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795A - 간이분석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간이분석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795A
KR20040012795A KR10-2003-7014424A KR20037014424A KR20040012795A KR 20040012795 A KR20040012795 A KR 20040012795A KR 20037014424 A KR20037014424 A KR 20037014424A KR 20040012795 A KR20040012795 A KR 2004001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ple analyzer
closure member
analyzer
sealing container
pack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188B1 (ko
Inventor
오카우치간지
가와라바야시다카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교오리스리가꾸겐규우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교오리스리가꾸겐규우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교오리스리가꾸겐규우쇼
Publication of KR2004001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flexible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1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squeezing of channels or cha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간이분석기는 정색반응시약을 담고 있는 투시밀봉용기와 밀봉용기에서 연장되어 뽑혀질 수 있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개부재의 한 끝단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큰 손가락고리로 형성되어 사용된다. 손가락을 손가락고리에 넣는 것에 의해 마개부재가 뽑혀지고 이에 의해 쉽게 관통구멍이 생겨 밀봉용기 속의 공기 배출과 분석될 검사대상액의 흡입이 달성된다. 게다가 미리 준비된 마개부재는 분석될 검사대상액을 흡입하기 위해 언제나 적절한 지점에 적절한 직경의 관통구멍을 제공하고 따라서 조작자로 인한 개개의 차이를 제거하고 분석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간이분석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Simplified analyz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물을 흡수하는 종이에 정색반응시약을 스며들게 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진 분석용시험지가 수질분석 등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분석용시험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간이분석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질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질분석은 검사대상액을 정색반응시약과 반응하도록 분석되는 검사대상액에 분석기를 담그고 정색반응시약과 반응한 결과로 색깔이 변한 검사대상액의 색깔을 지표색으로 되는 표준색과 비교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분석용시험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분석기는 시험지를 검사대상액에 담글 때 정색반응시약이 검사대상액으로 용출(溶出)되기 때문에 수질을 분석하는 감도와 정확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간이분석기가 알려져 있다. 도 10에 보여지는 종래의 간이분석기(9)는 분말로 된 정색반응시약(91)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밀봉용기(90)를 가진다. 밀봉용기(90)는 열융착(熱融着) 또는 초음파접착 등에 의해 봉해진 양단을 가진 폴리에틸렌튜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에서 보여지는 간이분석기를 사용하여 수질분석을 행할 때,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밀봉용기(90)에 별도로 준비된 핀(92)을 찔러 밀봉용기(90)에 작은 구멍(93)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20)으로 용기(90)를 강하게 죄는 것에 의해 밀봉용기(90)의 공기나 가스(21)가 구멍(93)을 통해 용기를 빠져 나오게 되고 그 후, 도 1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밀봉용기(90)가 검사대상액(22)에 담궈져 검사대상액(22)이 밀봉용기(90)에 흘러들어가게 한다. 따라서, 정색반응시약(91)과 검색대상액(22)은 밀봉용기(90) 내부에서 혼합되어 정색반응을 일으킨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수질분석은 정색반응의 결과로 변화된 색을 표준색과 비교하여 검사대상액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상술된 간이분석기는 분석용시험지를 사용하는 종래 분석기에 비하여 분석되는 정색반응시약과 검사대상액이 양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 간이분석기는 심지어 묽은 검사대상액이라도 분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정색반응시약이 검사대상액에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요구되는 수질분석을 높은 정확도로 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간이분석기는 수질분석을 행하는 밀봉용기를 찌르기 위한 핀을 요구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이 종래의 간이분석기는 이런 부가적인 구성요소 없이는 불완전하다고 말해 질 수 있고 따라서, 더욱 개선될 것이 요구된다. 게다가, 밀봉용기가 수동으로 핀에 의해 구멍이 뚫어지기 때문에 일부 경험이 없는 작업자들은 밀봉용기에 부적절한 구멍을 뚫을 수도 있고 그 결과 작은 밀봉용기 속에 흡입되는 검사대상액에 흡입하는 것이나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검사대상액을 다루는 것이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종래 분석기의 단점의 관점에서 이루어 진 것이고 핀과 같은 다른 기구의 사용없이 쉽고 확실하게 다루어 질 수 있는 새로운 간이분석과 이 간이분석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이 분석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분석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분석기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분석기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분석기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분석기에서 사용되는 마개부재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된 상태의 간이분석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된 상태의 간이분석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간이분석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간이분석기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간이분석기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간이분석기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된 목적을 얻기 위해, 반응시약을 담는 투시가능한 밀봉용기 및 상술한 밀봉용기를 관통해 분리가능식으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간이분석기를 제공한다.
분석기가 사용될 때, 마개부재는 용기의 공기를 배출하고 분석될 검사대상물질을 용기 속으로 흡입하기 위해 밀봉용기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분석기는 반응시약을 담고 있는 투시가능한 밀봉용기와 상술된 밀봉용기에 분리가능식으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마개부재에 의해 특징지어 진다.
본 발명의 분석기의 구조에 따르면, 손가락으로 밀봉용기로부터 마개부재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만, 공기가 용기에서 배출될 수 있고 대신에, 분석될 검사대상물질은 용기 속에 도입될 수 있다. 밀봉용기를 위해 사용되는 "투시가능한"이라는 용어는 용기가 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만들어지거나 용기의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만들어져 용기의 내용물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간이분석기는 밀봉용기를 구부리기 쉬운 플라스틱재료로만드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 구조로, 밀봉용기는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변형되어 용기의 공기를 배출시키고 분석될 검사대상액을 용기속으로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이분석기는 밀봉용기가 그 양단부들을 접착에 의해 밀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분들을 가지고, 마개부재는 접합부분들 중의 하나에 끼워 넣어진다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밀봉용기와 마개부재 사이의 접촉영역은 넓게 되어 마개를 뽑기 위한 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마개부재가 잘못하여 뽑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밀봉용기의 밀봉성능은 향상되어 반응시약과 검사대상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간이분석기는 마개부재가 끈이나 막대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이 특징적인 구조는 마개부재가 모양에 있어서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마개부재의 한쪽 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진 손가락고리가 제공된다는 추가적인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마개부재는 손가락고리를 통해 손가락을 걸고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용기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일단 뽑혀진 마개부재가 용기속에 삽입될 때, 손가락고리는 용기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걸려 마개부재가 우연히 용기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간이분석기는 마개부재의 다른 끝단이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뾰족한 끝단을 가지는 마개부재 때문에, 마개부재가 뽑혀지는 경우라도 다시 용기의 접합부분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마개부재의 뾰족한 형상은 마개부재의 끝단을 비스듬히 절단함으로써 또는 마개부재를 끝단쪽으로 테이퍼(tapering)지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된 간이분석기는 길이방향에서 보여질 때 마개부재의 한 끝단이 다른 끝단에 대해 외부로 돌출된다는 추가의 특징을 가진다.
마개부재의 끝단 중 하나에서의 돌출부는 마개부재가 잘못하여 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부재를 뽑기 위한 힘에 대한 저항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간이분석기의 밀봉용기와 마개부재가 다른 색깔로 형성된다는 추가의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간이분석기의 밀봉용기와 마개부재를 다른 색깔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밀봉용기로부터 꺼내어질 때 마개부재는 쉽게 식별될 수 있고 따라서, 요구되는 분석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간이분석기들이 방습포장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방습포장으로 포장된 간이분석기의 밀봉용기에 포함된 반응시약은 공기와 같은 것의 습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완벽하게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부재를 가장자리부분에 유지하면서 용기의 가장자리부분을 예열하고 접착에 의해 예열된 가장자리부분을 열융착 하는 것에 의해밀봉용기가 쉽게 생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된 간이분석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밀봉용기는 마개부재에 부착됨이 없이 융착에 의해 완벽하게 밀봉될 수 있어 마개부재가 쉽게 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분석기의 실시예를 이 분석기를 사용하는 절차와 함께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색반응시약이 반응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약품으로 사용된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이하에 상술된 간이분석기는 수질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간이분석기(1)는 정색반응시약(11)을 담고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밀봉용기(10)와 밀봉용기(10)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마개부재(12)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마개부재(12)는 밀봉용기(10)로부터 손가락(20)에 의해 뽑혀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밀봉용기에 관통구멍(13)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용기(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만들어져 시약의 색깔이 정색반응을 일으킨 후에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밀봉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산 및 나일론과 같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밀봉용기(10)는 구부리기 쉽게 만들어져서 용기의 공기나 가스(21)를 배출시키거나 용기에 검사대상액(22)을 흡입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마개부재(12)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끈 또는 막대재료로형성되고 밀봉용기(10) 밖으로 뽑혀질 수 있도록 밀봉용기에 부분적으로 넣어진다. 끈 모양(또는 막대모양)의 마개부재(12)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잘못하여 뽑혀지지 않도록 하는 길이를 가진다. 마개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텔레프탈산과 같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튜브형 밀봉용기(10)의 양 끝부분들에, 용기의 끝부분들을 열융착 하는 것에 의해 봉지된 접합부분들(15)이 형성된다. 접합부분들(15) 중의 하나에서, 마개부재는 도 2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접합부분(15)의 폭 W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 구조 때문에, 밀봉용기(10)(접합부분(15))와 마개부재(12)는 넓은 부분에서 서로 접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마개부재가 잘못하여 뽑히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마개부재를 뽑기 위한 힘에 대한 저항을 일으킨다. 또한, 밀봉용기의 밀봉성능이 향상되어 정색반응시약(11)이 구멍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검사대상액(22)을 용기속으로 흡입한 후에 일단 뽑혀진 마개부재(12)가 다시 용기속으로 삽입될 때, 용기에 흡입된 검사대상액(22)은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접합부분(15)의 폭 W은 마개부재(12)의 크기나 다른 조건들에 따라 임의적으로 결정된다. 접합부분의 폭이 너무 큰 경우, 마개부재를 뽑기 위한 힘에 대한 저항이 불필요하게 증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3 내지 4㎜ 정도의 폭 W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마개부재(12)의 한 끝에는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진 손가락고리(14)가 제공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마개부재(12)가 손가락고리(14)에 손가락을 걸고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용기(1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일단 뽑혀진 마개부재(12)가 용기(10)속으로 삽입될 때, 손가락 고리(14)는 용기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걸려서 마개부재(12)가 잘못해 용기(1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손가락고리(14)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다. 마개부재의 손가락고리는 성형가공의 결과로 인한 구(球)의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거나 별도로 준비된 손가락고리(14)가 후에 접착제로 마개부재(12)의 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고리는 이것이나 다른 가능한 방법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재(12)는 밀봉용기(10)의 색깔과 다른 색깔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용기(10)의 색깔과 다른 색깔로 마개부재(12)를 착색하는 것에 의해 마개부재(12)는 매우 가시적이 되어 다른 구성요소들과 쉽게 식별될 수 있고 따라서 검사자가 무리없이 빠르게 작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같은 색깔 또는 착색하지 않은 마개부재(12)와 밀봉용기(10)를 포함한 간이분석기를 물론 포함한다.
밀봉용기(10)에는 분석정보표시부(16)가 제공될 수 있다. 분석정보표시부(16)는 내용물의 이름(예를 들면 도 1의 검사대상물질 "구리"), 분석의 한계치에 대한 설명과 같은 유용한 정보나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된 정보는 인쇄, 압형(embossing)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마개부재(12)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뽑혀질 수 있는 상태로 밀봉용기(1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밀봉용기(10)의 가장자리부분에 마개부재(12)를 유지하면서 녹는점 Tg 이상의 온도에서 가장자리부분을 예열하고, 그 후,예열된 가장자리부분을 융착에 의해 열밀봉시키는 것에 의해 마개부재가 밀봉용기에 고정된다. 따라서, 접착부분(15)은 열밀봉에 의해 밀봉용기(10)의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밀봉용기를 단단히 고정시키지만, 마개부재(12)와 접합부분(15)은 마개부재(12)를 뽑는 것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결코 함께 녹지 않는다. 이것은 비록, 마개부재(12)가 밀봉용기(10)에 인가된 예열로 가열되지만, 접합부분(15)의 용융이 마개부재(12)가 녹는점에 도달하기 전에 끝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밀봉용기(10)를 녹이는 공정에서 마개부재(12)와 관통구멍(13)의 내벽 사이로 흐르는 밀봉용기(10)의 용융상태부분과 마개부재와 밀봉용기에 의해 마개부재는 야기된 탄성력에 의해 마개부재는 밀봉용기와 그것들 사이에 공간이 남지 않게 밀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간이분석기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개부재(12)가 뽑혀지고 검사대상액(22)의 흡입하에 다시 삽입되는 경우에도, 정색반응시약(11)과 검사대상액(22)을 결코 누설하지 않는다.
밀봉용기(10)와 마개부재(12)의 녹는점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동일한 녹는점을 가지거나 마개부재(12)가 밀봉용기(10) 보다 높은 녹는점을 가지는 밀봉용기(10)와 마개부재(12)를 사용하여 밀봉용기(10)와 마개부재(12)가 완전히 함께 녹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녹는점의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밀봉용기(10)와 마개부재(12)의 재료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밀봉용기(10)의 녹는점 보다 낮은 녹는점을 가지는 마개부재(12)의 사용을 결코 배재하지 않는다. 낮은 녹는점을 가지는 마개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밀봉용기(10)와 마개부재(12)는 밀봉용기와 마개부재에 가해지는 압력과 같은 용융조건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함께 녹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마개부재(12)는 마개부재의 손가락고리(14)에 손가락을 걸어서 뽑혀질 수 있다. 그러나, 마개부재를 뽑을 때 야기되는 저항이 필요보다 작다면, 마개부재가 잘못하여 뽑힐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우에, 마개부재(12)의 표면은 쉽게 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툴두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개부재를 뽑기 위한 힘에 대한 저항은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더욱이, 마개부재(12)의 한 끝단(마개부재(12)의 끝단들 중 밀봉용기(10) 속으로 삽입된 한쪽)은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서 보여질 때 다른 끝단에 대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부(24)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24)때문에, 마개부재(12)가 잘못하여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부재(12)를 뽑기 위한 힘에 대한 저항이 관통구멍(13) 주위에 발생된다. 돌출부(24)는 성형가공에 의해 마개부재(12)로부터 별도로 형성되거나 마개부재(12)의 성형가공공정사이에 남겨진 끝말림(burr)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마개부재(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4)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형상지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이 돌출부(24)를 갖지 않는 마개부재를 포함함은 당연하다.
상술된 간이분석기(1)는 사용시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우선 마개부재(12)를 뽑는 것에 의해 관통구멍(13)을 만들고, 그 후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손가락(20)으로 밀봉용기(10)에서 공기나 다른 가스(21)를 배출하도록 다루어진다. 다음, 간이분석기가 분석될 검사대상액(22)에 담궈져 관통구멍(13)이 검사대상액아래에 놓여지고 그 후, 손가락(20)이 밀봉용기(10) 속으로 검사대상액(22)을 흡입하기 위해 밀봉용기(10)로부터 늦추어진다. 이어서, 필요한경우 밀봉용기(10)를 흔들면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정색반응시약과 반응된 액의 색깔이 검사대상액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지표색으로서 별도로 준비된 표준색과 비교된다.
앞서 서술된 수질분석을 수행할 때 밀봉용기(10)속으로 검사대상액(22)을 흡입한 후, 일단 뽑혀진 마개부재(12)는 다시 관통구멍(13)에 삽입되어 검사대상액(22)이 밀봉용기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검사대상액(22)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는 이유는 불확실하지만, 이는 관통구멍에 삽입된 마개부재(12)가 마개부재와 접합부분의 탄성때문에 접합부분(15)의 관통구멍(12)의 내벽과 단단히 접촉되어 있고 검사대상액(22)의 표면장력이 액이 누설될 만큼 낮지 않기 때문이라고 예상된다. 검사대상액(22)이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누설된 액체가 의복을 더럽히고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문제들이 제거될 수 있다.
마개부재(12)의 다른 끝단(밀봉용기(10)속에 삽입된 마개부재(12)의 끝단)은 요구된다면,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재의 뾰족한 모양은 마개부재의 끝단을 비스듬히 자르거나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끝단을 향해 마개부재를 점점 가늘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뾰족한 끝단을 가진 마개부재 때문에, 마개부재(12)가 뽑혀진 경우라도 쉽게 다시 관통구멍(13)에 삽입될 수 있다. 마개부재의 뾰족한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지만, 뾰족한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마개부재의 끝단을 비스듬히 자르는 것이 더 좋다. 본 발명이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잘려진 끝단을 가지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대안으로, 별도로 준비된 다른 마개부재가 밀봉용기로부터 뽑혀진 마개부재(12)를 대신해 관통구멍(13)에 삽입되어 검사대상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 별도로 준비된 마개부재는 관통구멍(13)을 통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끝단을 향해 점점 가늘어 질 수 있다.
상술된 간이분석기(1)는 도 8 및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방습포장(17)으로 포장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방습특성이 밀봉용기(10)와 마개부재(12)에 요구될 경우라도, 정색반응시약(11)의 저하나 용해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방습포장(17)은 합성수지시트, 금속박과 같은 것으로 씌어진 합성수지시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이분석기(1)를 포장할 때, 첨부도면들에서는 보여지지 않지만, 요구된다면, 건조제가 간이분석기와 함께 포장에 포함될 수 있다. 간이분석기를 포장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간이분석기(1)는 막이나 시트로 만들어진 튜브같은 포장(17)을 포함하여 열융착이나 초음파접착에 의해 튜브 같은 포장의 양 끝단을 밀봉하는 것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고 언급될 수 있다.
도 8은 포장에 싸여진 하나의 간이분석기를 도시하고, 도 9는 예로써 포장된 다섯개의 간이분석기들을 도시한다. 따라서, 포장된 같이분석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8과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V모양의 절단부(18)는 포장을 V모양의 절단부(18)로부터 찢는 것에 의해 포장에서 간이분석기를 꺼내는 것이 쉽도록 하기 위해 방습포장(17)의 하나의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정색반응시약(11)이 예로써 용기에 밀봉되지만, 용기의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는 어떤 액이나 물질도 그 안에 포함 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침전을 위한 반응시약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술된 실시예는 완전히 투명하거나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밀봉용기(10)를 포함하지만, 밀봉용기(10)는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한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수질분석을 위한 간이분석기(1)를 사용하는 방법만이 상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간이분석기는 가스검출 등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앞서의 개시내용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간이분석기는 핀과 같은 어떤 별도의 도구의 사용없이 밀봉용기의 공기를 배출하고 검사대상액을 밀봉용기 속으로 흡입하기 위해 단지 마개부재를 뽑는 것에 의해서 누구에 의해서도 안전하고 쉽게 다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간이분석기는 본질적으로 마개부재를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한 직경을 가지는 관통구멍은 용기에 검사대상액을 흡입하기 위한 밀봉용기의 적절한 위치에 만들어져서 결과적으로 여러종류의 분석을 행하는 개인들 사이의 차이를 제거하고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3)

  1. 반응시약을 담고있는 투시밀봉용기와 상기 밀봉용기를 관통해 분리식으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간이분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는 구부리기 쉬운 플라스틱재료로 된 간이분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는 융착에 의해 양 끝부분들을 밀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분들을 가지고,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접합부분들 중의 하나에 끼워 넣어지는 간이분석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끈이나 막대재료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한 끝단에 다른 부분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손가락고리가 제공되는 간이분석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한 끝단에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진 손가락고리가 제공되는 간이분석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다른 끝단은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다른 끝단은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한 끝단은 길이방향에서 보여질 때 다른 끝단에 대해 외부로 돌출된 간이분석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한 끝단은 길이방향에서 보여질 때 다른 끝단에 대해 외부로 돌출된 간이분석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한 끝단은 길이방향에서 보여질 때 다른 끝단에 대해 외부로 돌출된 간이분석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한 끝단은 길이방향에서 보여질 때 다른 끝단에 대해 외부로 돌출된 간이분석기.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와 상기 마개부재는 다른 색깔로 형성된 간이분석기.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2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2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2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2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2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3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4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4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4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들 중의 하나 이상은 방습포장 상태의 하나의 단위로 포장된 간이분석기.
  4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는 상기 마개부재를 상기 가장자리부분에 유지시키면서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부분을 예열하고 예열된 가장자리부분을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는 것에 의해 생산되는 간이분석기.
KR1020037014424A 2001-05-07 2002-05-01 간이분석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0548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6538 2001-05-07
JPJP-P-2001-00136538 2001-05-07
PCT/JP2002/004351 WO2002090973A1 (fr) 2001-05-07 2002-05-01 Analyseur simplifi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795A true KR20040012795A (ko) 2004-02-11
KR100548188B1 KR100548188B1 (ko) 2006-02-02

Family

ID=1898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424A KR100548188B1 (ko) 2001-05-07 2002-05-01 간이분석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12429B2 (ko)
EP (1) EP1394540B1 (ko)
JP (1) JP4125603B2 (ko)
KR (1) KR100548188B1 (ko)
CN (1) CN100397076C (ko)
DE (1) DE60237680D1 (ko)
TW (1) TWI252918B (ko)
WO (1) WO2002090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94B1 (ko) 2007-01-10 2007-11-05 주식회사 한국수환경모델링기술연구소 수질분석용 봉지형 반응팩
JP6668773B2 (ja) * 2016-01-20 2020-03-18 中国電力株式会社 間隙水調査方法
JP6281998B1 (ja) * 2017-08-24 2018-02-21 株式会社アナライズ 検査用具
JP7156746B1 (ja) 2022-06-15 2022-10-19 国土防災技術株式会社 土壌の化学性分析方法及び化学性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892A (en) * 1975-06-30 1978-03-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ovel means and method for diagnostic quantitation of serum or plasma bilirubin
US4409182A (en) * 1980-06-23 1983-10-11 Macklem F Sutherland Colorimeter test kit apparatus
FI71102C (fi) 1982-02-25 1986-11-24 Fluilogic Systems Oy Reagensfoerpackning
JPS60169571A (ja) 1984-02-10 1985-09-03 Ig Tech Res Inc ホウロウ被覆鋼板
JPS60169751A (ja) 1984-02-13 1985-09-03 Nissan Motor Co Ltd 酸素センサのヒ−タ制御装置
US4522640A (en) 1984-04-10 1985-06-11 Jagoe Iii A Louis Means for chilling cardioplegic solutions
JPS60169571U (ja) * 1984-04-19 1985-1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尿検査用試験片の包装体
US4826759A (en) * 1984-10-04 1989-05-02 Bio-Metric Systems, Inc. Field assay for ligands
JPS61161758A (ja) 1985-01-11 1986-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接読取り型イメ−ジセンサ
JPS61161758U (ko) * 1985-03-29 1986-10-07
JPH02168158A (ja) 1988-12-22 1990-06-28 Shigeru Nakagawa 液体検査具
JPH0317562A (ja) 1989-06-14 1991-01-25 Fujitsu Ltd 電子ビーム装置
JPH0317562U (ko) * 1989-06-30 1991-02-21
DE19647673C2 (de) 1996-11-19 2000-08-24 Sarstedt Ag & Co Probengefäß zur Blutabnah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4540A1 (en) 2004-03-03
JPWO2002090973A1 (ja) 2004-08-26
DE60237680D1 (de) 2010-10-28
US20040136867A1 (en) 2004-07-15
US8012429B2 (en) 2011-09-06
EP1394540B1 (en) 2010-09-15
WO2002090973A1 (fr) 2002-11-14
CN100397076C (zh) 2008-06-25
JP4125603B2 (ja) 2008-07-30
EP1394540A4 (en) 2004-07-14
CN1507563A (zh) 2004-06-23
KR100548188B1 (ko) 2006-02-02
TWI252918B (en)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743B2 (ja) 流体サンプル中のアナライト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EP0569835B1 (en) Safety closing device for biological liquid containers
US7645424B2 (en) Reagent cuvette
EP2644273B1 (en) Container storing washing solution used for blood analyzer
US4214874A (en) Combination and method for mixing the contents of a blood collection tube and thereafter removing the mixing element
JP2011006153A (ja) 貫通性キャップおよび関連する流体移動デバイス
CN1977165B (zh) 可被安装到容纳着待分析试样的容器上的集成分析装置
US4537747A (en) Disposable device for sampling and diluting
JP2010527852A (ja) 体液用容器の密閉キャップ及び採血デバイス
KR100548188B1 (ko) 간이분석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9512467A5 (ko)
US4596780A (en) Process for sampling and diluting
US5364598A (en) System for sampling fluid
CN217133181U (zh) 一种快速诊断病毒的胶体金试剂盒
JP2008122193A (ja) ガス検出装置
JPH1164331A (ja) 便の検査方法及び採便容器
CN217033968U (zh) 一种便携式家用poct侧向层析检测装置
JP2601145Y2 (ja) 容器口シール蓋開披具
JP3027373U (ja) 簡易比色濃度計
WO2020180535A1 (en) Dual-function receptacle seal
JP6429274B2 (ja) 分析容器とその分析装置
EP4132710A1 (en) Test device
JPH02168158A (ja) 液体検査具
JPH02269966A (ja) 採液管
CA2022333A1 (fr) Enveloppe a ouverture fac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