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0Y1 -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0Y1
KR200400210Y1 KR20-2005-0016896U KR20050016896U KR200400210Y1 KR 200400210 Y1 KR200400210 Y1 KR 200400210Y1 KR 20050016896 U KR20050016896 U KR 20050016896U KR 200400210 Y1 KR200400210 Y1 KR 200400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rainage
vertical
drainage
mandrel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코프라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프라코리아(주) filed Critical 코프라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5-0016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량 대상 지층의 지하에 수직 배수재가 위치되어야 하는 경우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은, 타설 시공 장비의 맨드릴(Mendrel) 또는 케이싱(Casing)에 수직 배수재를 삽입하여 개량 대상 지층에 타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타설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된 수직 배수재; 상기 수직 배수재의 일단에 결합된 앵커; 상기 수직 배수재의 타단에 소정의 악력으로 수직 배수재를 움켜쥐는 집게; 상기 집게의 타단에 연결되고, 모터에 의해 권취된 상태로 보관된 연결 로프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 로프를 권취하거나 풀어내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A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Vertical drain(Beaudrain-S)}
본 고안은 보드레인-S를 포함하는 수직 배수재 타설 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량 대상 지층의 지하에 수직 배수재가 위치되어야 하는 경우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이하에서는 장치를 시스템과 동등한 개념으로 혼용하여 기술한다.)
하천, 늪지대 및 간석지 등의 기초 연약 지반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연약 점토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약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수직 배수재(PBD 등 연약지반개량용 배수재, 이하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수직 배수재'라 한다)를 사용하여 지층에 함유된 수분을 지상으로 배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지층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한 후, 토압 현상에 의해 수분을 지상으로 인출하여 토지를 개량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 배수재의 타설 방법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배수부란 배수재와 연결부재 및 연결관이 포함된 개념이다.
(개량 대상 지층 상부까지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
먼저 첨부된 도면 도7과 도8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상부까지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7 및 도8은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상부까지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은, 제1단계, 맨드릴(20)의 내경을 통과하여 수직 배수재(42)를 삽입시킨다.
제2단계, 수직 배수재(42)의 일단을 앵커(30)와 결합시킨다.
제3단계, 앵커(30)가 맨드릴(20)과 접촉할 때까지 수직 배수재(42)의 롤(40)을 감아 들인다. 이때의 상태가 도7a에 도시된다.
제4단계, 맨드릴(20)을 압입한다. 이때 맨드릴(20)과 앵커(30)의 작용에 의해 수직 배수재(42)도 같이 개량 대상 지층(10)에 타설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7b와 도7c에 도시된다.
제5단계, 맨드릴(20)을 회수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7d와 도8e에 도시된다.
제6단계, 절단 부재를 사용하여 필요한 길이로 수직 배수재(42)를 재단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8f와 도8g에 도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 배수재를 개량 대상 지층의 상부까지 타설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개량 대상 지층 지하 또는 수중에 타설하는 경우에는 작업 난이도가 크게 높아진다. 이를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9를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9는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은 전술된 개량 대상 지층 상부까지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의 제1단계 이전에 땅을 굴착하는 단계가 선행되고, 제6단계 이후에 땅을 다시 되메우는 작업이 추가로 수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굴착기 등을 사용하여 지층(10)을 소정 깊이로 파내는 작업과, 타설 후 되메우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개량 대상 지층(10)을 소정 깊이로 파내는 동안 지층(10)의 밀폐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밀폐 상태를 이용한 진공 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0과 도11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0 및 도1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단계, 개량 대상 지층(10)을 굴착기 등으로 굴착한다.
제2단계, 맨드릴(20)의 내경을 통과하여 수직 배수재(42)를 삽입시킨다.
제3단계, 수직 배수재(42)의 일단을 앵커(30)와 결합시킨다.
제4단계, 앵커(30)가 맨드릴(20)과 접촉할 때까지 수직 배수재(42)의 롤(40)을 감아 들인다.
제5단계, 맨드릴(20)을 압입한다. 이때 맨드릴(20)과 앵커(30)의 작용에 의해 수직 배수재(42)도 같이 개량 대상 지층(10)에 타설된다.
제6단계, 맨드릴(20)을 회수한다.
제7단계, 절단 부재를 사용하여 필요한 길이로 수직 배수재(42)를 재단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10a에 도시된다.
제8단계, 배수부재와 연결관(60)을 수직 배수재(42)와 연결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11b에 도시된다.
제9단계, 제1단계에서 굴착된 지층(10)을 되메운다. 이때의 상태가 도11c에 도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방법은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에 비해 작업 공정이 크게 증가하여, 작업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개량 대상 지층 지하 상부가 수중인 경우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2a와 도13b를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라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2a와 도13b은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은, 전술된 개량 대상 지층 상부까지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방법에서 제1단계 내지 제6단계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6단계에서 수직 배수재(42)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수중으로 잠수부가 잠수하여 재단하거나, 수중 재단 장비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상존한다.
(개량 대상 지층 지하 상부가 수중인 경우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3c를 참조로 수중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3c는 종래 기술에 따라 수중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배수부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한 후, 배수관과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추가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직업의 난이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복잡한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 시간과 난이도를 크게 절감시킨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은, 타설 시공 장비의 맨드릴에 수직 배수재를 삽입하여 개량 대상 지층에 타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타설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된 수직 배수재를 연결 로프에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상기 맨드릴에 삽입하여 상기 개량 대상 지층에 타설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은 상기 수직 배수재, 상기 수직 배수재의 일단에 결합된 앵커, 상기 수직 배수재의 타단에 소정의 악력으로 수직 배수재를 움켜쥐는 상기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의 타단에 연결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 및 풀어지는 연결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은 상기 수직 배수재와 상기 연결수단인 집게 사이에 위치되며,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수직 배수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 배수재, 연결 부재 및 연결관으로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배수재 타설 방법은 상기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을 사용하여, 타설시공 장비의 맨드릴에 수직 배수재를 삽입하여 개량 대상 지층을 타설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의 구성)
먼저, 첨부된 도면 도2a를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기 위한 준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은, 수직 배수재(100), 맨드릴(20), 앵커(30), 집게(110), 연결 로프(120,122), 롤러(124) 및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맨드릴(20)은 타설 시공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수직 배수재(100)를 개량 대상 지층(10)에 타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앵커(30)는 수직 배수재(100)의 일단과 결합되어 맨드릴(20)의 타설 동작에 대응하여 수직 배수재(100)를 개량 대상 지층(10)까지 안내한다.
수직 배수재(100)는 PBD 또는 원형이나 다각형의 배수재가 사용되며, 개량 대상 지층에 삽입되어 지층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집게(110)는 연결 로프(122)의 일단에 견고히 결합되며, 수직 배수재(100)를 소정의 악력으로 움켜쥔다.
연결 로프(120,122)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수직 배수재(100)를 맨드릴(20)의 내경에 위치시키고, 수직 배수재(100)가 타설된 이후에는 집게(100)를 수직 배수재(100)와 분리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모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 로프(120,120)를 권취하거나 권취 상태를 해제한다.
롤러(124)는 연결 로프(122)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도2에 도시된 롤러의 위치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롤러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은 수직 배수재, 연결 부재 및 연결관으로 구성된 배수부를 집게의 악력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수재(100)와 연결관(220)을 연결 부재로 상호 연결한 배수부를 집게(210)를 사용하여 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직 배수재 또는 배수부의 타설 방법)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설 시스템의 타설 방법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설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수직 배수재만을 타설하거나, 수직 배수재를 포함하는 배수부를 타설하는 것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수직 배수재 기준으로 기술되고 필요에 따라 배수부에 대해서도 기술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설 방법은, 제1단계, 수직 배수재(100)를 타설 깊이만큼 절단 부재를 사용하여 재단하고, 재단된 수직 배수재(100)의 일단을 앵커(30)와 결합한다(S10). 배수부의 경우에는, 타설 깊이만큼 재단된 수직 배수재(100)의 일단을 앵커(30)와 결합하고, 수직 배수재의 타단과 연결관(220)을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한다(S15).
제2단계, 맨드릴(20)의 내부를 관통하여 통과된 연결 로프(122)에 결합된 집게(110)를 사용하여 수직 배수재(100)의 타단을 소정의 악력으로 결합한다(S20). 이때 집게(110)의 악력은 수직 배수재(100)에 연결된 앵커(30)를 맨드릴(20)과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보다 크되, 연결 로프(122)의 파열 강도보다 작은 범위에서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배수부의 경우에는 배수부 연결관(220)의 타단을 집게(210)를 사용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결합한다.
제3단계, 모터를 가동하여 연결 로프(122)를 권취된 로프(120) 상태가 되도록 하여, 앵커(30)가 맨드릴(20)과 접촉되고 수직 배수재(100)와 집게(110)가 맨드릴(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S30).
제4단계, 타설 시공 장비를 사용하여 맨드릴(20)을 개량 대상 지층(10)에 압입한다(S40). 이때, 앵커(30)가 맨드릴(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맨드릴(20)의 이동에 대응하여, 앵커(30), 수직 배수재(100) 및 집게(110)가 지층(10) 속에 위치되게 되며, 동시에 권취된 상태의 연결 로프(120)의 권취 상태가 대응하여 풀리게 된다.
제5단계, 모터를 가동하여 연결 로프(122)를 권취시켜 집게(110)가 수직 배수재(1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S50). 즉, 집게(110)와 수직 배수재(100)는 집게(110)의 악력에 의존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110)의 악력보다 큰 힘으로 연결 로프(122)를 잡아 당기면 집게(110)와 수직 배수재(100)가 분리될 수 있다.
제6단계, 타설 시공 장비를 사용하여 맨드릴(20)을 회수한다(S60).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시공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와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시공예를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단계, 재단된 수직 배수재(100)의 일단을 앵커(30)와 연결하고, 타단은 맨드릴(20)을 통과한 집게(110)와 연결한다. 집게(110)는 연결 로프(122)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의 상태가 도2a에 도시된다.
제2단계, 모터를 사용하여 로프(122)를 권취시킨다. 이때의 상태가 도2b에 도시된다.
제3단계, 모터를 사용하여 앵커(30)와 맨드릴(20)이 접촉할 때 까지 로프(122)를 권취시킨다. 이때의 상태가 도2c에 도시된다.
제4단계, 타설 시공 장비를 사용하여 맨드릴(20)을 압입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2d에 도시된다.
제5단계, 모터를 사용하여 연결 로프(122)를 잡아 당겨, 집게(110)와 수직 배수재(100)를 분리시킨다. 이때의 상태가 도3e에 도시된다.
제6단계, 타설 시공 장비를 사용하여 맨드릴(20)을 회수한다. 이에 의해 수직 배수재(100)가 지층(10)에 소정의 깊이로 타설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3f에 도시된다.
이상의 단계를 통해, 종래 기술에서 지층 내부에 수직 배수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굴착기 등을 동원하여 땅을 굴착하고 되메우는 작업 없이도 원하는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개량 대상 지층 상부의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시공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시공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들 도시한 것이다.
본 시공예는 전술된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시공예'에서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20)에 앵커(30)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20)을 지층(10)에 압입 시킨 후,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집게(100)와 수직 배수재(100)를 분리시키고,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20)을 제거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추가 수중 작업 없이도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시공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와 도6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시공예를 설명한다.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시공예는 전술된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시공예'에서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시공예'의 제1단계에서 수직 배수재(100)에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관(220)을 연결하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210)를 사용하여 배수부를 소정의 악력으로 움켜쥐게 한 후,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로프(122)를 권취시키고,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20)과 앵커(30)가 접촉될 때까지 연결 로프(122)를 권취시킨 후,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20)을 압입하고, 도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로프(122)를 권취시켜 집게(210)와 배수부를 분리시킨 후, 도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20)을 제거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지층 내부에 수직 배수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굴착기 등을 동원하여 땅을 굴착하고, 연결관을 연결한 후, 되메우는 작업 없이도 원하는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방법은 수중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시공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특히 수직 배수재 또는 배수부를 지층 내부 또는 수중에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굴착 작업 또는 수중 작업 없이도 작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굴착기 등을 사용하여 지층을 소정 깊이로 파내는 작업과, 타설 후 되메우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에 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굴착 작업이나, 수중작업 없이도 수직 배수재를 지하 또는 수중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수중에 배관 등을 설치하려면 종래에는 고난도의 수중 작업이 필요 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공정으로 지층 지하 뿐만 아니라 수중에도 수직 배수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개량 대상 지층을 소정 깊이로 파내는 동안 지층의 밀폐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밀폐 상태를 이용한 진공 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원고안에 따른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에 의하면, 굴착을 하지 않고 맨드릴을 필요 공간에 삽입만 하도록 구성되므로, 자연 밀폐 상태 그대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토지의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배수하도록 하는 공정에서 진공 배수 효과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수중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들 도시한 것이다.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 및 도8은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상부까지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수직 배수재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0 및 도1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 대상 지층 지하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2 및 도13은 종래 기술에 따라 수중에 배수부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개량 대상 지층 15: 수중
20: 맨드릴 30: 앵커
40,42: 수직 배수 부재 44: 롤러
50: 절단 부재 60: 연결관
100: 수직 배수 부재 110: 집개
121,122: 연결 로프 124: 롤러
210: 집게 220: 연결관

Claims (3)

  1. 삭제
  2. 타설 시공 장비의 맨드릴에 수직 배수재를 삽입하여 개량 대상 지층에 타설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타설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된 수직 배수재를 연결 로프에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상기 맨드릴에 삽입하여 상기 개량 대상 지층에 타설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배수재 타설 장치는
    상기 수직 배수재;
    상기 수직 배수재의 일단에 결합된 앵커;
    상기 수직 배수재의 타단에 소정의 악력으로 수직 배수재를 움켜쥐는 상기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의 타단에 연결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 및 풀어지는 연결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배수재 타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수재 타설 장치는
    상기 수직 배수재와 상기 연결수단인 집게 사이에 위치되며,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수직 배수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 배수재, 연결 부재 및 연결관으로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배수재 타설 장치.
KR20-2005-0016896U 2005-06-13 2005-06-13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 KR200400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96U KR200400210Y1 (ko) 2005-06-13 2005-06-13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96U KR200400210Y1 (ko) 2005-06-13 2005-06-13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454A Division KR20060129796A (ko) 2005-06-13 2005-06-13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Y1 true KR200400210Y1 (ko) 2005-11-03

Family

ID=4370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96U KR200400210Y1 (ko) 2005-06-13 2005-06-13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92591A (zh) 钻孔桩桩头整体破除施工方法
CN111851484B (zh) 旋挖钻机切除支护桩内半侵入预应力锚索的方法
JP2010236323A (ja) 現場造成による基礎杭構造及び基礎杭の構築方法
CN101550697A (zh) 地下桩套管振动冲孔拔除方法
KR100790547B1 (ko) 강관 추진 공법을 위한 추진기지 구축방법
CN209958343U (zh) 钢筋混凝土灌注桩接桩的连接节点
JP2002047676A (ja) 浮力防止構造体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09263966A (ja) 既設杭の撤去方法
KR100984762B1 (ko) 흙막이공사의 케이싱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시공방법
KR200400210Y1 (ko) 수직 배수재(보 드레인-에스) 타설 장치
KR20040110204A (ko) 이중 주입관이 구비된 어스앙카체 및 이를 이용한어스앙카체 시공방법
KR20090130354A (ko) 가압 지수식 앵커링 공법
JP6451929B2 (ja) 計測機器の埋設方法
KR20060129796A (ko) 수직 배수재 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6737A (ko) 지반천공장비
JP3052135B2 (ja) 既設杭の引抜き装置
JP4501311B2 (ja) 埋設管廻りへのグラウト充填方法
KR200325653Y1 (ko) 이중 주입관이 구비된 어스앙카체
JP2002146789A (ja) 鋼管杭の撤去工法
KR200331377Y1 (ko) 에이치파일 회수형 소일시멘트벽
JP2955120B2 (ja) 排水用管路の敷設工法
KR101440250B1 (ko) 사석층 수직배수제 시공방법
KR20010007973A (ko) 연약지반의 망포자루형 시멘트콘크리트 말뚝 시공법 및망포자루형 시멘트콘크리트말뚝
JPH0224419A (ja) 杭引抜同時埋戻し工法及び杭引抜機
JP2009121218A (ja) 杭頭縁切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