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412A - 튜브타입유체용기를 위한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타입유체용기를 위한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412A
KR20040010412A KR1020030051831A KR20030051831A KR20040010412A KR 20040010412 A KR20040010412 A KR 20040010412A KR 1020030051831 A KR1020030051831 A KR 1020030051831A KR 20030051831 A KR20030051831 A KR 20030051831A KR 20040010412 A KR20040010412 A KR 2004001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ainer
fluid
opening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마사토시 마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8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34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01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613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54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823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85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195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토시 마스다 filed Critical 마사토시 마스다
Publication of KR2004001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튜브타입유체용기의 유체배출포트에 적합한 밸브장치는 유체가 흘러서 통과해 가는 개구(41)를 갖는 밸브시트부(40); 상기 개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밸브 몸체(21)를 포함하는 밸브부(20)와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축(22); (i) 상기 축의 선단과 결합되는 바닥 플레이트(plate)(39) (ii) 상기 밸브시트부에 고정 결합되는 환상의 받침대 (31)(iii)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환상의 받침대를 결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32)를 포함하는 밸브지지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커넥터는 탄성에 의해 상기 바닥플레이트를 하향시켜 상기 개구가 상기 밸브몸체에 의해 폐쇄되게 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하여 상기 밸브부를 눌러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때는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는 상기 축과 통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타입유체용기를 위한 밸브장치{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본 발명은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타입 유체용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79139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밸브장치는 구형(spherical)의 밸브몸체를 가지며, 상기 밸브몸체에 밸브시트를 향한 모멘텀을 주기 위해 스프링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상기 구형의 밸브몸체와 상기 스프링을 사용하는 상기 밸브장치의 제조 비용은 높은 경향이 있다.
수지로 만든 밸브시트 및,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에 접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수지로 만든 밸브몸체를 갖는 밸브장치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수지로 만든 밸브장치에서는, 상기 밸브장치가 유체의 흐름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구성이 상기 밸브 장치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출률을 그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 상태로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는 밸브장치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다른 한 편, 상기 타입의 튜브 모양의 용기와 관련해서, 금속이나 알루미늄-포일을-얇은 판으로 만든(laminated) 종래의 튜브를 대체하여, 합성 수지만이나 합성 수지 래미네이션과 알루미늄(본 명세서에서는 이것이 "합성-수지로-만든"으로 총칭된다)을 포함하는 튜브가 사용되어 왔다.
합성-수지로-만든 튜브를 사용하는 튜브 타입 용기의 경우에, 이 합성-수지로-만든 튜브가 탄성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튜브에 압력을 가하여 유체를 배출한 후에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튜브의 탄성 복원력 때문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체저장부로 공기가 역류하여, 상기 유체저장부 안에 저장된 유체의 질이 저하된다.
이런 이유로 해서, 관 모양의 밸브몸체가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튜브의 원래 형태가 그것의 탄성에 의해 회복되면, 상기 밸브몸체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튜브 타입의 용기가 제안되어 왔다(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제1995-112749,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157751,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84-27648 등)
위에서 언급된 관 모양의 밸브몸체가 마련되는 종래의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만일 상기 튜브가 탄성에 의해 그 원래 모양을 천천히 회복하면,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튜브 타입 용기의 상기 개구를 닫을 수 없으며 공기가 상기 유체저장부로 역류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관 모양의 밸브몸체가 마련된 종래의 튜브 타입 용기는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를 갖는다.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157751에 기술된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내용물이 배출될 때, 용기의 형태가 서서히 변한다. 따라서, 튜브 타입 용기에 남아 있는 내용물이 줄어들면, 용기도 많이 변하며 튜브 타입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이 점점 더 힘들어진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일본 공개 특허 제 2000-109103에 기술된 바와 같이, 뉴매틱(pneumatic)하게 밀어서 내보내는(push-out) 튜브 타입 용기가 제안 되었는데, 이 용기는 용기 내부를 내용물챔버와 공기챔버로 나누는 이중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용기 구성에 있어서, 내용물챔버는 용기 배출포트에서 외부와 연통하며, 공기챔버는 그것의 바닥에 밸브구조부를 갖는데, 이 구조부는 용기의 몸체 부분을 누름으로써 용기에 압력을 가할 때 공기챔버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공기챔버를 잠근다.
그러나, 일본 공개 특허 제 2000-109103에 기술된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점성이 높은 내용물에만 사용이 가능한데, 왜냐하면 용기의 배출포트에 밸브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만일 이 튜브 타입 용기에 점성이 낮은 유체가 저장되면, 용기의 배출부로부터 용기 안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따라서 용기에 저장된 유체의 질이 저하된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 2000-109103에 기술된 튜브 타입 용기에 있어서는, 밸브장치가 공기챔버 안에 마련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의 밸브장치는 비싸며,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 싼 값에 사용후 버릴 수 있어야 하는 상기 튜브 타입 용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나아가, 일본 공개 특허 제 2000-109103에 기술된 튜브 타입 용기는 튜브 타입 용기의 몸체부에 공기챔버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밸브구조부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몸체부에 밸브구조부를 갖는 튜브 타입 용기를 생산하기는 힘들다. 또한, 튜브 타입 용기의 바닥부를 용접할 때 밸브구조부 때문에 용접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용기 배출부로부터 용기 안으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는 튜브타입 유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데,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을 도해하도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의 종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의 요부 종단면도들,
도 3은 상기 밸브장치(3)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밸브장치(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튜브타입유체용기의 분해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튜브타입유체용기의 분해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튜브타입용기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튜브타입용기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튜브타입용기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상기 밸브부재(20)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상기 밸브부재(20)의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결합부재(30)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결합부재(30)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결합부재(30)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밸브시트부재(40)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밸브부재(20)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상기 튜브타입용기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상기 튜브타입용기의 요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상기 튜브타입용기의 요부 확대도,
도 20(A)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의 평면도; 도 20(B)는 도 20(A)의 A-A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1(A)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밸브부재(20)의 평면도; 도 21(B)는 도 21(B)는 도 21(A)의 A'-A'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밸브시트부재(330)의 평면도, 도 22(B)는 도 22(A)의 B-B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3(A)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지지몸체(340)의 평면도; 도 23(B)는 도 23(A)의 C-C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밸브부재(20) 내의 상기 밸브몸체(21)의 말단면(25)의 외주면 상에 홈부분(26)이 마련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25는 오링(27)이 도 24에 도시된 상기 밸브부재와 결합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타입용기의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타입용기의 종단면도,
도 28은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에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9는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에 압력이 가해진 때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0은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 내의 상기 외부용기(443)의 형태가 회복된 때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의 정면도,
도 32는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3은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에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4는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 내의 상기 외부용기(443)의 형태가 회복된 때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 내의 밸브 장치(10)를 도시한 확대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 내의 밸브 장치(10)를 도시한 확대도,
도 3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부재(20')의 저면도;도 37(B)는 도 37(A)의 A''-A''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의 평면도; 도 38(B)는 도 38(A)의 D-D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9(A)와 3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의 요부 종단면도들,
도 40(A)와 4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유체용기의 요부 종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메인유니트 2: 뚜껑부재
3: 밸브장치 3: 뚜껑부재
5: 뚜껑부재 10: 밸브장치
11: 유체저장부 12: 배출포트
13: 플랜지부 14: 수나사부
20: 밸브부재 21: 밸브몸체
22: 체결부 23: 경사면
24: 볼록부 25: 말단면
26: 홈부분 27: 오링
30: 결합부재 31: 밸브시트부재지지부
32: 결합부 33: 밸브부재지지부
35: 체결홈 36: 신축부
37: 오목부 38: 홈부분
39: 바닥면 40: 밸브시트부재
41: 개구부 42: 볼록부
43: 체결부 44: 볼록부
45: 경사면 51: 베이스부
52: 상부뚜껑 53: 암나사부
54: 배출포트 110: 뚜껑부재
111: 뚜껑몸체 115: 암나사부
140: 용기본체 141: 개구부
142: 유체저장부 143: 플랜지부
144: 수나사부 145: 내부용기 개구부
146: 외부용기 개구부 147: 바닥쪽의 용접부
148: 배출포트 쪽의 용접부 149: 구멍
150: 플랜지부 151: 수나사부
221: 외부뚜껑부 222: 암나사부
231: 개구부 232: 지지부
233: 밸브부 234: 제 1연결부
235: 제 2 연결부 236: 결합부
237: 신축부 238: 홈부분
241: 배출포트 242: 암나사부
323: 가이드부 324: 하부면
325: 가이드부재 326: 개구
327: 강화링 330: 밸브시트부재
330': 밸브시트부재 331: 밸브시트부
332: 밸브부재지지부 333: 결합부
334: 수평면 335: 수직면
337: 볼록부 338: 개구부
339: 홈부분 340: 지지몸체
341: 리브 342: 가이드로
343: 암나사부 344: 오목부
345: 개구부 415: 암나사부
441: 배출포트 442: 내부용기
443: 외부용기 444: 내부공간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오직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쉽게 이해 되도록 하기 위해서만, 후술될 도면에서 사용된참조 번호들이 참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참조 번호에 의해 정의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된 구성요소는 적절히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유체 배출포트(예컨대, 12, 441)에 적합한 밸브장치(예컨대 3, 10)는 유체가 흘러서 통과해 가는 개구(예컨대, 41, 326)를 갖는 밸브시트부(예컨대, 40, 331); 상기 개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밸브몸체(예컨대, 21)를 포함하는 밸브부(예컨대, 20)와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축(예컨대, 22); (i) 상기 축의 선단과 결합되는 바닥플레이트(plate)(예컨대, 39, 332) (ii) 상기 밸브시트부에 고정 결합되는 환상의 받침대 (예컨대, 31, 232)(iii)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환상의 받침대를 결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예컨대, 32, 236)를 포함하는 밸브지지부(예컨대, 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커넥터는 탄성에 의해 상기 바닥플레이트를 하향시켜 상기 개구가 상기 밸브몸체에 의해 폐쇄되게 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하여 상기 밸브부를 눌러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때는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는 상기 축과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는 셋 이상의 커넥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는 신축부(예컨대, 36, 237)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개구의 일부에 상기 밸브몸체를 향하여 마주보는 볼록부(예컨대, 42)가 형성 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볼록한 부분이 상기 밸브시트부와 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몸체의 일부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마주보는 볼록 부(예컨대, 42)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볼록한 부분이 상기 밸브시트부와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축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예컨대, 3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장치는 (a)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예컨대, 345)와 (b)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예컨대, 325)를 포함하는 지지몸체(예컨대, 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 외주면과 접하는 다수의 리브(rib)(예컨대, 34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밸브시트부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밸브몸체의 바닥면(예컨대, 324) 및 말단면(예컨대, 25)과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타입 유체용기는 그 일단부에 유체 배출포트(예컨대, 12, 441)가 형성된 튜브 모양의 용기본체(예컨대, 1, 140)와 전술된 밸브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용기본체는 (A) 유체를 저장하는 내부용기(예컨대, 442)와 (B)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용기(예컨대, 4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를 둘러싸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내부공간(예컨대, 444)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내부 공간 및 외부와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외부용기에 형성된 상기 구멍이 미량의 공기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용기에 형성된 상기 구멍이 유체가 배출될 때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개구부들(예컨대, 148)이 상기 유체 배출 포트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그것들의 바닥(예컨대, 147)에서 용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 일단부에 유체배출포트(예컨대, 441)가 형성된 튜브 모양의 용기본체(예컨대, 140)와 상기 유체배출포트에 배치되는 밸브장치(예컨대, 3, 10)를 포함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A) 유체를 저장하는 내부용기(예컨대, 442)와 (B) 탄성 복원력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용기(예컨대, 443)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를 둘러싸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내부공간(예컨대, 444)이 형성되게 하며, 그 내부에 상기 내부공간 및 외부와 연통하는 구멍(예컨대, 14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기를 누름으로써, 유체가 밸브장치를 통해 용기의 입구부(mouth portion)의 출구(outlet)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커넥터와 용기가 변형된다. 압력이 제거되면, 변형된 커넥터와 용기, 양자는 형태를 회복하기 시작한다. 용기의 복원력이 내부 압력을 낮추며, 이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커넥터의 복원을 촉진하는 역류를 발생시키며, 이에 의해 공기가 상기 입구부의 출구를 통해 용기로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들 자체의 복원력이 상기 밸브시트부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지 않더라도, 상기 입구부의 출구는 용기의 복원력과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폐쇄된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예컨대, 3, 10)가 유체가 흘러서 통과할 수 있는 개구(예컨대, 41, 326)를 갖는 시트(예컨대, 40, 331); 상기 개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몸체(예컨대, 21)를 포함하는 시일(seal) (예컨대, 20); 상기 시일과 상기 시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받침대(예컨대, 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다수의, 탄력적으로 변형 될 수 있는 커넥터(예컨대, 32, 236)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바이어스 힘을 극복하는 상기 시일에 가해지는 유체 압력에 상응해서 신축성있게 변형되도록 마련되어, 유체가 상기 개구를 통해 흘러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개구부는 제 1 돌출부(ledge)(예컨대, 45)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가 제 2 돌출부(예컨대, 23)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개구가 바이어스 힘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제 1 돌출부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1 돌출부나 제 2 돌출부 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최소한 한 개의 탭(tab)(예컨대, 24, 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용기의 복원력이 과도하면 (유체의 점도나 용기에 잔류하는유체량 등에 따라, 또는 용기 자체의 탄성에 따라), 역류가 강하고 빠르며 커넥터들이 신속히 회복되지 않아, 공기가 상기 밸브시트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입구부의 출구로부터 용기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이 경우, 이중벽 용기를 사용하여 회복력이 조정되어, 용기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역류의 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이중벽 용기가 되도록 용기 몸체를 구성하면, 그 구성의 단순함에 불구하고, 용기의 배출포트(또는 입구mouth)로부터 용기로의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며, 내용물의 양이 줄어도 내용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외부용기내의 관통공이 크기가 작은 양의 공기만을 관통시키도록 형성되면, 내부용기로부터 외부용기로의 공기 유출량이 적도록 제어되어, 내부용기내의 유체에 적당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외부용기를 누를 때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압력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체가 배출될 때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면, 내부용기로부터 외부용기로 미량의 공기가 유출 되도록 적도록 제어되어, 내부용기내의 유체에 적당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입구부에서 통합해서 그 바닥에서 용접하면, 낮은 비용으로 튜브타입 유체용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중벽 용기에서는, 내부용기의 회복력이 단일벽 용기에서 보다 낮을 수 있으며, 그래서 커넥터들이 폐쇄 위치에 있으면 내부용기의 압력은 주위의 압력보다 어느 정도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그래서 출구의 흡입력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이중벽 용기에서는, 외부용기가 내부용기보다 더 잘 복원될 수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관통공 또는 관통공들을 통해 상기 공기층으로부터 방출된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면, 상기 공기층을 통해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로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내부용기에 담긴 유체량이 적으며, 그래서 내부용기는 거의 평평하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 외부 용기를 누름으로써, 내부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한다. 따라서, 내부용기내에 잔류하는 유체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관련 기술에 대해 갖는 이점을 요약하기 위하여, 위에서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을 설명하였다. 물론, 본 발명의 어떤 특정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목적이나 이점 모두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서 나타냈듯이 다른 목적이나 이점을 꼭 얻지는 않으면서 하나 또는 여러 이점을 얻거나 최적화하도록 본 발명을 구체화하거나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음에 나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이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예(example)는 그 일단부에 유체배출포트가 형성된 튜브 모양의 용기 본체와 상기 배출포트에 설치된 밸브장치를 갖는 튜브타입 유체용기인데, 이 용기는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밸브장치가 그 중심부에 밸브 시트를 구성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포트에 설치된 거의 튜브 모양의 지지부와; 상기 밸브 상기 지지부 내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영역과 상기 용기본체의 반대편에서 접할 수 있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상기 용기메인유니트 측에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부를 탄성력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한 모멘텀을 주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2 예는 상기 밸브장치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밸브부가 동일 간격으로 설치된, 세 개 이상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예에서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3 예는 상기 밸브장치 내의 상기 결합부는 신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예에서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4 예는 밸브시트로 기능하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밸브시트를 갖는 밸브부재와, 상기 원형의 개구부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밸브몸체와,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밸브시트부재를 지지하는 밸브시트부재지지부를 갖는 결합 부재와 상기 밸브부재의 체결부를 지지하는 밸브부재지지부와 상기 밸브시트부재 지지부와 상기 밸브부재지지부를 결합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밸브 장치인데; 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밸브부재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움직이도록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부재 내의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재 내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예는 상기 결합부재가 셋 이상의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 예에서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6 예는 상기 결합부가 신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5 예에서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7 예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에 상기 밸브몸체를 향해 마주보는 환형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이 부분이 상기 밸브몸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 내지 제 6 예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8 예는 상기 밸브몸체의 일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해 마주보는 환형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이 부분은 상기 개구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 예 내지 제 6예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9 예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안에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밸브몸체 안의 상기 체결부와 반대편에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밸브 몸체를 위한 밸브시트로 기능하는 원형의 개구부를 갖는 밸브시트부를 갖는 밸브 시트부재,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는 밸브부재지지부와 상기 밸브시트부 및 상기 밸브부재지지부와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다수의 결합부를 갖는 밸브부재,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지지몸체를 갖는 밸브장치인데;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밸브부재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는 특징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부재 내의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재 내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복수의 결합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예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부 외주면과 접하는 다수의 리브(ri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예에서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11 예는 상기 밸브시트부는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페쇄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밸브몸체의 바닥면 및 말단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또는 제 10 예에서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12 예는 상기 밸브시트부재가 세 개나 그 이상의 결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예 내지 제 11예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13 예는 상기 결합수단이 신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예 내지 제 12예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제 14예는 그 일단부에 유체배출포트가 형성된 튜브 모양의 용기본체와 상기 배출포트에 설치된 밸브장치를 갖는 튜브타입 유체용기인데, 이 용기는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밸브장치가 유체를 저장하는 내부용기와, 탄성 복원력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는 외부용기를 갖는데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를 둘러싸서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그 내부에 상기 내부공간 및 외부와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5예는 상기 외부 용기안의 상기 구멍이 유체가 배출될 때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4예에 기술된 상기 튜브타입 유체 용기이다.
제 17예는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포트부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내부용기 및 외부용기는 그것들의 바닥에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4 내지 제 16 예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상기 튜브타입 유체용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분해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요부(relevant part) 종단면도이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헤어젤, 클린징 젤과 같은 젤들이나 영양 크림, 콜드 크림과 같은 크림들을 저장하기 위한 미용 제품 용기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의약품, 용매나 음식물 등의 용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상의 액체, 점성이 높은 액체, 반유동체, 또는 졸을 젤리로 응고시키는 젤과 크림들이 모두 유체로 통칭된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용기메인유니트 (1), 뚜껑부재(2)와 밸브장치(3)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용기본체(1)는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 모양의 유체저장부(11), 상기 유체저장부(11)의 일단부에 형성된 유체배출부(12), 상기 배출부(12) 상부 단부 근처에 형성된 플랜지(flange)부(13), 상기 배출부(11)의 외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4)를 갖는다. 이 용기본체(1)는 합성수지만이나 또는 합성수지 래미네이션(lamination)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이 유니트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를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 복원력이 있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뚜껑부재(2)는 외부뚜껑부(221)와 상기 뚜껑부재(2)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22)를 갖는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상기 용기본체(1) 내의 상기 수나사부(14)가 상기 암나사부(222)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의 상기 배출부(12)가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밸브장치(3)의 구성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 3은 상기 밸브장치(3)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밸브장치(3)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밸브부(233)와 상기 제 1 연결부(234)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이 밸브장치(3)는 거의 관 형상으로, 그 중심에 밸브부를 구성하는 개구부(231)(도 2를 보라)가 형성된 지지부(233)와, 상기 지지부(232)내의 상기 개구부(231)가 형성된 영역과 용기본체(1) 반대 측에서 접할 수 있는 밸브부(233)와, 상기 밸브부(233)내에서 용기본체(1) 쪽으로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제 1 연결부(234), 거의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 1 연결부(234)와 결합되는 제 2 연결부(235)와, 상기 밸브부(233)에 상기 개구부(231)를 향한 모멘텀(momentum)을 주기 위한 네개의 결합(coupling)부(236)를 갖는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개구부(231)는 상기 지지부(232)와 탄성력을 가진 상기 제 2 연결부를 결합함으로써 밸브시트(seat)를 구성한다.
상기 네개의 결합부들(236)은 동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 이결합부들(236)은 각각, 두 곳에서 신축부를 갖는다.
지지부(232)의 바깥쪽 외주면상에는 홈부분(238)(도 4를 보라)이 형성된바, 이 부분은 용기본체(1)에 형성된 플랜지부(13)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장치(3)는 상기 홈부분(238)을 사용하는 용기본체(1) 안의 상기 배출부(12)에 설치된다.
또, 위에서 언급된 상기 지지부(232), 제 1, 제 2 연결부(234, 235)와 결합부(236)는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같은 합성 수지, 실리콘 고무와 같은 합성 고무 또는 이런 물질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된다. 상기 지지부(232), 상기 결합부(236) 상기 제 2 연결부(235), 상기 밸브부(233)와 상기 제 1 연결부(234)는 각각 따로따로 성형되어서 서로 결합된다.
위에서 언급한 구성을 갖는 상기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용기메인유니트(1) 내부로부터 유체가 배출될 때, 상기 유체저장부(11)를 누름으로써 상기 유체저장부(11) 내부의 유체에 압력이 가해진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에 의해 압력을 받고 결합부(236)의 탄성에 저항하면서, 상기 밸브부(233)는 밸브시트를 구성하는 상기 개구부(231)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232)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유체저장부(11)내의 유체는 상기 개구부(231)를 통과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유체 배출이 필요한 양만큼 이루어 진후, 상기 유체저장부(11)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유체저장부(11) 내부의 상기 유체는 상기 용기본체(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압되며; 공기가 상기 개구부(231)로 부터 상기 유체 저장부(11)를 향해 역류하고자 하게 된다.
그러나 이 튜브 타입의 용기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저장부(11) 내의 유체가 감압되자마자, 상기 밸브부(233)가 즉시, 상기 결합부(236)의 움직임에 의해 밸브시트를 구성하는 개구부(231)가 형성된 지지부(232)와 접촉하며; 유체 유로(flow path)를 이루는 상기 개구부(231)가 폐쇄된다. 따라서 공기의 역류가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에서는, 밸브몸체(233)의 이동 거리가 유체저장부(11)에 가해지는 압력, 즉 밸브장치(3)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개구부(231)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출률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통상의 액체가 유체로 사용되면, 유체저장부(11)내에 작은 압력을 가함으로써도 일정량(specific amount)의 액체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3)에서는, 상기 밸브장치(3) 내의 상기 밸브부(233)의 상부면이 상기 용기본체(1) 내의 상기 플랜지부(13)의 상부면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유체 배출이 종결된 후, 상기 용기본체(1)의 상기 개구부내에 잔류하는 유체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이 밸브장치(3)에서는 상기 지지부(232), 상기 밸브몸체(233)와 결합되는 네 개의 결합부(236)가 각각, 한 쌍의 신축부(237)를 갖는다. 따라서, 이 결합부(236)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며, 밸브몸체(233)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반복 운동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구성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술된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뚜껑부재의 암나사부(222)가 용기본체 안의 수나사부(14)와 맞물리면서 용기본체(1)의 배출부(12)가 닫히는 구성을 갖는 뚜껑부재(2)가 사용되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단부에 유체 배출부(241)를 갖는 뚜껑부재(4)가 사용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에는 상기 용기본체(1)의 배출부(12)와 상기 뚜껑부재(4)의 배출부(241)가 용기본체(1)의 수나사부(14)와 나사 결합되는 상기 유체 용기의 암나사부(242)와 연통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튜브 타입 용기의 구성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 6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제 3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에서는, 그 중심에 유체 배출부(53)를 갖는 베이스부(51) 및 상기 베이스부(51)와 힌지(hinge)될 수 있는 상부뚜껑(52)을 포함하는 뚜껑부재(5)가 사용된다. 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는 상기 용기본체(1)의 배출부(12)와 상기 뚜껑부재(4)의 배출부(241)가, 용기본체(1)의 수나사부(14)와 맞물리는 상기 유체 용기의 암나사부(242)와 연통되는 구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에서는 상기 상부뚜껑(52)이 상기 베이스부(51)와 힌지 되기 때문에, 상기 뚜껑부재(5)의 배출부(54)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에서, 상기 지지부(232)와 제 2연결부(235)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네 개의 결합부(236)에 의해 결합되지만 결합부(236)의 숫자는 네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지지부(232)와 제 2연결부(235)가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세개 이상의 결합부(236)에 의해 결합되면, 상기 밸브부(232) 안에서 부적당한 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3)의 상기 지지부(232)의 상부 단부는 용기본체(2)의 상기 배출부의 상부 단부의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장치(3)의 상기 개구부(231)의 내부 직경은 상기 용기본체(1)의 상기 배출부(12)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예컨대 상기 지지부(32)가 도 5에 도시된 상기 뚜껑부재(4)와 유사하게 노즐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개구부가 위로 갈수록 하며 좁아지며 더 작은 내부 직경을 갖는 개구부의 노즐 형상의 상부 단부와 상기 밸브부가 접촉하게 된다.
제 1 측면에서 기술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장치는 그 중심에 밸브부를 구성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거의 관 형상으로 상기 배출포트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의 상기 개구부 내에 형성된 영역과 용기본체 반대 측에서 접할 수 있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 내에 용기본체 쪽으로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연결부와;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한 모멘텀(momentum)을 주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바, 그 구성이 단순하고 내구성이 탁월한 반면 공기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측면에서 기술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밸브 장치내의 상기 밸브부가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는 세개나 그 이상의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므로,밸브 몸체 내에서 부적합한 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3 측면에서 기술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장치 내의 상기 결합부들이 신축부를 갖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들이 적합한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되어 밸브몸체를 보다 만족스럽게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발명에 따른 밸브장치가 적용된 튜브 타입 용기를 설명하는(explanatory) 분해도이다. 도 8과 9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가 적용된 튜브 타입 용기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헤어젤, 클린징 젤과 같은 젤들이나 영양 크림, 콜드 크림과 같은 크림들을 저장하기 위한 미용 제품 용기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의약품, 용매나 음식물 등의 용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상의 액체, 점성이 높은 액체, 반유동체, 또는 졸을 젤리로 응고시키는 젤과 크림들이 모두 유체로 통칭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유체들에 사용되는 밸브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를 포함하는 모든 유체를 위해 사용되는 밸브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용기본체(140), 용기본체(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부재(110)와 밸브장치(10)를 갖는다.
상기 용기본체(140)는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튜브 모양의 유체 저장부(142), 상기 유체저장부(14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141), 상기 개구부(141) 상부 단부 근처에 형성된 플랜지(flange)부(143)(도 8과 도 9를 보라), 상기 개구부(141)의 외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44)를 갖는다. 위에서 언급된 플랜지부(143)는 후술될 결합부(30) 내의 체결홈(35)과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장치(10)는 이 체결홈(35)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40)의 상기 개구부(141) 내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이 용기본체(140)는 합성수지만이나 혹은 합성수지 래미네이션(lamination)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이 본체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를 회복하고자 하는 탄성 회복력이 있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뚜껑부재(110)는 뚜껑몸체(111)와 뚜껑몸체(111)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115)를 갖는다. 상기 뚜껑몸체(111)의 암나사부(115)는 상기 용기 본체(140)의 수나사부(144)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유체가 용기로부터 배출될 때, 용기본체(140)의 유체저장부(142)를 누름으로써 상기 유체저장부(142)에 압력이 가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밸브부재(20), 결합 부재(30)와 밸브시트부재(40)를 포함하는 상기 밸브장치(10)가 개방되며 상기 유체 저장부(142)내의 상기 유체가 상기 밸브장치(10)의 상기 개구부(41)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유체 배출이 필요한 양만큼 이루어 진후, 상기 유체저장부(14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유체저장부(142) 내부의 상기 유체는 상기 용기본체(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압되며; 공기가 상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개구부(141)로 부터 상기 유체저장부(142)를 향해 역류 하고자 하게 된다.
그러나, 이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상기 밸브부재(20), 상기 결합 부재(30)와 상기 밸브시트부재(40)를 포함하는 밸브장치(10)의 운동에 의해 유체 유로가 폐쇄된다. 따라서, 공기의 역류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의 구성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상기 밸브 장치(10)는 상기 밸브부재(20), 상기 결합부재(30)와 상기 밸브시트부재(40)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밸브부재(20)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상기 밸브부재(20)의 저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장치(20)는 후술될 상기 밸브 시트부재(40)내의 원형의 개구부(4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밸브몸체(21)와 이를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체결부(22)를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결합부재(30)의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결합부재(30)의 종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결합부재(30)의 저면도이다.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는 후술할 밸브시트 부재(40)를 지지하는 밸브시트부재 지지부(31), 밸브부재(20)의 체결부(22)를 지지하는 밸브부재지지부(33)와 상기 밸브부재지지부(31) 및 상기 밸브부재지지부(33)과 결합하는 네 개의 결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시트부재지지부(31)의 내부원주면 상에는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지지부(33)에는 상기 밸브부재(20)내의 체결부(22)의 길이보다 짧은 홈부분(38)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될 상기 밸브시트부재(40)의 상기 개구부(41)를 통과한 후, 상기 체결부(22)를 이 홈부분(38)에 삽입/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밸브부재(20)는 상기 결합부재(30)에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네 개의 결합부재(32)는 각각, 한 쌍의 신축부(36)를 가지는 탄력 수지를 포함한다. 이 결합부(32)의 탄력성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20)의 상기 밸브몸체(21)는 상기 밸브몸체가 후술한 상기 밸브시트 부재(40)의 상기 개구부(4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개구부(4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적응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 장치(10)를 구성하는 상기 밸브시트 부재(40)의 종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부재(40)는 원형의 개구(41)와 체결부(43)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41)는 상기 밸브몸체(21)를 위한 밸브시트로서 기능한다. 상기 개구부(41)를 형성하는 경사면은 상기 밸브부재(20) 내의 상기 밸브 몸체의 경사면(23)(도 10을 보라)에 상응하는 경사각을 갖는다. 이 경사면(45)에는 환형의 볼록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환형의 볼록부(42)는 상기 개구부(41) 내의 상기 밸브몸체(21)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밸브 장치(10)의 각 부분의 제조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밸브몸체(21)와 상기 개구부(41)는 확실히 접촉할 수 있으며; 면 접촉에 비해 높은 액체 밀착성이 유지된다.
상기 체결부(43)의 외부 원주면 상에는 볼록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밸브시트부재(40)가 상기 결합부재(30)안으로 삽입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부재(40)는 상기 결합부재(30) 내의 상기 오목부(37) (도 13을 보라)와 상기 밸브시트부재(40)의 상기 볼록부(44)가 상호 접촉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30) 내에 고정된다.
상기 밸브부재(20), 상기 결합부재(30)와 상기 밸브시트부재(4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밸브장치(1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40)의 유체저장부(142)를 누름으로써 상기 유체저장부(142) 내의 유체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밸브부재(20) 내의 밸브몸체(21)가 개방 위치로 이동 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재(40)의 상기 개구부(41)를 개방한다. 이런 움직임에 의해, 유체가 상기 개구부(41)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유체저장부(14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밸브부재(20)의 밸브몸체(2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데, 이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재(40)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개구부(41)로부터 상기 유체저장부(142) 내로의 공기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밸브장치(10)에서는, 밸브몸체(21)의 이동 거리가 상기 유체저장부에 가해진 압력, 즉 밸브장치(10)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41)를 통과하는 유체 배출률의 임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통상의 액체가 유체로 사용되면, 상기 유체저장부(142) 내의 액체에 작은 압력을 가하여 액체를 한 방울씩 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이 밸브장치(10)는 상기 밸브몸체(21)가 상기 밸브장치(1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flow path) 단부 근처에 설치 되는 구성을 갖는바, 상기 밸브몸체(2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밸브장치(10) 내의 상기 밸브몸체(21)의 외부 영역(용기본체 반대측 영역)의 유체 잔류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밸브장치(10)에서는 상기 결합부재(30)의 상기 밸브시트지지부(31)와 상기 밸브부재지지부(33)가 네 개의 결합부(3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밸브부재(20)와 상기 밸브시트부재(40)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밸브몸체(21)의 부적당한 틸트 발생의 효과적 방지가 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밸브몸체(21)의 부적당한 틸트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세개 이상의 결합부(32)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결합부를 동일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밸브장치(10)에서는 상기 밸브몸체(21)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개구부(41)로 삽입되며 움직인다. 상기 밸브몸체(21)가 부적당하게 틸트되면, 상기 체결부(22)는 상기 밸브시트부재(40)의 내벽과 접한다. 따라서 상기 밸브몸체(21)가 더 이상 틸트 되지 않는다.
나아가, 이 밸브 장치(10)에서는, 결합부재(30)의 네개의 결합부(32)가 각각, 한 쌍의 신축부(36)를 갖는다. 따라서, 이 결합부들은 적당한 탄성을 가지며 그래서 상기 밸브부재(20)의 상기 밸브몸체(21)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원활히 왕복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결합부(32)의 두께는 1밀리미터나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3밀리미터에서 0.5밀리미터 범위내의 두께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저장부(142) 내의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유체 배출량의 관계는 두께, 수직 길이나 결합부(32)의 재료(강성)에 변화를 줌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또는, 상기 유체저장부(142)내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유체 배출량의 관계는 두께나 상기 결합부(32) 측면의 상기 지지부(11) 상의 에지부의 폭을 변화시켜 상기 결합부(32)가 가하는 탄성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밸브시트부재(40)의 상기 개구부(41)내 상기 밸브몸체(21)와 접촉 부분에 환형의 볼록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10)의 각 부분의 제조 정확성이 떨어진다 해도, 상기 밸브몸체(21)와 상기 밸브시트부재(40)의 내벽이 확실히 접촉되며 면 접촉에 비해 높은 액체 밀착성이 유지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시트부재(40)의 볼록부(42)를 형성하는 대신, 상기 밸브몸체(21)의 개구부(41)와 접하는 상기 부분(상기 경사면(23))이 개구부(41)를 향해 마주보는 환형의 볼록부(24)를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은 상기 밸브몸체를 가지며, 이 상기 밸브몸체는 이것이 상기 밸브시트부재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다수의 결합부의 탄성에 의해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바, 구성은 단순한 반면 유체는 확실히 폐쇄되며, 발명품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발명품을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률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시트부재지지부와 상기밸브부재지지부가 세 개나 그 이상의 결합부에 의해 결합 되는 바, 밸브몸체의 부적합한 틸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제 6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신축부들을 갖는 바, 상기 결합부는 적당한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되므로 상기 밸브몸체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몸체를 향해 마주 보는 환형의 볼록부가 형성되는 바, 상기 밸브장치의 각 부분의 제조상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밸브 몸체와 상기 개구부가 확실히 접촉하여 면 접촉에 비해 높은 액체 밀착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몸체를 향해 마주 보는 환형의 볼록부가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개구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바, 상기 밸브장치의 각 부분의 제조상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밸브몸체와 상기 개구부가 확실히 접촉하여 면 접촉에 비해 높은 액체 밀착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가 적용된 튜브 타입 용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밸브장치가 적용된 튜브 타입 용기의 요부 확대도들이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헤어젤, 클린징 젤과 같은 젤들이나 영양 크림, 콜드 크림과 같은 크림들을 저장하기 위한 미용 제품 용기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의약품, 용매나 음식물 등의 용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상의 액체, 점성이 높은 액체, 반유동체, 또는 졸을 젤리로 응고시키는 젤과 크림들이 모두 유체로 통칭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유체들에 사용되는 밸브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를 포함하는 모든 유체를 위해 사용되는 밸브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용기본체(140)와, 상기 용기본체(140)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부재(110)과 밸브장치(10)를 갖는다.
상기 용기본체(140)는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유체 저장부(142), 상기 유체저장부(14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141), 상기 개구부(141)의 외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44)를 갖는다. 위에서 언급된 수나사부(144)는 후술될 지지몸체(340)의 암나사부(343)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장치(10)는 이 암나사부(343)에 의해 상기 용기메인유니트(140)의 상기 개구부(141)내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이 용기본체(140)는 합성수지만이나 혹은 합성수지 래미네이션(lamination)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이 유니트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를 회복하고자 하는 탄성 회복력이 있다.
위에서 언급된 뚜껑부재(110)는 상기 뚜껑부재가 상기 밸브장치(10)내의 상기 지지몸체(340)의 상기 개구부(141)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뚜껑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지지몸체(34) 상에 힌지 결합 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유체가 용기로부터 배출될 때,용기본체(140)의 유체저장부(142)를 누름으로써 상기 유체저장부(142)에 압력이 가해진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밸브부재(20), 결합 부재(30)와 밸브시트부재(330)와 상기 지지몸체(340)를 포함하는 상기 밸브 장치(10)가 개방되며 상기 유체저장부(142)내의 상기 유체가 상기 밸브장치(10)의 상기 개구부(141)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유체 배출이 필요한 양만큼 이루어 진후, 상기 유체저장부(14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유체저장부(142) 내부의 상기 유체는 상기 용기본체(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압되며; 공기가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개구부(141)로 부터 상기 유체저장부(142)를 향해 역류하고자 하게 된다.
그러나, 이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유체 유로가 상기 밸브부재(20),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와 상기 지지몸체(340)를 포함하는 밸브장치(10)의 운동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공기의 역류가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의 구성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20(A)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의 평면도이며; 도 20(B)는 도 20(A)의 A-A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장치(10)는 상기 밸브 부재(20), 상기 밸브시트부재(330), 상기 지지몸체(340)을 포함한다.
도 21(A)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밸브부재(20)의 평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A'-A'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20)는 밸브몸체(21), 거의 실린더 형상으로서 상기 밸브몸체 안에 그것을 세움으로써 설치 되는 체결부(22)와 거의 실린더 형상으로서 상기 밸브몸체 안의 상기 체결부(22) 반대측에 그것을 세움으로써 설치 되는 가이드부(323)를 갖는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상기 밸브시트부재(33)의 평면도이며; 도 22(B)는 도 22(A)의 B-B 단면을 보여주는 종단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부재(330)는 상기 밸브부재(22)안의 상기 밸브몸체(21)를 위한 밸브시트로서 기능하는 원형의 개구부(338)를 갖는 밸브시트부(331)와, 상기 밸브부재(20) 안의 상기 체결부(22)와 체결되는 밸브부재 지지부(332)와, 상기 밸브부(331), 상기 밸브부재지지부(332)와 결합되며 탄력성이 있는 네 개의 결합부(333)를 갖는다.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의 외부 외주면 상에는 볼록부(33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볼록부(340)가 후술할 지지몸체(340)의 내부 외주면 상에 형성된 오목부(344)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밸브시트부재(330)가 지지부(340)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의 상기 밸브시트부재지지부(332)에는 상기 홈부분(339)이 형성 되어 있다. 상기 밸브부재의 상기 체결부(22)를 이 홈부분(339)에 삽입/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밸브부재(20)와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밸브시트부(331)는 그것의 개구부(338) 안에 수평면(334)과 수직면(335)을 갖는다. 상기 밸브부재(2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시트 부재(330)의 상기 개구부(338)가 폐쇄되면, 상기 밸브몸체(21)의 하부면(324)이 상기 밸브시트부(331)의 상기 수평면(334)과 접촉하며, 상기 밸브몸체(21)의 상기 말단면(end surface)은 상기 밸브시트부(331)의 수직면(335)과접촉한다.
상기 네 개의 결합부(333)는 각각, 한 쌍의 신축부(36)를 갖는 탄성 수지를 포함한다. 이 결합부(333)의 탄력성으로, 상기 밸브부재(20)의 상기 밸브몸체(21)가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재(330)내의 상기 개구부(338)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338)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하게 된다.
도 23(A)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 몸체(340)의 평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C-C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몸체(340)는 유체가 위에서 언급한 개구부(338)를 지나 외부로 흘러 가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345)와, 상기 개구부(345)에 마련된 네 개의 리브(rib)(342)를 갖는다. 이 네개의 리브(342)는 상기 개구부(345) 내에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로(guide path)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몸체(34) 내부에는 실린더 모양의 중공부가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상기 지지몸체(340)는 상기 용기본체(140)의 수나사부(144)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343)와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의 오목한 부분(337)과 맞물릴 수 있는 볼록부(344))(도 20을 보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20)과 체결되는 상기 밸브시트부재(330)를 상기 지지몸체(340) 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밸브부재(20), 상기 시트부재(330)와 상기 지지몸체(340)가 체결된다. 이 때, 상기 밸브부재(20)의 상기 가이드부(323)는 상기 가이드로(guide path)(342)에 삽입 되는 동안 상기 네 개의 리브(341)에 둘러 싸이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체결되는 상기 밸브장치(10)는 지지몸체(340)안에 암나사부(343)와 용기본체(140) 안에 형성된 수나사부(144)가 나사 결합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40)의 상기 개구부(141)내에 고정된다.
상기 밸브부재(20),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와 상기 지지몸체(340)는 폴리 에틸렌과 같은 합성 수지, 실리콘 고무와 같은 합성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밸브장치(10)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40)의 유체저장부(142)를 누름으로써 상기 유체저장부(142)내의 유체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밸브부재(20)내의 밸브몸체(21)가 개방 위치로 이동 하는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몸체(21)가 상기 밸브지지몸체(340)의 상기 개구부(41)를 개방한다. 이런 움직임에 의해, 유체가 상기 개구부(338)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유체저장부(14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밸브부재(20)의 밸브몸체(2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데, 이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네개의 결합부(333)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지지몸체(340)의 상기 개구부(338)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개구부(338)로부터 상기 유체 저장부(142) 내로의 공기의 침입이 방지된다.
이 밸브장치(10)에서는, 밸브몸체(21)의 이동 거리가 상기 유체저장부(142)에 가해진 압력, 즉 밸브장치(10)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338)를 통과하는 유체 배출률의 임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통상의 액체가 유체로 사용되면, 상기 유체저장부(142) 내의 액체에 작은 압력을 가하여 액체를 한 방울씩 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밸브시트부(331)가 그것의 개구부(338) 안에 수평면(334)과 수직면(335)을 갖는 바, 상기 밸브몸체(21)는 상기 밸브장치(10)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밸브몸체(21)의 하부면(324)이 상기 밸브시트부(331)의 수평면(334)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서도 상기 밸브 몸체(21)의 상기 말단면(25)이 상기 밸브시트부(331)의 수직면(335)에 접하는 한은 유체가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레벨(level)을 넘어서는 압력이 상기 유체 저장부(142)에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개구부(338)로 부터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밸브 장치(10)에서는, 상기 밸브시트지지부(331)와 상기 밸브시트 부재(330)의 상기 밸브부재지지부(332)가 네 개의 결합부(333)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몸체(21)의 부적합한 틸트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21)의 부적합한 틸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개나 그 이상의 결합부(33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결합부들을 동일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밸브장치(10)에서는, 상기 밸브몸체(21)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323)가 상기 가이드로(342)에 삽입 되면서 네 개의 리브(341)에 의해 둘러 싸이게 된다. 따라서, 밸브몸체(21)가 부적합하게 틸트되면, 상기 가이드부(323)가 리브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몸체(21)는 더이상 틸트 되지 않는다.
나아가, 이 밸브장치(10)에서는,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의 네 개의결합부(333)는 각각, 한 쌍의 굴곡(36)을 갖는다. 따라서, 이 결합부는 상기 밸브 부재(20)의 상기 밸브몸체(21)를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케 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갖는다.
또한, 이 결합부(32)의 두께는 1밀리미터나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3밀리미터에서 0.5밀리미터 범위내의 두께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저장부(142)내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유체 배출량의 관계는 두께, 수직 길이나 결합부(333)의 재료(강성)에 변화를 줌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또는, 상기 유체 저장부(142)내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유체 배출량의 관계는 두께나 상기 결합부(32) 측면의 상기 지지부(11) 상의 에지부의 폭을 변화시켜 상기 결합부(32)가 가하는 탄성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체 저장부(142)내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밸브몸체(21)의 이동 거리 및 유체 배출량의 관계는 상기 밸브몸체(21)의 두께에 변화를 줌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10)를 구성하는 밸브부재(20) 내의 상기 밸브몸체(211)의 말단면의 외주면 상에 홈부분(26)이 마련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밸브 부재(20)와 오링(O-ring)(27)이 결합되는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20)의 상기 밸브몸체(21)의 말단면(25)이 두 곳에서 상기 지지몸체(340)와 접하므로, 더 높은 액체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20)내의 상기 밸브 몸체(21)의 말단면(25)과 결합하는 상기 오링(27)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밸브몸체(21) 및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의 내벽은 상기 밸브장치(10) 각 부분의제조의 정확성이 떨어져도 확실하게 접촉하며, 면 접촉에 비해 높은 액체 밀착성이 유지된다.
제 9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부재가 밸브몸체를 갖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 내에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밸브부재 내 상기 체결부 반대편에 세움으로써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밸브몸체를 위한 밸브시트로서 기능하는 원형 개구부를 갖는 밸브시트부가 있는 밸브시트부재와,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는 밸브부재지지부와, 상기 밸브시트부 및 상기 밸브부재지지부와 결합하는 탄성을 갖는 다수의 결합부와,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지지 몸체와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는 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재 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상기 밸브몸체가 이동할 때 이 밸브몸체의 부적합한 틸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체가 새 나가는 것(flowing out)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 10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술된 상기 밸브장치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 외주면과 접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재 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상기 밸브몸체의 부적합한 틸트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1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9 또는 제 10 측면에서 기술된상기 밸브장치에서는, 상기 밸브장치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밸브시트부가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면 및 말단면에 접하는 바, 상기 밸브몸체의 말단면에 상기 밸브시트부의 수직면에 접하는 한은 상기 밸브장치가 유체를 흘려 보내지 않는다. 따라서, 일정 레벨 이상의 압력이 상기 유체저장부에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개구부의 유체 누출이 방지된다.
제 12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9 내지 제 11 측면에서 기술된 상기 밸브장치에서는, 상기 밸브시트부재가 세개나 그 이상의 결합부를 갖는 바, 밸브몸체의 부적합한 틸트 발생이 방지된다.
제 13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9 내지 제 12 측면에서 기술된 상기 밸브장치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신축부를 갖는 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밸브부재 내의 상기 밸브몸체를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왕복 운동케 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갖는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헤어젤, 클린징 젤과 같은 젤들이나 영양 크림, 콜드 크림과 같은 크림들을 저장하기 위한 미용 제품 용기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의약품, 용매나 음식물 등의 용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상의 액체, 점성이 높은 액체, 반유동체, 또는 졸을 젤리로 응고시키는 젤과 크림들이 모두 유체로 통칭된다.
이 튜브 타입 용기는 용기본체(140), 용기본체(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 부재(110)와 밸브 장치(10)를 갖는다.
상기 용기본체(140)는 용기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441)와, 상기 배출포트(441) 상부 단부 근처에 형성된 플랜지(flange)부(143)(도 35과 도 36를 보라), 상기 배출포트(441)의 외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44)를 갖는다. 위에서 언급된 플랜지부(143)는 후에 도 35와 도 36을 참조하여 상술될 밸브장치(10)내 결합부재(30)의 체결홈(35)과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장치(10)는 이 체결홈(35)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40)의 상기 배출포트(441)내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뚜껑부재(110)는 뚜껑몸체(111)와 뚜껑몸체(111)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415)를 갖는다. 상기 뚜껑몸체(111)의 암나사부(415)는 상기 용기본체(140)의 수나사부(151)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튜브 타입 용기에서는, 유체가 용기로부터 배출될 때, 상기 용기본체(140)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 위치에서, 밸브부재(20), 결합 부재(30)와 밸브시트부재(40)를 포함하는 상기 밸브장치(10)가 개방되며, 상기 용기본체(140) 내의 유체가 상기 밸브장치(10)의 상기 개구부(41)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필요한 양의 유체가 배출된 후, 유체저장부(44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유체저장부(442)는 상기 용기본체(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압되며, 공기가 유체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배출포트(441)로 부터 상기 용기본체(140)를 향해 역류 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튜브타입 유체용기에서는, 상기 밸브부재(20), 상기 결합 부재(30)와 상기 밸브시트부재(40)를 포함하는 상기 밸브장치(10)의 작용에 의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path)가 폐쇄된다. 따라서, 공기의 역류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적용되는 상기 밸브장치(10)의 구성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 35와 도 36은 상기 용기 메인 유니트(140)의 윗부분(top)을 따라 확대한 밸브장치(10)의 확대도이다.
이 밸브장치(10)는 밸브부재(20), 결합부재(30)와 밸브시트부재(40)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도 10-15를 참조한 설명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용기본체(140)의 구성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 28은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9는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압력이 가해진 후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0은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외부용기(443)의 모양이 회복된 때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용기본체(140)는 유체를 저장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442)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용기(443)를 갖는다. 상기 내부용기(442)와 외부 용기(443) 사이에는 외부와 차단된 내부공간(444)이 형성된다.
이 용기본체(140)의 상기 외부용기(443)는 합성 수지만이나 합성 수지 래미내이션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그것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된 후에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가고자 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나아가. 상기 외부 용기(443)에는, 상기 내부공간(444) 및 외부과 연통하는 구멍(1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용기 안에 형성된 이 구멍(149)은 작은 양의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도 28의 위치에서 상기 용기본체(140)에 압력이 가해지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442) 내부의 유체가 빠져 나가면서 상기 내부용기(442)의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상기 외부용기(443)의 부피가 줄어든다. 이 때, 상기 외부용기(4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기 내부공간(444) 내부에서 감압된다. 따라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443)의 줄어든 부피에 상응하는 양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444) 및 외부와 연통하는, 상기 내부용기(443)내의 구멍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444)으로 유입되어 상기 외부용기(443)가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원래 형태를 회복케 한다.
이 구멍(149)이 매우 미량의 공기가 통과되는 크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내부공간(444)으로 부터 외부로 공기가 매우 미량 유출되도록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442) 내부의 유체에 정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내부용기(442)와 외부용기(443)는 모두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에 의해 형성되며/형태를 갖추며, 그 후에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145)와 상기 외부용기의 개구부(146)가 상기 용기본체(140)의 배출포트 측의 용접부(148)에 서 서로 연결되며 바닥 쪽 용접부(147)에서 용접된다. 따라서, 낮은 비용으로 튜브 타입 유체용기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가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3은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압력이 가해진 후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4는 뚜껑부재(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외부용기(443)의 모양이 복원된 때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종단면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종단면도와 동일하다.
이 튜브타입 유체용기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와 마찬가지로, 유체를 저장하는 내부용기(442)와 상기 내부용기(442)를 둘러싸는 외부용기(443)를 갖는다. 상기 내부용기(442)와 외부용기(443) 사이에는 외부와 차단된 내부공간(444)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용기(443)에는, 상기 내부공간(444) 및 외부과 연통하는 구멍(1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49)은 유체가 밀고 나올 때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외부 용기(443)의 누름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40) 내의 상기 외부용기(443)를 예컨대 손가락 같은 것으로 누르면, 상기 구멍(149)의 상당 부분이 막히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미량 유출되도록 제어되며;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442)내의 유체에 정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멍(149)의 크기가 누르는 물체의 크기를 넘지 않는 범위 내이어야 하므로, 누르는 물체가 누름부로 부터 벗어나면 많은 양의 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외부용기(443)가 빠르게 그 원래 형태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적용된 상기 밸브장치는 위에서 언급된 각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10)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용기본체(140)를 누르면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용기본체(140)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어떠한 밸브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443)를 위해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료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상기 내부용기(442)를 위해서는, 탄성 복원력을 갖지 않는 재료도 사용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용기(145)와 외부용기(146)의 상기 개구부들이 상기 용기본체 쪽의 배출포트부 용접부(148)에서 상호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는 그 바닥(bottom)에서 용접된다. 그러나, 상기 수나사부(151)를 갖는 배출포트부재, 상기 내부용기(442)와 외부용기(443),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145)와 외부용기의 개구부(146)의 세 부분을 갖는 상기 용기본체(140)가 각각 배출포트부재에서 용접되는, 다른 구성도 차용가능하다.
제 14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장치가 상기 배출포트에 유체를 저장하는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가 마련되는데, 상기 외부용기는탄성 회복력을 가지며 상기 내부용기를 둘러싸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외부와 차단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게 하며 그 내부에 내부공간 및 외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 되는 바, 그 구성이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용기의 배출포트로부터 상기 용기로의 공기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양이 줄어도 내용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제 15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용기에 형성된 구멍이 작은 양의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인 바, 상기 용기본체를 눌렀을 때 상기 내부용기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량이 적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 내의 유체에 정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6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용기에 형성된 상기 구멍은 상기 유체가 배출될 때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용기 본체를 눌렀을 때 상기 내부용기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량이 적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 내의 유체에 정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7 측면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개구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포트에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 용기가 그 바닥에서 용접되는 바, 낮은 비용으로 튜브 타입 유체 용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alternative)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 부재(20')의 저면도이다. 상기 밸브부재(20')는 상기 밸브몸체(21')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를 향해 마주보는 세개의 볼록부(24)를 갖는다. 상기 볼록부(24)는 상기 밸브몸체(21')가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밸브시트부재와 접한다. 도 37(B)는 도 37(A)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3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장치(10)을 구성하는 상기 밸브시트부재(330')의 평면도이다. 도 38(B)는 도 38(B)의 D-D 단면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밸브시트부재(330')는 상기 결합부재(30)를 둘러싸는 강화링(327)을 갖는다. 상기 강화링(327)은 압출성형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8(B)의 빗금친 부분은 한 부분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부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9(A)는 도 37(B)에 도시된 밸브부재(20')와 도 38(B)에 도시된 밸브시트 부재(330')를 배치한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9(A)는 상기 밸브부재(20')가 상향 이동하여 개구를 열고 상기 개구를 통해 유체를 흘려 보내도록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9(B)에 도시된 바, 상기 밸브부재(20')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데, 이에 의해 유체가 상기 개구를 통해 흘러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0(A)는 밸브부재(20), 결합부재(30)와 밸브시트부재(40)를 포함하는 캡 타입 밸브장치(10')의 종단면도이다. 도 40(A)이 도시하는 바, 상기 밸브부재(20)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유체가 상기 개구를 통해 흘러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0(B)는 상기 밸브부재(20)가 상향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유체를 상기 개구를 통해 흘러가게 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고무나 소프트 폴리 에틸렌과 같은 소프트 수지를 포함하는 어떤 플라스틱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밸브부와 같은) 다른 부(밸브 시트부와 같은)와 누르고 끼워 맞춤으로써 끼워 맞춰지는 지지부를 위해서는, 하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하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을 포함하는 적절한 방법에 의해 상기 구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지 원료는 용기에 저장되는 유체의 타입을 기반으로 해서 선택될 수 있다. 젤과 같이 점성이 높은 유체가 용기 안에 저장되면, 상기 밸브 장치를 위해 하드 수지가 사용될 것이다. 묽은 액체나 형성된 액체(formed liquid)와 같은 점성이 낮은 유체가 용기에 저장되면, 보다 탄력있는 수지가 상기 밸브 장치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각각 2002년 7월 26일, 11월 14일, 12월 5일과 2003년 2월 5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2-218330, 2002-330153, 354048과 2003-28589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온전한 참조로서 본 출원과 결합된다.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많은 변형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명백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명은 상기 밸브몸체를 가지며, 이 상기 밸브몸체는 이것이 상기 밸브시트부재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다수의 결합부의 탄성에 의해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바, 구성은 단순한 반면 유체는 확실히 폐쇄되며, 발명품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발명품을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률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시트부재 지지부와 상기 밸브부재지지부가 세 개나 그 이상의 결합부에 의해 결합 되는 바, 밸브몸체의 부적합한 틸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신축부들을 갖는 바, 상기 결합부는 적당한 탄성 회복력을 갖게 되므로 상기 밸브몸체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몸체를 향해 마주 보는 환형의 볼록부가 형성되는 바, 상기 밸브장치의 각 부분의 제조상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밸브몸체와 상기 개구부가 확실히 접촉하여 면 접촉에 비해 높은 액체 밀착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몸체를 향해 마주 보는 환형의 볼록부가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개구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바, 상기 밸브장치의 각 부분의 제조상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밸브몸체와 상기 개구부가 확실히 접촉하여 면 접촉에 비해 높은 액체 밀착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1)

  1. 튜브타입 유체용기의 유체 배출포트에 적합한 밸브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흘러서 통과해 가는 개구를 갖는 밸브시트부;
    상기 개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축을 포함하는 밸브부;
    (i) 상기 축의 선단과 결합되는 바닥플레이트 (ii) 상기 밸브시트부에 고정 결합되는 환상의 받침대와 (iii)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환상의 받침대를 결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밸브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커넥터는 탄성에 의해 상기 바닥플레이트를 하향시켜 상기 개구가 상기 밸브몸체에 의해 폐쇄되게 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하여 상기 밸브부를 눌러서 상기 개구를 개방할 때는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는 세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가 신축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일부에 상기 밸브몸체를 향하여 마주보는 볼록부가 형성 되어 있고,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볼록부가 상기 밸브시트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일부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마주보는 볼록부가 형성 되어 있고,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볼록부가 상기 밸브시트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축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는 (a)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와 (b)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 외주면과 접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부는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밸브몸체의 바닥면 및 말단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들이 세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들이 신축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11.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있어서,
    일단부에 유체 배출포트가 형성된 튜브 모양의 용기본체와 제 1항에 따른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들이 세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들이 신축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A) 유체를 저장하는 내부용기와 (B)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용기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공간 및 외부와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용기를 포함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에 형성된 상기 구멍이 미량의 공기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에 형성된 상기 구멍은 상기 유체가 배출될 때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개구부들이 상기 유체 배출포트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그것들의 바닥에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8. 일단부에 유체 배출포트가 형성된 튜브 모양의 용기본체와 상기 유체 배출포트에 배치되는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A) 유체를 저장하는 내부용기와 (B)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용기를 둘러싸며, 상기 내부공간 및 외부와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용기를 포함하는 튜브타입 유체용기.
  19.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흘러서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시트;
    상기 개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몸체를 포함하는 시일;
    상기 시일과 상기 시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다수의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시일이 상기 개구를 실질적으로 폐쇄하게 하는 바이어스 힘을 발생시키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바이어스 힘을 극복하는 상기 시일에 가해지는 유체 압력에 상응해서 신축성있게 변형되도록 마련되어, 유체가 상기 개구를 통해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제 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가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개구가 바이어스 힘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제 1 경사면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이나 제 2 경사면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최소한 한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030051831A 2002-07-26 2003-07-26 튜브타입유체용기를 위한 밸브장치 KR20040010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8330A JP3993487B2 (ja) 2002-07-26 2002-07-26 流動体のチューブ型容器
JPJP-P-2002-00218330 2002-07-26
JPJP-P-2002-00330153 2002-11-14
JP2002330153A JP2004161336A (ja) 2002-11-14 2002-11-14 弁機構
JP2002354048A JP2004182319A (ja) 2002-12-05 2002-12-05 流動体のチューブ型容器
JPJP-P-2002-00354048 2002-12-05
JP2003028589A JP4331952B2 (ja) 2003-02-05 2003-02-05 弁機構
JPJP-P-2003-00028589 2003-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12A true KR20040010412A (ko) 2004-01-31

Family

ID=3000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831A KR20040010412A (ko) 2002-07-26 2003-07-26 튜브타입유체용기를 위한 밸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249694B2 (ko)
EP (1) EP1384676A3 (ko)
KR (1) KR20040010412A (ko)
CN (1) CN10051587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22A (ko) 2015-04-10 2016-10-20 주식회사 필코인터내셔날 뚜껑을 닫으면 유출로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튜브체 화장품용기
KR102558486B1 (ko) * 2022-08-24 2023-07-25 주식회사 이노아 무균·정량 유체 토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퀴즈 바틀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6165C2 (sv) * 2003-04-23 2005-07-19 Hugo Nilsson Självstängande utmatningsanordning för vätska
KR20060009981A (ko) * 2004-07-2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JP2006044660A (ja) * 2004-07-30 2006-02-16 Katsutoshi Masuda 流動体貯留容器
JP2006062700A (ja) * 2004-08-26 2006-03-09 Katsutoshi Masuda 流動体貯留容器
JP4688076B2 (ja) * 2004-09-09 2011-05-25 株式会社細川洋行 注出器及び包装袋の製造方法
EP1676784A1 (en) * 2004-12-29 2006-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product, and a process for making a liquid-filled, flexible container
DE102005057822B4 (de) * 2005-12-03 2009-08-13 Lindal Ventil Gmbh Sprühkappe für einen mit einem Abgabeventil versehenen Druckbehälter
US8770449B2 (en) * 2007-02-28 2014-07-08 Sophinity Pty Ltd Dispenser
FR2922527B1 (fr) * 2007-10-17 2010-03-05 Maitrise & Innovation Bouchon anti-goutte comportant un moyen elastique integre a une soupape
DE102008027146B4 (de) * 2008-06-02 2012-01-19 Ing. Erich Pfeiffer Gmbh Austragvorrichtung
KR100969651B1 (ko) * 2008-07-23 2010-07-14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용기의 내용물 유출 방지장치
GB2465843B (en) * 2008-12-08 2011-02-23 Bodypak Closures Ltd Closure valve for a container
FR2950036B1 (fr) * 2009-09-11 2011-12-16 Rexam Pharm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DE102009048476B3 (de) * 2009-10-07 2010-09-16 Gaplast Gmbh Einwegventil
WO2011127610A1 (en) * 2010-04-12 2011-10-20 Hoffmann Neopac Ag One-way valve for discharge regulation in tubes, tube with such a one-way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one-way valve
KR101260230B1 (ko) * 2010-10-06 2013-05-03 (주)연우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JP5667010B2 (ja) 2011-06-09 2015-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FR2980378B1 (fr) * 2011-09-22 2016-02-26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sous forme de gouttes
WO2013099696A1 (ja)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容器
KR101278879B1 (ko) * 2012-04-06 2013-06-26 (주)연우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WO2013168244A1 (ja) * 2012-05-09 2013-11-14 大成化工株式会社 液体容器の口栓
CN102829316B (zh) * 2012-09-10 2015-09-02 郑州奥特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分配阀
US9365408B2 (en) * 2012-11-16 2016-06-14 Zhejiang Jm Industry Co., Ltd. Auto refill perfume atomizer
US10279362B2 (en) 2012-11-16 2019-05-07 Zhejiang JM Industry Co., Ltd Auto refill perfume atomizer apparatus
WO2014167062A1 (en) * 2013-04-11 2014-10-16 Nestec S.A. A food preparation capsule
JP6265532B2 (ja) * 2014-02-03 2018-01-24 株式会社細川洋行 注出具付袋体
CN107207134B (zh) * 2015-03-05 2020-08-04 万通集团公司 配件及用于其的顶盖
ES2632977B1 (es) * 2016-03-15 2018-06-26 Ctl-Th Packaging, S.L. Unipersonal Envase tubular con un tubo exterior y un contenedor interior
DE102016212892C5 (de) * 2016-07-14 2020-01-30 F. Holzer Gmbh Pumpkopf sowie Dosiervorrichtung
DE102016212893A1 (de) 2016-07-14 2018-01-18 F. Holzer Gmbh Pumpkopf sowie Dosiervorrichtung
JP7092980B2 (ja) * 2017-01-30 2022-06-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US10422679B2 (en) * 2017-03-27 2019-09-24 Wisys Technology Foundation, Inc. Metering nozzle for squeeze bottle
US10479543B1 (en) * 2018-05-09 2019-11-19 Robert William Bowling Container for storing, dispensing, and serving liquids
US20180319547A1 (en) * 2018-07-17 2018-11-08 Yusaku Ishii Double-stracture tube
CN109649815B (zh) * 2018-12-29 2023-09-22 珠海经济特区美司达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液压补偿功能的倾倒式定量液体分配器
EP3730420B1 (en) * 2019-04-24 2022-03-02 CTL-TH Packaging, S.L. Unipersonal Tubular container with an outer tube and an inner container
CN110410546A (zh) * 2019-08-26 2019-11-05 爱索尔(广州)包装有限公司 一种定量控制阀及定量软管
US11440710B2 (en) * 2020-06-30 2022-09-13 Silgan Dispensing Systems Slatersville, Llc Self-venting closure
US11122940B1 (en) * 2020-07-17 2021-09-21 George Joseph Winn Wrist-worn sanitizer dispenser
US11860017B2 (en) 2022-02-28 2024-01-02 L'oreal Cosmetic dispenser with bladder valve system
US11904330B2 (en) * 2022-02-28 2024-02-20 L'oreal Cosmetic dispenser with accordion bladder valv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7612A (en) 1951-05-15 1957-01-15 Richard E Bensen Compression type dispensing device
US3456650A (en) * 1966-11-29 1969-07-22 Gilbert Schwartzman Blowback eliminator for collapsible tube
US3438554A (en) * 1967-09-20 1969-04-15 Dab O Matic Corp Anti-suck-back device for tubes
US3506162A (en) * 1968-02-08 1970-04-14 Gilbert Schwartzman Spray applicator
US3592365A (en) * 1969-04-21 1971-07-13 Gilbert Schwartzman Pump-type dispensing apparatus
US3705668A (en) * 1969-11-14 1972-12-12 Gilbert Schwartzman Dispenser with dip tube
US3849863A (en) * 1972-04-17 1974-11-26 G Schwartzman Process of making tube mounted applicator
US3794213A (en) * 1972-04-17 1974-02-26 G Schwartzman Tube mounted applicator
US3874563A (en) * 1973-06-19 1975-04-01 Gilbert Schwartzman Applicator having multiple valve assemblies
JPS5098557A (ko) * 1973-12-28 1975-08-05
US4811871A (en) * 1986-12-17 1989-03-14 The English Glass Company Limited Liquid dosing device
DK156046C (da) 1987-08-06 1989-11-20 Panther Plast As Envejsventil,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heraf samt anvendelse af ventilen
US6062248A (en) * 1997-08-13 2000-05-16 Boelkins; Wallace G. Fluid flow-sensor and valve
FR2806705B1 (fr) * 2000-03-27 2002-05-03 Oreal Capsule de distribution et recipient equipe d'une telle capsule
US7082967B2 (en) * 2004-01-05 2006-08-01 Engineered Products & Services, Inc. Modular umbrella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22A (ko) 2015-04-10 2016-10-20 주식회사 필코인터내셔날 뚜껑을 닫으면 유출로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튜브체 화장품용기
KR102558486B1 (ko) * 2022-08-24 2023-07-25 주식회사 이노아 무균·정량 유체 토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퀴즈 바틀 제품
WO2024043689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이노아 무균·정량 유체 토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퀴즈 바틀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4676A3 (en) 2005-03-09
US20040050872A1 (en) 2004-03-18
CN1475409A (zh) 2004-02-18
EP1384676A2 (en) 2004-01-28
CN100515874C (zh) 2009-07-22
US20080041890A1 (en) 2008-02-21
US7249694B2 (en)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0412A (ko) 튜브타입유체용기를 위한 밸브장치
KR100701225B1 (ko) 튜브형 유체용기용 밸브 메커니즘
EP1384517B1 (en) Fluid discharge pump
US6854623B2 (en) Tube-type container
US6968976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JP3423636B2 (ja) 分配用バルブ
US5950848A (en) Cap articulated to a connecting element
US10974877B2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JP2002002755A (ja) 逆流防止容器
KR100575250B1 (ko) 튜브형 유체용기용 밸브 메커니즘
KR920001805B1 (ko)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JP4331952B2 (ja) 弁機構
JP2001240089A (ja) チューブ容器
JP2008296948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KR200166434Y1 (ko) 에어리스타입디스펜서의피스톤구조
KR200186605Y1 (ko) 에어리스타입 디스펜서의 피스톤구조
JP2004018000A (ja) 液体容器およびその取出し口用ノズルユニット
JP2020055601A (ja) 注出用スパウトおよび包装容器
JP2004182319A (ja) 流動体のチューブ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