발원료는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로 하고, 분산용매는 알콜 솔벤트, 반응촉매는 에시드(Acid)를 사용하며, H2O, 및 실란 컴파운드를 준비하고, 지르코늄 알코사이드를 출발원료로 분산용매에 녹인 후, 증류수와 반응촉매를 첨가 교반하는 단계;
    이후 여기에 실란계 화합물을 차례로 첨가 교반 후 고급알콜로 희석시켜 1차 유무기 복합 코팅 졸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다시 내스크래치성과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실리카 졸을 소량 첨가하여 최종 유무기 복합 코팅 졸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롤 코팅을 이용하여 건조온도는 100℃, 건조시간은 15∼30분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1차막 코팅액 제조방법.
  3. 초친수성 2차막의 코팅액 제조공정으로써,
    출발원료는 티타늄 알코사이드, 분산용매는 알콜 솔벤트, 반응촉매는 Acid를 사용하고, H2O, 및 실란 컴파운드를 준비하는 단계;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출발원료로 분산용매에 녹인 후, 증류수와 반응촉매를 첨가 교반하는 단계;
    이후 여기에 실란계 화합물을 차례로 첨가 교반 후 고급알콜로 희석시켜 2차 초친수성 코팅 졸을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롤 코팅을 이용하여 건조온도는 상온 50℃- 100℃, 건조시간은 15∼30분이고 PC기판에 코팅하여 얻어진 최종 코팅 막에 광을 조사하는 코팅 및 조사단계를 포함하여, 친수성효과를 얻고, 그에 상응하게 컨택 앵글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알코사이드를 이용한 친수성 2차막 코팅액 제조방법.
KR1020020054167A 2002-09-09 2002-09-09 코팅액의 제조방법 KR20040022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67A KR20040022564A (ko) 2002-09-09 2002-09-09 코팅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67A KR20040022564A (ko) 2002-09-09 2002-09-09 코팅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64A true KR20040022564A (ko) 2004-03-16

Family

ID=3732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67A KR20040022564A (ko) 2002-09-09 2002-09-09 코팅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256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671A (ja) * 1986-07-02 1988-01-20 T S B:Kk 無機系コーティング剤の製造方法
JPS6451347A (en) * 1987-08-24 1989-02-27 Iwasaki Electric Co Ltd Production of multilayered film of metal oxide
JPH05179027A (ja) * 1991-12-27 1993-07-20 Toru Yamamoto プラスチックの表面保護積層ハードコート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73475A (ko) * 1999-05-11 2000-12-05 윤덕용 김 서림 방지용 코팅용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671A (ja) * 1986-07-02 1988-01-20 T S B:Kk 無機系コーティング剤の製造方法
JPS6451347A (en) * 1987-08-24 1989-02-27 Iwasaki Electric Co Ltd Production of multilayered film of metal oxide
JPH05179027A (ja) * 1991-12-27 1993-07-20 Toru Yamamoto プラスチックの表面保護積層ハードコート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73475A (ko) * 1999-05-11 2000-12-05 윤덕용 김 서림 방지용 코팅용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5953B (zh) 磺酸根官能涂层和方法
US4338377A (en) Sulfonato-organosilanol compounds and aqueous solutions thereof
US5314731A (en) Surface-treated substrate
US4152165A (en) One-part hydrophilic treatment compositions
KR102259062B1 (ko) 개선된 내구성을 가지는 투명한 소수성 코팅 물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TW201111459A (en) Near-infrared shield coating agent which is curable with ordinary temperature and the near-infrared shield coating prepared using the same and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coating
CN103359954A (zh) 一种二氧化硅超疏水薄膜的制备方法及一种超疏水材料
KR20020019089A (ko) 코팅조성물
KR20070035075A (ko) 활수성 피막을 얻기 위한 처리제 및 활수성 피막의 제조방법
EP0678521A2 (en) Surface treating agent and surface-treated substrate
KR20040022564A (ko) 코팅액의 제조방법
JP2017218372A (ja) 撥水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17791A (zh) 光催化剂涂装体
KR20160037158A (ko) 개선된 내구성을 갖는 소수성 코팅을 위한 공중합체
JP3210045B2 (ja) 表面処理された基材
JP4302782B2 (ja) 紫外線防止透明板の製造方法
JP2012107202A (ja) 常温硬化性高活性光触媒塗工液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光触媒薄膜
WO2010134545A1 (ja) 滑水性物品及び製法
JP2000186250A (ja) 無機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基材の汚染防止方法
JP2004292810A (ja) 防曇被覆用組成物
KR100216872B1 (ko) 발수 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KR100340149B1 (ko) 고발수성 발수수지 조성물
JP2002080782A (ja) 光触媒性塗膜形成組成物
JP2017008284A (ja) 撥水液、撥水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06631A (ja) 機能性物品の製法及びプライマー層の再活性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