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690A -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690A
KR20040013690A KR1020020046725A KR20020046725A KR20040013690A KR 20040013690 A KR20040013690 A KR 20040013690A KR 1020020046725 A KR1020020046725 A KR 1020020046725A KR 20020046725 A KR20020046725 A KR 20020046725A KR 20040013690 A KR20040013690 A KR 2004001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ntainer
radiator
connector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주)두영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영에너지 filed Critical (주)두영에너지
Priority to KR102002004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3690A/ko
Publication of KR2004001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69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70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수를 수용하는 용기의 하방부에 연결관을 설치하고, 연결구에 의해 연결관을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결합시켜 연결관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통해 용기와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연통상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냉각수의 양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써머스타트의 개폐여부를 인지하여 냉각수의 주입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냉각수의 정량 보충이 가능하도록 조작하여 냉각수의 누출방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

Description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Apparatus for supplementing water coolants for radiato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냉각수 보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방열기; Radiator)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냉각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라디에이터에 들어 있는 냉각수(부동액 포함)의 양이 부족할 경우 자동차의 주행중에 냉각수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여 엔진이 과열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에 냉각수가 부족하여 엔진이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냉각수를 보충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별도의 냉각수 보충장치가 없기 때문에 자동차를 정지시킨 후, 소정 용기를 이용하여 물을 퍼다가 라디에이터의 주입구를 통해 냉각수를 주입하여 보충해 주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냉각수 보충방법에 의하면 냉각수의 보충량과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워 냉각수의 주입중에 라디에이터의 주입구를 통해 냉각수가 흘러 넘쳐 자동차의 엔진과 그 주위 차체 및 바닥에 누출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물과 부동액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냉각수는 부동액의 주요성분인 에틸렌글리콜 등이 공해를 유발시키는 유해물질로서 누출시 자동차 차체의 부식, 악취 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키므로 철저한 사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냉각시스템은 냉각수 온도에 따라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라디에이터로 흐르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수의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일종의 밸브장치인 써머스타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써머스타트의 개폐여부는 자동차 정비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이유로 인하여 냉각수의 보충작업 등과 같은 정비시 효율성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 냉각수 보충방법이 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의 충전량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써머스타트의 개폐여부에 대한 인지가 가능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수의 충전량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써머스타트의 개폐여부에 대한 인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냉각수 주입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냉각수의 정량 보충이 가능하도록 조작하여 냉각수의 누출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라디에이터 11...냉각수 주입구
12...써머스타트 13...팬모터
110...용기 120...연결관
130...연결구 140...개폐 밸브
150...바이패스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는, 냉각수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와;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용기와 상기 연결구를 연통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와 상기 용기의 연통상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입구 규격에 따라 대응하는 규격으로 대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각각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와 상기 연결관에는 바이패스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밸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단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의 투시가 가능한 투광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각수의 수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예컨대, 눈금자 등과 같은 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를 수용하기 위한 통형의 용기(110)와, 그 용기(110)의 하방부에 연통되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관(120)과, 자동차 라디에이터(도 2의 참조부호 10)의 주입구(도 2의 참조부호 11)에 연통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관(1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구(130) 및 상기 용기(110)와 상기 자동차 라디에이터(10)의 연통상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120)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110)는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수지와 같은 투명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냉각수의 수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예컨대, 눈금자(111) 등과 같은 측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110)와 상기 연결관(120)에는 바이패스관(150)이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관(150)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구(130)와 상기 개폐 밸브(1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관(120)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관(150)의 타단부는 상기 용기(110)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130)는 자동차 라디에이터(10)의 주입구(11)의 규격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규격의 것으로 대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규격과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관(120)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연결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캡형 몸체(131)의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돌출된 제1돌출관(132)과 제2돌출관(133)을 가지며, 상기 제1돌출관(13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32a)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나사부(132a)가 상기 연결관(120)의 끝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미도시)와 상보적으로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관(133)은 상기 자동차 라디에이터(10)의 주입구(11)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압입되도록 외주면에 고무재와 같은 패킹재가 외장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의 참조부호 101은 상기 용기(110)의 상단부를 개폐하여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뚜껑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2의 참조부호 12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라디에이터로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수의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일종의 밸브장치인 써머스타트를 나타내며, 13은 팬모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라디에이터에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동차의 시동을 끄고, 냉각시스템에 충전되어 있는 냉각수를 배출시킨다. 이어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수 보충장치를 이루고 있는 용기(110)의 뚜껑(101)을 열어 냉각수를 주입하여 충전시킨 다음, 상기 연결구(1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라디에이터(10)의 주입구(11)에 연결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140)를 온(on) 상태로 조작하여 상기 용기(1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냉각수가 라디에이터(10)의 탱크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1단계 냉각수 주입). 이때, 냉각시스템의 냉각수 충전용량의 대략 70% 정도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10)에 충전되어 있는 냉각수의 주입이 멈춘 상태로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10)에 충전된 냉각수가 주입되면서 그 레벨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다가 일정한 레벨에서 멈추게 되면, 자동차의 시동을 걸어준다. 자동차를 시동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엔진이 가열됨에 따라 자동차의 냉각시스템에 충전된 냉각수가 일정 온도에 이르러 끓는(boiling)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냉각시스템에 충전된 냉각수가 역류하여 상기 용기(110)에 충전되어 있는 냉각수가 기포를 발생시키며 끓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자동차의 냉각시스템에서 역류되는 냉각수는 상기 바이패스관(150)을 통해 상기 용기(11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냉각시스템에 충전되어 있는 냉각수의 온도가일정한 온도(대략 82°C 내지 92°C)에 이르게 되면, 써머스타트(12)가 작동하여 밸브가 오픈됨에 따라 상기 용기(110)에 충전되어 있는 냉각수가 다시 라디에이터(10)의 탱크로 주입된다(2단계 냉각수 주입). 이어서, 냉각수의 적정량이 충전되면 상기 용기(10)에 충전되어 있는 냉각수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냉각수 주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2단계 냉각수 주입과정에 의해 써머스타트의 개폐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디에이터로 주입되는 냉각수의 적정 충전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냉각수 주입과정에서의 오버플로우(over-flow) 등에 의한 누출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10)에 마련된 눈금자(111) 등과 같은 냉각수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차종 등에 따라 냉각수의 적정 충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용기(110)에 충전시킨 상태에서 냉각수 보충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냉각수 보충작업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에 따르면, 냉각수의 양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써머스타트의 개폐여부를 인지하여 냉각수의 주입상태를 체크함으로써, 냉각수의 정량 보충이 가능하도록 조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냉각수의 누출방지를 도모함은 물론 정비시 육안관찰이 어려운 부위에 대해서도 소위, 트러블 슈팅이 가능하여 정비효율을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5)

  1. 냉각수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와;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용기와 상기 연결구를 연통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와 상기 용기의 연통상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입구 규격에 따라 대응하는 규격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관과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각각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상기 연결관에는 바이패스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밸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단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의 투시관찰이 가능한 투명재로 형성되고, 냉각수의 수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KR1020020046725A 2002-08-08 2002-08-08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KR20040013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25A KR20040013690A (ko) 2002-08-08 2002-08-08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25A KR20040013690A (ko) 2002-08-08 2002-08-08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90A true KR20040013690A (ko) 2004-02-14

Family

ID=3732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725A KR20040013690A (ko) 2002-08-08 2002-08-08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369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64Y1 (ko) * 1988-06-28 1991-04-20 조남월 육묘 상자용 조립식 받침대
JPH0647628U (ja) * 1992-11-30 1994-06-28 廉正 赤澤 ラジエータ用液体注入具
KR940016239U (ko) * 1992-12-30 1994-07-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 보충장치
JPH08246874A (ja) * 1995-03-08 1996-09-24 Nippon Chem Kogyo Kk 自動車用エンジンの冷却液交換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冷却液交換方法
KR970006797A (ko) * 1995-07-18 1997-02-21 자동차 라디에터의 냉각수 잔량 측정장치
KR19980044318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64Y1 (ko) * 1988-06-28 1991-04-20 조남월 육묘 상자용 조립식 받침대
JPH0647628U (ja) * 1992-11-30 1994-06-28 廉正 赤澤 ラジエータ用液体注入具
KR940016239U (ko) * 1992-12-30 1994-07-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 보충장치
JPH08246874A (ja) * 1995-03-08 1996-09-24 Nippon Chem Kogyo Kk 自動車用エンジンの冷却液交換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冷却液交換方法
KR970006797A (ko) * 1995-07-18 1997-02-21 자동차 라디에터의 냉각수 잔량 측정장치
KR19980044318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6247B2 (ja) 車両に搭載される水溶液を貯蔵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3564843B2 (ja) 車両用エンジン暖機装置
EP1693735A2 (en) Cooling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JP2015516065A (ja) 燃料システムの漏出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213331461U (zh) 一种加氢站用压缩机的油路系统
KR20040013690A (ko)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WO2023237131A1 (en) Apparatuses for supplying cleaning liquid and silicon wafer cleaning machines including the same
CN108106864A (zh) 一种减振器耐久试验冷水循环降温器
KR100534893B1 (ko) 리저버탱크가 추가된 상용차용 냉각수 순환시스템
KR101182101B1 (ko) 냉각 테스트 장치
KR200166719Y1 (ko) 자동차용 엔진의 냉각수 보충장치
CN210656126U (zh) 一种冷却液加注装置
CN107735552B (zh) 储存罐
JP3104743B2 (ja) 車両の冷却液交換装置及び冷却液交換方法
CN219587656U (zh) 一种漏油收集报警装置及发动机
KR0139718Y1 (ko) 냉각수 보충기구
KR20090042515A (ko) 자동차용 리저버탱크
KR19980074534A (ko) 차량의 냉각수 자동보충장치
KR20210075860A (ko) 차량용 리저버 탱크
JPH08196002A (ja) 電気自動車の冷却装置
KR200174486Y1 (ko) 압력을 이용한 냉각수 보충장치
KR0152200B1 (ko) 내연기관용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조탱크
KR100822534B1 (ko) 자동차용 냉각수 리저버 탱크
CN117824950A (zh) 恒定高压可调温度的密封测试系统及密封测试方法
KR20020081182A (ko) 차량용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