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595A -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595A
KR20040016595A KR1020020048841A KR20020048841A KR20040016595A KR 20040016595 A KR20040016595 A KR 20040016595A KR 1020020048841 A KR1020020048841 A KR 1020020048841A KR 20020048841 A KR20020048841 A KR 20020048841A KR 20040016595 A KR20040016595 A KR 2004001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595A/ko
Publication of KR2004001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5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을 통해 벨소리, 문자 및 영상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통신단자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나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통신단자를 통해 상대측 통신기기에게 전송하고,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통신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제어부로 접속시키는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하되, 제어부는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통신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대측 통신기기로 전송하고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된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통신단자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for cable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을 통해 벨소리, 문자 및 영상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편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필수품으로써 휴대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지고 상대방과의 전화통화 이외에도 시계, 인터넷 접속, 알람, 예약, 지불 등의 수단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 중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통신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었다. 왜냐하면, 컴퓨터처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는 내용을 손쉽게 마우스로 다른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반대로 전송받는 것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본다면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전송은 나름대로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컴퓨터와도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적외선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11), 키패드(112), 디스플레이부(113), 저장부(114), 오디오변환부(115), 무선회로부(116), 적외선통신부(11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1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는 것으로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적외선 데이터통신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지정선택에 따라 적외선 데이터통신에서 수신모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수신모드 선택에 따라, 제어부(111)는 발신측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보내도록 요구하고 현재 남아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량과 현재 송신하려는 데이터의 포맷(이중에는 그림, 벨, 전화부 등을 들 수 있다), 데이터의 이름, 송신하려는 데이터량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11)는 메모리부(114)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모리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선택해서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1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적외선 데이터통신 기능을 선택하고 어떤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전송받기를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버튼과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11)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키 버튼과 일반 버튼에는 제어기능을 설정을 위한 키버튼 뿐만 아니라 강제로 설정해제 또는재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키버튼이 존재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설정하는 화면, 수신메뉴를 선택하는 화면, 현재 남아 있는 메모리량과 송신하려는 데이터의 포맷, 이름, 송신하려는 데이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데이터전송이 진행하는 화면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메모리부(114)는 제어부(111)에 의해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며,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수신메뉴를 선택하는 화면과 현재 남아 있는 메모리량과 송신하려는 데이터의 포맷, 이름, 송신하려는 데이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과 데이터전송이 진행하는 화면 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오디오 변환부(11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하는 음성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를 제어부(111)에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무선회로부(116)는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11)에 전송하거나, 서버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적외선 데이터통신부(117)는 다른 적외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적외선신호의 직진성 때문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일정 각도 이상 어긋나서위치하게 되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보편화된 유선 접속 방식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선을 통해 상대방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 있다.
본 발명은 유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적외선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220: 제 1 및 제 2 이동통신 단말기 211, 221: 키패드
212, 222: 제어부 213, 223: 액정화면
214, 224: 통신단자 215, 225: USB신호 송수신부
216, 226: 메모리 230: 공용케이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 같은 통신기기와 통신단자를 통해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자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나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자를 통해 상대측 통신기기에게 전송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접속시키는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상대측 통신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자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211)와, 키패드(2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RS232 및 USB 신호체계의 유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2)와, 제어부(212)에 의해 제공되는 문자 및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LCD)(213)과, 제어부(212)로부터 전달되는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통신단자(214)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제어부(212)로 접속시키는 USB신호 송수신부(215)와, 제어부(212)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문자 및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6)를 구비한다.
여기서, 통신단자(214)는 24 핀(Pin)으로 이루어진 ICC 커넥터로서, 이 24 핀 중에 일정 갯수의 핀들을 통해서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다른 일정 갯수의 핀들을 통해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단자(214)에 연결되는 케이블(230)은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와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각각 전송할 수 있는 공용케이블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10, 220)는 통신단자(214, 224)들에 연결되는 공용케이블(230)을 통해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12)는 초기 상태에서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되, 이러한 데이터 전송의 신호체계는 키패드(21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패드(211)를 눌러 메뉴항목을 선택한 후 메뉴항목 중에서 USB 신호체계나 RS232 신호체계를 유선 데이터의 전송모드로 설정하면, 제어부(21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USB 신호체계나 RS232 신호체계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유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10, 230)가 USB 신호체계의 전송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 1 및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10, 220)의 통신단자(214, 224)들이 공용케이블(23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키패드(211)를 눌러 메모리(216)에 저장된 벨소리나 문자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로 전송할 것을 지시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메모리(216)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신호체계로 전송하기 위해 USB신호 송수신부(215)로 전달한다. 이어서, 제 1 이동통신단말기(210)의 USB신호 송수신부(215)는 제어부(21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통신단자(214)와 공용케이블(230)을 통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USB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로 전송되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의 USB신호 송수신부(225)는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공용케이블(230)과 통신단자(224)를 통해 수신된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제어부(222)로 접속시킨다.
이때,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의 제어부(222)는 키패드(22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액정화면(223)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메모리(226)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로부터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USB 전송 방식을 통해 컴퓨터와도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는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10, 230)가 RS232 신호체계의 전송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 1 및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10, 220)의 통신단자(214, 224)들이 공용케이블(23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키패드(211)를 눌러 메모리(216)에 저장된 벨소리나 문자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로 전송할 것을 지시하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메모리(216)에 저장된 데이터를 RS232 신호체계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통신단자(214)와 공용케이블(230)을 통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RS232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로 전송되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의 제어부(222)는 공용케이블(230)과 통신단자(224)를 통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된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렇게 RS232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의 제어부(222)는 사용자 지시에 따라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액정화면(223)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메모리(226)에 저장한다.
한편, 제 1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2 이동통신 단말기(220)로부터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또한 적외선통신 방식에 비해 제품의 제조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컴퓨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 같은 통신기기와 통신단자를 통해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자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나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자를 통해 상대측 통신기기에게 전송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접속시키는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상대측 통신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측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자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체계의 데이터는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체계의 데이터는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와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체계인 USB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상기 제 2 신호체계인 RS232 신호체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20048841A 2002-08-19 2002-08-19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16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841A KR20040016595A (ko) 2002-08-19 2002-08-19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841A KR20040016595A (ko) 2002-08-19 2002-08-19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595A true KR20040016595A (ko) 2004-02-25

Family

ID=3732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841A KR20040016595A (ko) 2002-08-19 2002-08-19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59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3126A2 (en) * 1998-06-04 1999-12-08 Alps Electric Co., Ltd. System of starting and terminating data communication
KR20010073533A (ko) * 2000-01-18 2001-08-01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단일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외부 장치들과 통신용 포트들을 연결하는 장치
JP2001306495A (ja) * 2000-04-25 2001-11-02 Toshiba Corp 携帯通信端末
JP2001345893A (ja) * 2000-03-28 2001-12-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性能データを記憶する記憶装置を有しこの記憶装置を更新する方法
KR20020035298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유에스비 포트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80186A (ko) * 2001-04-12 2002-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3126A2 (en) * 1998-06-04 1999-12-08 Alps Electric Co., Ltd. System of starting and terminating data communication
KR20010073533A (ko) * 2000-01-18 2001-08-01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단일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외부 장치들과 통신용 포트들을 연결하는 장치
JP2001345893A (ja) * 2000-03-28 2001-12-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性能データを記憶する記憶装置を有しこの記憶装置を更新する方法
JP2001306495A (ja) * 2000-04-25 2001-11-02 Toshiba Corp 携帯通信端末
KR20020035298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유에스비 포트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80186A (ko) * 2001-04-12 2002-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93830A (ja) 携帯電話機および表示アダプタ
KR20010093895A (ko) 배경화면 선택이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JP2002190869A (ja) 転送制御システム及び転送制御方法
US6934560B2 (en) System combining pager typ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mobile phone module
KR20040016595A (ko) 유선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10341302A (ja) 電子撮像装置、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システム
JPS61181253A (ja) 電話機
KR100407390B1 (ko)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수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전화기
KR10036577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5979A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KR970007670B1 (ko) 단말기의 버튼기능 변환 기능을 갖는 키폰시스템 및 그 방법
JP5010302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ボタン電話機及び表示信号処理方法
KR20040015520A (ko) 광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KR10059806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KR20090012950A (ko)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
JPH118823A (ja) 携帯端末、電子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3783274B2 (ja) 通信端末
KR100617167B1 (ko) 데이터 백업을 위한 텔레비젼과 그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7325A (ko)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KR20060024694A (ko) 정보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687196B1 (ko) 특정사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645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포즈기능을 이용한 번호 다중선택방법
KR1007129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JP4089011B2 (ja) 通信装置
KR20020075955A (ko) 단축키를 이용한 대화형 문자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