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328A -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328A
KR20040012328A KR1020020045865A KR20020045865A KR20040012328A KR 20040012328 A KR20040012328 A KR 20040012328A KR 1020020045865 A KR1020020045865 A KR 1020020045865A KR 20020045865 A KR20020045865 A KR 20020045865A KR 20040012328 A KR20040012328 A KR 20040012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command
vacuum cleaner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340B1 (ko
Inventor
아나토리 티코트스키
빅토르 레드코프
미하일 샬
안드레이 빅토르프
알렉산드르 마이보로다
발레리 체르넨코
박성일
홍찬희
이성빈
노희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340B1/ko
Priority to JP2002344240A priority patent/JP2004070266A/ja
Priority to US10/304,865 priority patent/US7310603B2/en
Priority to EP02258238A priority patent/EP1386574B1/en
Publication of KR2004001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0Speech recognition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for robustness in adverse environments, e.g. in noise, of stress induced speec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33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having the operator tracking the vehicle either by direct line of sight or via one or more cameras located remotely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이 심한 주위 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음성 명령을 통한 진공 청소기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는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감지 신호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지시하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셋에 미리 설정된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명령 인식부와, 상기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진공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하는 구동 명령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은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VOICE CONTROLLED VACUUM CLEANER AND METHOD THREROF}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음이 심한주위 환경으로부터 음성 명령을 통한 진공 청소기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모터(motor)의 회전에 의해서 기구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강제 순환시켜 본체 내부를 높은 진공 상태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주변 환경과 본체 내부와의 높은 압력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강한 풍량을 이용하여 먼지 및 오염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시켜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구조는 먼지 및 오염물을 흡입하는 흡입구, 모터, 기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회전날개, 먼지 및 오염물을 걸러주는 필터, 먼지받이 케이스,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는 내부의 모터에 연결된 회전날개를 빠르게 회전시켜 청소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먼지나 오염물은 공기와 함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시킨다. 이때,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나 오염물은 필터에서 걸러지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구로 배출시켜 청소를 수행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진공 청소 이외에도 물걸래 청소등을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도 제작되고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 청소기는 자체적으로 구동 및 작업을 수행하는 완전 자동 모드(fully automatic mode), 리모콘(remote controller) 등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구동 및 작업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모드(remote control mode), 또는 수동 제어 모드(manual control mode)로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진공청소기는 특별한 센서를 채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함으로써 자유로운 이동 및 장애물의 회피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진공 청소기의 제어시 음성 인식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청소 작업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손이나 시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청소기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장치를 통하여 음성 명령을 수신한후 이를 입력 신호 검출부(11)에 제공한다. 상기 입력 신호 검출부(11)는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3)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13)는 상기 구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진공 청소기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모터 구동부(15)에 출력하여 청소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는 진공 청소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높은 소음으로 인하여 음성 명령 인식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진공 청소기는 공기 또는 물의 흡입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진공 청소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광역의 소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지시하는 몇 가지의 음소가 크게 훼손되기 때문에 음성 명령 인식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높은 소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등에 의하여 음성 명령 인식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다양한 소음 및 음성을 판별하고 처리하기 위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voice recognition algorithm)을 구현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가 요구 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의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가 요구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이 심한 주위 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음성 명령을 통한 진공 청소기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 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명령 셋에 제공되는 음성 자료의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입력 신호 검출부13: 구동 제어부
15: 모터 구동부20: 도킹 스테이션
21: 감지 신호 검출부23: 음성 명령 인식부
25: 구동 명령 제어부27: 통신 채널
29: 진공 청소기 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 신호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감지 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지시하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셋에 미리 설정된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명령 인식부와, 상기 음성 명령 신호를 입력 받아 진공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하는 구동 명령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은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진공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 신호 검출부(21)와, 상기 검출된 감지 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지시하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셋에 미리 설정된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명령 인식부와(23), 상기 음성 명령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진공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하는 구동 명령 제어부(25)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20)을 구비하지 않고 청소기 몸체에 모든 장치가 구성 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진공 청소기 몸체(29)와 도킹 스테이션(20)을 따로 구성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음성 명령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진공 청소기 몸체(29)에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을 이용한 통신 채널(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성 명령 인식부는 사용자로부터 주어진 음성 명령을 판별하는 음성 인식기와, 상기 판별된 각 음성 명령을 코드화시켜 출력하는 엔코더부와, 상기 엔코더부에서 코드화된 데이타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진공청소기는 완전 자동모드(fully automatic mode), 원격 제어모드(remote control mode), 수동 제어모드(manual control 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동작된다.
상기 감지 신호 검출부(21)는 사용자로부터 제공 되는 감지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음성 명령 인식부(23)는 상기 검출된 감지 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음성인식을 위한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지시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음성 명령 인식부(23)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판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가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 검출부(21)에서 검출하게 된다.
상기 감지 신호는 마이크로폰(microphone)를 통하여 주변의 소리를 수신한 후 음성신호만을 분리하거나, 주변의 소리에서 잡음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검출된 음성 신호이다. 이때, 상기 감지 신호 검출부(21)는 음성 인식률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간단하게 정의된 명령 형식인 닉네임을 이용한다. 즉, 닉네임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음원(voice source)을 미리 학습시켜 검출기에 저장 시킴으로써 상기 닉네임(nickname)값과 음성 인식을 위해 제공된 감지신호 값을 비교하여 보다 확실한 음성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는 소음이 심하여 음성 인식이 어려울 경우에는 진공 청소기 몸체 또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몸체와 분리된 도킹 스테이션의 어느 일정 부분에 부착되는 접촉식 센서(tactile sensor)를 통하여 검출된 접촉 신호이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는 사용자가 직접 적외선 리모콘(infrared remote controller)을 조작함으로써 적외선 리모콘 수신부를 통하여 검출되는 적외선 신호이다.
이후, 상기 음성 명령 인식부(23)는 상기 검출된 감지 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음성인식을 위한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지시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지시하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명령 셋에 미리 설정된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음성 명령 인식부(23)는 사용자로부터 주어진 음성 명령을 음성 인식기에서 판별한 후 엔코더부(encoder unit)에서 각 음성 명령을 코드화 되어 출력되게 하고, 상기 엔코더부에서 코드화된 데이타 프레임(coded data frame)을 디코더부(decoder unit)에 전송하고, 상기 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코드화된 엔코딩데이터를 디코딩 함으로써 음성 명령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 명령 제어부(25)로 출력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명령 셋에 제공되는 음성 자료를 도시한 예시도 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명령 셋은 진공 청소기의 모터의 동작, 이동, 회전 및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제어문, 상기 모터의 강, 중, 약의 구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숫자음, 진공 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표시창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문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음성 명령 셋에 저장된 상기 제어문, 숫자음, 명령문 등은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에 의해 학습되어 저장된다.
이후, 상기 구동 명령 제어부(25)는 진공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진공 청소기를 구동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방법은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음성 제어 요청을 인식하는 단계(ST11)와, 상기 검출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대기하는 음성 명령 대기 모드를 위한 단계(ST13)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검출하는 음성 명령 검출 단계(ST15)와, 상기 검출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셋으로부터 음성 명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명령 제어 단계(ST17)와, 상기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음성 명령 제어 신호를 진공 청소기의 몸체에 출력하는 통신 채널 연결 단계(ST19)를포함한다.
한편, 음성 명령 대기 모드를 위한 단계(ST13)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일시 정지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새로운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소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구동을 다시 시작한다.
이후,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새로운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음성 명령 셋에 미리 설정된 일련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 함으로써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한 진공 청소기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고성능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1)

  1.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하여 주변의 소리를 감지한 후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을 분리하여 추출하거나, 주변의 소리에서 잡음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이며, 음성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음원(音源, voice source)을 미리 학습시켜 닉네임(nickname)으로 저장된 값과 음성 인식을 위한 상기 음성신호 값을 비교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진공 청소기 몸체 또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몸체와 분리된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의 어느 일정 부분에 부착되는 접촉식 센서(tactile sensor)를 통하여 인체의 접촉시 검출되는 접촉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는 적외선 리모콘(infrared remote controller)으로부터 제공되고 적외선 리모콘 수신부를 통하여 검출되는 적외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일시 정지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새로운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소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구동을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 제어신호는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미리 학습하여 음성 명령 셋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음성 명령값과 상기 사용자가 지시하는 음성 명령 값을 비교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 셋은 상기 모터의 동작, 이동, 회전 및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제어문, 상기 모터의 강, 중, 약의 구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숫자음, 또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표시창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문 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 제어신호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음성 인식기에서 판별한 후 각 음성 명령을 코드화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 하고, 상기 코드화된 데이타 프레임을 디코딩된 신호로 출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 제어신호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을 이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진공 청소기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방법.
  10. 음성 인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감지 신호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모터의 구동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지시하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셋에 미리 설정된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명령 인식부와,
    상기 음성 명령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진공 청소기의 기능과 모드를 제어하는 구동 명령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진공 청소기에 음성명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을 이용한 통신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음성 제어 장치.
KR10-2002-0045865A 2002-08-02 2002-08-02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7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65A KR100474340B1 (ko) 2002-08-02 2002-08-02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2344240A JP2004070266A (ja) 2002-08-02 2002-11-27 真空清掃機の音声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10/304,865 US7310603B2 (en) 2002-08-02 2002-11-27 Voice control apparatus of vacuum cleaner and method thereof
EP02258238A EP1386574B1 (en) 2002-08-02 2002-11-29 Voice control apparatus of vacuum cleane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65A KR100474340B1 (ko) 2002-08-02 2002-08-02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28A true KR20040012328A (ko) 2004-02-11
KR100474340B1 KR100474340B1 (ko) 2005-03-10

Family

ID=3011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865A KR100474340B1 (ko) 2002-08-02 2002-08-02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10603B2 (ko)
EP (1) EP1386574B1 (ko)
JP (1) JP2004070266A (ko)
KR (1) KR100474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27B1 (ko) * 2002-10-07 200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96472B1 (ko) * 2011-11-18 2013-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로봇
WO2013141664A1 (ko) * 2012-03-23 2013-09-26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일상 건강 정보 측정 장치 및 일상 건강 정보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2180B1 (en) * 2004-02-06 2015-04-01 Nuance Communications, Inc. Speech dialogu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356165B1 (ko) 2012-03-09 201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TWI470387B (zh) * 2012-10-02 2015-01-21 Nat University Of Kaohsuing Wireless voice control system
KR101428877B1 (ko) * 2012-12-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9155439B2 (en) 2013-01-16 2015-10-1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of utilizing wireless switches to control a vacuum cleaner
KR102094347B1 (ko) * 2013-07-29 2020-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청소 시스템,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JP6573474B2 (ja) * 2015-04-14 2019-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認識システム
CN108231069B (zh) * 2017-08-30 2021-05-11 深圳乐动机器人有限公司 清洁机器人的语音控制方法、云服务器、清洁机器人及其存储介质
WO2020060267A1 (en) * 2018-09-20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performing task thereof
KR102570384B1 (ko) 2018-12-27 202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KR20210017392A (ko) *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CN112155485B (zh) * 2020-09-14 2023-02-28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方法、控制装置、清洁机器人及存储介质
CN112953798A (zh) * 2021-03-11 2021-06-11 苏州三六零机器人科技有限公司 基于基站的清洁设备控制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8299A (en) * 1981-01-14 1982-07-23 Nissan Motor Voice load driver
DE3110582C2 (de) 1981-03-18 1986-07-24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Verfahren zum Manipulieren und/oder Lagern eines Kernreaktorbrennelementes
JPS5861040A (ja) * 1981-10-06 1983-04-11 Nissan Motor Co Ltd 車載機器の音声指令制御装置
US4827520A (en) * 1987-01-16 1989-05-02 Prince Corporation Voice actuated control system for use in a vehicle
DE4009900A1 (de) * 1990-03-20 1991-11-07 Blaupunkt Werke Gmbh Kraftfahrzeugkommunikationszentrale
JPH0458929A (ja) * 1990-06-28 1992-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
JPH04105630A (ja) * 1990-08-27 1992-04-0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H04183425A (ja) 1990-11-19 1992-06-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制御装置
US5345538A (en) * 1992-01-27 1994-09-06 Krishna Narayannan Voice activated control apparatus
US5832440A (en) * 1996-06-10 1998-11-03 Dace Technology Trolling motor with remote-control system having both voice--command and manual modes
JPH10301592A (ja) 1997-04-28 1998-11-13 Murata Mach Ltd 音声入力装置
JP2000305589A (ja) 1999-04-16 2000-11-02 Kobe Steel Ltd 適応型音声認識装置,音声処理装置,及びペット玩具
US6380852B1 (en) * 1999-11-02 2002-04-30 Quietech Llc Power shut-off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prespecified remote-conditions
EP1232424A1 (en) 1999-11-18 2002-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me cleaning robot
KR20010106845A (ko) * 2000-05-23 2001-12-07 이정철 다기능 가정용 로봇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10016048A (ko) * 2000-10-16 2001-03-05 장기영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
KR100662628B1 (ko) * 2001-04-18 2007-01-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음신호를 인식하는 로봇청소기와 그 시스템
KR20020088880A (ko) * 2001-05-22 2002-11-29 안현기 다기능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27B1 (ko) * 2002-10-07 200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96472B1 (ko) * 2011-11-18 2013-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로봇
WO2013141664A1 (ko) * 2012-03-23 2013-09-26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일상 건강 정보 측정 장치 및 일상 건강 정보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34533A1 (en) 2004-02-19
JP2004070266A (ja) 2004-03-04
EP1386574A2 (en) 2004-02-04
EP1386574A3 (en) 2006-01-11
EP1386574B1 (en) 2008-11-19
US7310603B2 (en) 2007-12-18
KR100474340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340B1 (ko) 진공 청소기의 음성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8090B1 (ko)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KR101581883B1 (ko) 모션 정보를 이용하는 음성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707359B1 (ko) 전자 기기 및 청소기
KR20060127452A (ko) 로봇청소기 상태알림장치 및 방법
EP1341158A3 (de) Sprachgesteuertes elektrisches Gerät, insbesondere Dunstabzugshaube
JP2017064064A (ja) 電気掃除機
JP2005250233A (ja) ロボット装置
KR100679893B1 (ko) 청소용 로봇의 청소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4055B1 (ko) 로봇청소기를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423495B1 (ko) 음성인식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동작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1042894A (ja) 音声認識装置及び方法
KR100476427B1 (ko) 청소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61901A (ko) 로봇의 입출력 장치에 의한 효율적인 음성인식 방법 및시스템
JPH04183425A (ja) 電気掃除機の制御装置
KR100217778B1 (ko) 원격제어 청소기의 자동 청소장치 및 방법
JP5366374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458929A (ja) 掃除機
CN216286715U (zh) 一种基于生物特征识别的养老助餐装置
JP2018091911A (ja) 音声対話システム及び音声対話方法
JPH0914722A (ja) 空気調和機
JP2004357838A (ja) 酸素富化機
JP2000325723A (ja) 空気清浄機
JP2001252229A (ja) 電気掃除機
JP2002277008A (ja) 換気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