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156A - 용강 장입 레이들 - Google Patents

용강 장입 레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156A
KR20040020156A KR1020020051614A KR20020051614A KR20040020156A KR 20040020156 A KR20040020156 A KR 20040020156A KR 1020020051614 A KR1020020051614 A KR 1020020051614A KR 20020051614 A KR20020051614 A KR 20020051614A KR 20040020156 A KR20040020156 A KR 2004002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molten steel
charging pipe
charg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흥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156A/ko
Publication of KR2004002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22D41/05Tea-pot spout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8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for bottom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들로부터 용강 주입시 용강과 슬래그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용강만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슬래그 제거작업이 필요치 않은 레이들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의 외측면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장입관이 상기 레이들의 측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장입관의 하단은 내측으로 상기 레이들 하부에 형성되 배출구를 통해 연통되며, 상기 배출구와 주입관 내측에는 내화물이 설치된 구조의 용강 장입 레이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강 장입 레이들{ladle}
본 발명은 레이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그와 용강이 분리되어 슬래그를 제거하지 않고서 바로 용강을 정련로나 턴디쉬 등에 주입할 수 있도록 된 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들은 제강공정상 취련 완료된 용강을 정련로 또는 턴디쉬로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강로에서 용융된 용강은 슬래그와 함께 주조 레이들에 수강되어지고 용강이 담긴 레이들은 크레인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옮겨져 정련로 또는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들에 용강이 담기게 되면 용강보다 비중이 가벼운 슬래그는 용강 상부로 떠올라 상부층을 이루게 되므로 용강을 정련로에 장입하기 전에 상부층을 이루는 슬래그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을 담은 레이들(100)은 슬래그 배재스탠드(150)로 옮겨져 스키머(200) 등의 별도 장치를 이용하여 용강 상부층인 슬래그를 슬래그포트(110)로 제거하였다.
이와같이 종래의 레이들은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야 되고 슬래그 제거를 위해 별도 설비를 운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이들로부터 용강 주입시 용강과 슬래그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용강만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슬래그 제거작업이 필요치 않은 레이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 내에 용강이 장입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로부터 슬래그를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레이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이들 11 : 외피
12,21,22,31 : 내화물 13 : 러그
14 : 경동러그 20 : 장입관
30 : 배출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의 외측면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장입관이 상기 레이들의 측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장입관의 하단은 내측으로 상기 레이들 내부와 연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강을 주입하기 위하여 레이들을 기울이게 되면 수평면에 대해 레이들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장입관이 이루는 각도가 더 작기 때문에 용강은 장입관을 통해 흘러나오게 되고, 이렇게 흘러나오는 용강은 레이들의 슬래그층보다 아래에 위치한 용강으로 슬래그 제거작업없이 바로 용강을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 내에 용강이 장입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레이들(10)은 용강이 담기는 원통형태의 외피(11)와, 이 외피(11)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화물(12), 상기 외피(11) 외측면과 바닥면에 설치되어 레이들(10)을 이동 및 경동시키기 위한 러그(13)와 경동러그(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레이들(10)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10)의 외피(11) 외측면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장입관(20)이 상기 레이들(10)의 측면에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레이들(10)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레이들(10) 하부에는 용강이 배출되는 배출구(30)를 형성하여 상기 장입관(20)의 하단 내측과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장입관(20)과 배출구(30)는 내측에 내화물(21,31)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장입관(20)의 설치위치는 경동러그(14)의 반대쪽이 되는 데, 이는 경동러그(14)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렸을 때, 그 반대쪽 즉 장입관(20) 설치위치가 아래로 기울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장입관(20)은 지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레이들(10)의 내측면에 대해 지면을 향해 기울어져 설치되어 내측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용강을 주입하기 위하여 레이들(10)을 경동시켰을 때 레이들(10)의 측면보다 장입관(20)의 각도가 낮아지므로 용강은 장입관(20)을 통해서 흘러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30)에 설치되는 내화물(31)은 인접 내화물(12)의 보호를 위하여 배출구(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단일구조의 내화물(31)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입관(20)의 내측면은 레이들(10)과 동일한 구조로 정형 내화물(21)이 조적되며 용강이 흘러나오는 선단은 캐스터블 내화물(22)(castable refractories)로 형성하여 지지력을 높인다.
또한, 도 2에서 장입관(20)의 내경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이한 데,배출구(30)쪽과 연결되는 하단에서 용강이 흘러나오는 상단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용강에 포함된 이물질이 장입관(20) 내에서 걸리는 경우 배출구(30)쪽에서 걸리도록 함으로써 레이들(10)을 원위치로 경동시키는 경우 이물질이 다시 레이들(10) 내부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이들(10) 내부에 용강을 수강하게 되면 레이들(10) 내부와 배출구(30)를 통한 장입관(20) 내부로 용강이 차오르게 되며, 용강의 탕면이 계속 높아져 배출구(30)를 넘어서게 되면 레이들(10)과 장입관(20)은 레이들(10) 측벽에 의해 차단되어 장입관(20)으로는 오로지 배출구(30)를 통해 용강만이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용강의 탕면에 형성되는 슬래그층은 레이들(10)에만 형성된다.
이와같이 용강을 수강한 상태의 레이들(10)은 측면에 설치된 러그(13)에 주권의 후크를 걸어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별도의 슬래그 제거작업 없이 바로 정련로에 용강을 주입할 수 있게된다.
레이들(10) 하부의 경동러그(14)에 보권의 후크를 걸어 레이들(10)을 경동시키게 되면 레이들(10)은 장입관(20)이 설치된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장입관(20)을 통해 용강이 흘러나오게 된다.
즉, 레이들(10)의 내측면보다 주입관이 지면쪽으로 더욱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레이들(10)을 기울이게 되면 레이들(10) 내에 수강된 용강 또한 수평상태로 기울어지면서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주입관을 통해서 흘러나오게 된다.
그리고 레이들(10) 내의 용탕면에 형성되는 슬래그층은 레이들(10) 측벽에 막혀 주입관으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오로지 용강만이 주입관을 통해 흘러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용강 주입에 따라 점차적으로 레이들(10)의 경동각도를 높이더라도 동일하게 작용하게 되는 데, 이는 수평면에 대한 주입관의 각도가 레이들(10)의 측벽 각도보다 낮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레이들(10)을 계속 경동시키게 되면 용강의 배출에 따라 용탕면의 높이는 낮아지게 되나, 용강은 레이들(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30)를 통해 주입관으로 유입되므로 슬래그가 배출구(30)를 통해 주입관으로 유입될 가능성은 없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들(10)의 경동각도가 a 각에 이르게 되면 레이들(10) 내의 용강은 대부분 주입관을 통해 배출되고, 용강의 상부 슬래그는 레들의 바닥부와 장입관(20) 일부에 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레이들(10)을 원상태로 경동시켜 슬래그의 배출을 억제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그를 배재시킨다.
레이들(10)을 슬래그 포트로 이동하여 완전히 경동시키게 되면 레이들(10) 내부에 담겨져 있던 슬래그는 레이들(10) 상부 또는 장입관(20)을 통해 포트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강 장입 레이들에 의하면, 레이들에 용강을 수강한 후에 별도의 슬래그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슬래그 제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래그 제거작업에 의한 용강 온도 하락과 이에 따른 용강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의 외측면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장입관이 상기 레이들의 측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장입관의 하단은 내측으로 상기 레이들 하부에 형성되 배출구를 통해 연통되며, 상기 배출구와 주입관 내측에는 내화물이 설치된 구조의 용강 장입 레이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내화물 배출구와 동일한 형태의 단일구조의 내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장입 레이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관은 배출구쪽과 연결되는 하단에서 용강이 흘러나오는 상단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장입 레이들.
KR1020020051614A 2002-08-29 2002-08-29 용강 장입 레이들 KR20040020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614A KR20040020156A (ko) 2002-08-29 2002-08-29 용강 장입 레이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614A KR20040020156A (ko) 2002-08-29 2002-08-29 용강 장입 레이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156A true KR20040020156A (ko) 2004-03-09

Family

ID=3732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614A KR20040020156A (ko) 2002-08-29 2002-08-29 용강 장입 레이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1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882B1 (ko) * 2002-10-02 2005-03-18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KR100990717B1 (ko) * 2003-07-02 2010-10-29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WO2013076732A3 (en) * 2011-09-29 2013-08-08 Tupkary Ramchandra Harisa Slag ladle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molten iron from slag
KR101321848B1 (ko) * 2011-10-21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9893U (ko) * 1978-09-29 1980-04-01
JPS5756562U (ko) * 1980-09-19 1982-04-02
JPS5885462U (ja) * 1981-12-02 1983-06-09 日新製鋼株式会社 溶滓分離用取鍋
JPH0588756U (ja) * 1991-08-26 1993-12-03 株式会社岡本 鋳造用取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9893U (ko) * 1978-09-29 1980-04-01
JPS5756562U (ko) * 1980-09-19 1982-04-02
JPS5885462U (ja) * 1981-12-02 1983-06-09 日新製鋼株式会社 溶滓分離用取鍋
JPH0588756U (ja) * 1991-08-26 1993-12-03 株式会社岡本 鋳造用取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882B1 (ko) * 2002-10-02 2005-03-18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KR100990717B1 (ko) * 2003-07-02 2010-10-29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WO2013076732A3 (en) * 2011-09-29 2013-08-08 Tupkary Ramchandra Harisa Slag ladle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molten iron from slag
KR101321848B1 (ko) * 2011-10-21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435A (en) Sla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0170045B1 (ko) 와류억제용 유동조절장치
US5054033A (en) Tiltable arc furnace
US4725045A (en) Slag-retaining plug for metal pouring operations
KR20040020156A (ko) 용강 장입 레이들
KR100477882B1 (ko) 레이들
JP5312090B2 (ja) 取鍋内の残鋼量の低減方法
KR101484630B1 (ko) 용강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US4552343A (en) Combination electric furnace and slag retaining pouring spout
FI78059B (fi) Kippraenna foer ledning av smaeltflytande material.
US5240231A (en) Slag control system
KR101510285B1 (ko) 슬래그 제거장치
KR20060038133A (ko) 슬래그 혼입방지용 레이들
KR100990717B1 (ko) 레이들
JPS6214118Y2 (ko)
JP5361212B2 (ja) タンディッシュへの溶鋼注入方法
JP3612198B2 (ja) 連続鋳造タンディッシュ
JPS6138765Y2 (ko)
JPH04300055A (ja) 溶融金属中の非金属介在物除去装置
RU2101125C1 (ru) Сталевыпускной желоб для смешивания стали с рафинировочным шлаком
SU11186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лива металла
KR100851214B1 (ko)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RU1770712C (ru) Желоб дл выпуска металла и отделени печного шлака
SU892174A1 (ru) Двухручьевой желоб
RU133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шлака с поверхности расплава метал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