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94U - 역립형 용기 - Google Patents

역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294U
KR20230002294U KR2020220001287U KR20220001287U KR20230002294U KR 20230002294 U KR20230002294 U KR 20230002294U KR 2020220001287 U KR2020220001287 U KR 2020220001287U KR 20220001287 U KR20220001287 U KR 20220001287U KR 20230002294 U KR20230002294 U KR 20230002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tainer
inlet
content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선
윤재관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220001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294U/ko
Priority to CN202320015917.3U priority patent/CN219237888U/zh
Publication of KR20230002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2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65D47/203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4Orienting or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일정 높이를 갖고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용기입구와 결합되며, 폐쇄된 하부면의 중간부분에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토출부재로 이루어지는 용기캡; 상기 토출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재; 및 상기 관로부재에 하향 곡면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관로의 유입구를 열거나 닫히게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립형 용기{Upside Down Container}
본 고안은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캡과 관로부재의 결합에 의해 사이펀 구조의 관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외부압력 여부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마련하여, 사용 시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 후 용기가 역립 상태에서 토출구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 크림 화장품, 파우더 화장품, 액상의 약,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죽과 같은 액상의 음식물 및 물감 등과 같은 내용물은 용기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적정량을 토출시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대부분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용기는 내용물이 소량 남을 경우 용기의 하단부에 잔류하기 때문에 소량의 내용물을 상단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가 어려워서 내용물을 전부 사용하기는 사실상 어려우므로, 다수의 용기가 내용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내용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하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용기가 제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마개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테이블 등에 세워지고 상기 바닥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용기마개를 돌리면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마개의 평평한 바닥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토출구 둘레부가 먼지 등 이물질이 묻어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내용물에 이물질이 섞이게 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용기의 토출구가 하단에 있으므로 액상의 내용물은 용기 하측으로 쏠리기 때문에 토출구가 개방되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 시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사용 후 용기가 역립 상태에서 토출구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역립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일정 높이를 갖고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용기입구와 결합되며, 폐쇄된 하부면의 중간부분에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토출부재로 이루어지는 용기캡; 상기 토출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재; 및 상기 관로부재에 하향 곡면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관로의 유입구를 열거나 닫히게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용기입구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하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용기입구의 제1체결부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마련되는 외테두리; 상기 외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제1공간을 두고 상기 하부면 상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관로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3체결부가 마련되는 중간테두리; 및 상기 중간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제2공간을 두고 상기 하부면 상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높이가 상기 중간테두리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토출공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제3공간을 이루는 내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로부재는,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는 관로캡; 및 상기 관로캡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공 근처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3 공간에 삽입되는 관로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로캡은,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테두리가 없는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이 밀폐된 밀폐부와, 상기 중간테두리와 마주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이 일부 개방된 개방부로 구분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로창; 및 상기 중간테두리와 마주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3체결부와 결합되는 제4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관로기둥은, 상기 토출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토출공의 근처에서 상기 토출공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을 상기 토출공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중간테두리, 상기 내테두리 및 상기 관로창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인 제1관로; 일측이 상기 제1관로의 타측과 연통되며, 상기 밀폐부 및 상기 내테두리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인 제2관로; 및 일측이 상기 제2관로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토출공과 연통되며, 상기 내테두리 및 상기 기둥부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인 제3관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관로와 상기 제3관로는, 사이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를 가압하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유입구, 상기 제1관로, 상기 제2관로, 상기 제3관로를 유동하여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상기 제1관로의 내부 공간 압력보다 낮아져 상기 제1관로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회수되고, 상기 제2관로 및 상기 제3관로에 잔존하는 내용물은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관로캡과 분리형이고, 상기 밀폐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캡; 및 상기 끼움캡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중간테두리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를 열고 닫는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관로캡과 일체형이고, 상기 밀폐부와 상기 개방부의 경계 부분에서 적어도 상기 중간테두리의 상단까지 연장되거나, 적어도 상기 용기입구의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를 열고 닫는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용기본체를 가압하면 내부 공간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서 상향 곡면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유입구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압력을 해제하면 내부 공간이 대기압에 도달되면서 원래의 형태가 되어 상기 유입구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품은, 상기에 기재된 역립형 용기; 및 상기 역립형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역립형 용기는, 용기캡과 관로부재의 결합에 의해 사이펀 구조의 관로를 형성하고, 외부압력 여부에 따라 관로를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사용 시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 후 용기가 역립 상태에서 토출구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제1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제2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관로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개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제1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제2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관로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개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용기(1)는, 역립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자가 역립 상태로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2), 용기캡(3), 관로부재(4), 개폐부재(5)를 포함한다.
용기본체(2)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용기입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2)는, 사용자가 눌러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액상의 화장품, 크림 화장품, 파우더 화장품, 액상의 약,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죽과 같은 액상의 음식물 및 물감 등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젤이나 액상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입구(21)의 외주면에는 용기캡(3)과 결합하기 위한 제1체결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용기본체(2)는 용기캡(3)에 의해 역립된 상태로 바닥에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외력을 가하면 용기캡(3)에 마련되는 토출공(33)을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용기캡(3)은, 용기본체(2)를 역립된 상태로 지지 보관할 수 있으며, 용기입구(21)와 결합될 수 있다. 용기캡(3)은, 지지부재(31), 토출부재(32), 토출공(33)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공(33)은, 역립형 용기(1)를 역립 상태로 보관할 때 누액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드실(도시하지 않음)로 막을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일정 높이를 갖고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본체(2)를 바닥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출부재(32)는, 지지부재(31)와 연결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용기입구(21)와 결합될 수 있으며, 폐쇄된 하부면의 중간부분에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재(32)는, 외테두리(321), 중간테두리(322), 내테두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외테두리(321)는, 용기입구(21)에 대응되는 높이로 토출부재(32)의 하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용기입구(21)의 제1체결부(211)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3211)가 마련될 수 있다.
중간테두리(322)는, 외테두리(321)로부터 내측으로 제1공간을 두고 하부면 상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관로부재(4)와 결합하기 위한 제3체결부(322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간은, 용기입구(21)와 외테두리(321)가 제1,2체결부(211, 3211)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여유 공간이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내테두리(323)는, 중간테두리(322)로부터 내측으로 제2공간을 두고 토출부재(32)의 하부면 상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가 중간테두리(322)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내테두리(323)는, 토출공(33)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제3공간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2공간은 관로부재(4)의 관로캡(41)이 삽입되었을 때, 유입구(FL), 제1관로(FL1), 제2관로(FL2)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공간은 관로부재(4)의 관로기둥(42)이 삽입되었을 때, 제3관로(FL3)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테두리(323)는, 높이를 조절함에 의해 부드러운 토출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물이 내려오는 제3관로(FL3)의 길이가 길수록 내용물이 올라가는 제2관로(FL2)에서 토출압이 증가하게 되고, 길이가 짧을수록 토출압이 감소하게 되어, 내테두리(323)의 높이를 조절함에 의해 토출압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마다 상이할 수 있는 토출압을 내테두리(323)의 높이 조절을 통해 조정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토출부재(32)는, 후술할 관로부재(4)와 결합되어 내용물이 토출공(33)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유입구(FL), 제1관로(FL1), 제2관로(FL2), 제3관로(FL3)를 형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함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관로부재(4)는, 토출부재(32)와의 결합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공(33)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관로캡(41), 관로기둥(42)을 포함할 수 있다.
관로캡(41)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토출부재(32)와의 결합 시 제2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관로캡(41)은, 제2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중간테두리(322)가 없는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이 밀폐된 밀폐부(411)와, 중간테두리(322)와 마주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이 일부 개방된 개방부(412)로 구분될 수 있다.
개방부(412)에는, 내용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로창(4121)과, 중간테두리(322)와 마주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중간테두리(322)에 마련되는 제3체결부(3221)와 결합되는 제4체결부(41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관로캡(41)이 제2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유입구(FL), 제1관로(FL1), 제2관로(FL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FL)는, 중간테두리(322)의 상단과 관로캡(41) 사이의 공간일 수 있으며, 용기본체(2)의 내부 공간과 제1관로(FL1)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유입구(FL)는, 개폐부재(5)에 의해 열고 닫힐 수 있다.
제1관로(FL1)는, 일측이 유입구(FL)와 연통될 수 있으며, 중간테두리(322), 내테두리(323) 및 관로창(4121)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2관로(FL2)는, 일측이 제1관로(FL1)의 타측과 연통될 수 있으며, 밀폐부(411) 및 내테두리(323)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일 수 있다.
관로기둥(42)은, 관로캡(41)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토출공(33) 근처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관로기둥(42)은, 토출공(33)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으며, 토출공(33)의 근처에서 토출공(33)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기둥부(421)와, 기둥부(421)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토출공(33)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홈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관로기둥(42)이 제3공간에 삽입됩으로써, 제3관로(FL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관로(FL3)는, 일측이 제2관로(FL2)의 타측과 연통될 수 있고, 타측이 토출공(33)과 연통될 수 있으며, 내테두리(323) 및 기둥부(421)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제2관로(FL2)와 제3관로(FL3)는 'U'자의 역형상을 이루면서 제2관로(FL2)의 길이가 짧고 제3관로(FL3)의 길이가 긴 사이펀 구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용기본체(2)를 가압할 시 사이펀 원리에 의해 토출공(33)을 통해 내용물의 외부 토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사용 후 가압을 해제하면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제2,3관로(FL2, FL3)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토출공(33)을 통해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개폐부재(5)는, 관로부재(4)에 하향 곡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2)의 가압 여부에 따라 관로의 유입구(FL)를 열거나 닫히게 할 수 있다. 개폐부재(5)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5)는, 용기본체(2)를 가압하면 내부 공간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대기압보다 높은 압력)보다 높아지면서 상향 곡면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입구(FL)가 열린 상태가 되고, 용기본체(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구(FL), 제1관로(FL1), 제2관로(FL2), 제3관로(FL3)를 유동하여 토출공(3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개폐부재(5)는, 용기본체(2)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면, 내부 공간이 대기압에 도달되면서 원래의 하향 곡면 상태가 되어 유입구(FL)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개폐부재(5)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부재(4)의 관로캡(41)과 분리형이거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캡(41)과 일체형일 수 있다.
개폐부재(5)는, 관로캡(41)과 분리형일 경우,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41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캡(51)과, 끼움캡(51)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중간테두리(322)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유입구(FL)를 열고 닫는 날개(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5)가 분리형일 경우, 끼움캡(51)과 날개(52)는, 동일 소재 예를 들어, 러버와 같은 탄성 소재 또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5)는, 관로캡(41)과 일체형일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캡(41)의 밀폐부(411)와 개방부(412)의 경계 부분에서 적어도 중간테두리(322)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유입구(FL)를 열고 닫는 날개(52a)로 이루어지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캡(41)의 밀폐부(411)와 개방부(412)의 경계 부분에서 적어도 용기입구(21)의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유입구(FL)를 열고 닫는 날개(5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5)가 일체형일 경우, 관로캡(41)과 날개(52a, 52b)는 다른 소재 예를 들어, 관로캡(41)은 레진과 같은 고형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날개(52a, 52b)는 러버와 같은 탄성 소재 또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52a, 52b)는 접착 방식이나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역립형 용기(1)의 사용 상태를 도 8의 (a) 내지 (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용기본체(2)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본체(2)를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게 되면 내부 공간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되면서 개폐부재(5)가 상향 곡면 형태로 변형되어 유입구(FL)가 개방되고, 이로 인해 용기본체(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은 유입구(FL), 제1관로(FL1), 제2관로(FL2), 제3관로(FL3)를 유동하여 토출공(3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설정된 압력은, 사용자가 역립형 용기(1)를 이동시키기 위해 잡는 정도의 압력이 아니라,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힘을 주어 발생되는 압력일 수 있다.
도 8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한 후, 용기본체(2)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면, 용기본체(2)의 내부 공간의 압력은 설정된 압력에서 대기압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제1관로(FL1)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제1관로(FL1)에 잔존하는 내용물은 유입구(FL)를 통해 용기본체(2)의 내부로 회수되고, 제2관로(FL2) 및 제3관로(FL3)에 잔존하는 내용물은 사이펀 원리에 의해 토출공(3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제1,2,3관로(FL1, FL2, FL3)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고하면, 도 8의 (b)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 되면, 용기본체(2)의 내부 공간이 대기압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개폐부재(5)가 원래의 형태(하향 곡면 형태)되어 유입구(FL)가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역립형 용기 2: 용기본체
21: 용기입구 211: 제1체결부
3: 용기캡 31: 지지부재
32: 토출부재 321: 외테두리
3211: 제2체결부 322: 중간테두리
3221: 제3체결부 323: 내테두리
33: 토출공 4: 관로부재
41: 관로캡 411: 밀폐부
412: 개방부 4121: 관로창
4122: 제4체결부 42: 관로기둥
421: 기둥부 422: 홈부
5: 개폐부재 51: 끼움캡
52, 52a, 52b: 날개
FL: 유입구 FL1: 제1관로
FL2: 제2관로 FL3: 제3관로

Claims (10)

  1.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일정 높이를 갖고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용기입구와 결합되며, 폐쇄된 하부면의 중간부분에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토출부재로 이루어지는 용기캡;
    상기 토출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재; 및
    상기 관로부재에 하향 곡면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관로의 유입구를 열거나 닫히게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역립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용기입구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하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용기입구의 제1체결부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마련되는 외테두리;
    상기 외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제1공간을 두고 상기 하부면 상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관로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3체결부가 마련되는 중간테두리; 및
    상기 중간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제2공간을 두고 상기 하부면 상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높이가 상기 중간테두리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토출공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제3공간을 이루는 내테두리를 포함하는 역립형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재는,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는 관로캡; 및
    상기 관로캡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공 근처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3 공간에 삽입되는 관로기둥을 포함하는 역립형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캡은,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간테두리가 없는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이 밀폐된 밀폐부와, 상기 중간테두리와 마주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이 일부 개방된 개방부로 구분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로창; 및
    상기 중간테두리와 마주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3체결부와 결합되는 제4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관로기둥은,
    상기 토출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토출공의 근처에서 상기 토출공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을 상기 토출공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역립형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중간테두리, 상기 내테두리 및 상기 관로창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인 제1관로;
    일측이 상기 제1관로의 타측과 연통되며, 상기 밀폐부 및 상기 내테두리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인 제2관로; 및
    일측이 상기 제2관로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토출공과 연통되며, 상기 내테두리 및 상기 기둥부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인 제3관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관로와 상기 제3관로는,
    사이펀 구조를 이루는 역립형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를 가압하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유입구, 상기 제1관로, 상기 제2관로, 상기 제3관로를 유동하여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상기 제1관로의 내부 공간 압력보다 낮아져 상기 제1관로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회수되고, 상기 제2관로 및 상기 제3관로에 잔존하는 내용물은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역립형 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관로캡과 분리형이고,
    상기 밀폐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캡; 및
    상기 끼움캡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중간테두리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를 열고 닫는 날개를 포함하는 역립형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관로캡과 일체형이고,
    상기 밀폐부와 상기 개방부의 경계 부분에서 적어도 상기 중간테두리의 상단까지 연장되거나, 적어도 상기 용기입구의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를 열고 닫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역립형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용기본체를 가압하면 내부 공간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서 상향 곡면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유입구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압력을 해제하면 내부 공간이 대기압에 도달되면서 원래의 형태가 되어 상기 유입구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립형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역립형 용기; 및
    상기 역립형 용기에 수용되는 상기 내용물을 포함하는 제품.
KR2020220001287U 2022-05-25 2022-05-25 역립형 용기 KR20230002294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87U KR20230002294U (ko) 2022-05-25 2022-05-25 역립형 용기
CN202320015917.3U CN219237888U (zh) 2022-05-25 2023-01-04 倒置式容器及产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87U KR20230002294U (ko) 2022-05-25 2022-05-25 역립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294U true KR20230002294U (ko) 2023-12-04

Family

ID=8684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87U KR20230002294U (ko) 2022-05-25 2022-05-25 역립형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2294U (ko)
CN (1) CN219237888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9237888U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466B2 (en) Package comprising push-pull closure and slit valve
AU2008230098B2 (en) Dispensing valve with improved dispensing
US5108007A (en) Valv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EP2719635B1 (en) Dispensing container
US8317064B2 (en)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KR20190020115A (ko) 토출 용기
MX2008016041A (es) Sistema dispensador con una valvula dispensadora que tiene una descarga de proyeccion con tamaño reducido.
US20110144598A1 (en) Filtering dispenser container
US9815599B2 (en) Dispensing closure
CZ20021525A3 (cs) Vypouštěcí systém s vtlačením namontovaným tlakovým ventilem
US5860571A (en) Dispensing bottle having two openings
EP2344398B1 (en) Port closure system with hydraulic hammer resistance
US4709836A (en) Fluid flow nozzle
US20190077578A1 (en) Device
US2823837A (en) Flexible dispensing nozzle with supporting closure
US20110309279A1 (en) Flow valve with integral spring and seal
KR20230002294U (ko) 역립형 용기
KR920001805B1 (ko)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US20060278656A1 (en) Spout handle and nozzle assembly
AU2008237613B2 (en) Liner piercing twist closure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US20080210699A1 (en) Container Applied In Medical Drugs And Cosmetic Items Packaging
KR101817675B1 (ko)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JP2004210351A (ja) 液体注出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