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325A -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325A
KR20040047325A KR1020020075486A KR20020075486A KR20040047325A KR 20040047325 A KR20040047325 A KR 20040047325A KR 1020020075486 A KR1020020075486 A KR 1020020075486A KR 20020075486 A KR20020075486 A KR 20020075486A KR 20040047325 A KR20040047325 A KR 2004004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device
menu
data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현
허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7325A/ko
Publication of KR2004004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3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이 개시된다.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은, 착신이 있는 경우 착신을 알리는 착신알림정보를 출력하는 휴대통신단말기,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된 착신알림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된 착신알림정보를 표시장치에서 인식하고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TOGETHE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통신단말기와 표시장치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하여 휴대통신단말기의 기능을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달 및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휴대통신단말기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통신단말기에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의 요구에 부응하여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이동 무선 전화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에는 배경화면설정기능, 단문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기능, MP3(MPEG Audio Layer-3)기능, 무선인터넷기능, 카메라기능, TV(television)기능, VOD(Video On Demand )기능, 온/오프라인 게임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 외에도 휴대통신단말기를 외부 표시장치와 연결하여 휴대통신단말기의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기능도 등장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은 무선통신단말기(20)의 인터페이스(26)와 무선통신단말기(20)의 LCD(22)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의 화면(10)을 갖는 표시장치가 전송매체(28)를 통해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은 무선통신단말기(20)의 LCD(22)에 표시되는 상태를 외부 표시장치(미도시)의 화면(10)에 확대하여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1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휴대통신단말기(20)에 마련된 키패널(24) 상의 정해진 키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10)에 큰 사이즈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보면서 해당 데이터를 편집함으로써, 데이터의 편집을 보다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LCD(22)에 표시되는 화상이 표시장치의 화면(10) 전체에 확대되어 표시되므로 휴대 통신 단말기(20)와 접속된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그때까지 표시장치의 화면(10)에 표시 중이던 화상 표시를 중지시키고 그 대신에 LCD(22)에 표시되는 화상을 표시장치의 전체 화면(10)에 표시시킨 후 데이터 편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중에 현재 휴대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휴대통신단말기(20)의 LCD(22) 등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동안에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하고자 때, 표시장치를 통해 작업 중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한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휴대통신단말기를 확인하지 않고도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기존의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기의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한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폰메뉴키가 선택되어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뉴가 출력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메시지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메시지메뉴의 서브메뉴 중 발신메시지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메뉴 중 휴대폰 호출메뉴가 선택되어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처리명령에 따라 도 6에 입력된 번호에 대한 처리의 결과 여부가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정보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이 있는 경우 착신을 알리는 착신알림정보를 출력하는 휴대통신단말기, 및 휴대통시단말기에 접속되어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착신알림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을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에 요구하고,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편집선택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표시된 편집선택메뉴 중 선택된 메뉴에 대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한다. 휴대통신단말기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동작상태정보를 표시장치에 전송하고, 표시장치는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동작상태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한편, 표시장치는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통신단말기 및 표시장치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된다. 편집선택메뉴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 데이터의 편집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메뉴,편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완료메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표시장치는 완료메뉴가 선택되면 편집된 데이터 및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명령을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휴대통신단말기는 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처리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장치는,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동작상태정보, 편집선택메뉴, 및 데이터의 편집에 따른 상태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통신의 상태정보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이 있는 경우 착신을 알리는 착신알림정보를 출력하는 휴대통신단말기,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된 착신알림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된 착신알림정보를 표시장치에서 인식하고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표시장치는 컨버터에서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착신알림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를 컨버터에 요구한다. 컨버터는 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를 휴대통신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휴대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휴대통신단말기는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에 따라 편집선택메뉴를 컨버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컨버터는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편집선택메뉴를 표시장치가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한다. 휴대통신단말기는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컨버터로부터 전송된 편집선택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편집선택메뉴 중 선택된 메뉴에 대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한다.
휴대통신단말기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동작상태정보를 컨버터에 전송하고 컨버터는 동작상태정보를 표시장치가 인식하여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는 컨버터로부터 전송된 동작상태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장치는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가 컨버터에 의해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수신되면,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통신단말기, 컨버터, 및 표시장치는 상호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된다. 편집선택메뉴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 데이터의 편집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메뉴, 편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완료메뉴 등을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완료메뉴가 선택되면 편집된 데이터 및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명령을 컨버터에 전송한다. 컨버터는 데이터 및 처리명령을 휴대통신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휴대통신단말기는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처리명령에 따라 처리한다.
또한, 표시장치는,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컨버터를 통해 포맷이 변환되어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동작상태정보, 편집선택메뉴, 및 데이터의 편집에 따른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통해 다른 작업을 하고 있을 때에도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휴대통신단말기의 편집메뉴를 수신하여 해당 메뉴를 이용한 데이터 편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할 때 OSD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기존에 작업 및 작업 상황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통신단말기는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매번 표시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도 휴대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및 동작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기의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한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은, 무선휴대단말기(100), 컨버터(300), 및 표시장치(500)를 갖는다. 여기서, 무선휴대단말기(100), 컨버터(300), 및 표시장치(500)는 통신을 위해 상호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된다.
무선휴대단말기(100)는 외부 표시장치와 상호 데이터를 수수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착신에 있는 경우 착신을 알리는 착신알림정보 및 무선휴대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동작상태정보를 컨버터(300)로 전송한다.
컨버터(300)는 무선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표시장치(500)에서 화면(562)에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포맷의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표시장치(500)로 전송한다. 컨버터(300)는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표시장치(500)의 스피커(552)를 통해 출력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표시장치(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표시장치(500)는 수신된 음성, 영상, 및 문자데이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스피커(552) 및/또는 화면(562)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0)는 컨버터(300)로부터 전송된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화면(562) 및/또는 스피커(552)로 출력한다.
휴대폰신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엔코딩부(120), 제어부(130), 유선통신부(140), 디코딩부(150), 키패널(160), 음성출력부(170), 영상출력부(180), 저장부(190)를 갖는다.
무선통신부(110)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외부 통신기기와 설정된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부(110)는 휴대통신단말기(100)와 컨버터(300)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설정된 경우,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컨버터(300)로 전송한다. 엔코딩부(120)는 전송하기 위한 문자, 음성, 및 이미지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제어부(130)는 무선통신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표시장치와 상호 통신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안테나를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착신알림정보 및 휴대통신단말기(100)의 동작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유선통신부(140)는 컨버터(300)와 유선의 전송매체를 통해 접속되고,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컨버터(300)에 전송하고 컨버터(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선통신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컨버터(300)에 전송한다.
디코딩부(150)는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전송된 안테나에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키패널(160)는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및 설정된 기능의 선택 및 정보의 변경을 위한 기능키를 구비한다. 이때, 키패널(160)는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통신단말기(100)와 표시장치(500)가 컨버터(300)를 통해 접속된 경우, 키패널(160)의 해당 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출력정보를 표시장치(500)의 화면(562)에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음성출력부(170)는 디코딩부(150)에서 복호된 데이터 중에서 음성 데이터, 및 디코딩부(150)에서 복호된 데이터의 종류별로 대응하여 설정되어 저장부(190)에 저장된 사운드를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 영상출력부(180)는 디코딩부(150)에서 복호된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 및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가시 가능한 형태로 출력한다.
저장부(190)에는 제어부(130)의 제어 시 필요한 구동 프로그램 및 제어 동작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90)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표시장치(500)로 전송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상태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부(190)에는 해당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인 편집선택메뉴 및 편집선택메뉴 중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편집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한편, 컨버터(300)는, 무선통신부(310), 유선통신부(320), 컨버팅제어부(330), 변환값저장부(340), 및 인터페이스(350)를 갖는다.
무선통신부(310)는 휴대통신단말기(100)와 상호 데이터를 수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310)는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표시장치(500)로부터 휴대통신단말기(100)에 대한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을 안테나를 통해 휴대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유선통신부(320)는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유선통신부(140)와 전송매체를 통해 접속되어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컨버팅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휴대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컨버팅제어부(330)는 컨버터(300)의 해당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 대상 표시장치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변환값저장부(340)에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설정된 변환값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컨버팅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는 변환값저장부(340)에 저장된 변환값으로 변환되어 전송 대상 표시장치(500)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버팅제어부(330)는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변환값저장부(340)에 저장된 표시장치(500)가 인식하여 화면(562)에 표시 가능한 포맷의 변환값으로 변환하여 표시장치(500)로 전송한다. 또한, 컨버팅제어부(330)는 표시장치(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변환값저장부(340)에 저장된 휴대통신단말기(100)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변환값으로 변환하여 휴대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350)는 표시장치(500)와 전송매체를 통해 접속되고, 컨버팅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표시장치(500)가 인식 가능한 포맷의 변환값으로 변환된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표시장치(500)에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350)는 표시장치(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을 수신하여 컨버팅제어부(33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컨버팅제어부(330)는 수신된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을 휴대통신단말기(100)가 인식 가능한 포맷의 변환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을 휴대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310) 및 유선통신부(32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컨버터(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부(190)로부터 인출하고, 인출된 데이터를 컨버터(300)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10) 및 유선통신부(14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휴대통신단말기(100)의 무선통신부(110) 또는 유선통신부(1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수신되면, 컨버팅제어부(330)는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값저장부(340)에 저장된 변환값을 기초로 표시장치(500)가 인식 가능한 포맷의 변환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표시장치(500)로 전송한다.
한편, 표시장치(500)는, 인터페이스(510), OSD부(520), 키패널(530), 출력제어부(540), 음성출력부(550), 영상출력부(560), 및 센서(570)를 갖는다.
인터페이스(510)는 컨버터(300)의 인터페이스(350)와 전송매체를 통해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510)는 컨버터(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제어부(540)에 전송하고, 출력제어부(54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수신 요구 명령을 비롯한 휴대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컨버터(300)에 전송한다.
OSD부(52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화면(562)에 OSD(On Screen Display)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OSD부(520)는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착신알림정보, 동작상태정보, 메뉴, 및 표시장치(500)에서 데이터의 편집에 따른 상태정보를 OSD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562)에 표시하도록 한다.
키패널(530)은 표시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마련되며, 선택된 키에 따라 해당 명령을 출력제어부(54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패널(530)에는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의 수신 요구 명령을 휴대통신단말기(100)에 요구하기 위한 폰메뉴키(532)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폰메뉴키(532)가 선택되면, 출력제어부(540)는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를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컨버터(300)에 전송한다.컨버터(300)의 컨버팅제어부(330)는 표시장치(500)로부터 전송되어 인터페이스(350)에 수신된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를 휴대통신단말기(100)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부(310) 또는 유선통신부(320)를 통해 전송한다.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컨버터(300)로부터 전송된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송요구신호에 따라 편집선택메뉴를 저장부(190)로부터 인출하여 무선통신부(110) 또는 유선통신부(140)를 통해 컨버터(300)로 전송한다.
컨버터(300)의 컨버팅제어부(330)는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편집선택메뉴가 수신되면, 수신된 편집선택메뉴를 표시장치(500)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표시장치(5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500)의 출력제어부(540)는 컨버터(300)로부터 편집선택메뉴가 수신되면, 수신된 편집선택메뉴가 화면(562)에 표시될 때 OSD로 표시되도록 편집선택메뉴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도록 OSD부(5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OSD부(520)는 수신된 편집선택메뉴를 OSD로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음성출력부(550)는 출력제어부(540)의 제어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552)를 통해 출력한다. 영상출력부(560)는 출력제어부(54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텍스트 등 표시 가능한 데이터를 화면(562)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출력부(560)는 출력제어부(540)의 제어에 따라 OSD부(520)에서 OSD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메뉴를 OSD로 화면(562)에 표시한다. 센서(570)는 표시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제어부(540)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에는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편집선택메뉴 및 편집선택메뉴 중 편집을 위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다.
한편, 휴대통신단말기(100)에서 전송되어 표시장치(500)의 화면(562)에 표시되는 메뉴는 편집메뉴, 취소메뉴, 완료메뉴 등을 포함한다. 편집메뉴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이고, 취소메뉴는 데이터의 편집을 취소하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완료메뉴는 편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메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출력제어부(540)는 완료메뉴가 선택되면, 편집된 데이터 및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명령을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컨버터(300)로 전송한다.
컨버터(300)의 컨버팅제어부(330)는 표시장치(500)로부터 편집된 데이터 및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및 데이터이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명령을 휴대통신단말기(100)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휴대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컨버터(300)로부터 전송된 인식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 및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명령에 따라 처리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표시장치(500)의 화면(562)에 표시되는 메뉴의 편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폰메뉴키(532)가 선택되어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메뉴가 출력제어부(540)의 제어에 따라 화면(562)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메뉴는,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설정을 위한 메뉴인 휴대폰설정메뉴,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메뉴, 다이어리기능을 위한 전자다이어리메뉴, 인터넷 접속시 등록된 즐겨찾기메뉴, 전화번호의 등록과 변경 및 검색을 위한 전화번호부메뉴, 및 메시지의 검색과 편집 및 전송을 위한 메시지메뉴를 갖는다. 이때, 도면에는, 표시된 메뉴 중 메시지메뉴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화면(562)에 표시되는 메뉴는 화면(562)의 일부에 OSD 기능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화면(562) 전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메시지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화면(562)에 표시되는 메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메시지메뉴가 선택되면, 출력제어부(540)는 선택된 메시지메뉴에 대응하는 서브메뉴를 요구하는 명령을 컨버터(3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메뉴에 대응하는 서브메뉴가 수신되면, 출력제어부(540)는 수신된 서브메뉴를 화면(562)에 표시한다. 화면(562)에 표시된 서브메뉴에 따르면, 메시지메뉴는 수신메시지메뉴, 발신메시지메뉴, 및 문장보관함메뉴를 갖는다. 수신메시지메뉴는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뉴이고, 발신메시지메뉴는 외부 표시장치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이며, 문자보관함메뉴는 발신된 메시지 중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저장부(190)에 저장된 메시지의 확인을 위한 메뉴이다. 도면에서는 메시지메뉴의 서브메뉴 중 발신메시지메뉴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의 메시지메뉴의 서브메뉴 중 발신메시지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화면(562)에 표시되는 메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메시지메뉴가 선택되면,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메뉴가 표시된다. 도면에서처럼,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뉴에는, 편지쓰기메뉴, 휴대폰 호출메뉴, 명함 보내기메뉴, 및 발신함 관리메뉴 등이 있다. 편지쓰기메뉴는 전송할 메시지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이고, 휴대폰 호출메뉴는 대상 휴대통신단말기로 호출을 요구하는 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이다. 명함 보내기메뉴는 편집된 사용자의 인적 사항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이며, 발신함 관리메뉴는 전송된 메시지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이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메뉴 중 휴대폰 호출메뉴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의 메뉴 중 휴대폰 호출메뉴가 선택되어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호출메뉴가 선택되면 호출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뉴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는 상대방 휴대통신단말기의 번호로서 "0123456789"번이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대방의 번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화면(562)에 표시 또는 키패널(530)에 마련된 확인키(미도시)가 선택 및/또는 리모콘(미도시)에 마련된 휴대통신단말기(100)와 관련된 메뉴 중 확인키(미도시)가 선택되어 센서(570)에 감지되면, 출력제어부(540)는 입력된 상대방 휴대통신단말기의 번호정보를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컨버터(300)에 전송한다. 이때, 출력제어부(50)는 번호정보에 대한 처리명령을 포함하여 컨버터(300)로 전송한다. 번호정보에 대한 처리명령에는, 입력된 번호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기로 호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명령, 입력된 번호를 저장부(190)에 저장하기 위한 명령 등을 포함한다.
컨버터(300)의 컨버팅제어부(330)는 표시장치(500)로부터 전송된 번호정보 및 처리정보를 휴대통신단말기(100)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통신부(320) 및/또는 무선통신부(310)를 통해 휴대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휴대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컨버터(300)로부터 전송된 번호정보 및 처리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처리정보에 따라 번호정보를 처리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수신된 번호정보에 대해 처리정보를 기초로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그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를 영상출력부(180)에 표시 및/또는 표시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처리명령에 따라 도 6에 입력된 번호에 대한 처리의 결과 여부가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 표시장치(500)의 화면(562)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따르면,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번호에 대한 호출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송 성공"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장치(500)를 통해 다른 작업을 하고 있을 때에도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표시장치(500)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기(100)로부터 휴대통신단말기(100)의 편집메뉴를 수신하여 해당 메뉴를 이용한 데이터 편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뉴를 화면(562)에 표시할 때 OSD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562)에 표시함으로써, 기존에 작업 및 작업 상황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통신단말기(100)는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매번 표시장치(5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장치(500)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도 휴대통신단말기(100)의 데이터 수신 및 동작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및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통신단말기(100)와 표시장치(500)가 상호 데이터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 컨버터(300)가 휴대통신단말기(100)와 표시장치(500)를 상호 연결하고 있으나, 표시장치(500) 및/또는 휴대통신단말기(100)가 상호 데이터 인식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 경우에는 컨버터(300)를 제외하고 휴대통신단말기(100)와 표시장치(500)가 직접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통해 다른 작업을 하고 있을 때에도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휴대통신단말기의 편집메뉴를 수신하여 해당 메뉴를 이용한 데이터 편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할 때 OSD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기존에 작업 및 작업 상황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통신단말기는 착신알림정보 및 동작상태정보를 매번 표시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도 휴대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및 동작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정보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착신을 알리는 착신알림정보를 출력하는 휴대통신단말기; 및
    상기 휴대통시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착신알림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을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에 요구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편집선택메뉴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며 표시된 상기 편집선택메뉴 중 선택된 메뉴에 대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착신알림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알림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기 및 상기 표시장치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선택메뉴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 상기 데이터의 편집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메뉴, 편집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완료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완료메뉴가 선택되면 편집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명령을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처리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착신알림정보, 상기 동작상태정보, 상기 편집선택메뉴, 및 상기 데이터의 편집에 따른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시스템.
  9. 무선통신의 상태정보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착신을 알리는 착신알림정보를 출력하는 휴대통신단말기;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된 상기 착신알림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된 상기 착신알림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서 인식하고 상기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컨버터에서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착신알림정보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를 상기 컨버터에 요구하고, 상기 컨버터는 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편집선택메뉴의 전송요구신호를 상기 휴대통신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상기 편집선택메뉴의 상기 전송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편집선택메뉴를 컨버터로 전송하며;
    상기 컨버터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편집선택메뉴를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상기 컨버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편집선택메뉴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며 표시된 상기 편집선택메뉴 중 선택된 메뉴에 대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컨버터에 전송하고 상기 컨버터는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표시장치가 인식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컨버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착신알림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정보가 상기 컨버터에 의해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수신되면, 상기 착신알림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기, 상기 컨버터, 및 상기 표시장치는 상호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선택메뉴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메뉴, 상기 데이터의 편집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메뉴, 편집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완료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완료메뉴가 선택되면 편집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명령을 상기 컨버터에 전송하고, 상기 컨버터는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처리명령을 상기 휴대통신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처리명령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컨버터를 통해 포맷이 변환되어 전송된 상기 착신알림정보, 상기 동작상태정보, 상기 편집선택메뉴, 및 상기 데이터의 편집에 따른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동시스템.
KR1020020075486A 2002-11-29 2002-11-29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KR20040047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86A KR20040047325A (ko) 2002-11-29 2002-11-29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86A KR20040047325A (ko) 2002-11-29 2002-11-29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325A true KR20040047325A (ko) 2004-06-05

Family

ID=3734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486A KR20040047325A (ko) 2002-11-29 2002-11-29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73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8638B2 (en) 2009-08-21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KR20160073194A (ko) * 2014-12-16 2016-06-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기록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015A (ko) * 1996-04-22 1997-11-07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호출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00010009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외부 표시기기에 무선단말기의 수신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010016744A (ko) * 1999-08-03 2001-03-05 윤종용 티브이폰에서 정보 표시방법
KR200224794Y1 (ko) * 2000-12-21 2001-05-15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77141A (ko) * 2000-01-31 2001-08-17 송대섭 확장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전화기
KR200258798Y1 (ko) * 2001-09-21 2001-12-29 주식회사 미르존 확장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보조장치
KR100539871B1 (ko) * 1998-12-26 200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수신 메세지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015A (ko) * 1996-04-22 1997-11-07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호출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00010009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외부 표시기기에 무선단말기의 수신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100539871B1 (ko) * 1998-12-26 200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수신 메세지 표시 방법
KR20010016744A (ko) * 1999-08-03 2001-03-05 윤종용 티브이폰에서 정보 표시방법
KR20010077141A (ko) * 2000-01-31 2001-08-17 송대섭 확장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전화기
KR200224794Y1 (ko) * 2000-12-21 2001-05-15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58798Y1 (ko) * 2001-09-21 2001-12-29 주식회사 미르존 확장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보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8638B2 (en) 2009-08-21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9131065B2 (en) 2009-08-21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9401982B2 (en) 2009-08-21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0033849B2 (en) 2009-08-21 2018-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0623550B2 (en) 2009-08-21 2020-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US10805450B2 (en) 2009-08-21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KR20160073194A (ko) * 2014-12-16 2016-06-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391E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a mobile phone using a TV system
KR100459560B1 (ko)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의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기기 및이를 이용한 인디케이터 아이콘 표시방법
US9661265B2 (en) Method of conveying emo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EP2315418A1 (en) Mobile phone and incoming alerting system
EP1033878A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7325A (ko) 표시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연동 시스템
JP2002291052A (ja) 携帯電話
US20070072592A1 (en) Method of receiving a cal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070037612A1 (en) Digital television with built-in telephone function
KR101102395B1 (ko) 티브이 화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및 제어 방법
KR100546614B1 (ko) 외부기기를 이용한 전화 메시지 출력장치 및 방법
JP2003051869A (ja) デジタル情報機器システム、デジタル携帯端末および制御方法
KR100878354B1 (ko) 영상통화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EP160792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home theater using a wireless terminal
US8098274B2 (en) Image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4776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방법
KR20080025979A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KR10059806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KR20070019325A (ko) 휴대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6300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이메일 전송 방법
KR100598046B1 (ko) 단말기에서의 부재중 착신정보 알림 방법
KR200243646Y1 (ko) 휴대형 통신단말기의 시간경보/배경화면 제어장치
KR100862289B1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외부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06170A (ko) 티브이에 내장된 문자정보수신장치
KR20050045035A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