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897A -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897A
KR20040006897A KR1020020041487A KR20020041487A KR20040006897A KR 20040006897 A KR20040006897 A KR 20040006897A KR 1020020041487 A KR1020020041487 A KR 1020020041487A KR 20020041487 A KR20020041487 A KR 20020041487A KR 20040006897 A KR20040006897 A KR 2004000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accident
vehicle
mobile phone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6897A/ko
Publication of KR2004000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897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이 설치되고 휴대전화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개시 신호를 받아 이를 휴대전화에서 경찰서나 응급 관제센터로 자동 발신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설치되는 사고여부 발신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휴대전화기(10)의 수신부(11)에 연결되어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는 수신제어부(20)와; 상기 휴대전화기(10)의 발신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제어부(20)에서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고 그 진폭이 일정값을 넘으면 상기 휴대전화기(10)에 전화번호가 기록되어있는 응급 관제센터(50)로 연결하도록 하는 발신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인명피해나 재산피해 등 각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Apparatus for sending a massage of traffic acciden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이 설치되고 휴대전화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개시 신호를 받아 이를 휴대전화에서 경찰서나 응급 관제센터로 자동 발신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인명피해나 재산피해 등 각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행시에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고 차량의 탑승자가 사고 사실을 직접 신고하거나, 주변의 사고 목격자가 사고 사실을 신고하여야만 경찰서나 응급 관제센터로 알려져 교통사고로 인한 사상자를 구호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고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인적이 드문 시골길이나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또는 목격자들이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에는 신고가 불가능하거나 늦어지게 되어 교통사고로 인한 사상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의 하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48285에 공개된 '차량 사고시 사고지점 자동 발신방법 및 그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의 에어백이 작동하는 경우에 에어백의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백 콘트롤 유닛(1)과, 에어백 작동시 GSP 안테나(2)를 매개로 GPS 수신기로부터 차량의 위치를 알기 위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콘트롤 유닛(3)과, 차량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위치 데이터를 무선 모뎀 안테나(5)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무선 모뎀(4)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에어백의 작동신호를 감지하여 GPS 수신기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빠른 사고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GPS를 이용한 사고지점 자동 발신장치는 고가의 GPS 장비를 필요로 하며, 또한 별도의 데이터 전송용 모뎀 등의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별도의 고가의 장비가 없이도 이를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인명피해나 재산피해 등 각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설치되는 사고여부 발신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휴대전화기의 수신부에 연결되어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는 수신제어부와; 상기 휴대전화기의 발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고 그 진폭이 일정값을 넘으면 상기 휴대전화기에 전화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응급 관제센터로 연결하도록 하는 발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사고시 사고지점 자동 발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전화기 11 : 수신부
12 : 발신부 20 : 수신제어부
30 : 발신제어부 40 : 메모리
50 : 응급 관제센터 60 : 핸즈프리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설치되는 사고여부 발신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휴대전화기(10)의 수신부(11)에 연결되어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는 수신제어부(20)와; 상기 휴대전화기(10)의 발신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제어부(20)에서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고 그 진폭이 일정값을 넘으면 상기 휴대전화기(10)에 전화번호가 기록되어있는 응급 관제센터(50)로 연결하도록 하는 발신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급 관제센터(50)의 발신 전화번호의 기록여부는 상기 휴대전화기(10)의 전화번호 기록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채널(예를 들어, 채널 0번)에 이를 기록해두면 상기 발신제어부(30)에서는 상기 특정 채널을 발신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메시지를 추가 메모리(40)에 기억시켜, 통화가 연결이 되었을 때, 상기 특정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제어부(20)와 발신제어부(30)는 휴대전화기(10)를 차량의 오디오 장치(70)와 연결하여 장착되는 핸즈프리 장치(60)와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휴대전화기(10)와 핸즈프리 장치(60)를 결합하는 것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근 대부분의 차량에는 핸즈프리 장치(60)를 기 장착하였거나, 또는 출고시에 장착되어 출고되고 있으므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장착된 핸즈프리 장치(60)에 연결되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신제어부(20)에서는 에어백의 폭발 주파수(170 dB)를 인식하도록 설정하나, 정확히 상기 폭발 주파수 값에 설정하기보다는 일정한 임계값(100 dB 정도)을 설정하여, 이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면, 발신제어부(30)에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상기 수신제어부(20)로부터 신호를 받게되면, 상기 발신제어부(30)에서는 응급 관제센터(50)로 전화를 걸게된다.
상기 응급 관제센터(50)로 전화를 거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은 상기 휴대전화기(10)의 특정 채널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발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사고여부 발신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을 장착하기 이전에 상기 휴대전화기(10)의 특정 채널에 응급 관제센터(50)의 전화번호를 기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발신제어부(30)에 별도의 모듈을 추가하거나 보이스 집적회로를 구성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이를 응급 관제센터에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인명피해나 재산피해 등 각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 설치되는 사고여부 발신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휴대전화기의 수신부에 연결되어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는 수신제어부와;
    상기 휴대전화기의 발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에어백 전개시의 폭발주파수를 감지하고 그 진폭이 일정값을 넘으면, 상기 휴대전화기에 전화번호가 기록되어있는 응급 관제센터로 연결하도록 하는 발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와 발신제어부는,
    휴대전화기가 장착되는 핸즈프리 장치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전화기와 핸즈프리 장치를 결합하는 것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와 발신제어부는,
    휴대전화기가 장착되는 핸즈프리 장치에 별도로 장착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제어부에는 특정 구호 메시지가 기록된 메모리를 추가 구성하여, 응급 관제센터로 휴대전화기가 연결되었을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발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KR1020020041487A 2002-07-16 2002-07-16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KR20040006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87A KR20040006897A (ko) 2002-07-16 2002-07-16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87A KR20040006897A (ko) 2002-07-16 2002-07-16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897A true KR20040006897A (ko) 2004-01-24

Family

ID=3731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87A KR20040006897A (ko) 2002-07-16 2002-07-16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68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07B1 (ko) * 2004-09-21 2006-07-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응급 상황 자동 통보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286A (en) * 1994-01-31 1996-09-10 Tendler Technologies, Inc. Cellular phone based automatic emergency vessel/vehicle location system
WO1998027714A1 (en) * 1996-12-17 1998-06-25 Ericsson Inc. Emergency call initiator
KR19980066953A (ko) * 1997-01-30 1998-10-15 김광호 자동차 에어백장치와 카-전화기를 연계한 교통사고 메시지 자동송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9980076597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사고 발생 알림장치와 방법
JP2000155887A (ja) * 1998-11-18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KR20000067015A (ko) * 1999-04-22 2000-11-15 윤장진 차량용 통신 오디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286A (en) * 1994-01-31 1996-09-10 Tendler Technologies, Inc. Cellular phone based automatic emergency vessel/vehicle location system
WO1998027714A1 (en) * 1996-12-17 1998-06-25 Ericsson Inc. Emergency call initiator
KR19980066953A (ko) * 1997-01-30 1998-10-15 김광호 자동차 에어백장치와 카-전화기를 연계한 교통사고 메시지 자동송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9980076597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사고 발생 알림장치와 방법
JP2000155887A (ja) * 1998-11-18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KR20000067015A (ko) * 1999-04-22 2000-11-15 윤장진 차량용 통신 오디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07B1 (ko) * 2004-09-21 2006-07-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응급 상황 자동 통보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4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zardous event detection and automatic emergency communication
US7580697B2 (en) Method and emergency call device for triggering an emergency call from a vehicle
US7164921B2 (en) Auxiliary switch activated GPS-equipped wireless phone
US5929752A (en) Clandestine missing vehicle location reporting using cellular channels
US72897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using wireless devices
JP3301222B2 (ja) 携帯型電話装置
KR20010108462A (ko)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근거한 제어 신호 발생 방법
CN101027922A (zh) 无线通信终端的免提提醒
WO2003058936A1 (fr) Systeme d&#39;authentification radio
US7162219B2 (en) Making an emergency call from a pre-established connection
WO2004019646A1 (en) System for preventing telephone call
JP2001357480A (ja) 緊急通報装置
US2017029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erts relative to airbag deployment
EP1361774A1 (en) Method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a mobile network, and terminal, server, and system therefor
KR20040006897A (ko) 차량의 사고여부 발신장치
US20060166659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JP4499805B2 (ja) 盗難後に電子機器の再発見を支援するために自動車に組み込まれるための電子機器
CA2270324A1 (en)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alerting user upon wireless terminal entering a specified physical location
JP3341723B2 (ja) 車輌エマジェンシーシステム
JP2001266294A (ja) 車両事故通報装置
EP1621425A1 (en) Telematic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KR2006012139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 정보 전송 방법과 장치 및시스템
US20160014249A1 (en) Supervisory headse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07835B1 (ko)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춘 이동 전자 기기
JPWO2020175583A1 (ja) 無線通信装置、車両、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