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05B1 -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05B1
KR920001805B1 KR1019880003994A KR880003994A KR920001805B1 KR 920001805 B1 KR920001805 B1 KR 920001805B1 KR 1019880003994 A KR1019880003994 A KR 1019880003994A KR 880003994 A KR880003994 A KR 880003994A KR 920001805 B1 KR920001805 B1 KR 92000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ainer
container body
cap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932A (ko
Inventor
김경숙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럭키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럭키,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럭키
Priority to KR101988000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805B1/ko
Priority to US07/306,845 priority patent/US5000354A/en
Priority to JP1070758A priority patent/JPH02205583A/ja
Publication of KR89001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
제3도는 용기 본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제2도의 변형도.
제4도는 제2도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용기 본체와 밸브체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 스토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용기 본체의 정단면도.
제7도는 제6도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용기 본체의 정단면도.
제8도는 제6도 스토퍼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용기 본체의 측단면도.
제9도는 용기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촉수영역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용기 본체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 촉수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용기 본체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용기 본체의 측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용기 본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제11도의 변형도.
제13도는 제1도에 예시한 밸브체의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밸브체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밸브체에 있어서 접철아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16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밸브체에 있어서 접철아암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17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밸브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8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밸브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한 밸브체에 적합한 밸브헤드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제20도는 제17도에 도시한 밸브체에 적합한 밸브헤드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용기 본체에 관련된 캡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용기 본체에 관련된 캡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용기 본체에 관련된 캡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용기 본체에 관련된 캡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5도는 제16도에 도시한 밸브체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B-B'선에 따른 평단면도.
제27도는 제16도에 예시한 밸브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C-C'선에 따른 평단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 본체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본체 2 : 밸브체
3 : 캡 4 : 스티커
6 : 걸이끈 11 : 외벽부
12 : 스토퍼 14 : 주입구
17 : 점선 18 : 촉수판
21 : 밸브축 22 : 탄성부재
23 : 접철부재 25, 26 : 밸브헤드
27 : 패킹재 31 : 배출구
34 : 밸브시트
본 발명은 액체세제, 액체화장품, 샴푸나 액체조미료 등 유동성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할 때에는 용기로부터 필요한 량만을 배출할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내용액의 누설이 없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된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이나 합성수지제 용기내의 내용액을 배출하는데에는 용기 입구를 덮고 있는 캡을 완전히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내용액을 배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는 사용시마다 일일히 캡을 벗겨 내거나 캡을 덮어 씌우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으로 캡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캡을 덮어 씌운채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 또는 캡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캡 상부의 대략 중앙위치에 내용액의 배출구가 뚫리고 캡 상부의 원주부분 적당한 곳에 힌지에 의해 열고 닫히는 마개를 연결함으로써 내용액을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마개를 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닫아 두게 한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것은 마개를 열고 닫는 불편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개의 힌지부가 반복 사용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결점이 있다.
다른 제안으로는 캡 상부의 중앙에 축수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내용액 배출구가 일직선으로 길게 뚫려 있는 주출관을 끼워서 상기 주출관의 회전에 의해 캡이 개폐 전환되게 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주출관의 회전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캡의 구조는 구성이 복잡하여 고도의 제조 정밀도를 보장하지 않으면 내용물이 누설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누설되지 않으며 사용이 지극히 편리한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용기는 탄성적인 가요성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 되고 내면에 스토퍼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밸브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축의 소정부위에 각각 밸브헤드, 탄성부재 및 접철부재가 형성된 밸브체와, 이 밸브체의 밸브헤드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를 보유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캡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유동액을 넣었을 때, 밸브체의 밸브헤드가 캡상면의 배출구를 항상 폐쇄시켜서 내용물의 누설 또는 외부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게 하고, 용기 본체의 외부를 손으로 눌러 압착하였을 때 상기 밸브체가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하향 이동되면서 캡의 배출구를 개방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용액의 배출방법은 내용액을 배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 본체를 손으로 눌러 압착하면 캡의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용이하게 내용액이 배출되고 다시 용기 본체에 가한 압착력을 거두면 캡의 배출구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즉시로 보관상태가 되게함으로써 캡을 열거나 캡의 주출관을 조작하거나 캡을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 내는 번거로운 동작을 하지 않고 손쉽게 유동액을 배출해 낼 수 있는 용액의 배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의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용기 본체(1)와 밸브체(2) 및 캡(3)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외력에 대해 탄력을 갖는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그 내주면의 스토퍼(12)로 지지되는 밸브체(2)와, 상기 용기 본체(1)를 밀봉하는 캡(3)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1)는 그 몸체가 타원형이나 원통형 등 임의의 소망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일반적으로 가요성, 탄력성, 또는 보형성(保形性)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치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용기 본체(1)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상기 밸브체(2)의 밸브축(21)으로부터 연장된 접철부재(23)가 각각 계지된다.
또한 밸브체(2)의 밸브축(21)은 하측방에 탄성부재(2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탄성부재(22)는 상기 접철부재(23)와 협동하여 밸브축(21)이 용기 본체(1)의 내부에서 항상 수직자세로 세워짐과 동시에 상방으로의 탄성력을 받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대략 중간부가 외측방에서 화살표방향에 따라 압력을 받게되면 스토퍼(12)에 계지된 접철부재(22)가 안쪽으로 접혀지면서 밸브축(21)을 하측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고, 그 결과로 밸브체(2)는 하측의 탄성부재(22)에 저항하면서 위치를 낮추게 된다.
밸브축(21)의 접철부재(23)를 계지하기 위한 스토퍼(12)의 내향 돌출길이는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철부재(23)가 스토퍼(12)를 타고 넘지 못할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가공이 용이한 형상으로 되어야 한다.
캡(3)에 의해 밀봉되는 용기 본체(1)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액출입구 (14)의 주변에 숫나사 혹은 걸림턱 형태로 형성된 스커트부(15)를 보유하고 있다.
캡(3)은 상기 스커트부(15)에 대응하는 원주벽(33)을 통해 나사결합방식 또는 강제 끼워맞춤방식으로 상기 용액출입구(14)를 밀봉시키게 된다.
이렇게 용기 본체(1)를 밀봉하는 캡(3)은 그 중앙부에 배출구(31)를 보유하는 한편, 이 배출구(31)로부터 내측으로 밸브시트(3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배출구(31)에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스티커(4)가 붙여져서 미개봉된 용기임을 표시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뜻하지 않은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밸브시트(34)로는 밸브축(21)의 선단부가 계합되어 이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밸브측(21)은 상기한 바 있드시 용기 본체(1)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2)로 지지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토퍼(12)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제5도 내지 제8도는 상기 스토퍼(12)에 관련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5도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1)의 내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12)의 길이가 이에 계지되는 밸브축(21)의 접철부재(23)를 이탈되지 않게 하는데 대단히 중요하게 작용함을 보여 주고 있다.
스토퍼(12)의 설정된 길이와 접철부재(23)의 외측방 탄성력이 상호 협동하여 상기 접철부재(23)가 스토퍼(12)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12)는 제조하기 쉬운 형태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용기 본체(1)에서 스토퍼(12)가 형성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손에 습관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바람직하다.
습관적으로 쥐기 쉬운 위치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보통 사용되고 있는 샴푸용기를 예로 들면 용기 본체(1)를 3등분하였을 때 대략 중간위치가 될 것이다.
상기 스토퍼(12)는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양단부가 아래로 약간 굴곡되는 원호형으로 또는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수평 직선상의 일정 길이로 혹은 필요하다면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용기 본체(1)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용기 본체(1)의 외표면(11)에는 스토퍼(12)가 형성된 위치 부근에 손으로 쥐는 부분, 즉 촉수영역을 제9도에서와 같은 점선(17)으로 혹은 제10도에서와 같이 외표면(11)에서 약간 돌출 형성되는 촉수판(18)을 부가하여 표시해 두면 내용물의 배출을 한층 정확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점선(17) 또는 촉수판(18)으로 한정되는 촉수영역은 외주면(11)에서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등이 닿는 부위로 국한하여 설정해 두는 것이 좋다.
촉수영역의 보다 바람직한 구성은 촉수판(18)이다.
이 촉수판(18)은 제11도의 도시와 같이 용기 본체(1)의 내측면에 대향 형성된 스토퍼(12)와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제1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용기 본체(1)의 외표면(11)을 압착할 때 양 스토퍼(12)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좁혀지게 하고, 그 결과로 밸브체(2)의 보다 현저한 작동을 가능케 한다.
또 상기 촉수판(18)은 해당부위에 미적 감각을 고려하여 그려진 도형등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1)를 사출 성형하면서 동시에 작은 요철돌기부나 또는 꽃무늬상의 돌기부로 형성해도 되며, 어떤 형태거나 손으로 용기 본체(1)를 쥐었을 때 촉감이 부드럽고 안정감있게 한다.
제13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밸브체(2)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밸브체(2)는 제13도의 도시와 같이 밸브축(21)과 탄성부재(22), 그리고 접철부재(23)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둘러 쌓인 선단부(24)에는 제14도의 도시와 같이 절추형 밸브헤드(25)로 예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밸브체(2)의 각 부분들은 폴리에치렌과 같이 일반적으로 가요성, 탄력성, 복원성이 양호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이들은 동일 재질 혹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이들 각 부분은 상호 일체로 혹은 따로 만들어서 적당히 조립하여 밸브체(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밸브체(2)의 밸브축(21)은 그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각형, 채널형, H형, I형 등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고, 내부가 빈 중공축으로 해도 별문제는 없다.
밸브체(2)의 접철부재(23)는 탄력성과 복원성이 요구되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철아암(23A,23B)을 포함한다.
상기 접철부재(23)는 밸브축(21)의 주위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되는데 그 폭(W), 좁게 형성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1)의 스토퍼(12)를 제6도에 예시한 원호상의 스토퍼(12)로 선택하여 상기 폭(W)이 좁은 접철부재(23)이 동작중에 좌우로 흔들리거나 미끄러져 오동작하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접철부재(23)는 자연스레 놓여졌을 때, 제14도는 도시와 같이 양접철아암 (23A)(23B)의 전개길이(D)는 제5도에 도시한 용기 본체(1)의 대응 내측폭(D0)보다 더욱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밸브체(2)를 용기 본체(1)내에 넣었을 때 접철부재(23)가 스토퍼(12)에 계지되고 그 후에는 항상 양쪽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비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제15도는 접철부재의 접철아암에 관련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접철아암(28)은 용기 본체(1)의 스토퍼(12)가 있는 부위의 곡률반경과 유사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변을 가지고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가로편(28H)을 밸브축(2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철아암줄기(28V)의 종단에 직각으로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로편(28H)과 접철아암줄기(28V)는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제16도는 상기 제15도에 예시된 접철아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 접철아암(29)은 부채꼴로 한정되어 상기 접철아암(28)에서 예견될 수 있는 가로편(28H)과 접철아암줄기(28V)사이의 연결부분을 한층 견고하게 보완하여 주고 있다.
상기 접철아암(28)(29)은 특히 원통형의 용기 본체(1)에 적합하다.
제17도와 제18도는 밸브축(21)의 하측방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여러가지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술한 예에서 밸브체(2)의 탄성부재(22)는 탄력성과 복원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각(22A,22B)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22)의 지지각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제17도는 3발형태의 지지각(22')을, 그리고 제18도는 4발 형태의 지지각(22'')을 보여주고 있다.
지지각(22A,22B)이 2개인 경우에는 밸브축(21)의 하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밸브축(21)과 역Y자 형태를 취하게 된다.
또, 지지각이 3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지지각이 밸브축(21)의 하부 주위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2)의 지지각은 4발형태가 지지안정도에서 또한 탄성력의 세기를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제19도와 제20도는 밸브체(21)의 선단부에 부가될 수 있는 밸브헤드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제14도와 제17도에서 밸브축(21)은 절추형 밸브헤드(25)로 되어 있고, 또 제18도는 원통형 밸브헤드(26)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헤드(25)(26)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컨대 용기 본체(1)의 주입구(14)에 캡(3)이 씌워져서 밀봉된 후에 상기캡(3)의 배출구(31)를 긴밀하게 폐쇄할 수 있고, 반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내용액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형태라면 족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형상으로는 개방시에 그 개방면적이 넓고 또 폐쇄과정에서 캡(3)의 내측 밸브시트(34)에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폐쇄된 후에는 밸브시트(34)와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는 절추형 밸브헤드(25)가 좋다.
상기 밸브헤드(25)(26)의 재질은 캡(3)의 배출구(31)와 잘 밀착되고, 또 내용물이 그 표면을 타고 양호하게 유동되는 재질로 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밸브헤드(25)(26)는 밸브체(2)에 종속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이때에는 원통형 밸브헤드(26)의 경우에 제19도를 통해 예시된 패킹재(27)를, 또한 절추형 밸브헤드(25)의 경우에는 제20도에 예시된 패킹재(27)를 각각 끼워 붙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21도 내지 제24도는 용기 본체(1)를 밀봉하는 캡(3)의 여러가지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캡(3)의 구조는 밸브체(2)의 절추형 밸브헤드(25) 또는 원통형 밸브헤드(26)와 협동하여 용기 본체(1)의 내용액이 누설되지 않게 하는 반면에 내용액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절추형 밸브헤드(25)의 경우에는 캡(3)의 밸브시트(24)가 대략 같은 경사각을 갖는 깔대기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1도는 캡(3)의 상면부(32) 내측면으로 용기 본체(1)의 주입구 직경(H)에 일치하는 폭으로 밸브시트(34)를 형성시킨 예이다.
상기 밸브시트(34)는 깔대기상의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다.
제22도는 캡(3)의 상면부(32) 중심의 배출구(31) 주변축만 다소 두텁게 해서 이 부분에 밸브시트로 작용하는 경사면(35)이 형성되게 한 예이다.
제23도는 캡(3)의 상면부(32)를 원추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내측면전체가 경사면(36)을 이루고 밸브시트는 상기 상면부(32) 중앙에 뚫려진 배출구(31)의 내주면이 담당하게 한 예이다.
상기 예는 어느 것이나 깔대기상의 밸브시트를 제시하고 있다.
제24도는 원통형 밸브헤드(26)에 적합한 캡(3)의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캡(3)은 배출구(31)에 연속하여 비교적 길게 연장된 원통상의 안내공(37)을 포함함으로써 밸브체(2)의 원통상 밸브헤드(26)가 안내공(37)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고 있다.
제25도 내지 제28도는 용기 본체(1)가 원통형이거나 원통형에 가까운 것에 적합한 접첩부재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5도 또는 제27도에 도시한 예에서 용기 본체(1)의 스토퍼(12)는 내주면 전체에 걸쳐 돌출 형성되고, 밸브축(21)의 접철부재는 제16도에 예시한 접철아암(29)을 방사상으로 배열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6도 또는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철아암(29)이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용기 본체(1)이 스토퍼(12) 전체에 고르게 계지됨으로써 용기 본체(1)의 어느 부위를 누르더라도 밸브축(21)이 연통될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는 용기 본체(1)의 촉수영역이 비교적 넓게 분포되는 원통형에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접철아암(29)의 수는 용기 본체(1)의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것이나,비교적 용기가 작아서 4-10개로 한정되는 경우는 짝수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비교적 용기가 커서 접철아암(29)이 많이 필요한 경우는 밸브체(2)의 밸브축(21) 직경이 작은 점을 고려하여 제27도의 도시와 같이 밸브축(21)에 삽입될 수 있는 부착편(5)에 다수의 접철아암(29)을 배열하여 놓고 조립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각 접철아암(29)의 원주폭(W2)는 제21도에 예시한 용기 본체(1)의 주입구 직경(H)보다 작게 해야 조립이 쉽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특히 강조되는 점은 접철아암(29)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밸브체 (2)를 원통형 용기 본체(1)내에 삽입하였을 때, 이들 접철아암(29)이 항상 밖으로 펼쳐져서 용기 본체(1)의 스토퍼(12)에 확실하게 계지되어야 하는 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1)중 어느 부위를 눌렀을 때 용기 본체(1)의 직경이 팽창되는 부분에서도 접철아암(29)이 스토퍼(12)에서 이탈하지 않고 계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의 조립과정과 사용상태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용기 본체(1)에 밸브체(2)를 탄성부재(22)부터 삽입하여 내부에 수용되게 한다.
삽입방향은 용기 본체(1)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어느 위치에서라도 무방하나 타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22)의 전개방향이 용기 본체(1)의 장경방향(폭이 큰쪽)에 나란하게 위치시켜서 접철부재(23)가 용기 본체(1)의 단경방향(폭이 좁은쪽)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22)가 용기 본체(1)의 바닥(13)에 닿았을 때 밸브체(2)를 가볍게 눌러 주면 이 탄성부재(22)는 바닥(13)의 양쪽 끝부분으로 전개되면서 동시에 접철부재(23)가 스토퍼(12)에 계지되어 자세 보전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1)에 내용액을 통상의 방식대로 충전시키고 캡(3)을 씌우면 밸브체(2)의 밸브헤드(25)와 캡(3)의 배출구(31)가 긴밀하게 접촉되므로 용기 본체(1)는 밀폐상태가 되어 내용액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위의 조립과정에서 용기 본체(1)에 내용액을 먼저 주입하고 나중에 밸브체(2)을 조립한 후에 캡(3)을 씌워도 좋을 것이다.
내용액의 주입이 끝난 후에 배출구(31)를 스티커(4)로 봉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조립된 용기에서 내용액을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캡(3)에서 스티커(4)를 떼어 낸 다음, 용기 본체(1)의 외측면에 설정된 촉수영역을 손으로 쥐고 압착하면 접철부재(23)가 접혀지면서 밸브축(21)을 탄성부재(22)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연동시키고, 그 결과로 캡(3)의 배출구(31)가 개방되는 것이며, 또한 용기 본체(1)로 가한 압착력을 소멸시키면 탄성부재(22)와 접철부재(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축(21)이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하여 캡(3)의 배출구(31)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용기는 제29도의 도시와 같이 벽면이나 돌출걸이구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끈(6)을 갖춘 용기로 할 경우는 더욱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즉 용기 본체(1)를 거꾸로 걸어 놓은 상태에서 손으로 용기본체(1)의 촉수영역을 압착하면 내용액이 중력에 의해 자연히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이 더한층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여러가지 용액 구체적으로는 샴푸, 액체화장품, 액체세제, 접착풀, 본드, 마요네즈, 액체조미료, 기타의 액체 또는 점성상 유동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록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1. 탄성 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내주면 소정위치에 적어도 2개이상의 스토퍼(12)를 가진 용기 본체(1)와, 상단에 절추형 또는 원통형의 밸브헤드(25)(26)가 형성된 밸브축(21)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소정위치에 상기 스토퍼(12)와 계지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철부재(23)를 보유하며 하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부재(22)를 갖춘 밸브체(2)와, 상면부 중앙에 뚫려진 배출구(31)에 연속하여 밸브시트(34)가 형성된 캡(3)으로 구성된 유동액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12)가 원통형 용기 본체(1)의 내면상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외벽부(11)에서 스토퍼(12)에 대응하는 위치로 점선(17) 또는 촉수판(18)의 형태로 촉수영역이 표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주입구(14)를 밀봉하는 캡(3)의 배출구(31)가 스티커(4)에 의해 봉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밸브체(2)의 밸브헤드(25)에 패킹재(27)를 접합시키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대략 하측부로 걸이끈(6)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7. 용기 본체(1)의 촉수영역을 통해 외부에서 압착력을 가하여 용기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밸브축(21)의 접철부재(23)가 접혀지게 하여 상기 밸브체(2)를 하향 연동시켜서 밸브축(21)의 절추형 또는 원통형의 밸브헤드(25)(26)가 캡(3)의 배출구 (31)에서 이탈하여 상기 용기 본체(1)를 개방되게 하고, 상기 압착력을 소멸시키면 용기 본체(1)가 자체 탄성복원력으로 형상 복원됨과 동시에 그 내부의 밸브체(2)도 탄성부재(22)와 접철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연동되어 밸브축(21)의 절추형 또는 원통형의 밸브헤드(25)가 캡(3)의 배출구(31)를 폐쇄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배출방법.
KR1019880003994A 1988-04-08 1988-04-08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KR92000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994A KR920001805B1 (ko) 1988-04-08 1988-04-08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US07/306,845 US5000354A (en) 1988-04-08 1989-02-07 Container for fluids
JP1070758A JPH02205583A (ja) 1988-04-08 1989-03-24 流動液容器及び流動液吐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994A KR920001805B1 (ko) 1988-04-08 1988-04-08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32A KR890015932A (ko) 1989-11-27
KR920001805B1 true KR920001805B1 (ko) 1992-03-03

Family

ID=1927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994A KR920001805B1 (ko) 1988-04-08 1988-04-08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00354A (ko)
JP (1) JPH02205583A (ko)
KR (1) KR920001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755A (en) * 1990-05-25 1993-11-16 The Gillette Company Fluid dispenser
US5692652A (en) * 1994-10-18 1997-12-02 Wise; Hector G. Self-closing valve for bottles
DE19532041C2 (de) * 1995-08-31 2001-09-20 Henkel Ecolab Gmbh & Co Ohg Verpackungsbehälter
FR2861707B1 (fr) * 2003-11-04 2006-02-10 Christian Joseph Jacque Llore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fluide
US20080245804A1 (en) * 2004-06-21 2008-10-09 Yoav Weinberger Fluid Container
DE102009049261B4 (de) * 2009-10-13 2014-10-09 Csd Gmbh Cosmetic Systems Development & Distribution Wanddosierspender
WO2014021164A1 (ja) * 2012-07-31 2014-02-06 WATANABE Ryuutarou 升蓋容器
GB201804152D0 (en) * 2018-03-15 2018-05-02 Secr Defence Fluid vessel with configurable shape
WO2021056966A1 (zh) * 2019-09-29 2021-04-01 广州蓝月亮实业有限公司 一种液体的定量方法及定量瓶
US11225370B2 (en) 2020-01-09 2022-01-18 Sonoco Development, Inc. Portion control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292A (en) * 1906-07-23 1907-10-01 William Neef Barrel or bag emptying device.
US3244332A (en) * 1964-11-18 1966-04-05 Howard L Rogers Self-closing cap
JPS4917653U (ko) * 1972-05-17 1974-02-14
US4467931A (en) * 1983-06-20 1984-08-28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Tamper indicating closure
JPS6058360A (ja) * 1983-09-02 1985-04-0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注ぎ出し容器
JPS6242575U (ko) * 1985-08-29 1987-03-14
JPS6260555A (ja) * 1985-09-10 1987-03-17 高田 勝美 滅菌手洗水の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32A (ko) 1989-11-27
US5000354A (en) 1991-03-19
JPH02205583A (ja) 1990-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2763C2 (ru) Доз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дачи продукта с удлиненным кончиком, содержащим открываемый давлением клапан
US6968976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AU713638B2 (en) One-piec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865353A (en) Dispensing cap with gripping means
US5950848A (en) Cap articulated to a connecting element
ES2357815T3 (es) Tapón frotador.
AU594927B2 (en) Packaging
RU2467936C2 (ru) Дозирующий клапан с улучшенным дозированием
US7249694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US6029866A (en) Multiple injection, toggle-action dispensing structure
US2673661A (en) Container
KR920001805B1 (ko)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JP2005511440A (ja) 伸縮可能なノズルにおける圧力開閉弁のための内部流量制御装置を備えた閉鎖体
US6152328A (en) Dispensing bottle having two openings
JPH11227814A (ja) ディスペンサーヘッドの製造法
US9815599B2 (en) Dispensing closure
US20080314405A1 (en) Structure of a make-up container
JPH0749308B2 (ja) ワンプッシュスクイズ式二重構造型接着剤包装容器
KR200222309Y1 (ko) 유동액 용기
US2620949A (en) Valvular closure and cap for collapsible tubes
JP4037145B2 (ja) 櫛型塗布容器
CN217125641U (zh) 一种包装件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20230002294U (ko) 역립형 용기
KR960010473Y1 (ko) 액체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