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551A -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551A
KR20040021551A KR1020030061349A KR20030061349A KR20040021551A KR 20040021551 A KR20040021551 A KR 20040021551A KR 1020030061349 A KR1020030061349 A KR 1020030061349A KR 20030061349 A KR20030061349 A KR 20030061349A KR 20040021551 A KR20040021551 A KR 2004002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otor
signal
circu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239B1 (ko
Inventor
가즈히데 마에다
아키히데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8832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53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13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606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키
Publication of KR2004002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20Controlling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2Details of stopping control
    • H02P3/04Means for stopping or slowing by a separate brake, e.g. friction brake or eddy-current brake

Landscapes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자접촉기(MC)에 의한 교류모터(M)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전원 오프시에 모터에 설치된 무여자(無勵磁)작동형 전자브레이크(B)를 작동시키고, 또한 전원 온시에 해당 브레이크를 해제하도록 여자제어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모터의 통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형성하는 신호형성회로(12)와, 발광소자와 발전성 수광소자를 갖고, 완만한 출력저하특성을 나타내는 광전커플러로서, 신호형성회로의 출력이 부여되어 광전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신호커플러(13)와, 전원과 브레이크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신호커플러의 출력신호가 부여되면 온하고, 전원으로부터 전자브레이크에 급전시키는 스위칭회로(15)를 구비한다.
혹은, 상기 모터의 통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이 전류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발광신호를 형성하는 발광수단(13)과, 이 발광수단으로부터의 발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수단(13)과, 스위칭소자(15)를 갖고, 상기 수광수단이 발광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켜 상기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해제전류를 공급하는 브레이크 통전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Excitation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Magnetic Brake Operable when Unexcited}
본 발명은 무여자(無勵磁)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모터로서 알려지는 전자브레이크가 부착된 모터에서는, 전원오프 요컨대 무여자화에 따라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급속정지를 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교류모터(M)에 무여자 작동형 직류브레이크(B)를 조합한 것으로, 교류모터(M)에의 급전로에 삽입된 전자접촉기(MC)에 의해 모터(M)로의 급전 온, 오프를 하고, 또한 모터(M)로의 급전시에 모터(M)와 전자접촉기(MC)와의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1, D2)에 의해 정류한 출력을 브레이크(B)에 급전하여 브레이크작동 불가능상태로 하여, 모터로의 급전정지시에 브레이크를 무여자로서 작동시킨다.
도 11은 다이오드(D1 및 D2)로 이루어지는 정류회로를 전자접촉기(MC)의 전원측에 접속하여, 전자접촉기(MC)의 보조접점을 상기 다이오드와 브레이크와의 사이에 삽입한 것이다.
도 11은 도 9의 다이오드정류회로에 보조릴레이(RX)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접점(RXa)을 다이오드(D1, D2)와 브레이크(B)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있다.
상기 도 9 내지 도 11의 각 회로는, 각각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는다.
도 9의 것은 모터정지시에 전자접촉기(MC)가 개방하면, 그때까지 브레이크 (B)의 코일에 축적된 전자에너지가 도면에서의 화살표에서 나타나도록 순환전류로서 흘러, 잠시 여자상태를 계속한다. 이것에 의한 브레이크작동의 늦음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은, 모터(M)에서는 잔류자기에 의한 발전작용을 하여, 이 전류가 다이오드(D1, D2)를 통해 브레이크(B)에 유입되기 때문에, 여자상태가 더욱 계속하게 된다.
도 10에서는, 전자접촉기(MC)의 접점에 의해 다이오드(D1, D2)와 브레이크 (B)와의 사이가 차단되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작동시간지연의 문제로의 대책이 된다. 그러나,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또한 전자접촉기(MC)와 모터(M)와의 거리가 떨어져 있을 때는 배선용 전선의 비용 및 공사비용등이 여분에 필요하게 된다.
도 11에서는, 교류릴레이(RX)를 사용하고 있고, 접점의 복귀시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도 10의 것보다도 고성능이지만, 접점복귀시간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작동시간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더구나 유접점회로이기 때문에, 수명이 짧다든가 분위기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등의 문제를 갖는다.
도 12A, 12B는 그와 같은 불량에 대한 대책을 실시하였다. 종래의 무접점식 브레이크모터의 브레이크제어장치의 예 2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2A는 전압검출형 회로이고, 도 12B는 전류검출형 회로이다.
그리고, 도 10A에 나타내는 회로는 모터(M)로의 공급전압이 없어지면 브레이크(B)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단안정 멀티바이블레이터(MM)를 사용하여 브레이크로의 통전시간을 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를 통한 브레이크(B)에의 급전을 안정화한 구성이다. 그리고, 단자(1-4)가, 예를 들면 도 1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여자회로의 단자(1-4)에 접속되어 브레이크(B)에 통전한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회로는 모터(M)로의 공급전류가 없어지면 브레이크 (B)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변류기(CT)로 전류를 검출하여 포토커플러 PC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를 통한 브레이크(B)로의 급전을 안정화한 구성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9에서의 브레이크 여자회로의 단자(1-6)에 접속되어 브레이크(B)에 통전한다.
이들의 브레이크 통전회로를 채용함에 의해, 브레이크모터의 브레이크 여자회로는 접점식회로에 비교하여 동작이 안정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회로구성의 면에서는 여전히 간단화의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고, 간단한 회로구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 13은 다이오드(D1 및 D2)로 이루어지는 정류회로를 전자접촉기(MC)의 전원측에 접속하여, 전자접촉기(MC)의 보조접점을 상기 다이오드와 브레이크와의 사이에 삽입한 것이다.
이 도 13에 나타낸 회로는, 전자접촉기(MC)의 접점에 의해 다이오드(D1, D2)와 브레이크(B)와의 사이가 차단되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작동시간지연의 문제에의 대책이 된다.
그러나,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또한 전자접촉기(MC)와 모터(M)과의 거리가 떨어져 있을 때는 배선용 전선의 비용 및 공사비용 등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모터(M)의 구동제어회로로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전자접촉기(MC1)와 모터(M)와의 사이에 인버터 (INV)를 삽입하여, 모터(M)의 시동시 및 정지시에서의 소프트·스타트 및 소프트·스톱을 하는 것이다.
이 것으로는, 시동시 및 정지시에는 인버터(INV)의 출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인버터(INV)의 출력으로 브레이크(B)를 작동시킬 수 없다. 그래서, 브레이크(B)의 전원은 인버터(INV)의 전원측에서 분기하여 취하고, 브레이크(B)로의 급전제어를 하기 위해, 인버터(INV)의 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릴레이(RY) 및 전자접촉기(MC2)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결과, 인버터(INV)에 부수하는 회로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에서의 포토커플러에 관련되는 회로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로각부에서의 전압,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회로각부에서의 전압, 전류 및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파형의 시간축을 확대하여 나타낸 파형도이고, 브레이크 모터정지시에서의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파형의 시간축을 확대하여 나타낸 파형도이고, 브레이크모터 기동시에서의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회로에서의 모터(M)의 전압, 전류 및 브레이크(B)의 전류, 전압의 변화의 모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9는 종래의 전류작동형 브레이크를 갖는 브레이크모터의 결선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보조접점 작동형 브레이크를 갖는 브레이크모터의 결선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전압작동형 브레이크를 갖는 브레이크모터의 결선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A는 종래의 무접점방식의 전압작동형 브레이크의 작동회로를, 도 12B는 종래의 같이 무접점방식의 전류작동형 브레이크의 작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보조접점부착 전자접촉기를 사용한 브레이크모터의 결선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인버터를 모터전원으로 하는 브레이크모터의 전원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모터 B : 브레이크
MC : 전파접촉기 RY : 릴레이
CT : 변류기 D : 다이오드
ZD : 제너다이오드 PH : 포토커플러
LED : 발광다이오드 FET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R : 저항 C : 전해콘덴서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작이 안정하고, 더구나 회로구성이 간단한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자접촉기에 의한 교류모터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전원오프시에 상기 모터에 설치된 무여자 작동형 전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또한 전원온시에 해당 브레이크를 해제하도록 한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통전상태를 검출하여, 정류한 신호를 형성하는 신호형성회로와, 발광소자와 발전성 수광소자를 갖고, 완만한 출력저하특성을 나타내는 광전커플러로서, 상기 신호형성회로의 출력이 부여되어 광전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신호커플러와, 상기 전원과 상기 브레이크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호커플러의 출력신호가 부여되면 온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자브레이크에 급전시키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한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및
전자접촉기에 의한 교류모터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전원오프시에 상기 모터에 설치된 무여자 작동형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또한 전원온시에 해당 브레이크를 해제하도록 한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통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이 전류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발광신호를 형성하는 발광수단과, 이 발광수단으로부터의 발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수단과, 스위칭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수단이 발광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켜 상기 브레이크에 브레이크해제전류를 공급하는 브레이크 통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여자 작동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회로는, 종래의 회로로서 도 10B에 나타낸 회로를 기초로 한 구성이고, 모터의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가 0이 되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회로는 도 10B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1-6) 각각을 도 9에서의 각 단자(1-6)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단자(1, 2)에는 모터(M)의 상간(相間)전압을 부여하고, 단자(3, 4)는 브레이크(B)의 단자에 접속하고, 단자(5, 6)는 모터(M)의 전류검출용 변류기(CT)에 접속한다.
단자(1, 2)에 의해 부여되는 모터(M)의 전압을 정류기(11)에 의해 반파정류하고, 단자(3, 4)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B)에 부여한다. 여기서, 단자 (2)와 단자(4)와의 사이에는, 스위칭소자로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5)가 삽입되어 있고, 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5)는 모터(M)의 전류검출신호에 의해서 온, 오프한다.
이 모터(M)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서, 변류기(CT)의 검출전류가 양파정류회로(12)로 정류되어, 신호커플러로서의 포토커플러(13)의 발광다이오드에 부여된다. 양 파정류회로(12)는 브릿지정류회로와 정전압 다이오드를 갖고 있어, 일정화된 전압을 발광 다이오드에 부여한다.
여기에서, 포토커플러(13)는 포트볼(상품명)식의 것으로, 이 포트볼식 포토커플러의 수광소자는 발전성이기 때문에 전원이 불필요하고, 또한 수광개시시의 출력의 상승은 빠르지만, 수광정지시의 출력의 저하가 느린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발전성에 대해서 부언하면, 포트볼식 수광소자를 사용한 것에 의해, 도 1의 회로와 대비해야 할 도 10B의 회로에서의, 포토커플러 PC의 수광소자에 급전하기 위한 요소로서의, 다이오드 1개, 저항 2개, 전해콘덴서 1개, 제너 다이오드 1개가 불필요하게 되어, 회로가 간소화되어 있다.
이 결과, 포토커플러(13)의 발광소자로부터 단속적인 빛이 부여되는 경우라도, 단속의 간격이 어느 정도 작으면, 수광소자의 출력은 연속화한다. 이 때문에, 수광소자로서 통상의 수광 다이오드라든가 포토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시정수회로가 불필요하다.
즉, 수광소자는 소요전압을 형성하기 위해서 적당수를 직렬로 접속할 필요는 있지만, 시연요소으로서의 CR회로는 불필요하고, 수광소자의 출력은 저항(14a, 14b)을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15)의 게이트에 부여된다. 이 중,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의 게이트에 직렬접속된 저항(14b)은 생략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회로의 간소화는 부품점수의 감소에서 보더라도 분명하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회로에서의 포토커플러 PC, 이 포토커플러 PC의 출력에 따라서 작동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 및 단자(4)에 관한 부분의 회로, 및 이 회로각부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회로에서는, 포토커플러 PC의 발광소자에 대하여 전압(V1)이 스위치(SW)를 통해 부여되어, 전류(I)가 흐르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수광소자에서는 전압이 발생하여, 저항바이어스회로를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의 게이트에 부여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가 턴 온한다. 또한, 스위치(SW)가 개방되어 포토커플러 PC의 발광소자가 발광정지하면, 수광소자는 발전정지하기 때문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는 턴 오프한다.
도 3은 이 때의 회로각부의 신호파형을 나타내고 있고, 발광소자의 애노드측전압(Vl)은 스위치(SW)의 온시에 0이고 오프시에 높아진다. 이에 대응하여,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I)는 스위치(SW)의 온시에 높아지고 오프시에 0이 된다.
그리고, 수광소자의 발생전압, 즉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의 게이트에 부여되는 전압(V2)은 스위치(SW)의 온시에 급격히 상승해 가고, 오프시에 서서히 내려간다. 이것이 수광소자로서 사용되고 있는 포트볼의 전압변화특성이고, 저하가 완만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포토커플러 PC의 출력측에 시연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전압(V2)이 역치에 이를 때까지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가 온으로서, 역치를 넘으면 오프가 된다. 이것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의 소스전압(V3)으로서 나타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의해 설명한 포토커플러 PC의 동작원리에 의한 도 1의 회로각부의 전압, 전류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의 정류기(11)의 출력단전압인 브레이크전압(a)은 교류반파정류전압파형이고, 모터에 통전되어 있는 동안은 일정전압이고, 통전정지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압이 생긴다. 한편, 변류기(CT)의 1차측에 흐르는 모터전류(m)는 모터의 기동시가 대전류가 되는데, 그 후 감소하여 일정전류가 되어, 모터정지에 의해 0이 된다.
이 변류기(CT)의 2차측 출력(b)은 모터전류(m)에 대응한 것으로, 정류기에 의해 정류되어 정류기출력(c)이 되어, 포토커플러 PC의 발광소자에 부여된다. 이에 따라서 포토커플러 PC의 수광소자(포트볼)에, 포트볼출력(d)이 생긴다. 이 포트볼출력(d)이 도 3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은 빠르지만 저하는 느린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토커플러 PC의 출력측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와의 사이에는, 시연회로 또는 시연요소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간신히 저항(14a, 14b)이 설치되는 것에 불과하다[저항(14a)은 생략가능)]. 더구나, 포트볼은 발전성이기 때문에, 전원과의 접속은 필요로 하지 않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의 게이트에 접속하면 충분하다.
도 5는 브레이크모터 정지시에서의 도 4에 나타낸 도 1의 회로각부의 전압,전류 및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부호(a-e)는 각각 도 4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모터 기동시에서의 도 4에 나타낸 도 1의 회로각부의 전압, 전류 및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1및 도 2와 공통하는 요소에는, [ ] 부착으로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브레이크부착 모터를 포함한 유니트로서 구성되어 있고, 모터를 온, 오프시키는 전자접촉기(MC)의 2차측에 접속되어 사용된다. 즉, 이 유니트에는, 모터전원단자(U, V, W) 및 회로전원단자(u, v)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을 하면, 유니트는 동작 가능하게 된다.
유니트에 있어서, 모터(M)에는 무여자작동 브레이크(B)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모터(M)의 구동동작중은 브레이크(B)를 여자하여 작동불가능상태에 둔다. 그리고, 모터(M)로의 급전을 정지하였을 때, 브레이크(B) 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브레이크(B)의 작동력에 의해 모터(M)를 정지시킨다.
브레이크(B)의 통전, 및 그 정지는 스위칭소자로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15)]를 온, 오프함에 의해 한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5)]의 온, 오프는 모터(M)로의 통전전류의 유무를 변류기(CT)에 의해 검출하여, 검출출력에 의해서 포토커플러[PH(13)]를 작동시키면, 이 포토커플러[PH(13)]의 작동에 따라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5)]가 온, 오프한다는 것에 따라 행하여진다.
포토커플러[PH(13)]는 발광측은 2개의 발광다이오드(LED)가 반대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변류기(CT)에서 교류전류가 부여되면, 2개의 발광다이오드(LED)가 교대로 발광하여, 그 발생한 빛을 수광 트랜지스터(PT)에 부여한다. 이에 따라, 수광 트랜지스터(PT)에는, 변류기(CT)를 흐르는 교류전류의 전파정류신호에 대응한 빛이 부여된다. 그리고, 수광 트랜지스터(PT)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15)]를 온상태로 하여, 브레이크(B)에 통전한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5)]의 스위칭에 의한 브레이크(B)의 작동전원으로서, 2개의 다이오드(D1, D2), 저항(R1), 전해콘덴서(C) 및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한 정전압 전원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정전압 전원회로의 출력이 포토커플러 [PH(13)]의 수광트랜지스터(PT)를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3)]에 부여된다.
포토커플러[PH(13)]의 수광 트랜지스터(PT)는 변류기의 2차회로에 접속된 포토커플러[PH(13)]의 발광다이오드(LED)로부터의 광신호에 따라 작동하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5)]의 게이트(G)에 전압신호를 부여하여 턴 온시킨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5)]는 그 게이트에 접속된 저항(R2) 및 자신이 가지는 게이트용량 (Cg)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를 가지고 있고, 이 때 정수에 따라서 온, 오프동작을 한다. 이 용량(Cg)이 충분하지 않으면, 적당한 용량의 콘덴서를 부가하면 좋다.
또, 도 7의 회로에서, VZ1, VZ2는 회로에 사용되는 각 요소를 높은 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어레스터이다.
도 8A-8D는 도 7의 회로에서의 각부의 전압 및 전류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8A-8B는 모터(M)의 전압 및 전류이다. 모터전압은 전자접촉기(MC)가 온이 되면 상승하여 일정값을 유지하고, 전자접촉기(MC)가 오프가 되면 완만하게저하한다. 다른 한편, 모터전류는 전자접촉기(MC)가 온이 되면 급격히 증가한 후에 일정값에 머무르고, 전자접촉기(MC)가 오프가 되면 바로 저하한다.
이에 대하여 도 8C-8D는 브레이크(B)의 전류 및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브레이크(B)의 전류는 전자접촉기(MC)의 온에 의해 완만히 상승하고, 전자접촉기(MC)의 오프에 의해 즉시 저하한다. 그리고, 브레이크(B)의 전압은, 전자접촉기(MC)의 온에 의해 약간이 완만함은 있지만 빠른 상승으로, 전자접촉기(MC)의 오프에 의해 임펄스형상전압을 따라 저하한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전류의 온, 오프에 따라서 브레이크의 오프, 온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지만, 모터전압에 따르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토커플러(PH),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등의 반도체소자는 동등한 기능을 다하는 다른 소자로 대체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모터의 통전상태를 추출하는 포토커플러를 상승은 빠르지만 저하가 느린 특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이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의해서 브레이크모터에서의 모터의 구동시에 브레이크를 오프로 하여, 모터가 오프가 되면 브레이크를 온으로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포토커플러의 출력을 시연시키는 요소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브레이크 부착모터에 있어서의 모터전류를 검출하여 포토커플러에 부여하여, 스위칭소자를 작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같이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을 사용하는 일이 없고, 또한 모터의 전원에 인버터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모터용 전원으로부터 분기한 브레이크용 전원을 필요로 하는 일도 없어, 간단한 구성이면서 동작이 안정한 브레이크작동을 실현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전자접촉기에 의한 교류모터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전원오프시에 상기 모터에 설치한 무여자 작동형 전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또한 전원온시에 해당 브레이크를 해제하도록 한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통전상태를 검출하여, 정류한 신호를 형성하는 신호형성회로와,
    발광소자와 발전성수광소자를 갖고, 완만한 출력저하특성을 나타내는 광전커플러로서, 상기 신호형성회로의 출력이 부여되어 광전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신호커플러와,
    상기 전원과 상기 브레이크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호커플러의 출력신호가 부여되면 온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자브레이크에 급전시키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한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커플러는 포트볼식 커플러인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3. 전자접촉기에 의한 교류모터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전원오프시에 상기 모터에 설치된 무여자 작동형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또한 전원온시에 해당 브레이크를 해제하도록 한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통전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이 전류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발광신호를 형성하는 발광수단과,
    이 발광수단으로부터의 발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수단과,
    스위칭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수단이 발광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키고 상기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해제전류를 공급하는 브레이크 통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여자 작동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서로 반대병렬로 접속된 적어도 한 쌍의 발광소자를 갖는 무여자 작동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인 무여자 작동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KR1020030061349A 2002-09-04 2003-09-03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KR101074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8832 2002-09-04
JP2002258832A JP3745324B2 (ja) 2002-09-04 2002-09-04 無励磁作動型ブレーキの励磁制御装置
JPJP-P-2003-00013290 2003-01-22
JP2003013290A JP3996066B2 (ja) 2003-01-22 2003-01-22 無励磁作動ブレーキの励磁制御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551A true KR20040021551A (ko) 2004-03-10
KR101074239B1 KR101074239B1 (ko) 2011-10-14

Family

ID=3427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349A KR101074239B1 (ko) 2002-09-04 2003-09-03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74239B1 (ko)
CN (1) CN100347945C (ko)
TW (1) TW2004171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135A (ja) * 2004-11-16 2006-06-08 Tsudakoma Corp 布移動式パイル織機におけるテリーモーション部材の駆動装置
TWI420340B (zh) * 2007-01-05 201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串列埠連接電路
JP6814060B2 (ja) * 2017-02-03 2021-01-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駆動回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9587A (ja) * 1982-11-10 1984-05-23 Toshiba Corp 誘導電動機の直流制動装置
DD225887A3 (de) * 1982-12-29 1985-08-07 Medizin Labortechnik Veb K Schaltung zum abbremsen eines einphasen- oder gleichstrom-reihenschlussmotors hochtouriger maschinen, insbesondere zentrifugen
JPH03117394U (ko) * 1990-03-14 1991-12-04
DE19730440A1 (de) * 1997-07-16 1999-01-21 Flender Himmelwerk Gmbh Schaltgerät für elektromagnetisch betätigte Baugruppen
JP3919957B2 (ja) * 1998-10-14 2007-05-30 株式会社帝国電機製作所 直流電磁ブレーキ
JP2000152488A (ja) * 1998-11-12 2000-05-30 Toshiba Corp 負荷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7945C (zh) 2007-11-07
TW200417129A (en) 2004-09-01
CN1505254A (zh) 2004-06-16
KR101074239B1 (ko) 2011-10-14
TWI324438B (ko) 201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4271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TWI425754B (zh) 返馳轉換系統及其回授控制裝置與方法
JP2007104831A (ja) 発電制御装置
US20070002592A1 (en) Switching power device
KR101074239B1 (ko)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의 여자제어장치
WO2014052858A1 (en) Current limiting circuit and method for led driver
KR100569717B1 (ko) 전원공급제어장치
JP2009081901A (ja) 過電圧保護装置
JP2006101597A (ja) 電源回路
KR101213696B1 (ko) 과전압 보호 장치
CN218041231U (zh) 同步整流控制电路
KR102164026B1 (ko) 정전 감지 회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3996066B2 (ja) 無励磁作動ブレーキの励磁制御回路
KR930007183Y1 (ko) 전동기의 브레이크 코일 제어회로
JPH104677A (ja) 過電圧保護回路
TWI612762B (zh) 過電壓保護電路
JP2005073354A (ja) 電源
SU8094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ключени иСпОлНиТЕльНОгО РЕлЕ
JP354892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361838B1 (ko) 과전압 보호회로
JPH011420A (ja) 過電流保護回路
JPS5811039Y2 (ja) 非常用照明装置
KR20210026403A (ko) 트리거 유닛 및 심머 유닛을 이용한 방전용 스위치 보호를 위한 제논램프 장치
JPH0787877B2 (ja) 遊技機
JP2010017001A (ja)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