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943A -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943A
KR20040017943A KR1020020049882A KR20020049882A KR20040017943A KR 20040017943 A KR20040017943 A KR 20040017943A KR 1020020049882 A KR1020020049882 A KR 1020020049882A KR 20020049882 A KR20020049882 A KR 20020049882A KR 20040017943 A KR20040017943 A KR 2004001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molten steel
cooling water
converter
res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헌민
강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943A/ko
Publication of KR2004001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94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54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moving the slag from the surface of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46Cool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87Treatment of slags covering the steel bath, e.g. for separating slag from the molte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공정의 전로에서 발생하는 슬라스 및 용강을 분리하는 용선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호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에는 용강출강구 막힘장치를 가져 용강이 포함된 슬라스가 유입되어진 후 비중차에 의하여 용강 및 슬래그로 분리되어지도록 하는 용강 및 슬래그 분리부와, 상기 용강 및 슬래그 분리부에서 상부에 위치한 슬래그를 배출하고 상기 용강과 인접하여 미세하여 혼합되어 있는 슬래그를 배출하기 위한 유압출강부와, 상기 슬래그의 이동경로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수 수집라인과 상기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를 살수하는 펌프를 가지므로서 상기 슬래그 및 용강에 의하여 발생하는 먼지 및 이물질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잔류용강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선슬래그 처리장치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용선슬래그 처리장치{An apparatus for processing hog matal slag}
본 발명은 용선슬라스 처리장치로서, 특히, 제강 공정의 용선 슬래그 처리과정에서 분진 및 스케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제강 공정에서 유실될 수 밖에없는 전로 슬래그내에 함유된 잔류용강을 조기 수거하여 실수율을 향상시키며, 연속주조 슬래그 내에 함유된 잔류용강(4)을 조기 자원화할 수 있는 용강슬래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연속주조기의 측면도로서,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용선 예비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용선 슬래그는 스키머(17)에 의해 용선 레들에서 상부의 부유물을 긁어내리는 과정에서 용선 함유량이 있고, 이는 또한용선 슬래그 포트(5b)에 수재하여 이송대차로 이송 슬래그 야드에 배재 작업과정에서 다량의 분진 및 스케일이(3c)이 발생됨으로써 공장 환경저해요인이 대두된다. 한편, 제강 공장 핵 설비라인인 전로(1-1)에서 출강완료후 전로(1a)내부에 슬래그 (3a)를 전로 슬래그포트(5a)에 수재작업시 전로(1a)를 경동시켜 배재작업을 수행하면서, 전로(1a)내에 잔류 용강이 함께 배재됨으로써 제강 공장 실수율을 저하시킨다.
한편, 전로 슬래그 포트(5a)를 전로슬래그 포트이송대차(6a)에 의해 슬래그 야드로 이송후, 배재구간(10)에 하루 공정 8시간 배재하여 차후 8시간동안 살수냉각(11)하는 과정에서 전로 잔류용강(4a) 때문에 슬래그 냉각시간이 과다 발생되고(16) 이는 공업용수를 과다 요구되는 한편, 처리시 파이롯야드로 이송하여 절단작업을 통해서 전로에 재 장입하는 인력과 각종 중장비등이 투여되고있는 상태이고, 연속주조 과정에서는 주조 완료된 용강 레들내에 슬래그에 함유된 잔류용강(4)으로인한 제강 공정 용강 실수율 저해요인이 된다.
또한 연주 슬래그 포트(5)에 수재하여 슬래그 야드로 이송하여(6) 연주 슬래그 배재장(8)에 배재시 용강 래들 내에 잔류된 용강과 혼합되어 대형 슬래그 덩이로 구성되므로 이를 대형중장비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과정 및 이를 파쇄하는 작업공정에 대단위 작업공정과 원가절감에 저해요인이 되고있는 상태이다.
또한 제강공정의 부산물 처리장인 슬래그 야드는 대형 중장비와 대량의 작업인원이 교대로 근무하고 있으며, 작업현장 또한 대량 분진 및 스케일이 발생되므로 작업환경 저해로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강 공정의 용선 슬래그 처리를 분진 및 스케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제강 공정에서의 유실될 수 밖에없는 전로 슬래그내에 함유된 잔류용강을 조기 수거하여 실수율을 향상시키며, 연주 슬래그 내에 함유된 잔류용강을 조기 자원화할 수 있는 용강슬래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제강공정의 전로에서 발생하는 슬라스 및 용강을 분리하는 용선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호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에는 용강출강구 막힘장치를 가져 용강이 포함된 슬라스가 유입되어진 후 비중차에 의하여 용강 및 슬래그로 분리되어지도록 하는 용강 및 슬래그 분리부와, 상기 용강 및 슬래그 분리부에서 상부에 위치한 슬래그를 배출하고 상기 용강과 인접하여 미세하여 혼합되어 있는 슬래그를 배출하기 위한 유압출강부와, 상기 슬래그의 이동경로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수 수집라인과 상기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를 살수하는 펌프를 가지므로서 상기 슬래그 및 용강에 의하여 발생하는 먼지 및 이물질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잔류용강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선슬래그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연속주조기의 측면도.
도 1c는 크레인으로 래들내 잔탕(용강)을 배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d는 슬래그 야드로 대차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e는 슬래그 야드의 평면도.
도 1f는 대형 지금 배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g는 대형지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h는 잔류 용강이 포함된 전로 슬래그 배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i는 전로 슬래그 이송 대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1j는 슬래그 야드 살수과정에서 잔류용강 하부에 살수가 안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k는 잔류용강이 내장된 전로 슬래그 배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l는 스키머에의한 용선 슬래그 배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m는 용선 슬래그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n는 크레인에 의해 용선 슬래그 배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용 모타 구성도 및 살수장치 상세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용강 회수용 유압실린더 상세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용강 및 슬래그 처리 장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슬래그가 배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잔류용강 출강장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d는 용강출강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e는 유압이 상승된 상태에서 다음 작업을 준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f는 유압이 완전분리후 내부 청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슬래그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잔류 용강 회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d는 저온 슬래그 배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e는 잔류 용강 분리장치 내부 청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전로 및 연주슬래그에 적용한 상태른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 장치을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가 포함된 슬래그 및 용강 냉각 장치 도면.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슬래그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용선 슬래그 처리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주기기 1a : 전로
2 : 용강 크레인 2 : 슬래그 포트 크레인
3: 연주 슬래그 3a : 전로 슬래그
3b : 용선 슬래그 3c : 용선 슬래그 내 분진
4 : 연주 잔류용강 4a : 전로슬래그잔류용강
5 : 연주 슬래그 포트 5a : 전로 슬래그 포트
5b : 용선 슬래그 포트 6 : 연주슬래그 이송대차
6a : 전로슬래그 포트 이송 대차 6b :용선슬래그이송대차
7: 대차 이송용 레일 8 : 연주 대형 슬래그 배재장
9 : 용선 슬래그 배재장 10 : 전로 슬래그 배재장
11: 전로 슬래그 살수장 12 : 전로 슬래그 처리장
13 : 연주슬래그대형지금 13a : 연주슬래그내 잔류용강
13b : 대형슬래그분리슬래그 14 : 배수로
15: 건 슬래그 16 : 잔류용강 하부에 비 살수된 부분
17 : 스키머 30 : 1차 공기정화용 필터
30a : 2차공기정화용필터 30b : 3차 공기 정화용 필터
31 : 공기 펌핑용 모터 32 : 임펠라
33: 기압 분리 장치 34 : 기압 분리용 스위치
35: 쿨러를 장착한 살수장치 35a : 스프링 쿨러
35b : 수관 35c: 수관 링
35d : 수관 링 체결용 클립 35e : 스프링쿨러체결용볼트
35f : 수압조절용스프링 35g : 수압 조정부
35h : 탈,착용 수관 36 : 잔류용강출강구막힘장치
36a : 내화재 36b : 내화재 보호대
36c : 내화재 받침대 36d : 내화재 체결용 볼트
37 : 유압부 38 : 유압 출강 장치
39 : 용강 및 슬래그 분리용 호파 39a : 호파회전용베어링부
39b : 내화 벽돌 39c : 호파 거치대
39d : 호파 도어장치 40 : 용강 출구
41 : 슬래그 출구 42 : 슬래그 유출 방지장치
43 : 슬래그이송덤프차량 44 : 유압 모타
44a : 유압 실린더 45 : 용강 수거용 박스
46 : 호파 권상용 실린더 47 : 박스 운반용 모터
48 : 박스 무게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 49 : 박스 운반용 체인
50 : 궤도 51 : 강재 수집용 박스
52 : 살수 펌프실 53 : 살수 라인
54 : 증기 냉각기 54a : 증기냉각라인용밸브
54b : 트렙 장치 55 : 살수 장치
56 : 수압 조절 라인 56a : 수압조절라인용밸브
57 : 증기 라인 58 : 살수관
59 : 밸브 60 : 온도 센서기
60a : 지시계 60b : 수은부
60c : 수은 감지구 60d : 수은 센서용 스위치
61 : 용강 냉각용 살수 62 : 슬래그 냉각용 살수
63 : 냉각수 수집부 64 : 냉각수 수집부
65 : 냉각수 수집 라인 66 : 냉각수
67 : 상부 호파 67a : 괴지금 처리용 모터
67b : 괴지금처리기이동용레일 67c : 분말 처리기
67d : 분말처리 기동용로드 67e : 분말 처리 충격장치
67f : 분말 처리 기동용 모터 67-7 : 충격 완화장치
67-8 : 충격 완화용 스프링 67i : 살수 장치
67j : 분말 혼합장치 67k : 괴지금 처리용 로드
68 : 용선 괴 슬래그 69 : 살수처리된용선슬래그
70 : 용선슬래그이송용차량 71 : 내열재
72 : 필러층 73 : 보호 커버
74 : 장석 75 : 장력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용 모타 구성도 및 살수장치 상세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용강 회수용 유압실린더 상세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용강 및 슬래그 처리 장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슬래그가 배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잔류용강 출강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d는 용강출강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e는 유압이 상승된 상태에서 다음 작업을 준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f는 유압이 완전분리후 내부 청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선슬래그 처리장치는 연주 및 전로 슬래그 내에 잔류용강분리부와 용선슬래그 처리부와 상기 설비에 적용할 수 있는 살수부로 구성되어 있다. 연주 및 전로 슬래그 내에 잔류용강 분리장치부는 맨 상부 에는 내화벽돌(39b)로 구성된 용강 및 슬래그 분리용 호파(39)가 위치하며, 벽면에는 호파 회전용 베어링부(39a)와 측면에는 호파 도어장치(39d)가 장착되어있다. 그의 하부에는 슬래그 유출구(41)가 설치되어있으며, 슬래그 유출구 말단부에는 슬래그 유출방지장치(42)가 설치되어있다.
호파 (39)하단부에는 호파 권상용 실린더(46)가 위치하고, 이를 유지시켜주는 호파 거치대(39c)가 설치된다. 그의 하부실린더 카바 에는 용강 유출구(40)가 설치되어있고, 내부에는 잔류용강과 접촉부인 필라층(72)과 하부에는 내열재(71)가 설치되어있으며, 이를 상호 유지시켜주는 스프링 장치(75)가 내재되며 상기 필라층(72)과 내열재(71)를 삽입이 가능토록 장석(74)과 카바(73)가 설치되어 탈,착이 가능토록 되어있다.
한편 유압 출강장치(38)로는 내화재(36a)와 내화재 보호대(36b)는 내화재 체결용 볼트(36d)에 의해 단단히 체결되고 이는 다시 내화재 받침대(36c)와 연결되며 이는 유압부(37)와 결합되어 유압 출강장치(38)를 구성한다. 슬래그는 슬래그 이송용 덤프차량(46)으로 안착되고, 하부측으로 유출되는 잔류용강은 용강 수거용 박스(45)에 의해 수집되고 이는 박스 운반용 모타(47)에 의해 운동되는 괘도(50)와 괘도(50)를 작동시키는 박스운반용 체인(49)에의해 자동적으로 강재운반용 박스(51)에 연결된다.
한편 용강 수거용 박스(45)는 용강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하부에는 박스 무게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48)가 설치되어있다. 본 발명의 그 두번째 구성으로는 예비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용선 슬래그 처리장치는 맨 상부에는 용선 슬래그용 상부 호파(67)가 위치하고 그의 하부에는 용선 슬래그내에 존재하는 괴지금 처리용 모타(67a)와 이와 연동되는 괴 지금 처리용 로드(67a1)가 설치되고, 이를 전, 후진 작용시킬 수있는 레일(67b)이 설치된다.
하부에는 분말성분인 용선 슬래그(3b) 여과시키는 분말 처리기(67c)가 안장되고 이를 충격을 주면서 여과시킬수있게 분말처리 기동용 모타(67-6)와 분말처리 기동장치(67-5)와 이를 각 모서리에서 작동할수있도록 연동되는 분말처리 기동용 로드(67d)가 위치된다. 상기 충격장치의 요동을 하부설비에 전가치 못하도록 흡수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으로, 하부에는 충격 완화용 스프링(67-8)과 이와 연동되는 충격 완화장치를 설치하고 그의 하부에는 살수장치(67-9)가 설치되고, 본 장치 맨 하부에는 분말 혼합장치(67-10)로 구성이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세번째 구성으로는 전로 및 연주 슬래그 와 전로 및 연주에서 발생되는 잔류용강 냉각장치로 본 장치 맨 상부측 살수용 모타에는 1차 공기 정화용 필터(30)와 제 2차 공기 정화용 필터(30a)및 제3차 공기 정화용 필터(30b)가 장착되고, 옆에는 공기 펌핑용 모타(31)와 연동되는 임펠라(32)가 설치되고, 그에 하부에는 기압 분리장치(33)와 기압 분리용 스위치(34)와 이와 연동되는 증기 냉각 라인용 밸브(54a)와 수압 조절라인용 밸브(56a)가 설치되어있고 이에 첫라인으로는 수압 조절 라인(56)과 하부에는 살수장치(55)가 설치된다.
살수장치(55)로는 수관(35b)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수관 링(35c)이 위치하고 이를 수관 링 체결용 클립(35d)이 위치한다. 이는 스프링 쿨러(35a)가 스프링 쿨러 체결용 볼트(35-5)에 의해 체결되고,이는 수압 조절용 스프링(35-6) 포함한채 수압 조정부(35-7)를 이룬다. 이는 곧 탈,착용 수관에 삽입하여 쿨러를 장착한 살수장치(35)를 이루게 된다.
또한 증기 냉각 라인용 밸브(54a)측은 본 장치 중심부에 증기 라인(57)에는증기 냉각기(54)가 설치되고하부에는 살수관(58)과 하부에는 온도 센서기(60)를 장착한 밸브(59)등이 설치되고좌기 온도 센서기(60)는 온도가 상승하면 작동하는 수은부(60b)와 전면에는 수은 센서용 스위치(60d) 이를 감지한는 수은 감지구(60c)가 설치되고 이를 지시계(60a)로 구성된다.
한편 본 장치 맨하부 지하에는 냉각수(66)와 살수 펌퓨실(52)이 설치되고 이는 살수라인(5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하에는 냉각수 수집부 슬래그(63)와 냉각수 수집부(잔류 용강)(64)가 설치되어있으며, 이는 상호 냉각수 수집 라인(65)으로 연결되어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슬래그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c는 잔류 용강 회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d는 저온 슬래그 배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e는 잔류 용강 분리장치 내부 청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전로 및 연주슬래그에 적용한 상태른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 장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가 포함된 슬래그 및 용강 냉각 장치 도면이고,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슬래그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용선 슬래그 처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로 슬래그 처리 과정으로, 전로(1a) 슬라스(3a)의 잔류용강(4a) 처리과정으로는 슬래그 포트 이송대차(6a)에의해 슬래그 야드(5a)는 크레인(2)으로 전로 슬래그(3a)내에 잔류 용강(4a)이 내장된 슬래그 포트(5a)를 권상하여 배재를 하게되면, 잔류 용강(4a)과 전로 슬래그(3a)는비중에 의해 잔류 용강(4a)은 용강 및 슬래그 분리장치의 하부에 이르게 된다.
이후 슬래그(3a)는 상부에 부유물이 된다. 이때 용강 및 슬래그 분리장치의 맨 하부에는 필러(72)층과 내열재(71)가 장착된 전제하에서이다. 이후 이는 타이머에의해 동작된 슬래그 유출 방지장치(42)가 개방되면, 상부 부유물인 전로슬래그(3a)는 하부에 위치한 덤프트럭(43)에 중력에의해 수재가 되고, 이때 타이머에의해 용강 및 슬래그 분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유압 출강장치(38)가 동작을 하게된다. 본 유압 출강장치(38)는 5 TON 짜리 용량으로 이는 적정 용량의 무게 5 TON이 넘었을 때 유압 출강장치(38)가 용강 및 슬래그 분리장치내에 잔류용강(4a)무게에 의해 하부로 동작하게 된것이다.
이때, 이와 연동되는 상부 내열재(71)와 필라층(72)이 함께 연동되며 내부 잔류용강은 하부에 설치된 용강 출구(40)를 통하여 출강이 되며 이는 하부에 용강 수거용 박스(45)에 유입된것이다. 이는 다시 용강 수거용 박스(45)가 적정량이 이르렀을 때 하부에 설치된 박스 무게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48)이 동작하게 되면, 박스운반용 모타(47)가 기동이 된다.
이와 연동되는 궤도(50)를 회전시켜 박스 운반용 체인(49)이 회전되면서 살수냉각하여 잔류 용강(4a)은 강재로 변화여 박스 운반용 체인(49)이 회전되므로 강재 수집용 박스에 내재된것이다. 한편 각종 슬래그가 저온으로 배재된경우 슬래그 출구(41)를 통하여 수재가 안될경우에는, 호파 도어장치(39d)를 개방하면 호파 도어 한면이 해체되면서 내부 저온 슬래그가 배재되고, 한 차지의 작업 공정이 종료되었을경우, 내부를 청소 할경우는 호파 권상용 실린더(46)를 동작하게되면 호파 회전용 베어링부(39a)에의해 호파가 동작되어 내부에 이물질 및 잔 슬래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용선 슬래그(3b)처리 과정으로는 용선 슬래그 포트(5b)를 이송대차(6b)에 슬래그 야드에 이송후 슬래그 포트 크레인(2a)으로 권상하여(도 8)에 도시한바, 상부 호파(67)에 배재하게 되면 용선 슬래그(3b)내 잔재된 잔괴(68)는 하부에 설치된 괴지금 처리용 모타(67a)의해 괴지금 처리기 이동용 레일(67b) 상부를 왕복 작용하는 괴지금 처리용 로드(67a1)에 의해 옆면으로 처리되고 분말 슬래그(3c)는 분말 처리기(67c)를 통하여 하부로 유입 분말 처리 기동용 모타(67-6)에의해 기동되는 분말 처리 충격장치(67-5)를 통하여 하부로 유입되어 살수장치(67-9)에서 분말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한뒤 분말 혼합장치(67-10)에서 살수처리된 용선 슬래그(69)로 변재되어 용선 슬래그 이송용 차량(70)에 탑재되어 처리된다.
연주 슬래그(3) 및 전로 슬래그(3a)와 연주 잔류용강(4)과 전로 슬래그내 잔류 용강(4a) 살수 냉각장치로 냉각수 수집부(잔류용강)(64)와 냉각수 수집부(슬래그)(63)에 낙수된 살수용(61,62) 공업용수는 냉각수 수집라인(65)을 통하여 냉각수(66) 탱크에 수집된다.
이는 상부에 설치된 펌프(52)에의해 살수라인 (53)을 통하여 상승하여 수압 조절라인(56)를 타고 살수 장치(55)에 의해 하부로 유입 슬래그 냉각용 살수(62)에 이른 것이다. 한편 본 살수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잔류용강 수거용 박스(45)내에 용강의 온도에의해 온도 센서기(60)에 수은부(60b)에 수은이 상승하면 수은 감지구(60c)를 통하여 수은 센서용 스위치(60d)가 동작하여 밸브(59)가 열리게 되면 살수관(58)내부에 적재된 냉각수가 하부로 유입 살수작업에 이르게된다.
이는 또한 온도 센서기(60)에 의해 밸브(59)가 동작되어 닫게되면, 기압 분리용 스위치(34)는 증기 냉각라인용 밸브(54a)측으로 작동된다. 이에 하부로 유입된 기압은 증기 냉각기(54)로 유입되어 증기 라인(57)측으로 상승된 수증기와 찬 공기가 접촉하여 수분을 형성 하부로 유입 살수관(58)에 적재된다. 이때 나머지 잔류 공기압은 트렙(54b)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일관 제철소의 쇳물 성분 조정 및 품질을 관리하는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슬래그와 부산물 내부에 잔재되어있는 전로용강 및 연주잔류 용강을 조기에 회수하여 살수냉각하여 전로의 주 원료로 사용함으로서(1일 평균:100 TON이상) 대량으로 투입되고있는 잔괴처리 비용을 제로화 할수있다.
또한 슬래그 처리설비 및 각종 중장비 및 작업인력과 주변 부대설비을 합리화 하고, 잔류 용강 함유로 인한 살수효과 저해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공업용수 절감과 제강 공정의 가장 환경저해요인인 슬래그 야드를 합리화 한다.
또한 공정 환경개선 및 슬래그 살수작업시 수증기 발생으로 인한 안전 사고와 설비사고 발생으로인한 제강 공정에서 가장 관리가 요구되는 슬래그 야드를 합리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강공정의 전로에서 발생하는 슬라스 및 용강을 분리하는 용선슬래그 처리장치에 있어서,
    호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에는 용강출강구 막힘장치를 가져 용강이 포함된 슬라스가 유입되어진 후 비중차에 의하여 용강 및 슬래그로 분리되어지도록 하는 용강 및 슬래그 분리부와,
    상기 용강 및 슬래그 분리부에서 상부에 위치한 슬래그를 배출하고 상기 용강과 인접하여 미세하여 혼합되어 있는 슬래그를 배출하기 위한 유압출강부와,
    상기 슬래그의 이동경로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수 수집라인과 상기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를 살수하는 펌프를 가지므로서 상기 슬래그 및 용강에 의하여 발생하는 먼지 및 이물질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잔류용강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KR1020020049882A 2002-08-22 2002-08-22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KR20040017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882A KR20040017943A (ko) 2002-08-22 2002-08-22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882A KR20040017943A (ko) 2002-08-22 2002-08-22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943A true KR20040017943A (ko) 2004-03-02

Family

ID=3732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882A KR20040017943A (ko) 2002-08-22 2002-08-22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9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396B1 (ko) * 2003-04-11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롱노즐부착형 진동센서를 이용한 슬래그 유출감지장치
KR101412556B1 (ko) * 2012-07-31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회수장치
KR101412116B1 (ko) * 2012-06-28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과 슬래그 분리 장치
KR101481129B1 (ko) * 2013-04-23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슬래그 분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396B1 (ko) * 2003-04-11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롱노즐부착형 진동센서를 이용한 슬래그 유출감지장치
KR101412116B1 (ko) * 2012-06-28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과 슬래그 분리 장치
KR101412556B1 (ko) * 2012-07-31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회수장치
KR101481129B1 (ko) * 2013-04-23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슬래그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0481A (ja) 全量製鋼スラグ処理に適切な回転バレルによる処理プロセス及び処理装置
JP2012102998A (ja) 直接製錬装置
CN108220511A (zh) 一种铁合金矿热炉底滤法渣处理方法
KR20040017943A (ko) 용선슬래그 처리장치
CN109365090A (zh) 钢渣热破碎装置
CN210207035U (zh) 一种钢渣料斗辊筒及碾压热破碎装置
CZ284796B6 (cs) Plnicí zařízení pro přívod tekutého kovu do elektrické pece
CA107862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lten slag
CN103305640A (zh) 冶炼钒钛磁铁矿高炉的炉渣处理方法及水渣冲制箱
CN210937112U (zh) 一种铸铁机高纯铁水无渣控制浇铸装置
FI96324B (fi) Laitteisto sulan metallin kuljettamiseksi metallurgisesta uunista, erityisesti masuunista, valuastioihin
KR100685043B1 (ko) 전기로 대천정의 지금 처리장치
CN100556585C (zh) 一种有色金属熔渣超细粉处理工艺及系统
RU2674048C2 (ru)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го получения стали и портландцемента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камера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JP3068356B2 (ja) 高温解体屑回収装置
SU96375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дален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при помощи струй воды и сбора отходов при огневой зачистке прокатных заготовок
WO2014207072A1 (en) Aluminium dross processing
CN210030764U (zh) 用于高炉的摆动溜槽的烟气捕集装置
CN102392100A (zh) 转炉兑合金机构
KR100406436B1 (ko) 출선구에서 분출되는 유해물질 차단장치
CN216881710U (zh) 一种耐磨材料浇注液净化系统
JPH0237282A (ja) ロックウール用電気溶融炉における溶銑抜取り方法
RU2339887C2 (ru) Промежу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ечения шлака от металла при выпуске их в виде расплава из плави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AU2011296931A1 (en) Rotary hearth furnace exhaust gas duc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504484Y2 (ja) ロックウ―ル用電気溶融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